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목민심서>는 어떤 책일까?
목민심서의 뜻은 백성을 기르늘 마음가짐과 할 일이다. 목민심서는 48권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책은 총 12편으로 되어있는데, 각 편은 다시 6조로 세분하여 총 72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 다산 정약용, 그는 누구인가?
정약용은 17662년 6월 16일, 경기도 남양주 마혀리에서 진주 목사 정제권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때 이름은 '귀농'으로 5남 5녀가운제 넷째이다. 그러자 9살때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정약용은 외할머니 댁으로 책을 빌리러 많이 다녔었다. 그러다 15살 홍화보의 딸과 결혼했다. 정약용은 22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첫 벼슬을 받았다. 학식이 높았던 정약용은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그리고 29세때 예문관의 벼슬에 오르고 임금의 총애를 받아 시기하던 신하들도 있었다. 이들은 임금에게 정약용이 천주교 신자라고 상소문을 올리고 정약용은 충청도로 귀양살이를 갔다. 하지만 임금의 특별한 지시로 열흘만에 풀려나고 31세, 수원화성을 지을때 거중기를 이용하여 빨리 지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정조를 이어 순조가 왕이 되어 천주교 신자를 모조리 잡아 들여 극형에 처하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정약용도 잡혔지만 신하들이 목숨만은 살려주자고 하여 경상도 장기로 귀양을 간다. 그러다 황사영 백서 사건으로 인해 더 먼 곳인 전라도 강진으로 귀양살이를 가게 되었다. 그리고 18년 동안 책을 쓰며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첫댓글 승민아 방학 때 목표가 뭐지? 인문고전 50 권 다 요약 하였으면 좋겠는데, 한 번 도전 해 볼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