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제시한 3%대 금리로는 인플레이션에 대처할 수 없어 올해 안에 금리를 4~7%로 올려야 한다는 내부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현지시간) 연준 자료를 인용해 심각한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선 올해 안에 금리를 4~7%로 올려야 한다고 보도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5∼1.75%다.
앞서 연준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8년 만에 처음으로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연준이 제시한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표)에 따르면 올해 말 미국 기준금리 수준은 3.25~3.50%다.
그런데 연준이 내부적으로 현재 물가 등 각종 경제 지표를 대입해 검토해 보니 적어도 4%는 돼야 물가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WSJ은 연준이 이 같은 공식에 따라 금리를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은 없지만, FOMC 정례회의 참가자들이 더욱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될 가능성은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기준금리가 크게 오를 경우 미국과의 ‘금리 역전’을 피하기 위해 한국도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 미국이 한국보다 금리가 높으면 한국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이 고금리를 따라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현재 한국 기준금리와 미국 기준금리 차이는 0.00~0.25%포인트로 좁아졌다. 만약 다음달 27일 열릴 예정인 FOMC 회의에서 미국이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밟으면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뉴욕연방준비은행은 향후 미국 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수축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예측을 내놨다. 이 예측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4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 0.6%를 기록할 전망이다.
요약 및 사견: 인프레이션 뜻이 물가 상승이라는 뜻이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상황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 과 '비용 인플레이션' 이렇게 있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의 경우는 근로자의 소득이 올라, 소비가 늘어나면서 생기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이경우는 소비가 늘고 경제가 활성화 되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도 증가해서 주가 상승이 됩니다.
'비용 인플레이션'의 경우는 원자재 가격이나 유가 등이 폭등해서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주가는 상승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인플레이션이 과하게 발생하여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 방법이 금리인상인데 이 경우에는 주가에 크게 악영향을 줄 수있습니다. 금리 인상을 하게되면 위험자산 보다는 안전자산을 선호해서 주식보다는 예금,적금으로 자금이 유출되면서 주식시장에는 안좋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최근 몇 일동안 주식 가격이 많이 내려간 것을 보았는데 어서 빨리 경제가 안정되기를 바랍니다.
첫댓글 130번 기존 게시글의 댓글을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