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요가산업학전공
명상학개론2
2023년 11월4일 10차수 지공(정광채)교수
[진여는 모든 삼매의 근본자리]
멈춤(止)을 계속 계속 닦아 익히면 그 삼매에 의해 ‘진여법계(眞如法界)가 하나의 모양임’을 알게됩니다. 이른바 모든 부처님의 법신(法身)과 중생의 몸이 평등하여 둘이 아님을 알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부처와 중생이 하나로 가는 삼매’라고 합니다. 이‘부처와 중생이 하나로 하나로 가는 삼매’를 일행삼매(一行三昧)라고 번역을 했습니다. ‘일행(一行)’의 원래 뜻은 ‘마음을 한 대상에 고정시켜 그대로 쭉 지켜가는 것’, 즉 ‘순일(純一)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한 마음으로 쭉 이어지는 삼매’라 해도 좋을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진여삼매(眞如三昧)’또는 ‘일상삼매(一相三昧)라 하기도 합니다. ’일상(一相)의 ‘상(相)’은 마음의 대상(境)일 수도 있고, 모습일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일상은(一相)은 부처, 중생, 진여, 삼라만상이 하나가 된 상태를 뜻하는 것입니다.
자 이제 실참하도록 하겠습니다.
호흡명상 코끝의 호흡 명상 복부의 호흡 관찰 명상 수식 관, 들숨 날숨 호흡 시 숫자 붙이기 호흡명상 까지 공부했 고
이번시간에는 호흡명상중 ⓸ 정뇌 호흡 명상입니다
복부의 호흡 관찰 명상 수식관, 들숨 날숨 호흡 시 숫자 붙이기 명상은 동영상 만으로만 공부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 복습 실참 하도록 하겠습니다
호흡명상 ⓶ 복부의 호흡 관찰 명상 수행법은 미얀마 마하시 위빠사 나 국제명상센타가 대표적인 통찰 호흡 명상 수행 방법 을 실시하는 대표적인 수행처입니다.
卍 들숨 날숨 호흡에서 복부가 일어나고 멈추고 꺼짐을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이 때 들숨 날숨 호흡에 주의 집중도 중요하지만, 호흡 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통찰하며 지켜봐야 합니다.
卍 복부 호흡의 기본자세도 앉아서 해야 하지만, 초보자나 노약자들 에게는 편안하게 누워서 왼손은 가슴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은 복부에 올려서 들숨 날숨 에 따라 아랫배가 일어나고 꺼지는 것 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卍 호흡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통찰하는 위빠사나 통찰호흡, 호흡에 주의 집중하는 『출입식념경』의 16가지 방법 중 1, 2의 과제에 서 3과 4의 과제로 첨부한 수행을 제시합니다.
1, 온 몸을 감지하면서 ‘숨을 들이쉬리라.’ 하고 수행하며,
2, 몸을 조건 짓는(身行) 과정을 고요히 하면서 ‘숨을 들이쉬리 라.’고 하며 수행합니다.
卍 들숨 호흡이 코끝에서 들어오는 감각을 철처히 주의 집중하면서, 그리고 폐 깊숙이 호흡이 들어갔을 때, 횡경막이 아래로 내려가 면서 복부를 볼록하게 하는 것까지 몸의 조건 짓는 전 과정을 낱 낱이 주의 집중하여 알아차립니다.
卍 들숨 날숨 호흡이 천천히 깊게 크게 나아가는 전 과정을 알아챙 김함으로써, 마음의 안정과 고요, 그리고 존재가 형성되는 연기적 전 과정까지 통찰할 수 있는 직관적 지혜를 얻도록 해 주는 명상 수행법입니다.
卍 현대의학에서, 자율신경계 중 흥분을 유발하는 교감신경부분에서 벗어나, 마음을 평온하게 하는 부교감신경계가 많이 있는 복부 쪽을 활성화함으로써, 마음의 평온을 도와줄 수가 있습니다.
호흡명상 ⓷ 수식관, 들숨 날숨 호흡 시 숫자 붙이기
『붓다가 설한 안반수의경』은 빨리어로는 남아 있지 않고 한문으로 번역된 『불설대안반수경』이 호흡 명상의 대표적인 수행 경전입니다. 이 경은 후한시대 안세고(대략140~170년경)가 번역한 것으로 전해 집니다.
卍 수식 호흡은 한국과 중국 등에서 예부터 전해오고 있는 대표적인 호흡 명상 수행법입니다.
卍 수식은 들숨 날숨을 1회 하고 난 뒤에 하나, 그리고 2회 하고 난 뒤에 둘, 3회 하고 난 뒤에 셋으로 하면서 수를 열까지 세고, 다 시 열에서 역으로 호흡을 한 번 하고 9, 8 등으로 반복하며, 호 흡에 숫자를 붙이면서 수행합니다.
卍 호흡에 숫자를 붙이면서 호흡을 진행함으로써, 호흡하는 과정에 산란심이나 몸의 감각에서 일어나는 느낌 등을 물리치고 호흡에 주의 집중을 돕게 합니다.
卍 호흡에 숫자를 세면서 수행하는 과정은 마음에서 산란심이 일어 났을 때 수를 세는 그 자체는 수상한 사람이 못 들어오게 성문에 서 방어하는 문지기 역할을 합니다.
卍 코끝 호흡 관찰이나, 복부가 일어나고 사라지는 주의 복부 호흡 에 집중이 어려운 사람에게, 또는 전문수행자가 아니라도 쉽게 수를 세면서 호흡에 마음을 집중하는 수행이 됩니다.
卍『불설대안반수경』이 경에서는 수식(數息), 상수식(相隨息), 지 (止), 관(觀), 환(還), 정(淨) 6가지 수행으로 깨달음에 나아가는 수행 단계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수식은 호흡 후 숫자를 붙이면서 호흡에 주의 집중하여 마음의 고요와 평온을
상수식은 호흡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주의 집중하여 따라가면서 호흡을 통해,
지는 산란심을 내려놓아 번뇌를 그치게 하는것
관은 지를 통해 존재를 통찰하는 것
환은 어리석은 마음에서 본래 본성 자리로 나아가는 것
정은 마지막으로 고요하고 깨끗 마음으로 나아가는 6가지 수식 명상수행입니다.
卍 특히 불면증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1에서 100으로, 100 에서 역으로 99, 98, 등으로 숫자를 붙이면서, 호흡에 집중을 하면, 마음이 빨리 고요와 이완, 그리고 평온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불면증 등에서 벗어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호흡명상 ⓸ 정뇌 호흡 명상입니다
卍 정뇌 호흡은 산스끄리뜨어로 두개골, 이마+빛이라는 의미로 두 개골 정화법이라고도 합니다. 복식호흡을 급격하고 율동적으로 하여 1초에 한 호흡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들숨 호흡은 작게
천천히, 날숨 호흡은 크게 빠르게 복부를 움츠리면서 강제로 세
차게 숨을 내 뱉습니다. 강제로 숨을 내뱉음으로 폐의 나쁜 공기 를 몰아내고, 산소를 증가시켜 몸속을 깨끗하게 하는 정화법 입 니다.
卍 즉 머리를 맑게 해 주는 호흡으로, 요가 수행 시 준비 호흡이나 정화 호흡으로 많이 활용합니다. 정뇌 호흡을 실시하면 머리에 막혀 있던 혈액의 흐름이 왕성해지고, 산소 공급이 원할해져 뇌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卍 이 호흡은 미얀마 슌류 스님께서 요가 호흡 명상의 한 방법을 도입하여 명상 초기 수행자에게 빠른 호흡으로 마음을 정화시키 고 주의 집중을 왕성하게 하는 것으로 슌류 센타에서 명상 수행 시 활용하며 전해지고 있습니다.
卍 정뇌 호흡 방법
卍-1 맑고 정갈한 곳에서 마음을 고요히 하고, 척추를 똑바로 하고 어깨 가슴의 긴장을 풉니다.
卍-2 복식 호흡으로 코로 공기를 훅~훅 소리가 나도록 강하게 뱉으 면서 배를 안으로 당깁니다.
卍-3 처음에는 복부에 의식을 두고 하다가 익숙해지면 미간으로 의 식을 옮깁니다.
卍-4 호흡에 걸림이 있거나 몸이 결리는 듯 불편하면 호흡의 속도를 늦추고 다시 합니다.
卍-5 가벼운 현기증은 산소가 머리에 차는 경우이며, 초보자는 허리
에 약한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卍-6 호흡 시에는 공복이나 위가 가벼운 상태에서 방광을 비우고 하 는 것이 좋습니다.
卍-7 마칠 때는 몇 차례 길게 내쉬며, 잠시 의식을 미간에 모아서
밝은 미소로 마무리 합니다.
卍 정뇌 호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우리 몸은 온기를 에너지로 쓰며, 냉기는 탁기로 병의 원인이 됩
니다. 건강한 사람은 365일 36도의 체온을 유지하며, 이보다 낮 으면 병이 나기 쉽습니다. 특히 암은 35도의 저체온에서 증식이
가장 잘 이루워진다고 합니다.
卍-1 공기를 강제로 몸속에 유입시켜 산소량을 늘려주기 때문에, 폐
활량을 늘리고 폐를 정화합니다.
卍-2 탁기를 배출하는 방법으로 복부를 풀무질하듯 하여 몸에 열기 를 생성시키, 탁기인 냉기를 몰아내고 몸을 뜨겁게 만들어 줍 니다.
卍-3 혈액을 하복부로 끌어내려 복부기관을 강화시켜 주며 복부에 압력을 가하여 복부지방을 태워 줍니다.
卍-4 또한 횡경막을 자극하여 위장과 심장에 운동력을 높여 혈액을 정화하며, 혈액 순환 장애를 예방합니다.
卍-5 학생들은 공부 중에 틈틈이 호흡하면 정신이 맑아져서 집중력 을 높일 수 있고 뇌를 정화시켜 머리를 맑게 해 줍니다.
卍 정뇌 호흡 주의점
卍-1 중요한 것은 이 기법에 사용되는 빠른 호흡이 가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복부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卍-2 1시간 이상 수련할 때 혈중 산소농도가 높아져서 호흡하지 않 아도 되는 상태, 호흡이 정지되는 상태에 도달할 수도 있습니 다.
卍-3 하루에 두 번 정뇌 호흡을 하도록 합니다. 공기를 강제로 몸속 에 유입시켜 산소량을 늘려주기 때문에, 폐활량을 늘리고 폐를 정화합니다. 전체 요가 수련 중 요가 자세 마지막에 그리고 교 호 호흡과 명상 전에 실시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육체적, 정 신적 무력감을 줄이고 민첩한 정신과 생기 발랄함이 유지됩니 다.
卍-4 어느때 수련해도 좋지만 식후 3~4시간 지난 공복에 행해야 합니다.
卍-5 옆구리 통증이나 어지러움이 느껴지면 수련을 멈추고 잠시 조 용히 앉아 머물고, 감각이 사라지면 좀 더 주의를 기울이며 좀 더 약하게 수련을 재개한다. 좀 더 오래 수련을 진전시킬수록 체력을 단련할 수 있습니다.
卍-6 임산부, 심장병, 고혈압, 저혈압, 현기증, 간질, 뇌졸중, 탈장, 위궤양, 눈병(녹내장), 귓병(귀에 물이 찬 경우), 또는 코피 등 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연습하지 않습니다.
卍-7 호흡법을 행할 때는 호흡을 잘못하면 딸꾹질, 고창증, 천식, 기 침, 콧물, 머리, 눈, 귀의 통증, 신경계통이 흥분되기도 합니다. 숨을 느리고, 깊고, 안정되고, 바르게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배 우는 데는 상당한 수련을 필요로 합니다.
2023년 11월4일 10차수
[진여는 모든 삼매의 근본자리]
란 강의 주제로 오늘 강의와 실참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좌종3성으로 마침
명상요가산업학전공
명상학개론2
2023년 11월11일 11차수 지공(정광채)교수
[수행을 방해하는 마귀들의 형태와 그 퇴치법]
명상수행자가 선근(善根)의 힘이 없다면 좌선 중에 간혹 마구니(魔軍)나 외도(外道) 또는 귀신들로부터 유혹이나 어지럽힘을 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귀들은 좌선중에 무서운 형상으로 겁을 주기도 하고, 때로는 멋진 남자나 예쁜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나 유혹하기도 합니다. 그럴 때는 다만 마음 경계 상에서 일어나는 그 현상을 알아차리고만(念)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그것들은 곧바로 사라질 것이고 결국 괴롭힘을 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서 선근이란 좋은 결과(結果), 즉 좋은 과보(과보)를 가져오게 하는 원인이 되는 행위입니다. 그래서 ‘선근의 힘이 약하다는 것은 과거 전생에 좋은 업(善業)을 많이 닦아 놓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알아차림 즉 “염(念)한다”는 것은 단순히 “생각한다”는 뜻이 아니라, ‘전념불망(前念不忘)’ 즉 오로지 한 대상에만 마음을 집중하여 그것을 ‘잠시도 놓치지 않고 계속 알아차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멈춤명상을 닦는 과정에서 환상이나 환청현상들이 나타나기도 하고, 좌선 중에 달콤한 소리가 들려오기도 하고, 매혹적인 모습이나, 빛, 천사, 불보살들이 나타나기도 하고, 혹은 극락세계가 보여 오기도 합니다
혹시 그러한 것들이 나타나면 나타나는 즉시 바로 알아차림 해가야 합니다. 자신의 마음에서 현재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 분명하게 알아차림 해가야 합니다.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은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모두 다 알아차림 해가야 합니다. 있는 그대로, 나타나는 대로 다 알아차림 해가되 좋아하지도 말고, 겁먹지도 말고, 흔들림 없이, 그저 알아차림만 계속 해가야 합니다. 그러면 실체가 없는 그 허상은 이내 곧 사라집니다.
이 때 그 환상에 속아 넘어 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흔히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면 무서워 명상수행을 그만두게 되거나 아니면 그것에 빠져들어 즐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하여 그러한 신비체험을 계속 추구하고, 그러한 경험에 집착하게 됩니다. 마치 자신이 공부를 잘 하여 그러한 것들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하여 온갖 소리로 자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하여 마음의 집중과 안정을 잃고 들뜨게 됩니다. 그러면 더 이상 공부를 못하게 됩니다. 그럴 때는 다른 어느 누구의 말도 들으려 하지 않고 오히려 잘못된 것이라고 일러주는 사람에 대해 서운한 마음이나 미워하는 마음을 가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명상수행자는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그 모든 현상들은 공부를 방해하기 위해서 내 마음 속의 마구니가 만들어 낸 환상이라는 사실을, 그리고 그러한 환상은 전생에 내가 닦아놓은 선근공덕의 힘이 약하고, 업장(業障)이 두터워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도 알아야합니다.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그것에 겁먹거나 들뜨지 않고, 부처님의 공덕에 의지하여 흔들림 없이 계속 알아차림 해가는 것이 올바른 명상수행 정진입니다.
호흡명상 교호명상입니다
卍 교호명상은 양쪽 콧구멍을 번갈아 가며 열고 막으면서 하는 호흡 명상법으로 호흡의 흐름을 정화하는 호흡명상법입니다. 호흡의 흐름을 분명하게 지켜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양쪽 코에서 들 숨 날숨이 일어날 때의 감각 느낌보다는 한 코를 막고 한 코로 숨을 내쉬며, 상호 교환하면 한쪽 코에서 일어나는 감각이 생생 하게 느껴집니다.
卍-1 먼저 척추를 쭉 편 상태에서 결가부좌나 반가부좌 또는 평좌로 편안하게 한 후, 왼손은 바닥을 향하게 왼쪽 허벅지에 올려놓 고, 오른팔 팔꿈치를 구부리고, 검지와 중지를 접고 약지와 소 지를 붙여 동작을 합니다.
卍-2 숨을 깊게 들이쉬고, 내쉬고 두번 한 후에 다시 숨을 들이쉬고 오른쪽 콧구멍을 엄지로 막고 천천히 왼쪽 콧구멍을 통해 숨을 내쉽니다.
卍-3 숨을 완전히 들이쉬었으면 약지로 왼쪽 콧구멍을 막아 콧구멍 을 모두 막히게 한 후 숨을 잠시 참습니다.
卍-4 다시 왼쪽 콧구멍을 막은 상태에서 오른쪽 콧구멍을 막고 있는 엄지를 살짝 열어 천천히 숨을 내쉽니다.
卍-5 오른쪽 콧구멍으로 완전히 숨을 내쉬었으면 내쉰 상태에서 멈 추었다가 오른쪽 콧구멍으로 깊게 숨을 들이마셨다가 오른쪽 콧구멍을 엄지로 막고, 숨을 잠시 참다가 왼쪽 콧구멍으로 숨 을 천천히 내 쉽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하는 호흡명상 법을 교호 호흡 명상법이라 합니다.
卍 교호 호흡 명상법의 효과
1, 신체 좌우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균형을 유지시키 며, 부교감신경을 항진시켜 마음을 진정시키고, 집중력을 좋게 하며, 기능을 향상시켜 면역력이 강화됩니다.
2, 한 콧구멍 한 콧구멍으로 깊이 있게 하는 호흡은 뇌 부분까지 호흡 흐름을 왕성하게 하기 때문에 전전두엽을 활성화하는 데 도 도움이 됩니다.
[수행을 방해하는 마귀들의 형태와 그 퇴치법]
2023년 11월11일 11차수
란 강의 주제로 오늘 강의와 실참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좌종3성으로 마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