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정진(奇正鎭) 찬(撰)
[생졸년] 1798년(정조 22년) 6월 3일 ~ 1879년(고종 16년) 12월 29일
무릇 족보는 선조를 높이는 것으로써 의리를 삼는다. 선조를 높일 줄 알며 종(宗)을 소중히 여기고, 종을 소중히 여긴 이후에 씨족을 수합하여 의논할 수가 있다. 《예기(禮記)》에 이르기를 “별자가 조가 된다.[別子爲祖]”라고 했으니, 이씨(李氏)의 이 족보로 말하자면 회안 대군(懷安大君)이 그분이다.
공자(公子 왕자(王子)의 자식이 선군(先君)을 조로 삼지 못하고 본지(本支) 백 년이 이로부터 비로소 시작되었다면, 군신 부자의 의리는 실로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또 말하기를 “별자를 계승하는 사람이 대종이 된다.”라고 했으니, 이 족보로 말하자면 의령군(義寧君)이 그분이다.
그러나 부조(不祧)의 제사는 창령군(昌寧君)의 집에서 제사 지내며 오늘에 이르렀으니 제사가 있는 곳이 종이 있는 곳이다. 이는 논할 바가 있는 듯하지만 삼가 그 근원을 상고해보면, 선묘(宣廟)가 논의를 수합하여 《선원보(璿源譜)》에 들기를 허락하기 이전까지 이씨는 집안을 이루지 못하였다.
의령군의 자손이 타향살이를 하고 쇠미해져 소식이 서로 닿지 않았기 때문에 이씨의 가첩(家牒)에 의령군을 후손이 없는 사람으로 기록한 데가 있었다. 창령군이 가장 먼저 집안을 일으켜 사대부가 있었으니 선현이 말한 “방지(傍支)가 뛰어나 정간(正榦)이 되는 것도 천리이다.”라고 한 것이 바로 이를 말함이로다.
이제 와서 의령군의 자손이 창령군과 종이 되는 것을 다툴 수 없는 것은 결정된 일이다. 창령군의 아우에 또한 금성(金城)과 금산(金山) 이군(二君)이 있다. 그렇다면 이 족보를 만들 때에 기어이 의령군을 먼저하고 창령군을 다음으로 하여 금성과 금산까지 미쳤으니, 이 또한 씨족을 수합하는 이치와 사세(事勢)가 그러하였다.
이씨가 씨족을 빠뜨림 없이 수합한 일은 선조를 높이고 종을 소중히 여겨 평소 강론하며 일찍이 믿음이 없었다면 가능했겠는가. 진실로 혹여 사이가 벌어지고 막혔다면 합하고자 해도 되지 않았다. 감히 이씨를 위하여 축하드린다. 그리고 또 들어보니, “큰 과일은 다시 생긴다.”라고 했으니, 그 이치가 헛되지 않았다.
회안 대군은 계책도 있고 지조도 있었는데, 처지가 혐의하고 사세가 의심스러워 어려움을 몸소 겪었으니 받아먹지 못한 응보가 장차 후손에게 있으리라. 이제 들으니, 이씨는 점차 번성하고 또한 몸을 품위 있게 하여 충신(忠信)을 갖추었다고 한다. 진실로 이로 말미암아 나태하지 않는다면, 그 흥함이 대체로 끝나지 않으리라. 감히 거듭 축하하지 않겠는가.
[註解]
[주01] 별자가 조가 된다 : 별자(別子)는 고대의 종법(宗法) 제도에서 제후의 적자가 아닌 서자가 분계(分系)하여 따로 종통을 세웠거나
타국으로 가서 벼슬하여 시조가 된 사람을 말한다. 《예기》 〈상복소기(喪服小記)〉에 “별자가 조가 되고, 별자를 계승하는 이가 대
종이 되며, 부묘를 계승한 이가 소종이 된다.
5대가 지나면 종을 옮김이 있으니, 그 고조를 계승하는 것이기 때문이다.[別子爲祖, 繼別爲大宗, 繼禰爲小宗, 有五世而遷之宗,
其繼高祖者也.]”라고 하였다.
[주02] 회안 대군(懷安大君) :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넷째 아들 방간(芳幹, 1364~1421)을 말한다. 왕위 계승에 대한 야심을 품고
동생 방원(芳遠)을 질시하던 중,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일파를 제거하는데 공적을 세워 회안공이 되었다.
그 뒤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있던 박포(朴苞)의 거짓 밀고를 믿고 1400년(정종 2) 군사를 일으켜 방원을 공격, 정종이 이문화(李
文和)를 보내어 달랬으나 듣지 않고 개경(開京)에서 싸움을 벌였다. 그 결과 패하여 서동(西洞)으로 도주하다가 잡혀 토산현(兎山
縣)에 귀양 갔으며, 박포는 사형되었다. 이후 태종과 세종의 배려로 목숨을 부지하였고 1421년 홍주에서 사망했다.
[주03] 의령군(義寧君) : 이방간의 아들 이맹종(李孟宗)을 말한다.
[주04] 부조(不祧)의 제사 : 5대가 지나도 신주를 체천(遞遷)하지 않고 영구히 사당에 봉사하는 것을 말한다.
[주05] 선원보(璿源譜) : 조선 왕실의 족보이다.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ㆍ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 박명희 김석태 안동교 (공역) | 2018
-------------------------------------------------------------------------------------------------------------------------------------------------------
[原文]
全州李氏族譜序
凡譜以尊祖爲義。知尊祖而可以重宗。重宗而後收族。可得而議也。禮曰別子爲祖。以李氏此譜言之。則懷安大君是也。公子之子。不得祖先君。而本支百世。自玆伊始。則君臣父子之義。實權輿於此矣。又曰繼別爲宗。以此譜言之。則義寧君是也。然而不祧之祀。祀于昌寧之家。迄于今日。祀之所存。宗之所存。此若有可議。謹考其源委。宣廟收議許入璿源譜以前。李氏未成家。義寧之孫。流寓瑣尾。聲信不相及。故李氏家牒。義寧有以無後載錄。昌寧最先起家有簪纓。先賢所言傍支秀而爲正榦。亦天理者。其是之謂歟。到今義寧之子孫。不得與昌寧爭爲宗決矣。昌寧之弟。又有金城金山二君。其譜之也。則不得不先義寧而次昌寧。以及於金城金山。此又收族之理勢然也。李氏之收族無闕事。非尊祖重宗素講而夙孚。能之乎。苟或睽貳閒隔。欲合而不能矣。敢爲李氏賀。抑又聞之。碩果復生。其理不誣。懷安大君有猷有守。地嫌勢疑。蒙難于身。不食之報。將在後人。今聞李氏漸蕃衍。而又能躬儒雅存忠信。苟由是而不懈焉。則其興葢未艾也。敢不重賀。<끝>
노사집 제18권 /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