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24:10
약속의 땅인데도 기근, 굶주림, 가난, 체불, 양극화, 갈등, 고통이 있습니다. 기상 이변, 개인의 욕심, 가진자의 횡포, 구조적인 문제 등 원인을 특정할 수 없습니다. 땅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으니 하나님을 탓할 수도 없습니다. 혼돈이 창조의 모판이듯 혼돈의 땅 역시 새 백성 창조의 모판입니다. Even though it is a promised land, there are famine, hunger, poverty, arrears, polarization, conflict, and suffering. We cannot identify the cause, such as extreme weather, individual greed, tyranny of the haves, and structural problems. You cannot blame God because the land itself was not an end. Just as chaos is the bedrock of creation, the land of chaos is the bedrock of the creation of the new people.
-
교회가 공동체로 존재한다는 것은 성도의 참된 사귐이 있고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고백하기 때문입니다. 사도행전적인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원형입니다. 교회는 이미 임한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반영하는 실제적인 생태계를 만드는 곳이어야 할 것입니다.
공동체 안에서 약자를 보호하는 법에 대한 규례가 이어집니다. The church exists as a community because there is a true relationship of the saints and confession of the Koinonia of the Holy Spirit. The apostolic church is the prototype of 'care and sharing'. The church should be a place to create a real ecosystem that reflects the values of the kingdom of God that has already arrived. There are rules on how to protect the weak within the community.
-
채권자는 주인의 허락 없이 채무자의 집에 들어가 담보를 가지고 나올 수 없습니다. 특히 겉옷을 담보로 취했다면 해가 지면 돌려주어야 합니다. 객과 과부의 옷은 전당 잡지 말라고 하십니다. 채권자가 이런 식으로 가난한 채무자에게 자비를 베풀면 하나님의 축복을 받을 것입니다. Creditors cannot enter the debtor's house and bring security without the owner's permission. Especially if you have taken outerwear as collateral, you must return it when the sun goes down. They are told not to pawn over the clothes of customers and widows. If a creditor shows mercy to a poor debtor in this way, he will receive God's blessing.
-
하나님은 가난한 자의 후견자가 되시기 때문입니다. 하루 벌어서 하루 먹는 일용직 노동자들의 품삯은 체불되지 않아야 합니다. 형제이든 거류민이든 차별을 당하고 부당하게 대우받아서는 안 됩니다. 한 사회의 영적인 바로미터는 바로 가장 약한 자들을 향한 그 사회의 태도입니다. 그들을 향한 학대는 애굽의 바로 아래서 학대받는 데서 구원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망각하는 태도입니다. Because God is the guardian of the poor. The wages of daily workers who earn one day and eat one day should not be overdue. Brothers or resident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and treated unfairly. The spiritual barometer of a society is its attitude toward the weakest. Abuse toward them is an attitude that forgets the grace of God saved from being abused right under Egypt.
-
하나님은 품삯을 간절히 바라는 약자들의 간구를 들으시고 고용주를 문책하실 것입니다.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한 자비로운 추수를 명하십니다. 추수 때나 논밭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이삭줍기를 할 수 있었으며, 포도 수확을 마친 후 남는 것을 다 먹을 수 있었습니다. 그것은 밀이나 보리 혹은 감람나무의 추수에도 적용됩니다. 좀 더 많은 부분을 추수하지 않은 채로 남겨두고 큰 포도송이를 따지 않고 두는 자비로운 마음이 필요합니다. God will listen to the chants of the underprivileged who are desperate for wages and reprimand their employers. He orders a merciful harvest for guests, orphans, and widows. At harvests and in the fields, the poor could pick ears and eat everything that was left over after the grape harvest. It also applies to harvesting wheat, barley, or olive trees. You need a merciful heart to leave a larger portion unharvested and not pick large grapes.
-
안식년에는 밭과 과수원 전체에서 저절로 난 것을 추수하지 않고 둠으로써 가난한 자들이 양식으로 삼을 수 있게 하셨습니다. 승자독식, 적자생존의 사회에서 이런 선물의 경제 은혜와 자비의 경제만이 사회적 약자들이 살 길입니다. 필자가 어릴 적에는 예닐곱 되는 가구가 마당을 한가운데 두고 옹기종기 모여서 살았으니 우물, 대나무 편 상, 심지어 김치를 담그는 학 독도 하나였답니다. In the sabbatical year, what came of its own in all of the fields and orchards was left unharvested, allowing the poor to cultivate it. In a winner-take-all, survival society of the fittest, the only way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o live is the economy of this gift and mercy. When I was young, there were six or seven households huddled together with a yard in the middle, so it was a well, a bamboo sculpture, and even a crane Dokdo to make kimchi.
-
이맘때면 빨간 생 고추를 학 독에 갈아서 담아 먹는 김치 맛이 그야말로 일품이었지요. 우리 집 뒷간에 감나무가 서너 그루 있었는데 여름이면 감꽃이 하얗게 떨어졌고 늦가을엔 주먹 만 한 대봉들이 주렁주렁 열렸더랍니다. 감 따는 게 너무나 신기해서 까치 따위 날짐승이 먹으라고 따지 않고 몇 개 남겨 둔 홍시를 내 키보다 훨씬 큰 작대기로 후려쳐 서리한 기억이 납니다. At this time of year, the taste of kimchi that you grind red raw peppers in your study room was simply superb. There were three or four persimmon trees in the back of my house, but in summer, persimmon flowers fell white, and in late autumn, large rods the size of a fist fell open. It was so amazing to pick persimmons that I remember smashing a few leaves of ripe persimmons with a stick much taller than my height, rather than picking them up for me to eat by flying animals such as magpies.
-
이삭줍기는 6 년 내내 빠지지 않는 방학 숙제여서 논두렁을 오가며 까마귀 손으로 비료 포대를 빼 곡이 채웠던 그 땐 봉황의 큰 뜻을 어떻게 알았겠습니까? 그 시절엔 몰랐지만 이제는 비극을 안고 고향에 도착한 나오미가 자부 룻의 인애로 텅 빈 삶을 채우게 되는 인생역전이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것도 같습니다. How did you know the great meaning of phoenix at the time when the song was filled by pulling out fertilizer bags with crow's hands while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rice paddies? I don't know back then, but now I think I know that the reversal of life was no coincidence when Naomi, who arrived home with tragedy, filled her empty life with the kindness of her father and son.
-
사회가 존속할 때부터 여러 종교나 법률들이 소수의 특권층만을 옹호하고 그들의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발작을 하는 데 비해, 하나님의 율법은 약자들을 보호하고 고아와 과부에게 인애를 베풀도록 당부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말입니다. 결국, 지금도 남의 밭에서 이삭을 주워 먹는 처지지만 그래도 나만 위해서 살지 말고 눈을 크게 뜨고 도울 나의 이웃을 찾으라는 말씀이 아닙니까? Seeing that since society has existed, religions and laws have had seizures to defend only a few privileged people and protect their rights, while the law of God has asked for the protection of the weak and for orphans and widows to be benevolent. After all, aren't you telling me to find my neighbor who can help me with my eyes wide open, even though I'm still in a position to pick up and eat Isaac in someone else's field?
-
우리가 성경을 읽는 목적 중에 핵심은 하나님을 알고 닮아가기 위함입니다. 하나님을 아는 것도 하나님을 닮아서 변화되기 위한 수단입니다. 형제의 담보물을 받고 돈을 꾸어줄 때 그 형제가 담보물을 가져오기 전에 들어가 챙기면 안 된다고 하십니다. 또 그 형제가 가난하면 해 지기 전에 담보물로 받은 옷을 돌려주어 그 옷을 입고 자도록 해주라고 하십니다. The key to our purpose of reading the Bible is to know and resemble God. Knowing God is also a means to change after resembling God. When you receive your brothers' collateral and make money, they say you shouldn't go in and pack it before the brothers bring it. They also say that if the brothers are poor, they should return the clothes they received as collateral before sunset so that they can sleep in them.
-
하루 벌어 하루 먹는 가난한 품꾼들의 임금들을 미뤄서도 당근 안 되고 먹을 것을 지급할 수 없는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모두 열매들을 깡그리 추수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양보하고, 손해보고, 모른척하라고. For orphans and widows who cannot afford carrots or food, the king of the poor laborers who live from hand to mouth is told not to harvest them all. yield, lose, and pretend not to know,
-
나는 누군가를 도운 적이 있는가?
그때 인격을 무시하지(내면) 말고 필요를 도왔는가?
나는 가난한 자들을 위해 무엇을 떼어 놓을 것인가?
약자를 배려가 아닌 혐오의 대상으로 삼는 문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Have I ever helped anyone?
Did you help the need instead of ignoring your personality at that time?
What am I going to set aside for the poor?
How should we respond to a culture that makes the weak an object of hatred rather than consideration?
-
공동체를 위한 제반 법규, 빈자를 위한 배려(10-16)
a.가난한 자에게 금지된 담보물:10-13
b.금지된 임금 체불:14-16
공동체를 위한 제반 법규, 약자를 위한 배려(17-22)
a.객과, 고아, 과부를 위한 배려:17-18
b.자비로운 추수 법:19-22
-
너는(10b)
그의 집에 들어가서(10c)
전당물을 취하지 말고(10d)
-
너는 밖에 서 있고(11a)
네게 꾸는 자가(11b)
전당물을 밖으로 가지고 나와서(11c)
네게 줄 것이며(11d)
-
그가 가난한 자이면(12a)
너는 그의 전당물을 가지고(12b)
자지 말고(12c)
-
해 질 때에(13a)
그 전당물을 반드시 그에게 돌려줄 것이라(13b)
그리하면(13d)
그가 그 옷을 입고 자며(13e)
너를 위하여 축복하리니(13f)
그 일이(13g)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13h)
네 공의로움이 되리라(13i)
-
곤궁하고 빈한한 품꾼은(14a)
너희 형제든지(14b)
네 땅 성문 안에 우거하는 객이든지(14c)
그를 학대하지 말며(14d)
-
그 품삯을 당일에 주고(15a)
해 진 후까지 미루지 말라(15b)
이는 그가 가난하므로(15c)
그 품삯을 간절히 바람이라(15d)
그가 너를(15e)
여호와께 호소하지 않게 하라(15f)
그렇지 않으면(15g)
그것이 네게 죄가 될 것임이라(15h)
-
아버지는 그 자식들로 말미암아(16a)
죽임을 당하지 않을 것이요(16b)
자식들은 그 아버지로 말미암아(16c)
죽임을 당하지 않을 것이니(16d)
각 사람은(16e)
자기 죄로 말미암아(16f)
죽임을 당할 것이니라(16g)
-
너는 객이나 고아의 송사를(17a)
억울하게 하지 말며(17b)
과부의 옷을 전당 잡지 말라(17c)
-
너는 애굽에서 종 되었던 일과(18a)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18b)
너를 거기서(18c)
속량하신 것을 기억하라(18d)
이러므로 내가(18e)
네게 이 일을 행하라 명령하노라(18f)
-
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19a)
그 한 뭇을 밭에 잊어버렸거든(19b)
다시 가서 가져오지 말고(19c)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19d)
그리하면(19e)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19f)
네 손으로 하는 모든 일에(19g)
복을 내리시리라(19h)
-
네가 네 감람나무를 떤 후에(20a)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20b)
그 남은 것은(20c)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며(20d)
-
네가 네 포도원의 포도를 딴 후에(21a)
그 남은 것을 다시 따지 말고(21b)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21c)
-
너는 애굽 땅에서(22a)
종 되었던 것을 기억하라(22b)
이러므로 내가 네게(22c)
이 일을 행하라 명령하노라(22d)
-
돌려주라_ Give it back to me
미루지 마라_ Don't put it off
남겨두라_ Leave it_
-
밭에서 곡식을 벨 때나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까치밥을 남겨두라고 하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내게 의롭게 살라고 말씀하시는 주님 내가 올챙이였을 적을 행여 잊지 말고 고아와 과부들에게 인색한 사람이 되지 말게 하옵소서.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체납 임금이 속히 처리될 수 있게 길을 열어주시며 연좌제 때문에 고통 받았던 이 땅의 아픈 과거사가 속히 정리되고 적절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긍휼을 베풀어 주옵소서. I praise God for telling me to leave magpie rice for the guests, orphans, and widows without re-examining the branches when cutting grain in the field or after cutting the persimmon tree. Lord, who tells me to live justly, do not forget that I was a tadpole and do not be stingy to orphans and widows. Please open the way for the delinquent wage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to be dealt with quickly and give me a favor so that the painful past of this land, which suffered due to the association system, can be sorted out quickly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can be made.
2024.4.9.tue.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