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長江, Yangtze River)








중국을 흐르고 있는 강으로 세계에서 3번째로 긴 강이자 아시아에서 가장 긴 강. 양자강, 장강이라고도 한다. 길이는 6,300km에 달하지만 유역 면적은 길이에 비하면 그렇게 넓진 않은 1,808,500km²이다. 해발 5,042m의 겔라댄동 산에서 발원해 티베트 고원과 운남 고원을 지나 사천 분지로 흘러가며, 여기서 삼협을 지나는데 이 곳에 세계 최대 댐인 삼협댐(싼샤 댐)이 있다. 싼샤 댐을 지나면 평야를 흘러가는데 주위엔 동정호(둥팅호)나 파양호(포양호)처럼 큰 호수들이 여럿 존재하며, 상하이 북쪽에서 동중국해로 흘러들어간다.
원래 강(江)이란 말 자체가 이 양쯔강을 부르는 말이었으나, 한대에 이르면 일반명사로 바뀌었고 구별을 위해 육조시대부턴 이 강을 장강이라 불렀다. 이와 같은 케이스로 하(河) 역시 원래 황하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최상류 지역은 티베트인들이 드리추라고 부르며 중국에선 통천하/퉁티엔허(通天河)라고 하고, 서유기의 소재로 쓰이기도 했다. 상류 지역은 금사강/진사강(金沙江)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이는 유네스코 중국의 자연유산으로 등록된 운남성을 흐르는 세 강 중 하나이다.
또한 사천 지역을 흐르는 부분을 천강(川江), 호북/호남 지역을 흐르는 부분을 형강(荊江)이라 하기도 한다. 양자강/양쯔강(揚子江)이란 이름은 원래 이 강의 최하류 300km 정도를 부르는 말이었으나 와전되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이 되었다. 양쯔강이라 불렸던 하류에는 상해 등 주요 항구 도시가 많아 서양인들이 몰려왔는데 국제적 용어야 서양인들이 주로 쓰는 말이어야 하니까.
수량이 많고 토지가 비옥해서 상고시대로부터 황하와 다른 문명을 지녔으며 춘추전국시대에는 초, 오, 월과 같은 국가가 양쯔강 유역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강한 세력을 갖출 수 있었다. 그 이후로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중원에 동화되었으며 꾸준히 개척되고 개간되었으어 송나라, 특히 남송 때에 이르러선 황하 유역의 경제력을 앞지를 정도가 된다. 사실 양쯔강 유역의 경제력 융성을 따질 때는 보통 강남으로 불리는 난징 인근의 양쯔강 하류 지역의 융성을 논하는 경우가 많지만, 청나라를 거쳐 양쯔강 중류 지역인 쓰촨 성, 후난 성, 후베이 성 지역이 개발되어 양쯔강 하류 삼각지를 능가하는 곡창지대가 된다는 사실은 잘 언급되지 않는다. 원래부터 융성한 지역였던 쓰촨은 차지하더라도 특히 후베이, 후난 지역의 발전이 비약적으로 두드러졌는데 오늘날 이 지역이 중국의 대표적인 곡창이 된 것이 바로 이 시기였다.
과거 양쯔강돌고래라는 민물 돌고래가 살았는데 2006년 멸종되었다고 중국에서 공식 확인하였다. 모든 돌고래들이 그렇지만, 호기심이 많고 사람들을 보면 다가오는 바람에 그물에 걸리거나 어선의 프로펠러에 걸려 죽는 사례가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1950년대에만 하더라도 6,000마리에 달하던 개체수가 1990년대는 100여 마리 남짓 남은 걸로 팍 줄어들고, 2000년대에는 겨우 10마리 남짓이였다가 2005년 마지막 공식적으로 발견된 2마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멸종. 그나마 그 2마리도 이젠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7년 목격 제보가 들어왔고 수색했으나 성과는 없었다. 그래도 동물원에서 일부 사육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양쯔강의 생물체들이 점점 죽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