|
Aṅguttara Nikāya, aṭṭhakanipātapāḷi,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gahapativaggo n,
10. anuruddhamahāvitakkasuttaṃ (AN 8.30) 아누룻다<의 깊은 사유> 경(A8:30)
♦ 30. ekaṃ samayaṃ bhagavā bhaggesu viharati suṃsumāragire bhesakaḷāvane migadāye.
1. 한때 세존께서는 박가에서 숨수마라기리의 베사깔라 숲에 있는 녹야원에 머무셨다.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anuruddho cetīsu viharati pācīnavaṃsadāye.
그 무렵에 아누룻다 존자는 제띠에서 동쪽 대나무 숲에 머물고 있었다.
<주) 현재 북인도의 분델칸드(Bundelkhand) 지역이라고 한다.
M128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bhagu bālakaloṇakāragāme viharati.
그 무렵 바구 존자는 발라깔로나까라 마을에 머물고 있었다.
Atha kho bhagavā āyasmantaṃ bhaguṃ dhammiyā kathāya
sandassetvā samādapetvā samuttejetvā sampahaṃsetvā uṭṭhāyāsanā yena pācīnavaṃsadāyo tenupasaṅkami.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bhaddiyo (ma. ni. 2.166 naḷakapāne]
āyasmā ca kimilo [kimbilo (sī. syā. kaṃ. pī.)] pācīnavaṃsadāye viharanti.
8. 그때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낌빌라 존자는 동쪽 대나무 동산에 머물고 있었다.>
atha kho āyasmato anuruddhassa rahogatassa paṭisallīnassa evaṃ cetaso parivitakko udapādi —
아누룻다 존자가 한적한 곳에 가서 홀로 앉아있을 때에 마음속에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주) A3:128 "....1000의 세계를 살펴봅니다.
내게는 불굴의 정진이 생겼고 마음챙김은 확립되어 잊어버림이 없고
내 몸은 편안하여 동요가 없고 마음은 집중되어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아직 취착이 없어지지 않아 마음이 해탈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대의 자만입니다. ... 그대의 들뜸입니다. ....그대의 후회입니다.
... 세 가지 법을 버리고 이러한 세 가지 법을 마음에 잡도리하지 말고
불사의 경지로 마음을 향하게 하십시오.">
“appicch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a;
santuṭṭh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asantuṭṭhassa;
pavivitt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saṅgaṇikārāmassa;
āraddhavīriy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kusītassa;
upaṭṭhitassatissāyaṃ VAR dhammo, nāyaṃ dhammo muṭṭhassatissa VAR;
samāhit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asamāhitassa;
paññavato ayaṃ dhammo, nāyaṃ dhammo duppaññassā”ti.
'이 법은 바라는 바가 적은[少慾] 자를 위한 것이지 바라는 바가 많은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만족할 줄 아는[知足] 자를 위한 것이지 만족하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한거(閑居)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게으른 자를 위한 것은 아니다.
이 법은 마음챙김을 확립한 자를 위한 것이지 마음챙김을 놓아버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삼매에 든 자를 위한 것이지 삼매에 들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통찰지를 갖춘 자를 위한 것이지 통찰지가 없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 atha kho bhagavā āyasmato anuruddhassa cetasā cetoparivitakkamaññāya —
seyyathāpi nāma balavā puriso samiñjitaṃ vā bāhaṃ pasāreyya, pasāritaṃ vā bāhaṃ samiñjeyya;
evamevaṃ — bhaggesu suṃsumāragire bhesakaḷāvane migadāye antarahito
cetīsu pācīnavaṃsadāye āyasmato anuruddhassa sammukhe pāturahosi.
nisīdi bhagavā paññatte āsane. āyasmāpi kho anuruddho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 [4.]0233 nisinnaṃ kho āyasmantaṃ anuruddhaṃ bhagavā etadavoca —
2. 그때 세존께서는 마음으로 아누룻다 존자의 마음에 일어난 생각을 아시고
마치 힘 센 사람이 구부렸던 팔을 펴고 폈던 팔을 구부리는 것처럼
박가에서 숨수마라기리의 베사깔라 숲에 있는 녹야원에서 사라져
쩨띠에서 동쪽 대나무 숲에 머물고 있는 아누룻다 존자의 앞에 나타나셔서 마련된 자리에 앉으셨다.
아누룻다 존자는 세존께 절을 올린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누룻다 존자에게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 “sādhu sādhu, anuruddha! sādhu kho tvaṃ, anuruddha, (yaṃ taṃ mahāpurisavitakkaṃ) VAR vitakkesi —
‘appicch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a;
santuṭṭh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asantuṭṭhassa;
pavivitt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saṅgaṇikārāmassa;
āraddhavīriy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kusītassa;
upaṭṭhitassati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muṭṭhassatissa;
samāhit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asamāhitassa;
paññavato ayaṃ dhammo, nāyaṃ dhammo duppaññassā’ti.
3.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여. 아누룻다여, 그대는 대인의 일곱 가지 사유를 하였구나.
'이 법은 바라는 바가 적은[少慾] 자를 위한 것이지 바라는 바가 많은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만족할 줄 아는[知足] 자를 위한 것이지 만족하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한거(閑居)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게으른 자를 위한 것은 아니다.
이 법은 마음챙김을 확립한 자를 위한 것이지 마음챙김을 놓아버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삼매에 든 자를 위한 것이지 삼매에 들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통찰지를 갖춘 자를 위한 것이지 통찰지가 없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tena hi tvaṃ, anuruddha, imampi aṭṭhamaṃ mahāpurisavitakkaṃ vitakkehi —
‘nippapañcārāmassāyaṃ dhammo nippapañcaratino, nāyaṃ dhammo papañcārāmassa papañcaratino’”ti.
아누룻다여, 그대는 여덟 번째로
'이 법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없음을 좋아하고, 사량분별 없음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지
사량분별을 좋아하고 사량분별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는 이런 대인의 사유를 하여야 한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tato tvaṃ, anuruddha, yāvadeva VAR ākaṅkhissasi,
4.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issasi.
감각적 욕망들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 고찰[伺]이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겼고, 희열[喜]과 행복[樂]이 있는 초선(初禪)에 들어 머물게 될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tato tvaṃ, anuruddha, yāvadeva ākaṅkhissasi,
5.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issasi.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이 있으며, 마음의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은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물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tato tvaṃ, anuruddha, yāvadeva ākaṅkhissasi,
6.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issasi sato ca sampajāno sukhañca kāyena paṭisaṃvedissasi
yaṃ taṃ ariyā ācikkhanti —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issasi.
희열이 빛바랬기 때문에 평온하게 머물고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며 몸으로 행복을 경험할 것이다.
이 [禪 때문에] '평온하고 마음챙기며 행복하게 머문다.'고
성자들이 묘사하는 제3선(三禪)에 둘어 머물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tato tvaṃ, anuruddha, yāvadeva ākaṅkhissasi,
7.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sukhassa ca pahānā dukkhassa ca pahān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ṃ atthaṅgamā
adukkhamasukhaṃ upekkhāsatipārisuddhi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issasi.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소멸하였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청정한 제4선(四禪)에 들어 머물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ca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imesañca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bhavissas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8.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바로 지금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四種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게 얻고 어렵지 않게 얻을 때,
tato tuyhaṃ, anuruddha, seyyathāpi nāma gahapatissa vā gahapatiputtassa vā
nānārattānaṃ dussānaṃ dussakaraṇḍako pūro;
evamevaṃ te paṃsukūlacīvaraṃ khāyissati santuṭṭhassa viharato
ratiyā aparitassāya phāsuvihārāya okkamanāya nibbānassa.
마치 장자나 장자의 아들이 가진, 여러 가지 색으로 물들인 옷이 가득한 옷상자처럼,
분소의는 그대를 만족하게 머물게 하고, 기쁘게 하고, 초조하지 않게 하고,
편히 머물게 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ca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imesañca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bhavissas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9.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바로 지금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四種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게 얻고 어렵지 않게 얻을 때,
tato tuyhaṃ, anuruddha, seyyathāpi nāma gahapatissa vā gahapatiputtassa vā
sālīnaṃ odano vicitakāḷako anekasūpo anekabyañjano;
evamevaṃ te piṇḍiyālopabhojanaṃ khāyissati santuṭṭhassa viharato
ratiyā aparitassāya phāsuvihārāya okkamanāya nibbānassa.
마치 장자나 장자의 아들에게 주어긴 잡곡이 섞이지 않은 최상의 쌀밥과 여러 가지 국과 여러 가지 반찬처럼,
한 덩이 탁발음식은 그대를 만족하게 머물게 하고, 기쁘게 하고, 초조하지 않게 하고,
편히 머물게 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ca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imesañca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bhavissas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10.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바로 지금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四種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게 얻고 어렵지 않게 얻을 때,
tato tuyhaṃ, anuruddha, seyyathāpi nāma gahapatissa vā gahapatiputtassa vā
kūṭāgāraṃ ullittāvalittaṃ nivātaṃ phusitaggaḷaṃ pihitavātapānaṃ;
evamevaṃ te rukkhamūlasenāsanaṃ khāyissati santuṭṭhassa viharato
ratiyā aparitassāya phāsuvihārāya okkamanāya nibbānassa.
마치 장자나 장자의 아들이 소유한, 안팎이 회반죽으로 잘 칠해졌고 바람막이가 잘 되어 있으며
빗장이 채우졌고 여닫이 창문이 부착되어 있고 누각이 있는 저택처럼,
나무 아래에 머무는 것은 그대를 만족하게 머물게 하고, 기쁘게 하고, 초조하지 않게 하고,
편히 머물게 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ca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imesañca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bhavissas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11.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바로 지금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四種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게 얻고 어렵지 않게 얻을 때,
tato tuyhaṃ, anuruddha, seyyathāpi nāma gahapatissa vā gahapatiputtassa vā
pallaṅko gonakatthato paṭikatthato paṭalikatthato kadalimigapavarapaccattharaṇo VAR
sauttaracchado ubhatolohitakūpadhāno;
evamevaṃ te tiṇasanthārakasayanāsanaṃ khāyissati santuṭṭhassa viharato
ratiyā aparitassāya phāsuvihārāya okkamanāya nibbānassa.
마치 장자나 장자의 아들이 소유한, 긴 양털의 덮개가 펴져있고 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천개(天蓋)가 있으며 양쪽이 빨간 받침이 있는 침상처럼,
건초를 깔아 만든 침상은 그대를 만족하게 머물게 하고, 기쁘게 하고, 초조하지 않게 하고,
편히 머물게 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
♦ “yato kho tvaṃ, anuruddha, ime ca aṭṭha mahāpurisavitakke vitakkessasi,
imesañca catunnaṃ jhānānaṃ ābhicetasikānaṃ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naṃ
nikāmalābhī bhavissasi akicchalābhī akasiralābhī,
12. "아누룻다여, 그대가 이러한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할 때 그대는 원하기만 하면
바로 지금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하는, 높은 마음인 네 가지 선[四種禪]을
원하는 대로 얻고 힘들이지 않게 얻고 어렵지 않게 얻을 때,
tato tuyhaṃ, anuruddha, seyyathāpi nāma gahapatissa vā gahapatiputtassa vā nānābhesajjāni,
seyyathidaṃ — sappi navanītaṃ telaṃ madhu phāṇitaṃ;
evamevaṃ te pūtimuttabhesajjaṃ khāyissati santuṭṭhassa viharato
ratiyā aparitassāya phāsuvihārāya okkamanāya nibbānassa.
마치 장자나 장자의 아들이 사용하는 생 버터, 정제된 버터, 기름, 꿀, 당밀과 같은 여러 가지 약처럼,
썩은 오줌으로 만든 약은 그대를 만족하게 머물게 하고, 기쁘게 하고, 초조하지 않게 하고,
편히 머물게 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
tena hi tvaṃ, anuruddha, āyatikampi vassāvāsaṃ idheva cetīsu pācīnavaṃsadāye vihareyyāsī”ti.
“evaṃ, bhante”ti kho āyasmā anuruddho bhagavato paccassosi.
13. "아누룻다여, 그러므로 그대는 다가오는 우기철의 안거를
여기 쩨띠의 동쪽 대나무 숲에서 지내도록 하라."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아누룻다 존자는 세존께 대답했다.
♦ atha kho bhagavā āyasmantaṃ anuruddhaṃ iminā ovādena ovaditvā —
seyyathāpi nāma balavā puriso samiñjitaṃ vā bāhaṃ pasāreyya, pasāritaṃ vā bāhaṃ samiñjeyya,
evamevaṃ — cetīsu pācīnavaṃsadāye antarahito
bhaggesu suṃsumāragire bhesakaḷāvane migadāye pāturahosīti.
nisīdi bhagavā paññatte āsane.
nisajj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그때 세존께서는 아누룻다 존자를 이렇게 교계하신 뒤
마치 힘 센 사람이 구부렸던 팔을 펴고 폈던 팔을 구부리는 것처럼
쩨띠의 동쪽 대나무 숲에서 사라져서 박가의 숨수마라리기의 베사깔라 숲에 있는 녹야원에 나타나셨다.
세존께서는 마련된 자리에 앉으셨다. 자리에 앉으시자 세존께서는 비구들을 불러서 말씀하셨다.
“aṭṭha kho, bhikkhave, mahāpurisavitakke desessāmi, taṃ suṇātha ... pe ...
katame ca, bhikkhave, aṭṭha mahāpurisavitakkā?
14. "비구들이여, 나는 그대들에게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를 설하리라.
이제 그것을 들어라. 듣고 마음에 잘 새겨라. 나는 설할 것이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인가?"
appicch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a;
santuṭṭh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asantuṭṭhassa;
pavivitt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saṅgaṇikārāmassa;
āraddhavīriy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kusītassa;
upaṭṭhitassati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muṭṭhassatissa;
samāhit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asamāhitassa;
paññavato a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duppaññassa;
nippapañcārāmassāyaṃ, bhikkhave, dhammo nippapañcaratino,
nāyaṃ dhammo papañcārāmassa papañcaratino”.
15. "비구들이여,
이 법은 바라는 바가 적은[少慾] 자를 위한 것이지 바라는 바가 많은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만족할 줄 아는[知足] 자를 위한 것이지 만족하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한거(閑居)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게으른 자를 위한 것은 아니다.
이 법은 마음챙김을 확립한 자를 위한 것이지 마음챙김을 놓아버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삼매에 든 자를 위한 것이지 삼매에 들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통찰지를 갖춘 자를 위한 것이지 통찰지가 없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없음을 좋아하고, 사량분별 없음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지
사량분별을 좋아하고 사량분별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 “‘appicch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16. "비구들이여,
'이 법은 바라는 바가 적은[少慾] 자를 위한 것이지 바라는 바가 많은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appiccho samāno ‘appiccho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santuṭṭho samāno ‘santuṭṭho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pavivitto samāno ‘pavivitto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āraddhavīriyo samāno ‘āraddhavīriyo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upaṭṭhitassati samāno ‘upaṭṭhitassatī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samāhito samāno ‘samāhito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paññavā samāno ‘paññavā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nippapañcārāmo samāno ‘nippapañcārāmoti maṃ jāneyyun’ti na icchati.
17.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바라는 바가 적지만 '사람들이 나를 바라는 바가 적은 자라고 알아주기를.'하고 바라지 않는다.
한거하지만 '사람들이 나를 한거하는 자라고 알아주기를.'라고 바라지 않는다.
열심히 정진하지만 '사람들이 나를 열심히 정진하는 자라고 알아주기를.'라고 바라지 않는다.
마음챙김을 확립했지만 '사람들이 나를 마음챙김을 확립한 자라고 알아주기를.'하고 바라지 않는다.
삼매에 들었지만 '사람들이 나를 삼매에 든 자라고 알아주기를.'하고 바라지 않는다.
통찰지를 갖추었지만 '사람들이 나를 통찰지를 갖춘 자라고 알아주기를.'하고 바라지 않는다.
사량분별이 없지만 '사람들이 나를 사량분별이 없는 자라고 알아주기를.'하고 바라지 않는다.
‘appicch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바라는 바가 적은[少慾] 자를 위한 것이지 바라는 바가 많은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했다."
♦ “‘santuṭṭh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asantuṭṭha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18. "비구들이여,
'이 법은 만족할 줄 아는[知足] 자를 위한 것이지 만족하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a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accayabhesajjaparikkhārena.
19.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의복이나 탁발음식이나 거처나 병구완을 위한 약품이
좋은 것이든 안 좋은 것이든 그것으로 만족한다.
‘santuṭṭh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asantuṭṭha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만족할 줄 아는[知足] 자를 위한 것이지 만족하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했다."
♦ “‘pavivitt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saṅgaṇikārāma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20. "비구들이여,
'이 법은 한거(閑居)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no pavivittassa viharato bhavanti
upasaṅkamitāro bhikkhū bhikkhuniyo upāsakā upāsikāyo rājāno rājamahāmattā titthiyā titthiyasāvakā.
tatra bhikkhu vivekaninnena cittena vivekapoṇena vivekapabbhārena vivekaṭṭhena
nekkhammābhiratena aññadatthu uyyojanikapaṭisaṃyuttaṃyeva kathaṃ kattā VAR hoti.
21.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가 한거하면서 머물 때 비구들이나 비구니들이나
남자 신도들이나 여자 신도들이나 왕들이나 왕의 대신들이나 외도들이나 외도의 제자들이 찾아온다.
그러면 거기서 비구는
멀리 여읨으로 향하고 멀리 여읨으로 기울고 멀리 여읨에 기대고 멀리 여읨에 머물고
출리를 기뻐하는 마음으로 [멀리 여읨을] 격려함과 관계된 이야기를 한다.
‘pavivitt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saṅgaṇikārāma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한거(閑居)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했다."
♦ “‘āraddhavīriy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kusīta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22. "비구들이여, '이 법은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게으른 자를 위한 것은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āraddhavīriyo viharati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kusalānaṃ dhammānaṃ upasampadāya thāmavā daḷhaparakkamo anikkhittadhuro kusalesu dhammesu.
23.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제거하고 유익한 법[善法]들을 두루 갖추기 위해서 열심히 정진하여 머문다.
그는 굳세고 분투하며 유익한 법들에 대한 임무를 내팽개치지 않는다.
‘āraddhavīriy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kusīta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게으른 자를 위한 것은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했다."
♦ “‘upaṭṭhitassati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muṭṭhassati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24. "비구들이여,
'이 법은 마음챙김을 확립한 자를 위한 것이지 마음챙김을 놓아버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satimā hoti paramena satinepakkena samannāgato,
cirakatampi cirabhāsitampi saritā anussaritā.
25.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마음챙김을 닦는 자이다.
그는 최상의 마음챙김과 슬기로움을 구족하여
오래 전에 행하고 오래 전에 말한 것이라도 모두 기억하고 생각해낸다.
‘upaṭṭhitassati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muṭṭhassati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마음챙김을 확립한 자를 위한 것이지 마음챙김을 놓아버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했다."
♦ “‘samāhit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asamāhita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26. "비구들이여, '이 법은 삼매에 든 자를 위한 것이지 삼매에 들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vivicceva kāmehi ... pe ...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27.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들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 초선(初禪)을 구족하여 머문다.
… 제2선(二禪)을 구족하여 머문다. … 제3선(三禪)을 구족하여 머문다. … 제4선(四禪)을 구족하여 머문다.
‘samāhitassā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asamāhita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삼매에 든 자를 위한 것이지 삼매에 들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한 것이다."
♦ “‘paññavato a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duppaññassā’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28. "비구들이여, '이 법은 통찰지를 갖춘 자를 위한 것이지 통찰지가 없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paññavā hoti udayatthagāminiyā paññāya samannāgato
ariyāya nibbedhikāya sammā dukkhakkhayagāminiyā.
29.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통찰지를 가졌다.
그는 일어나고 사라짐을 꿰뚫고, 성스럽고, 통찰력이 있고,
바르게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통찰지를 구족하였다.
‘paññavato ayaṃ, bhikkhave, dhammo, nāyaṃ dhammo duppaññassā’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ṃ.
비구들이여, '이 법은 통찰지를 갖춘 자를 위한 것이지 통찰지가 없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한 것이다."
♦ “‘nippapañcārāmassāyaṃ, bhikkhave, dhammo nippapañcaratino,
nāyaṃ dhammo papañcārāmassa papañcaratino’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30. "비구들이여, '이 법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없음을 좋아하고, 사량분별 없음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지
사량분별을 좋아하고 사량분별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무슨 이유로 그렇게 말했는가?"
idha, bhikkhave, bhikkhuno papañcanirodhe cittaṃ
pakkhandati pasīdati santiṭṭhati vimuccati.
31.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의 마음은 사량분별의 소멸에
들어가고 청정한 믿음을 가지고 안정되고 확고하고 해탈한다. <*adhi - muccati>
‘nippapañcārāmassāyaṃ, bhikkhave, dhammo, nippapañcaratino,
nāyaṃ dhammo papañcārāmassa papañcaratino’ti, iti yaṃ taṃ vuttaṃ
idametaṃ paṭicca vuttan”ti.
비구들이여, '이 법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없음을 좋아하고, 사량분별 없음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지
사량분별을 좋아하고 사량분별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이런 이유로 그렇게 말한 것이다."
♦ atha kho āyasmā anuruddho āyatikampi vassāvāsaṃ tattheva cetīsu pācīnavaṃsadāye vihāsi.
atha kho āyasmā anuruddho eko vūpakaṭṭho appamatto ātāpī pahitatto viharanto nacirasseva —
yassatthāya kulaputtā sammadeva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anti, tadanuttaraṃ —
brahmacariyapariyosāna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ās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abbhaññāsi.
aññataro ca panāyasmā anuruddho arahataṃ ahosīti.
atha kho āyasmā anuruddho arahattappatto tāyaṃ velāyaṃ imā gāthāyo abhāsi —
32. 그때 아누룻다 존자는 다가오는 우기철의 안거도 쩨띠에서 동쪽 대나무 숲에서 지냈다.
그때 아누룻다 존자는 혼자 은둔하여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 독려하여 지냈다.
그는 오래지 않아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성취하고자 집에서 나와 출가하는,
그 위없는 청정범행의 완성을 지금여기에서 최상의 지혜로 알고 실현하고 구족하여 머물렀다.
'태어남은 다했다. 청정범행은 성취되었다. 행야 할 일을 다해 마쳤다. 다시는 어떤 존재로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최상의 지혜로 알았다.
그래서 아누룻다 존자는 아라한들 중의 한 분이 되었다.
아누룻다 존자는 아라한과를 얻은 바로 그 시간에 이런 게송을 읊었다.
♦ VAR “mama saṅkappamaññāya, satthā loke anuttaro.
♦ manomayena kāyena, iddhiyā upasaṅkami.
33. "세상의 위없는 스승께서는
나의 사유를 잘 아신 뒤
마음으로 이루어진 몸으로
신통으로써 내게 다가오셔서 {*Thg.901}
♦ “yathā me ahu saṅkappo, tato uttari desayi.
♦ nippapañcarato buddho, nippapañcaṃ adesayi.
나의 사유와 그것을 넘어선
[여덟 번째 사유를] 말씀하셨도다.
사량분별 없음을 즐거워하시는 부처님은
사량분별 없음을 설하셨나니 {*Thg.902}
♦ “tassāhaṃ dhammamaññāya, vihāsiṃ sāsane rato.
♦ tisso vijjā anuppattā, kataṃ buddhassa sāsanan”ti.
나는 그분의 법을 잘 알아서
교법을 기뻐하며 머물렀으며
세 가지 영지를 증득해서
부처님의 교법을 실천했노라." {*Thg.903}
dasamaṃ.
♦ gahapativaggo tatiyo.
♦ tassuddānaṃ —
♦ dve uggā dve ca hatthakā, mahānāmena jīvako.
♦ dve balā akkhaṇā vuttā, anuruddhena te dasāti.
∴
테라가타 이십련시집 제9품 아누룻다 장로게 9. Anuruddhattheragāthā
892. ‘‘Pahāya mātāpitaro, bhaginī ñātibhātaro;
Pañca kāmaguṇe hitvā, anuruddhova jhāyatu.
"아버지와 어머니를 버리고
자매, 친지, 형제도 버리고
다섯 감각적 쾌락의 대상을 버리고
실로 아누룻다는 선정에 들었다."
893. ‘‘Sameto naccagītehi, sammatāḷappabodhano;
Na tena suddhimajjhagaṃ [suddhamajjhagā (sī. ka.), suddhimajjhagamā (syā.)], mārassa visaye rato.
"실로 춤과 노래를 즐기고
심벌즈와 징에 고무되어
악마의 영토에서 기뻐하였으니,
그 때문에 청정을 얻지 못했다."
894. ‘‘Etañca samatikkamma, rato buddhassa sāsane;
Sabboghaṃ samatikkamma, anuruddhova jhāyati.
"이제는 그것을 뛰어넘었으니,
깨달은 님의 교법에 기뻐한다.
일체의 거센 흐름을 뛰어넘어
아누룻다는 실로 선정에 든다."
895. ‘‘Rūpā saddā rasā gandhā, phoṭṭhabbā ca manoramā;
Ete ca samatikkamma, anuruddhova jhāyati.
"형상들, 소리들, 냄새들, 그리고
감촉들은 사랑스러운 것인데,
그러나 그것들을 뛰어넘어
아누룻다는 실로 선정에 든다."
896. ‘‘Piṇḍapātapaṭikkanto, eko adutiyo muni;
Esati paṃsukūlāni, anuruddho anāsavo.
"탁발에서 돌아와
벗도 없이 홀로 있는 해탈자,
번뇌를 여읜 아누룻다가
쓰레기에서 분소의를 찾고 있다."
897. ‘‘Vicinī aggahī dhovi, rajayī dhārayī muni;
Paṃsukūlāni matimā, anuruddho anāsavo.
"해탈자로서 슬기로운 자,
번뇌를 여읜 아누룻다는
분소의를 골라서 취하고
세탁해서 염색하여 착용했다."
898. ‘‘Mahiccho ca asantuṭṭho, saṃsaṭṭho yo ca uddhato;
Tassa dhammā ime honti, pāpakā saṃkilesikā.
"욕심이 많아 만족하지 못하고
교제를 즐기며 경솔한 자가 있다.
그의 성품들은 이와 같으니,
사악한 것들이고 오염된 것들이다."
899. ‘‘Sato ca hoti appiccho, santuṭṭho avighātavā;
Pavivekarato vitto, niccamāraddhavīriyo.
"새김을 확립하고, 욕망을 여의고,
만족하고, 고뇌를 여의고,
멀리 여읨을 즐기며 기뻐하는 자는
언제나 용맹정진한다."
900. ‘‘Tassa dhammā ime honti, kusalā bodhipakkhikā;
Anāsavo ca so hoti, iti vuttaṃ mahesinā.
"이러한 성품들,
깨달음에 도움이 되는, 착하고 건전한 것들이 있으니,
그는 번뇌를 여읜 님이라고
위대한 선인께서 말씀하셨다."
901. ‘‘Mama saṅkappamaññāya, satthā loke anuttaro;
Manomayena kāyena, iddhiyā upasaṅkami.
"내가 사유하는 것을 알고
세상에서 위없는 스승께서
정신으로 만든 몸으로
초월적 능력으로 다가오셨다."
902. ‘‘Yadā me ahu saṅkappo, tato uttari desayi;
Nippapañcarato buddho, nippapañcamadesayi.
"내가 사유할 때에
그보다 위의 것을 가르치셨으니,
희론의 여읨을 기뻐하시는 깨달은 님께서
희론의 여읨을 가르치셨다."
903. ‘‘Tassāhaṃ dhammamaññāya, vihāsiṃ sāsane rato;
Tisso vijjā anuppattā, kataṃ buddhassa sāsanaṃ.
"깨달은 님의 가르침을 알고
나는 교법에 기뻐했다.
세 가지 명지를 성취하였으니,
깨달은 님의 교법이 나에게 실현되었다."
첫댓글 참으로 숙연해지는... 성스러운 경문들이네요........
//이미 기쁨과 슬픔을 소멸하였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 //
에서의
기쁨과 슬픔에 노출은 고락 극단이고,
기쁨과 슬픔을 소멸한 평온을 닦은 수행이 마음챙김이 청정한 사선정입니다.
기쁨과 슬픔 그리고 평온 등 3가지를 닦는 안목이 선정 입니다. 사두()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_()_
이 경문을 보면 돈오돈수니 돈오점수니 하는 용어를 만들고 논쟁할 이유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_()_
봄봄님! 여덟 가지 대인의 사유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_()_
이 법은 바라는 바가 적은[少慾] 자를 위한 것이지 바라는 바가 많은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만족할 줄 아는[知足] 자를 위한 것이지 만족하지 못하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한거(閑居)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무리지어 사는 것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열심히 정진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게으른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마음 챙김을 확립한 자를 위한 것이지 마음 챙김을 놓아버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삼매에 든 자를 위한 것이지 삼매에 들지 못한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통찰지를 갖춘 자를 위한 것이지 통찰지가 없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법은 사량분별(思量分別) 없음을 좋아하고 사량분별 없음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지
사량분별을 좋아하고 사량분별을 즐기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신통을 내시는 부처님의 모습을 묘사한 경을 보면 특히 제자의 생각을 아시고 몸을 나투신다는 장면이 나오는 걸로 미루어 보면
제자 하나하나를 보호하시는 마음으로 염두에 두시는 걸 알 수 있다.
원래 위험이 도사리는 숲에 제자들을 격려하여 보내시는데...맹수나 독충들이 득실댈 것은 안봐도 뻔한 것입니다.
제가 추측건대는 아마....................... 일일이 의성신을 나투시어 독충이나 맹수들이 제자들을 해하지 못하도록
감독? 하셨을 확률이 큽니다. 물론 제자들은 그런 사실을 몰르고 있었을 확률이 크고요. 부처님이 공치사하는 분이
절대 아니란 것은 자명하구요....
다만 이런 신통일화가 진짜인지는 아직 반신반의합니다.
저도 전에는 거친몸이 나투는 것으로 알고 반신반의 했습니다. 의성신 입니다..100% 가능합니다.
사두사두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