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7:17
전도서는 천하 범사에 때가 있다고 말합니다. 굉장히 지혜로운 조언이지만 문제는 그때를 알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특별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결정 과정을 앞둔 경우는 더 어렵습니다. 신자로서 우리는 하나님의 때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The Bible says, "There are times in heaven and earth." It is a very wise advice, but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those times. It is more difficult when you are ahead of a decision-making process that you think is particularly important. How should we approach the time of God as believers, and what should we prepare for?
-
비단 크리스천이 아니더라도 모세이야기는 웬만큼 아는 이야기 입니다. 나 역시 모세 이야기는 머릿속에 외우고 있을 정도로 익숙합니다. 하지만 모세 단락의 기존의 해석이 많이 오해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 좋은 해석이 나오길 기대하면서 제가 받아드린 생각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하나님은 성전만이 아니라 메소포타미아와 하란에서, 애급에서, 미디안 광야에서 주의 종들에게 자신의 뜻을 계시하셨습니다. Even if it's not just Christian, the story of Moses is a story that I know enough. I'm also familiar with the story of Moses enough to memorize it in my head. However, since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Moses paragraph is being misunderstood a lot, I'll tell you what I've accepted in anticipation of a better interpretation in the future. God revealed his will to the servants of the LORD not only in the temple, but also in Mesopotamia and Haran, in mourning, in the Midian wilderness.
-
스데반이 하고 싶은 말의 요점은 성전은 건물이 아니라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이 성전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는 것처럼 하나님은 성막과 성전에 갇히지 않으시고 온 세상 어디든 계시면서 통치 하시는 분입니다. 400년 나그네 기한이 다 끝날 때 이스라엘도 약속대로 번성하였습니다. 이때 애굽 왕 바로가 이스라엘을 핍박 했던 이유가 무엇이었냐면 하나는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이 번성하여 많아졌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요셉을 알지 못 하는 새 임금의 등극입니다.
The point of what Sudevan wants to say is that the temple is not a building, but a temple where God lives. As we know, God is not trapped in the tabernacle and temple, but he is the one who rules everywhere in the world. Israel also flourished as promised when the 400-year travel deadline was over. One of the reasons why Pharaoh king of Egypt persecuted Israel at this time was because the people of Israel in Egypt prospered and increased, and the other was the accession of the new king who did not know Joseph.
-
하지만 저자는 “하나님의 때가 가까우매(1) “라고 말씀하고 있답니다. 어떻게 핍박합니까? 그가 우리 족속에게 궤계를 써서 조상들을 괴롭게 하였습니다. 남자 아이들을 다 죽이도록 명령한 것입니다. 이제 고센 땅은 약속의 땅이 아니라 괴롭고 힘든 땅이 된 것입니다. 그 때 모세가 나서 어떻게 준비되었냐면 여러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그 부친의 집에서 석 달을 길렀고 버려진 후에 바로의 딸이 가져다가 자기 아들로 기르게 됩니다. But the author says, "God's time is near." How can he persecute us? He used a gauge to torture our ancestors. He ordered the killing of all the boys. Now the land of Goshen is not a promised land, but a land of suffering and hardship. Then Moses came forward and raised the father's house for three months as you know, and after he was abandoned, Pharaoh's daughter took it and raised it as her own son.
-
여기서 모세가 애굽 사람의 학술을 다 배워 그 말과 행사가 능하더라고 기록 하고 있습니다. 가장 절망이 깊어갈 때라도 하나님은 자신의 역사를 중단하지 않으십니다. 모세는 자신의 구원 사명을 깨닫고 왕궁의 영광을 뒤로 한 채 동족의 고통에 참여하기로 결정을 합니다. 하지만 그를 동족들이 거절합니다. 모세 나이 40이 되었을 때 모세의 생각과 행동을 주의하여 살펴보겠습니다.
Here, we record that Moses is good at speaking and exercising after learning all the studies of the Egyptians. Even when his despair grows deeper, God does not stop his history. Moses realizes his mission to save and decides to leave the glory of the royal palace behind to participate in the suffering of his relatives. However, his relatives reject him. When Moses turns 40, we will carefully observe his thoughts and actions.
-
나이 40이 되자 그 형제를 돌아볼 생각이 났는데 한 사람이 원통한 일당함을 보고 애급 사람을 쳐 죽였다고 합니다. 아마 동족이 애급 사람에게 원통한 일 당한 것을 목격한 모세가 동족 편에 서서 애급 사람과 싸웠고 그 애급 사람이 죽은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사건에 대해 25절 에서 해석하기를 모세는 형제들이 하나님께서 자기 손을 빌어 구원하여 주시는 것을 깨달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의 차이가 무엇입니까?
When he reached the age of 40, he thought of taking care of his brothers, but when he saw one person suffer a painful attack, he beat and killed the Egyptians. Perhaps Moses, who witnessed his relatives suffer a painful loss from the Egyptians, stood on their side and fought the Egyptians, and the Egyptians died. Moses, however, interpreted this incident in Section 25, saying that he thought the brothers would realize that God was saving them through his own hands. The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oses and the people of Israel?
-
누가 맞고 누가 잘못인가요? 기존의 해석대로 정말 모세가 도(道)를 덜 닦아서 순간적으로 실수를 한 것인가요? 한편 이튿날(26a)또 어떤 상황이 발생하였습니까? 모세가 무슨 명분을 들어 싸움을 말립니까? “너희는 서로 형제라(26b)” 이때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됐어 니가 뭔데 참견이야. C8, 누가 너를 우리 관원과 재판장으로 세웠냐고? “ 우리 모두 때와 관련한 하나님의 인도를 구했던 경험들이 있을 것입니다.
Who's right and who's wrong? As previously interpreted, did Moses really make a mistake because he was less disciplined? Then the next day(26a) What other reason did Moses use to stop the fight? How do the Israelis react when they say, "You are brothers to each other(26b)? "Who are you to meddle? C8, who made you our official and our presiding judge?" You may have all experiences of seeking God's guidance in relation to the times.
-
과거에 하나님께서 너무나 분명하게 성전 만들기에 대한 비전을 보여 주신 일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때 내 생각과 뜻을 펼치는데 있어 공동체로 부터의 지지를 받지 못했을 때 얼마나 야속하고 고독했던지 아마도 신앙생활 중에 가징 힘들었던 시절이었습니다. 여호수아1:8절을 통해 '율법을 공부하면 네 길을 형통케 하시겠다'고 하셨으며 느헤미야서를 읽을 땐 성전을 짓게 할 것 인데 그 일에 있어서 '율법을 가르치는 일을 맡게 해 주실 것'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하셨기 때문에 가정 교회에서 티칭은 제게 너무나 자연스러운 성전 만들기라고 생각했습니다.
In the past, God has demonstrated a vision for making a temple so clearly. However, it was probably a difficult time in my religious life to see how mean and lonely I was when I did not receive support from the community in spreading my thoughts and wills. He specifically stated in Joshua 1:8 that "If you study the law, you will make your way work," and that he will build a temple when he reads the Book of Nehemiah, so I thought teaching at home would be a very natural temple for me.
-
그래서 겁도 없이 지금부터 15년 전에 60여명의 공동체들과 함께 위탁 목회를 출발하였습니다. 평신도가 목회 하는 가정 교회 말입니다. 그런데 설교를 딱 2번 하고서 지금까지 설교를 해 보지 못 했습니다. 가정을 다스리지 못 한 사람이 설교하면 안 된다는 공동체의 거절로 인해서 말입니다. 그 때 이 스데반 본문을 묵상하면서 모세 아저씨의 속절없는 마음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So 15 years ago, without fear, I started a foster ministry with about 60 communities. The family church where the laity ministries. But after preaching only twice, I haven't done so until now. Because of the community's refusal to allow someone who couldn't control the family to preach. At that time, I think I was able to understand a little bit of Moses's insatiable heart while meditating on this Sudevan text.
-
모세의 일이 수포로 돌아갔고 미디안 땅으로 도주한 모세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습니까?(29b) 모세가 나그네가 되어 아들 둘을 나았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20-29절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거절을 종합해 보면 하나님의 때가 차서 모세를 지도자로 하나님의 뜻이 시도 되었는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를 거부했다는 말씀입니다. 이제부터 제 논리에 대한 증거를 위해 히브리서11;27절을 읽겠습니다. 히브리서11장은 믿음의 선진들이 어떻게 믿음을 간증하였는지 그 예를 들어서 기록하고 있는 믿음 장 인대 4절에 아벨은 믿음이 있었기에 더 나은 제사를 드렸고, 5절에 에녹은 믿음이 있었기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였습니다.
What happened to Moses who fled to the land of Midian when Moses' work came to nothing? (29b) It is recorded that Moses became a traveler and gave birth to two sons. So if you summarize Israel's rejection in Sections 20-29, it means that God's time was full and his will was attempted to lead Moses, but the Israelites rejected him. From now on, I will read Hebrews 11-27 for evidence of my logic. Chapter 11 of Hebrew records how the advancements of faith testified to faith, for example, that Abel offered a better sacrifice because of faith, and in Section 5, Enoch made God happy because of his faith.
-
7절에 노아는 믿음이 있었기에 아직 보지 못한 일에 경고하심을 받아 경외함으로 방주를 예비하여 그 집을 구원 하였습니다. 27절에 언급된 모세도 이 문맥 가운데서 이해해야 하는데요. "모세가 믿음으로 애급을 떠나 임금의 노함을 무서워 아니하고 곧 보이지 아니하는 자를 보는 것 같이 하여 참았으며“ 여러분 이 상황(히11:27)은 어떤 사건을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까?
In verse 7, Noah was warned of something he had not yet seen because of his faith and saved the house by preparing an ark in awe. Moses mentioned in verse 27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Moses left Egypt in faith and was not afraid of the wrath of the king, but endured it as if he were seeing an invisible man." What kind of incident do you think this situation(He11:27) is talking about?
-
만약 이 본문이 출애굽의 상황이 아니고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모세가 미디안 광야로 도망가는 그 상황이라면 히브리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로 구약의 선진들은 그들이 바라는 믿음이 확실했기 때문에 각각 믿음의 행동들을 한 것 입니다. 아브라함은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갔고, 사라는 나이 들어 단산 하였으나 약속하신 이가 미쁘신 줄 알고 믿었으며, 모세의 부모도 아름다운 아이인줄 알고 임금의 명을 거역하면서 까지 석 달 동안 숨겨서 키운 것처럼, 히11;26절의 모세 역시 그리스도를 위하여 능욕을 받았는데 27절엔 애급을 떠나 임금의 노함을 무서워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약속을 붙잡았다 그 말 입니다.
If this is not the case of Exodus and Moses, who has been examined so far, is fleeing to the Midian wilderness, the Hebrew text reads as follows. Faith is the reality of what they wish for and as proof of what they do not see, each of the advancements of the Old Testament has done something of faith because they have a certain belief in what they wish for. Abraham went out without knowing where to go, Sarah thought the promised man was ugly when she got older, and believed that Moses' parents were beautiful children and raised them in hiding for three months in defiance of the king's orders. Moses was also humiliated for Christ, but on 27th he left Egypt and held on to his promise until the end without being afraid of the king's wrath.
-
그래서 이 부분을 가지고 모세의 믿음 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까? 히11:27절에 기록된 떠남의 주체가 누구 같습니까, 모세인가요 이스라엘인가요? 원어에 보면 복수가 아니고 단수로 표기 되어 있는 것은 앞서 말 한 것을 뒷받침 해 주고 있답니다. 두 번째 증거는 출2:15에 나타난 내용이 단순한 우발적 살인이었다면 애급 왕이 하찮은 살인사건 하나 때문에 히브리 노예를 죽이려고 직접 계획까지 세운 것은 납득이 가질 않습니다. 자 ,이제 출애굽기 2:15절과 히11:27절을 동시에 읽어보자고요.
This is why we say it is Moses' belief, isn't it? Who do you think is the subject of Exodus recorded in He 11:27? Is it Moses or Israel? In the original language, the fact that it is written as singular, not plural, supports what I mentioned earlier. The second evidence is that if the content of Exodus 2:15 was simply an accidental murder, it is not convincing that the king of Egypt even planned to kill a Hebrew slave for one trivial murder. Now, let's read Exodus 2:15 and Hebrew 11:27 at the same time.
-
어때요, 모세가 순간적으로 저지른 실수치곤 다소 계획적이고 주도면밀한 모습이 관찰되지 않은가요? 그렇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손을 빌어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시려는 플랜을 가지시고 족장시대 부터 거듭거듭 그 뜻을 비치셨습니다. 모세역시 그런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잘 준비되고 훈련 받아서 믿음을 따라 행동하였는데, 이스라엘의 거절로 인하여 심한 좌절을 맛보아야만 하였던 것입니다.
What do you think, considering the momentary mistake Moses made, isn't he somewhat planned and meticulous? Yes, God had a plan to save the people of Israel through the hands of Moses and has repeatedly shown his will since the time of the chief. Moses also believed in God's promise, was well prepared and trained, and acted according to the faith, but he had to experience severe frustration due to Israel's refusal.
-
아마 이런 이유로 모세가 미디안에서 자신의 아들을 낳고 자신의 심정을 ‘게르솜’ 이란 이름을 지어 표현했을지 모릅니다. 게르솜을 번역하면 '내가 타국에서 객이 되었다'는 뜻인데 이 얼마나 답답하고 아픈 심정이었겠습니까? 제가 딸만 둘 있는 딸기 아빤 대요 큰 딸은 무식하게 믿던 시절에 낳은 자식이라 죽으면 죽으리라 ‘에스더’라고 지었고. 둘째 딸은 넘넘 힘들어서 신앙생활을 포기하고 싶었던 바로 그 때 이름을 지었습니다.
Perhaps for this reason Moses gave birth to his son in the Midian and expressed his feelings by naming him Gersom. How frustrating and painful must that have been when translating Gersom means "I became a guest in another country"? I named my oldest daughter Esther because she was born when I was ignorant and believed in her. My second daughter gave birth to her and wanted to give up her life of faith because she was so tired that she gave up her life of faith.
-
제가 기뻐할 '예'자에 임금 '주'를 써서 예주(Jesus is Lord)라고 지었는데 도저히 예수님이 나의 주라고 고백할 수 없을 만큼 힘들었던 시절에 '예수님은 주님'이시라고 이름 지은 것을 보면 저도 오기가 상당한 놈이지요. 지금은 요원해졌으나 만약에 아이를 하나 더 낳는다면 기필코' 예 왕'이라고 짓고야 말 것입니다. 예수님은 왕이십니다. 나의 왕.
When I wrote "Jesus is Lord" on the letter "Yes" to which I would be happy, I named him "Jesus is Lord" at a time when I couldn't confess that Jesus was my Lord, I was quite a man to come. It's a long way off now, but if I had another child, I would say "Yes King." Jesus is king. My king.
-
동포들로 부터 거부 받고 핍박 받던 모세가 실망의 가슴을 안고 미디안으로 망명하였습니다. 동포를 버리고 떠나는 모세는 눈물을 흘리면서 미디안에 이르러 이드로의 사위가 되었는데 40년 동안 처가살이는 말하나마나 죽을 맛이었을 것입니다. 처갓집 양떼를 들에 놓고 마음은 애급에서 종살이하는 동포에게 있으니 생각하면 뭐한답니까, 슬프기 짝이 없습니다.
Moses, who had been rejected and persecuted by his compatriots, fled to the Midian with a heart of disappointment. Moses, who left his compatriots behind, tearfully became Idro's son-in-law in Midian, and for 40 years, his wife's life must have been killing him. What's the point of thinking about the compatriots living in Egypt who put their wives' families in the fields and their hearts are with them, it's sad.
-
눈 감으면 애급에서 고생하는 동포가 보이고 꿈을 꾸면 아브라함에게 약속한 가나안이 보이지 않는가? 1년에도 몇 차례씩 시내 산에 올라가 기도하였고 하루에도 곤 백번씩 하늘을 우러러 부르짖었습니다. 이제 기운차던 청춘은 간데없고 40년 타향살이에 어언간 백발이 되어버렸습니다. "에라, 목회는 얼어 죽을 놈의 목회" 바로 그때 가시나무 떨기 가운데 하나님이 모세를 부르셨습니다.
If I close my eyes, I can see my compatriots struggling in desperation, and if I dream, can't I see Canaan that I promised Abraham? I went up to the mountain in the city several times a year and prayed, and cried out for heaven a hundred times a day. Now, my energized youth is gone, and after 40 years of living abroad, I have somehow become gray hair. "Era, the ministry is the ministry of the man who will freeze to death." That's when God called Moses in the midst of the thorns shaking.
-
힘 다 빠지고 배운 학문이 쓸데없다고 독백하고 있을 때 가시나무 떨기에서 불꽃이 이는 데도 떨기는 타지 않는 불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모세가 이 광경을 보고 기이히 여겨 알아 보려고 가까이 가니 주께서 가라사대 네 발에 신을 벗으라 너 섰는 곳은 거룩한 땅이니라(33)" 결국, 저희 말이 누가 너를 관원과 재판장으로 세웠느냐 하며 거절하던 그 모세를 하나님은 가시나무떨기 가운데서 보이던 천사의 손을 의탁하여 관원과 속량하는 자로 보내신 것입니다. 나는 소명을 위해 성실히 준비하고 있는가?
하나님의 때에 어떻게 접근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He showed me a fire that did not burn in the presence of sparks from the thorns when he was out of energy and monologue. " Moses came close to this scene to find out about it, and the LORD said, Take off your shoes on your feet, because it is a holy land." In the end, God sent Moses, who refused to ask who had set you up as a civil servant and judge, to the officer and the speedier, by entrusting the hand of an angel seen in the thorns. Am I preparing faithfully for my calling? How to approach God's time and what to prepare for?
-
스데반의 설교2(17-36)
a.애굽의 모세 출생과 성장:17-22
b.광야의 모세 도주와 나그네 삶:23-29
c.시내산 모세 부르심과 보내심:30-36
-
하나님이(17a)
아브라함에게(17b)
약속하신 때가 가까우매(17c)
이스라엘 백성이(17d)
애굽에서 번성하여 많아졌더니(17e)
-
요셉을 알지 못하는(18a)
새 임금이(18b)
애굽 왕위에 오르매(18c)
-
그가(19a)
우리 족속에게(19b)
교활한 방법을 써서(19c)
조상들을 괴롭게 하여(19d)
그 어린 아이들을 내버려(19e)
살지 못하게 하려 할새(19f)
-
그 때에 모세가 났는데(20a)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지라(20b)
그의 아버지의 집에서(20c)
석 달 동안 길리더니(20d)
-
버려진 후에(21a)
바로의 딸이(21b)
그를 데려다가(21c)
자기 아들로 기르매(21d)
-
모세가(22a)
애굽 사람의(22b)
모든 지혜를 배워(22c)
그의 말과(22d)
하는 일들이 능하더라(22e)
-
나이가 사십이 되매(23a)
그 형제 이스라엘 자손을(23b)
돌볼 생각이 나더니(23c)
-
한 사람이(24a)
원통한 일 당함을 보고 (24b)
보호하여(24c)
압제 받는 자를 위하여(24d)
원수를 갚아(24e)
애굽 사람을 쳐 죽이니라(24f)
-
그는(25a)
그의 형제들이(25b)
하나님께서 자기의 손을 통하여(25c)
구원해 주시는 것을(25d)
깨달으리라고 생각하였으나(25e)
그들이 깨닫지 못하였더라(25f)
-
이튿날(26a)
이스라엘 사람끼리 싸울 때에(26b)
모세가 와서(26c)
화해시키려 하여(26d)
이르되 너희는 형제인데(26e)
어찌 서로 해치느냐 하니(26f)
-
그 동무를 해치는 사람이(27a)
모세를 밀어뜨려(27b)
이르되 누가 너를 관리와 재판장으로(27c)
우리 위에 세웠느냐(27d)
-
네가 어제는(28a)
애굽 사람을 죽임과 같이(28b)
또 나를 죽이려느냐 하니(28c)
-
모세가 이 말 때문에(29a)
도주하여(29b)
미디안 땅에서 나그네 되어(29c)
거기서 아들 둘을 낳으니라(29d)
-
사십 년이 차매(30a)
천사가(30b)
시내 산 광야(30c)
가시나무 떨기 불꽃 가운데서(30d)
그에게 보이거늘(30e)
-
모세가 그 광경을 보고(31a)
놀랍게 여겨(31b)
알아보려고 가까이 가니(31c)
주의 소리가 있어(31d)
-
나는 네 조상의 하나님(32a)
즉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라 하신대(32b)
모세가 무서워(32c)
감히 바라보지 못하더라(32d)
-
주께서 이르시되(33a)
네 발의 신을 벗으라(33b)
네가 서 있는 곳은(33c)
거룩한 땅이니라(33d)
-
내 백성이 애굽에서 괴로움 받음을(34a)
내가 확실히 보고(34b)
그 탄식하는 소리를 듣고(34c)
그들을 구원하려고 내려왔노니(34d)
이제 내가(34e)
너를 애굽으로 보내리라 하시니라(34f)
-
그들의 말이(35a)
누가 너를(35b)
관리와 재판장으로 세웠느냐 하며(35c)
거절하던 그 모세를(35d)
하나님은(35e)
가시나무 떨기 가운데서 보이던(35f)
천사의 손으로(35g)
관리와 속량하는 자로서 보내셨으니(35h)
-
이 사람이(36a)
백성을 인도하여 나오게 하고(36b)
애굽과 홍해와 광야에서(36c)
사십 년간(36d)
기사와 표적을 행하였느니라36e)
-
모세의 준비와 지도자로서의 출사표_ Moses' preparation and his entrance as a leader
하나님의 부르심_ the call of God_
참 소명을 위한 모세의 준비_ Moses' preparation for the true calling_
-
타국에서 객이 되어버렸다고 애통해 하는 모세의 탄식을 듣고 계셨던 주님. 오매불망 고대하고 소망했던 나의 전부가 가장 가까운 식구들로 부터 무시되고 거절되었을 때의 서러움을 내게도 알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어차피 통과해야 할 구원의 등선 이라면 이제는 응어리진 서러움을 털어 버리고 심령이 가난한 자가 받는 복을 내가 누리게 하옵소서. 하나님이 준비하셔서 보내신 모세를 거절한 조상들처럼,섬겨야 할 나의 왕 예수를 왕 따 시키고 만, 나의 변덕을 주님 불쌍히 여겨주옵소서. 거역과 불순종을 이기는 하나님의 은혜 때문에 하나님 나라가 존재하는 줄 아나이다. 주님 이제는 감당키 힘든 상황이 발생 할 때 마다 이 일을 생각하며 하나님의 지혜로 넘어가게 하시고 아무리 세월이 흘러가더라도 그 약속만은 붙잡을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The Lord, who was listening to Moses lamenting that he had become a guest in another country. Thank you for letting me know the sorrow of when all of my long-awaited and desired things were ignored and rejected by my closest family members. If you are the line of salvation that must pass anyway, let me shed my sorrows and let the spirit enjoy the blessings of the poor. Please pity the Lord for my king, Jesus, who is to be served, just like the ancestors who rejected Moses prepared and sent by God. I know that God exists because of God's grace to overcome defiance and disobedience. Whenever there is a situation that is too much to handle, the Lord will think about it and let it pass on to God's wisdom, and I hope that no matter how many years go by, I will be able to hold on to that promise.
2024.5.14.tue.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