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peaceeye2002.com.ne.kr/
대한민국(KOREA) (COREA)
국기의 뜻과 의미
태극기가 국기로 제정된 것은 19세기 말이다.국기제정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 것은 1876년 윤요호사건 과 강화도조약 때였다.그때 당시 우리는 국기에 대한 지식은 물론 그에 대한 식견이 전혀 없었다. 그리고 그에대한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때 당시에 일어난 윤요호사건 때 조선군의 포격으로 인해 일본국기가 불타는 일이 있었다. 그런데 일본은 피해자인 우리에게 사과 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미 일본은 1870년에 국기를 제정하고 있었다. 그만큼 국기를 불태운 것과 관련된 사과 요구는 일본으로선 당연한 일이였다. 그만큼 국기문제를 계기로 우리에게 사과를 요구한 일본의 행동은 우리를 난처하게 만들었다. 그 당시 우리의 난처한 사정을 알게 된 중국은 사신을 보내 노란 바탕에 파란용이 새겨진 당시의 중국국기와 유사한 국기만들어 제정할 것을 요구한다. 이는 우리나라를 중국의 일개 제후국 내지 속국으로 만들려는 생각이자 이를 국기로 표현할 것을 요구한 것 이었다. 이것은 분명한 내정간섭 이었다. 중국은 집요할 정도로 중국국기와 유사한 국기제정을 요구하는 등 내정간섭에 가까운 행동을 일삼는다.여기에 중국의 내정간섭에 가까운 요구에 고종황제는 격분하지 않을 수 없었다.그리하여 고종황제는 우리의 국기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우리스스로 만들겠다고 결심 하고 신하에서 부터 지방관리에 이르기까지 좋은 안을 올리라고 명한다. 이는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독립국가임을 보여 주기 위한 노력이었다.그후 1882년 9월 이러한 중국의 요구를 거부한 고종황제는 수신사 박영효 일행이 일본으로 떠나기 직전 자신이 스스로 직접 그리고 창안한 국기를 만들게 된다. 이것이 태극기의 탄생이다. 그리고 박영효일행으로 하여금 자신이 직접 창안한 국기를 게양 할것을 명한다. 이러한 고종황제의 명을 받은 박영효일행은 일본군함 메이지 마루호 안에서 고종황제가 직접 그리고 창안한 국기자료를 바탕으로 국기를 그리게 된다. 즉 다시 말해서 고종황제가 직접 창안하고 직접 그린 국기를 박영효일행은 고종황제를 대신해서 그린 역할을 한 것이 되는 셈인 것이다. 그리고 일본에 도착한 박영효 일행은 배안에서 그린 국기를 숙소인 고베 니시야 무라야 여관에 게양했다. 이것이 태극기의 시초이다. 그 후 1883년 3월에 태극기를 조선국기로 제정할 것을 결정하였다.그리고 태극기는 1882년부터 1919년 3.1운동까지는 조선 국기 로 부르다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조선국기를 지금의 태극기(太極旗)로 부르게 되었다.그후 태극기는 3.1운동 후에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정부(臨時政府)에 의해 국기로 제정된다. 그리고 태극기는 독립운동의 상징이자 우리민족의 상징이 되었다. 그리고 일제의 집요한 탄압 속에서 태극기는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1948년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그동안 도안과 형태가 제각기였던 태극기의 도안과 형태를 지금의 도안과 형태로 통일함으로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그 후에 태극기는 광복 후 격동의 현대사속에서도 우리의 국기였다. 민주화와 독재타도의 물결 속에서 태극기는 우리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2002월드컵을 통해 태극기는 이제 세계적인 국기로 명실상부하게 자리를 잡게 된다. 우리의 대활약에 태극기는 전 세계에 그 존재를 당당히 알리게 되었다.태극기의 의미휜색바탕 - 순수(純粹)함과 맑음 희망(希望)과 평화(平和)를 상징(象徵)태극문양 - 음(陰)과 양(陽)의 조화(調和)를 상징태극의 적색 - 양(陽)을 상징태극의 파란색-음(陰)을 상징태극사괘 - 무궁(無窮)과 광명(光明)의 정신(精神)을 상징(象徵)건 - 하늘,봄,동쪽,인을 상징곤 - 땅,여름,서쪽,의를 상징리 - 해,가을,남쪽,예를 상징감 - 달,겨울,북족,지를 상징태극(太極)과 사괘(四卦)는 음(陰)과 양(陽)의 조화(調和) 영원무궁과 광명(光明)을 상징(象徵)함. 백색바탕은 평화(平和)와 순수(純粹)함을 상징(象徵)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 OF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국기의 뜻과 의미
북한은 1945년 8.15광복이후인 1946년 이미 독자적인 국기,국가,국장을 제정하기위한 사전계획을 시작한다.북한은 1945년 8.15광복부터 1948년 7월까지 태극기(太極旗)와 애국가(愛國歌)를 공식적(公式的)으로 사용했다.이 과정에서 북한은 태극기와 애국가의 문제점을 이유로 새로운 국기(國旗)와 국가(國歌)의 제정을 시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김일성주석의 교시가 북한의 국기. 국가제정에 결정적인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우리인민은 물론 우리민족과 우리조국을 새롭게 상징하고 항일혁명투사와 혁명가들이 흘린 피 그리고 위대한 혁명사상과 위대한 혁명력량, 그리고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통일된 나라 그리고 인민의 씩씩한 기상과 자주권을 상징하고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연과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인 나라, 그리고 장엄하고 기세 찬 산 들, 그리고 무궁무진한 지하자원, 유구한 민족문화(民族文化)와 유구(悠久)한 역사를 가진 인민과 민족을 찬양하고 조국에 대한 사랑과 애국심을 찬양하고 빛나는 해방정신을 찬양한 국기와 국가를 만들어야 하겠습니다.그리하여 북한은 독자적인 국기와 국가제정을 위한 계획을 착실하게 진행하면서 태극기(太極旗)와 애국가(愛國歌)를 공산(共産)화에 반발하는 세력을 무마하고 민심을 수습하기위한 방편으로 계속 사용하게 된다.그래서 북한은 1947년 이전의 애국가를 폐지하고 새로운 애국가를 지금의 북한국가 제정한다. 그러나 북한은 새국가제정사실을 일절 발표하지도 않았다. 조국분단의 책임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북한은 조국분단의 책임을 우려해 새국기와 새국가의 제정 및 이를 위한 계획을 아예 공표하지 않았다.그러다가 1948년 7월 남한단독정부 수립이 임박하자 그동안 공표하지 않았던 새국기와 새국가의 제정을 공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북한의 국기인 인민공화국기 또는 공화국기 일명 홍남오각기를 국기로 게양하게 된다. 그러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해야한다는 의론이 마지막 순간까지 나오게 되나 결국은 무시되고 만다. 더구나 많은수의 북한지도부와 지도자들 까지도 태극기(太極旗)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으나 결국은 이마저도 무시되고 만다.이로서 북한은 시작부터 통일국가의 정통성과 공산주의체제와 사회주의체제, 그리고 사상의 우월성을 위해 태극기의 전통을 정면으로 무시하게 된다.
지금 북한의 국기는 인민공화국기 또는 공화국기, 홍남오각기라고 부른다.그런데 북한의 국기를 직접 만들고 고안한 사람은 독립운동가인 해공 신익희 선생의 동생인 신해균 화백이 창안하고 고안한 것으로 밝혀진다.
그는 일제시대때에는 중국팔로군에서 광복 후에는 북한에서 화가로 활동했다. 그는 북한의 국기뿐만 아니라 만경대혁명학원원기, 인민군군기, 국기훈장, 공화국영웅메달등 각종훈장과 메달의 도안과 형태를 창안 했다. 그는 1956년 8월종파사건에 연루되어 활동이 정지되어 청산되었다가 지난2000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복권되었다.국기의 뜻과 의미적색(赤色);공산주의와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상징파란색;평화와 희망을 상징흰색;순수함과 주권, 광명을 상징흰원;음과 양을 상징 태극의 발자취붉은별;공산주의와 사회주의 국가건걸의 기치와 영도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사상의 기치-그들의 혁명사상을 상징1947년만듦 그 후 1948년공식적으로 제정
한반도 통일기(KOREAN UNITED FLAG)
한반도통일기(독도삽입형)
한반도통일기(고구려,독도버젼형)
한반도통일기(고구려버젼형)
국기의 뜻과 의미
한반도기의 유래는 1963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단일팀구성을 위한 남북체육회담 때부터이다. 단일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아리랑을 단가로 하기로 합의했다. 그리고 단일기문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위임했다. 그러나 단기제정문제를 둘러싼 문제때문에 결국 단일팀구성은 실패한다.그로부터 26년후인 1989년 북경아시안게임 단일팀구성을 위한 남북체육회담 개최되었다. 회담과정에서 단기제정문제가 논의 되었다. 남측은 흰색바탕에 녹색 한반도지도가 그려지고 그아래에 KOREA 라는 문구를 새긴기를 제시했고 북측은 흰색바탕에 황토색 한반도지도가 그려지고 그아래에 KORYO 즉 고려를 영문으로 새긴기를 제시했다. 그리고 남과 북은 절충을 거듭한 끝에 결국 흰색바탕에 파란색 한반도지도가 새겨진기를 정식단일기로 제정하기로 결정함으로서 한반도기는 이렇게 탄생되었다.그러나 남과북이 북경아시안게임에 별개로 참가하면서 한반도기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못한다. 하지만 한반도기는 북경아시안게임때 비공식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그것도 응원기자격으로 나타난것이다. 그리고 한반도기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것은 1991년 일본 지바에서 열린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때부터이다 바로 그때부터 한반도기가 남북한단일기로 게양된 것이다. 한반도기가 던져준 충격과 센세이션은 엄청난 것이엇다. 스포츠계는 물론 사회 전반에 확대되는 것이었다.학생들은 물론 모든 국민들은 이 깃발이 평화와 화합의 상징으로 인식하기 시작 했다.그리고 이깃발는 통일운동의 상징적 존재서의 역활도 하게된다.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시작으로 같은 해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그리고 2000년 시드니올림픽의 남북동시입장과 동시응원, 2002부산아시안게임, 2003년 아오모리 동계아시안게임, 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의 남북동시입장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과 1999년의 남북통일농구대회 2001년 오사카 세계탁구선수권대회때의 남북동시응원 2002년 통일축구대회의 응원기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일설에 의하면 한반도기는 재일 대한민국민단과 재일 조총련이 합의해서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일각에서는 한반도 동쪽의 외딴섬인 독도를 새긴 한반도기를 게양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왔다.실제로 독도가 새겨진 한반도기가 실제로 존재하고 있었다. 더구나 그존재는 여러경로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 되었는데 지난 2003년 아오모리동계아시안게임에서의 남북동시 입장 때 그 존재여부가 확인되었다.한반도기의 뜻과 의미흰색평화와 순결 통일과희망상징하고 이를 염원뜻으로 상징파란색한반도지도조국의 통일과 민족의 화해, 한반도의 화해와 통일 그리고 평화를 상징
중국(CHINA)
(PEOPLE'S REPUBLIC OF CHINA)
국기의 뜻과 의미
이국기는 오성홍기로서 빨강 바탕에 있는 큰 노랑 별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및 중국공산당을 나타내고, 작은 별은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당시 노동자·농민·지식계급·애국적 자본가의 4계급으로 성립된 국민을 나타낸다. 5개의 별은 중국본토,몽골,만주,신강,티베트와 통일,주권,권위,국가와 국민을 상징한다.빨강은 혁명을 상징하는 전통적인 색이자 중국본토의 색을 뜻한다. 그런데 지금은 중국공산당의 영도와 그것을 중심으로한 통일과 단결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기의 모체는 1929년 강서성 서금에 세워진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기에서 유래되었다. 그후 1949년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준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현재의 기를 국기로 선정하여 10월 1일 제정하였다. 1949년제정
홍콩차이나(HONG KONG CHINA)
국기의 뜻과 의미
붉은바탕에 자형화꽃이 새겨지고 그안에 다섯개의 별이 새겨졌다.1997년 7월1일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면서 공식적으로 게양 되었다.1997년 7월1일 제정
중국국기와 함께게양 할 때의 모습
홍콩의 깃발을 중국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는 중국국기가 가장 높은 게양대에 게양하고 홍콩의 깃발은 가장낮은 게양대에 게양하도록 하고 있다.
마카오 차이나(MACAO CHINA)
국기의 뜻과 의미
녹색바탕에 백색꽃문양을 형상화한 문양을 새기고 그위에 노란색 별 5개를 아치형으로 새겼다. 1999년 12월24일 마카오가 중국으로 반환 되면서 처음으로 게양됐다.1999년 12월24일 제정
중국국기와 함께 게양할 경우
마카오의 깃발을 중국국기와 함께게양할 때는 중국국기가 가장 높은 게양대에 게양하고 마카오의 깃발은 가장 낮은 게양대에 게양 하도록 하고 있다.
타이완(대만) (TAIWAN)
(REPUBLIC OF CHINA) (CHINESE TAIPEI)
국기의 뜻과 의미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라고 한다. 푸른 하늘에 뜬 12개의 빛줄기가 있는 태양은 하루 24시간을 2시간씩 12개로 나눈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끊임없는 전진을 나타내며, 파랑·하양·빨강은 쑨원[孫文]이 주장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상징한다. 이 중 파랑은 청명·순수·자유를, 하양은 정직·이타(利他)·평등함을, 빨강은 희생·유혈·형제애를 상징한다. 그밖에 빨강은 한족(漢族)이 중심을 이루는 다민족국가인 중국을, 파랑 바탕의 하양은 국민당을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 1912년 루하오둥[陸皓東]이 처음으로 디자인할 때는 파란색 하늘과 흰색 태양만 있었으나 1928년 12월 17일 국기로 제정할 때 빨강 바탕을 추가하였다. 그후에 1949년에 국민당정부가 타이완으로 옮긴이후에도 계속해서 지금까지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970년대 이후부터 올림픽을 비룻한 국제스포츠행사에서 부터는 국기인 청천백일기대신 이를 대용으로 만든 깃발인 타이완의 올림픽기등과 같은 타이완의 스포츠깃발을 국기대용으로 사용하기 시작 했다. 이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구나 중국이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펼치고 하나의 중국노선을 견지하면서 국제무대에서 청천백일기를 게양하는 범위가 상당히 많이 줄어 들면서 이제 청천백일기는 타이완은 물론 타이완과 수교하고 있는 나라들에게만 국한시켜 게양하고 있는 것이 전부이다.
타이완(대만) (차이니스타이페이)
(CHINESE TAIPEI)
타이완(대만-차이니스타이페이)올림픽깃발
(CHINESE TAIPEI-TAIWAN OLYMPIC FLAG)
타이완(대만-차이니스타이페이)패럴림픽-장애우올림픽깃발
(CHINESE TAIPEI-TAIWAN PARALYMPIC FLAG)
타이완(대만-차이니스타이페이)유니버시아드깃발
(CHINESE TAIPEI-TAIWAN UNIVERSIADE FLAG)
타이완(대만-차이니스타이페이)축구팀깃발
(CHINESE TAIPEI-TAIWAN FOOTBALL TEAM FLAG)
- 1 -
- 2 -
타이완(대만-차이니스타이페이)야구팀깃발
(CHINESE TAIPEI-TAIWAN BASEBALL TEAM FLAG)
일본(JAPAN)
국기의 뜻과 의미
이국기는 일장기 또는'닛쇼키[日章旗]' 또는 '히노마루노하타[日の丸の旗]', ‘히노마루’라고 한다. 국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1854년경 '다른 배와 구별하기 위해 일본 총선인(總船印)을 하양 바탕에 둥근 해를 그린 기'로 정한 것이 일본을 대표하게 된 최초의 일이라고 한다. 기의 의미에 관해서도 정설이 없으나 둥근 모양이 태양을 나타낸다는 점에는 일치한다. 국기의 표준형은 1870년경에 이루어졌으며, 1872년 메이지[明治] 왕 시절에 최초로 철도가 개통되었을 때 식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후 1990년대말에 접어들어 일본의 우경화 바람이 몰아치면서 일장기와 기미가요를 정식국기와 국가로 부활.제정해야한다는 우익세력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게 나왔다. 그리하여 1999년 8월 13일, 가로세로 비율을 3:2로 하고 빨강 원의 지름을 세로 길이의 3/5로 하는 등, 국기와 국가(國歌)에 관한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었다. 이로서 일장기(히노마루)를 공식국기로 제정되었다.1870년제정 그후1999년 공식적으로제정
몽골리아(MONGOLI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은 사랑,환희와 승리를, 파랑은 구름 한점이 없는 푸른하늘과 충성과 헌신을 나타낸다. 왼쪽 무늬는 소욤보[煙臺]즉 연대라는 뜻의 문양이라고 하는데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는 민족적 표장으로서 1924년 제1회 대인민회의에서 민족의 문양으로 정해졌다. 전체적으로 자유와 주권을 상징하며, 각각의 형태는 전설·우화(寓話)·속담·교훈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제일 위의 불꽃은 민족적인 상징으로서 융성·재생·향상·번영·종족번성을, 그 밑의 태양과 달은 몽골 전 민족을, 끝부분의 창과 화살은 ‘적에게 죽음을’이라는 의미이다. 위와 아래의 2개 직사각형은 ‘모든 사람들에게 성실하게 봉사하라’는 의미이고, 물고기는 방심하지 말 것을, 2마리의 물고기는 남자와 여자를, 양쪽에 수직으로 있는 2개의 직사각형은 요새와 성벽을 의미한다. 노란색은 사랑과 우정을 의미 한다. 이국기는 원래 공산정권시대때인 1950년에제정되었다. 그리고 왼쪽무늬위에 오각별이 새겨졌으나 1992년 오각별을 삭제한 지금의 국기를 국기로 수정하고 이를 새롭게 제정했다.1950년제정 그후 1992년 새로이 수정하여 이를 제정
타이(태국) (THAILAND)
국기의 뜻과 의미
이국기는 '트라이롱(Trairong)'이라고 하며, 또는 국기(The Flag)라는 뜻의 '통 차트(Thong Chat)'라고 부르기도 한다. 빨강·하양·파랑이 5열로 이루어진 3색기이며, 이 중 파랑은 다른 색의 2배 크기이다. 빨강은 국민을, 하양은 건국전설과 관계 있는 흰 코끼리에서 취하여 불교를, 파랑은 차크리왕조를 각각 나타낸다. 이전에는 라마 2세가 만든 '시암(Siam)'이라는 기가 사용되었는데, 1917년 라마 6세가 새로 수정한 현재의 기를 국기로 사용하였다. 1932년 6월 24일 입헌군주제가 된 후에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 1917년제정
말레이시아(MALAYSIA)
국기의 뜻과 의미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교의 상징이고, 파랑·하양·빨강의 3색은 영국국기인 유니언 잭에서 취했다. 별과 달의 노란색은 왕실의 색깔이며, 별의 빛살과 줄무늬의 수는 연방을 이룬 13주와 말레이시아연방지역(쿠알라룸푸르,푸트라자야,라부안섬으로 구성된 연방지역)을, 파랑 직사각형은 국민간의 단합 또는 이 나라가 영국연방에 속한 국가임을 나타낸다. 그후 2년후 1965년에 싱가포르가 연방을 이탈하고 분리독립한 이후부터는 13주가 되었다. 그러나 국기를 고치지 않았으며, 이후 1965년부터는 13주와 연방정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징했다. 그러다가 1974년에 수도 쿠알라룸푸르가 연방지구로 승격되면서 13주와 수도 쿠알라룸푸르를 상징하는것으로 해석되어오다가 지금의 13주와 말레이시아연방지역(쿠알라룸푸르,푸트라자야,라부안섬으로 구성된 연방지역)을 상징하는것으로 해석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963년 9월 16일 제정하였다. 1997년 8월 31일 독립 40주년을 맞아 ‘영광스러운 스트라이프(stripes)’라는 뜻의 ‘Jalur Gemilang’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7년에 말라야연방으로 독립할 때 제정 그후 1963년 말레이시아연방이 성립할 때 새롭게 제정
싱가포르(SINGAPORE)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은 우호와 평등을, 하양은 순수와 미덕을 나타낸다. 5개의 5각 별은 민주·평화·진보·정의·평등의 5원칙을 표시한다. 초승달은 원래 국기를 고안하던 당시 싱가포르가 중국이 아니라 말레이반도에 연관이 있다는 상징으로 삽입하였으나 현재는 나라의 발전을 상징하고 있으며, 달과 별은 이슬람교를 나타낸다. 1959년 12월 3일 영국연방내 자치령의 기로 제정되었는데, 1963년 말레이연방·사바·사라와크와 함께 ‘말레이시아연방’를 결성하면서 주기로 사용되었지만 사실상으로는 사용이 정지되였다가 1965년 말레이시아연방 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였을 때 국기로서 부활하였다. 1959년 자치령시대때 제정되었다가 1963년 말레이시아연방의 결성으로 주기로 사용되었지만 사실상으로는 사용이 정지되었다가 1965년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과 함께 국기로 부활
인도네시아(INDONESIA)
국기의 뜻과 의미
이국기는 메라프기라는 기이다. 인도네시아인은 ‘상 사카 메라 푸티(Sang Saka Merah Putih)’라고 한다. 빨강과 하양은 전통적인 국민색인데, 결백(하양) 위에 선 용기(빨강)를 상징한다. 그밖에 지구 위의 생명, 낮과 밤, 남편과 아내, 창조와 개성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그리고 하늘과 땅 그리고 용기와 순결 그리고 자유와 정의를 상징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기의 원형은 13세기 말 자바섬에 있던 마자파히트(Majapahit) 왕국의 기로서, 9개의 빨강과 하양 띠가 있었다. 1922년 네덜란드의 라이덴에서 공부하던 인도네시아 학생들의 회합과 독립운동에서도 비슷한 기를 사용하였다. 1945년 8월 17일 독립 선언과 함께, 헌법 35조에 의해 국기로 제정하였다. 1945년제정
브루나이(BRUNEI DARUSSALAM)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과 검정의 대각선 2개가 깃대 위로부터 오른쪽 아래쪽으로 걸쳐 있으며 중앙에 붉은색의 국장(國章)이 있다. 왕실 문장(紋章)에서 유래한 국장은 위쪽으로 향한 초승달안에 기둥이 있고 그 위에 기가 휘날리며 초승달은 양쪽에 두 손, 아래에 두루마리로 둘러싸인 모습이다. 초승달은 이슬람교의 상징이며 그 안에 새겨진 노란색 글씨는 국가 모토로서 대략 “항상 신의 가호가 있기를”이라는 뜻이며 그 아래 두루말이에 써 있는 ‘Brunei Darussalam’는 ‘평화의 나라, 브루나이’라는 의미이다. 국민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도이므로 디자인에도 이슬람교의 가르침이 담겨 있다. 1959년 9월 29일 제정하였다. 1959년제정
베트남(VIETNAM)
국기의 뜻과 의미
이국기는 금성홍기로서 1945년 9월 29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으로 독립할 때 처음 만들어졌고,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후인 1955년 11월 30일, 이전 기에서 별의 5각을 더욱 날카롭게 수정하여 북(北)베트남의 국기인 ‘금성홍기(金星紅旗)’로 제정하였다. 그리고 1975년 4월에 베트남전쟁이 끝난후인 다음해 1976년 베트남 통일 때 남베트남의 국기와 남베트남임시혁명정부의 국기 그리고 지금의 국기인 북베트남의 국기중에서 북베트남의 국기인 금성홍기를 통일국가의 국기이자 지금의 국기로 제정하였다. 빨강은 혁명의 피와 조국의 정신를, 황색별 5개의 모서리는 노동자·농민·지식인·청년·군인의 단결을 나타낸다. 1945년베트남민주공화국수립때 제정 그후 1955년 북베트남의 국기로 제정 그후 1976년에 통일국가의 국기로 제정
라오스(LAOS)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국기의 뜻과 의미
1975년 오랜 내전 끝에 좌파세력인 애국전선(파테트 라오, Pathet Lao)이 승리하였고, 1952년 이래 사용하여온 빨강바탕의 흰색 코끼리문양의 국기를 애국전선이 사용하던 기로 바꾸었다. 빨강은 혁명전쟁에서 흘렸던 피를, 파랑은 번영을 뜻한다. 흰색 동그라미는 메콩강(江) 위로 떠오른 커다란 만월(滿月)과 함께 공산주의 정부하에서의 단합 또는 나라의 빛나는 미래에 대한 약속을 상징한다. 공산국가의 국기 중 별이 들어 있지 않은 드문 예에 속한다. 1975년 12월 5일 국호를 라오스인민민주공화국으로 바꾸면서 국기도 함께 제정하였다. 1975년제정
캄보디아(CAMBOD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빨강·파랑의 3색기이고, 파랑의 2배 크기인 빨강에는 3개의 탑이 있는 캄보디아의 상징이자 유산이며 지난날 크메르왕국의 위용을 떨친 영광의 상징이며 세계의 문화유산인 앙코르와트의 절을 표현한 그림이 있다. 청색은 국민의 정의와 행복 그리고 정직을 적색은 그들의 결단과 용기를 백색은 불교를 상징한다. 1948년에 처음으로 제정된후 1953년 독립과 함께제정되었다. 그후에 1970년,1976년,1979년,1989년,1992년에는 다른 국기가 사용되었으나 1993년에 지금의 국기로 부활 제정되었다.1948년에 처음제정 그후1953년 공식적으로 제정 1970년에 사용이 정지되었다가 1993년에 국기로 부활
미얀마(버마) (MYANMAR)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은 청순과 미덕을, 빨강은 용기와 단호함을, 파랑은 평화와 성실을 상징하고, 톱니와 2개의 벼이삭은 사회주의 체제의 양대 세력인 노동자와 농민 또는 산업과 농업을, 14개의 5각별은 연방을 구성하고 있는 14개의 주(州)와 특별구를 나타낸다. 이전에는 파랑 직사각형에 6개의 별이 있는 국기로서 1948년에 원래이름인 버마로 독립하면서 제정되었으나, 1974년 독립당시의 국기를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바꾸어 제정 했다. 그리고 국기비울이 정식비울인 가로세로 비율 9:5로 된 것 외에도 가로세로 비율 3:2버전 그리고 가로세로 비율 11:6버전으로 되어있는 국기도 있는데 이것 또한 정식국기로 인정 되고 있다. 그리고 그후 1989년에 나라이름을 버마에서 미얀마로 바꾸었지만 국기는 1974년에 제정된 것을 그대로 국기로 계승하여 이를 지금도 계속 국기로 쓰고 있다.1974년제정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 바탕은 자유를 위한 투쟁, 노랑색은 지난날의 식민지의 흔적을 , 검정색은 극복이 필요한 고난과 식민지시대의 아픔과 고난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폭압적인 점령하에서 신음하던 암울한 시대를 , 그 위에 하얀 별은 평화와 독립의 기치와 미래를 향한 빛과 국가의 통일과 단결을 상징하고 이를 나타냄.1975년독립과 함께제정 2002년에 새롭게제정
인도(印度)(INDIA)
국기의 뜻과 의미
귤색은 용기와 희생을, 하양은 진리와 평화를, 초록은 공평과 기사도를 나타낸다. 바퀴 모양의 파란색 문장(紋章)은 '차크라(물레)'라고 하는데, 이는 아쇼카왕(王)의 불전결집(佛典結集)에서 취한 것으로 ‘법(法)의 윤회’를 뜻하며 24시간을 뜻하는 24개의 바퀴살을 가지고 있다. 원래 기에는 문장이 들어 있지 않았는데, 국기 제정시 차르카에 의한 경제적 독립의 필요성을 주장하던 마하트마 간디의 요청으로 넣었다. 그리고 네루수상은 차크라를 국기에 삽입하면서 차크라는 인도고대문명의 상징이자 인도국민의 이상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3색기는 1920년대부터 비공식적으로 국기로 사용되어왔으며 당시 3색은 힌두고(귤색)·통일(하양)·이슬람교(초록)를 의미하였다. 1942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국기로서 처음 사용되었고 1947년 7월 22일 입법회의에서 제정하였다. 1947년제정
파키스탄(PAKISTAN)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 쪽으로 하양의 수직 띠가 있고 나머지의 짙은 초록 바탕 중앙에는 하양 달과 별이 있다. 달과 별은 이슬람교의 성스러운 상징이고, 하양은 평화를, 짙은 초록은 번영을, 초승달은 발전을, 별은 빛과 지식을 나타낸다. 아메루딘 키드와이(Ameer-ud-din Khidwai)가 디자인하였고 1947년 8월 14일 독립 당시 제정하였다. 1947년제정
네팔(NEPAL)
국기의 뜻과 의미
세계에서 사각형이 아닌 유일한 국기이다. 삼각형 2개를 포개놓은 형태에 테두리 선은 진한 파랑이며, 빨강 바탕에 하양 초승달과 태양이 있다. 파랑은 세계를, 빨강은 행운을, 12개의 광선이 뻗쳐나오는 달은 왕실와 평화를, 태양은 재상 일가와 힘을 나타내며, 달과 태양은 이 나라가 힌두교 국가임을 나타낸다는 해석도 있다. 전체적으로는 '달과 태양과 같이 국가가 길이 번영하라'는 염원을 나타낸다. 전설에 따르면 이 나라는 예로부터 해(陽)의 왕조와 달(陰)의 왕조가 교대로 통치하였는데 지금은 음의 왕조이기 때문에 달이 위에 위치한다고 한다. 원래는 2개 삼각형이 서로 붙어 있지 않았는데 18세기 초에 결합되었고, 달과 태양도 사람 얼굴 모습이었는데 1962년 12월 12일 에현재의 형태로 제정하였다. 1962년제정
부탄(BHUTAN)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 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대각선으로 나누어져 있고 위쪽 삼각형은 짙은 노랑, 아래 삼각형은 귤색이다. 대각선을 따라 날개 없는 커다란 용이 다리로 보석을 잡고 있는 그림이 있는데, 국민은 번갯불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용은 그 현현(顯現)이라고 믿고 있다. 용은 순수를, 보석은 부귀를, 으르렁거리는 입은 국가를 보호하는 남녀 신의 힘을 상징한다. 부탄이라는 국명도 ‘용의 나라’라는 뜻이다. 빨강은 라마불교의 습관과 가르침의 정신력을, 짙은 노랑은 국왕의 불후의 권위를 나타낸다. 비슷한 형태의 기가 19세기 이래 사용되어왔으며 1912년 국기로 인정되었고 1960년대 초에 일부 수정한 후 1969년 제정하였다.
방글라데시(BANGLADESH)
국기의 뜻과 의미
짙은 초록 바탕 중앙에 빨강 원이 약간 깃대 쪽으로 놓여 있다. 이슬람교의 전통색인 초록은 젊은이의 의기와 푸른 벵골 지방을, 빨강은 피로써 쟁취한 자유의 태양과 독립을 얻기 위해 국민이 치른 희생을 나타낸다. 원의 반지름은 기 가로의 5/1 길이이다. 가로세로 비율은 10:6이다. 1971년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할 때 처음 제정한 기는 독립운동 시절의 기를 기본으로 만든 것으로서 원 안에 금색의 이 나라 지도가 들어 있었으나, 1972년 1월 13일 원 안의 지도를 빼고 국기로 제정하였다. 1971년제정 그후 1972년 지금의 형태로 새롭게 제정
스리랑카(SRI LANKA)
국기의 뜻과 의미
오른쪽의 사자는 이 동물이 스리랑카의 종주(宗主)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한 것으로, 칼을 가진 사자는 전인구의 70%를 차지하며 주로 불교를 믿는 싱할리족(族)이 사자의 자손임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네 귀퉁이의 보리수 잎은 불교국이라는 상징이며, 이슬람교·흰두고도의 소수민족을 초록과 주황의 2색 줄로 나타냈다. 사자가 들어 있는 기는 영국의 식민지이던 1815년 당시 국기로서 사용되었으며 1948년 영국에서 독립하면서 논란 끝에 1815년 당시의 기를 수정하여 국기로 제정하였다. 1951년에는 초록과 주황의 2색 줄을 추가하였고, 1972년 국명을 실론에서 스리랑카 공화국으로 바꾸면서 보리수 잎을 추가하였으며 1978년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으로 다시 국명을 바꾸면서 국기 일부를 수정하였다. 1948년제정 그후 1950년과 1972년에 수정 1978년 지금의 형태로 새로이 제정
몰디브(MALDIVES)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 초승달은 이슬람교의 신앙을, 빨강은 자유를 위하여 흘린 피를, 초록은 자유와 진보 또는 이 나라의 생명의 원천인 무수히 많은 야자나무를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원래는 빨강만으로 된 기였으나, 후에 검정 띠와 하양 선을 깃대 쪽으로 배치한 적도 있었고 19세기 초에는 초록 직사각형과 하양 초승달을 배치하였다. 영국의 보호국으로 있던 1950년대 중반 국기로 채택하였고 이후 몇 차례의 수정을 거쳐 1965년 7월 26일 완전 독립할 때 국기로 제정하였다. 1965년제정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
민간용국기(CIVIL FLAG)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검정·빨강·초록의 3색기이며, 중앙에는 메라브(mehrab)라고 하는 사원이 2개의 밀 이삭에 둘러싸인 형태의 문장(紋章)이 있다. 검정색은 지난날의 불행했던역사와 고난의 암흑을 빨강색은 독립과 자유를 위해 흘린피를 녹색은 이슬람의 상징이자 미래의 희망을 상징하며 밀 이삭과 사원은 이슬람교와 농업을 상징하며 사원위쪽에 새겨진 문자는 신은 위대하다와 코란의 첫글씨가 쓰여져 있다. 1992년 공산정권이 붕괴하고 이슬람교국가로서 출범하면서 전통적인 아랍 색인의 하양·초록 기를 사용하였으나, 2001년 말 미국의 공격으로 탈레반 정권이 물러난 후 2002년 1월 27일, 1930~1973년 동안 사용하였던 기를 기본으로 한 현재의 국기를 제정하였다. 1973년 이후 현재의 기로 제정하기까지 이 나라는 정치정세에 따라 10여 차례나 국기를 바꾼 바 있다. 그리고 2004년에 국기비율을 2:1에서 지금의 3:2로 바꾸어 수정하였다2002년제정 그후 2004년에수정
중동
이란 (IRAN) (I.R.OF IRAN)
(ISLAMIC REPUBLIC OF IRA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초록·하양·빨강의 3색기로서, 중앙의 마크는 4개의 초승달과 1개의 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메이니를 지도자로 하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을 상징한다. 마크의 전체적인 튤립의 형상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국민을 추모하는 이란의 전통적인 믿음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3색은 전통 색깔로서 페르시아 이래의 전통 준수를 나타낸다. 하양 위아래로는 문자로 구성된 테두리가 있는데, “신은 무엇보다 위대하다”라는 뜻을 가진 구절이 22번 반복되어 있다. 22번이라는 숫자는 1979년의 혁명이 이란 달력상으로 11번째 달의 22일에 일어난 데서 유래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7:3이다.
3색의 기본형은 1907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당시에는 기 중앙에 떠오르는 태양 앞에 칼을 가진 사자가 서 있는 그림이 있었다. 1979년 팔레비 왕조의 축출 후 모든 전통 기를 폐지하고 1980년 7월 29일 현재의 기로 정식 제정하였다.1980년제정
이라크(IRAQ)
국기의 뜻과 의미
2008년 1월에 사담후세인대통령 시대의 국기를 대폭적으로 수정하여 제정 했다.위로부터 빨강·하양·검정의 3색기이며 빨강은 전쟁의 가혹함을, 하양은 관용을, 검정은 칼리프 시대의 영광을, 글씨의 초록은 예언자 마호메트의 빛깔을 나타낸다. 국기중앙에 원래부터 있었던 초록색의 3개의 오각별은 사담후세인대통령 시대의 국기를 대폭적으로 수정하면서 삭제되었다. 그리고 초록색으로 크게 새겨진 아랍어로 “ALLAHU AKBAR(신은 위대하다)”라고 써져 있다. 그리고 초록색으로 되어 있는 글자를 초록색의 3개의 오각별을 삭제하면서 크기와 형태를 이전에 비해 좀더 크게 늘렸고 그 형태도 이라크에서 유래했던 고대 아라비아 문자체이자 아랍어서체인 쿠픽체로 바뀌어졌다. 지금의 국기의 모태는 1963년 7월 31일 제정된 것으로서 국기중앙의 하양색에 3개의 5각 별을 삽입했는데 3개의 5각 별은 이집트·시리아와의 3국연합의 상징의미했다. 그러나 연합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 3개의 5각 별은 사담 후세인의 집권이후 사담 후세인의 바트당이 주창한 통일과 자유,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그후 1991년 1월에 걸프전쟁을 겪으면서 3개의 별 사이에 아랍어로 “ALLAHU AKBAR(신은 위대하다)”라고 써 있는 구절을 추가하면서 1991년 1월 13일 국기의 형태를 수정하였다. 그리고 2004년 3월초에 제정된 예전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하늘색의 초승달을 위에 두고, 그 아래로 노란 줄 하나가 두 개의 푸른 줄 사이에 놓인 모양이다. 여기서 흰색은 평화와 순수함을 하늘색의 초승달은 이슬람을, 두 개의 파란색 줄은 이라크의 젖줄이자 4대문명의 상징인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강을, 그리고 노란색 줄은 소수민족인 쿠르드족을 각각 상징하는 국기였으나 국기의 형태가 이스라엘의 국기와 흡사하다는 비난과 함께 사담후세인대통령 시대의 국기를 부활시킬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2004년 6월 임시정부의 수립과 함께 사담후세인대통령 시대의 국기를 새롭게 부활하면서 국기의 중앙에 새겨진 구절의 형태를 약간 수정하고 가로세로 비율을 2:1로 바꾸어서 수정하고 이를 부활제정 했으며 그후 같은해 8월에 가료세로 비울을 다시 3:2로 바꾸어 수정하였다. 그러나 쿠르드족은 기존의 이라크국기가 쿠르드족에게는 암울하고 잔혹했던 고통의 시대였던 지난날의 사담후세인정권시대를 연상 방불케한다며 전면적인 국기변경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이라크국기게양을 거부 했다. 이렇게 되면서 이라크의회는 국기중앙에 새겨진 3개의 별을 삭제하는 대신 국기중앙의 글자의 형태와 크기를 더욱 크게하고 이를 변형시키고 이를 수정한 지금의 국기를 제정하였다.1963년제정 그후 1991년과 2004년에 수정하였다가 2008년 1월에 대폭적으로 수정하여 제정
시리아 (SYRIA) (SYRIAN ARAB REPUBLIC)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검정의 3색기이며 빨강은 혁명을, 하양은 평화를, 검정은 지난날에 당한 억압을, 별은 아랍의 통일을 상징한다. 독립당시의 국기는 초록색,하양색,검정색의 가로형 삼색기에 국기의 중앙부분의 하양색바탕에 3개의 빨강색으로 된 별을 넣은 국기였다. 그후 1958년 이집트의 합병으로 아랍연합공화국이 되었을 때 현재의 기를 국기로 제정하였으며, 1971년 이집트·리비아와 함께 아랍공화국연방을 결성하여 같은 국기·국장(國章)를 쓰기로 하고 1972년 하양 바탕의 별 2개를 매로 대체한 후 다음해 1월 연방기로서 정식 제정하였다. 그후 시리아는 기존의 아랍공화국연방의 국기를 폐지하고 1958년 아랍연합공화국 당시의 기를 1980년에 지금의 국기로 다시 제정하였다. 1980년제정
레바논(LEBANON)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빨강 순으로 배치되었고, 중앙에 있는 초록색의 나무는 레바논삼나무라고 부르는 레바논 백향목(栢香木)으로 기독교가 소중히 바라는 나무이며 평화와 신성 그리고 영원을 상징하고 있으며 이나라의 특산물로서 이 나라의 상징이다. 빨강은 외세로부터 국가를 지키기 위해 희생한 순교자의 희생을, 하양은 백악(白堊)과 평화와 순수 또는 눈으로 덮인 산들을, 백향목은 불멸성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로 길게 늘어뜨려 게양할 때는 백향목을 똑바로 서게 만든 기를 사용한다.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절에는 프랑스의 국기인 파랑·하양·빨강이 세로로 나뉜 3색기에 백향목이 있는 기를 사용하였으나, 1943년 11월 독립을 선언한 후 12월 7일에 파랑을 제거하고 2색이 가로로 나뉜 현재의 기를 제정하였다. 1943년 12월7일 제정
요르단(JORDAN)
큰별삽입형국기(BIG STAR VERSION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은 1916년의 대아랍혁명(The Great Arab Revolt)을 상징하고, 그 밖의 3색은 아랍의 옛 왕조를 나타낸다. 검정은 아바스왕조, 하양은 우마이야왕조, 초록은 파티마왕조를 나타낸다. 빨강은 아랍의 피를, 초록은 비옥한 토지를, 하양은 고결함과 관용을, 검정은 적과의 싸움을 상징한다. 흰색의 7각 별은 《코란》 제1장의 7개 행(行)을, 별의 7개 각은 각각 신(神)·인류애·국민정신·겸손·사회정의·자비·대망(大望)을 나타내며 동시에 아랍인들의 통합을 상징한다. 1928년 4월 16일 제정하였다. 1928년제정
사우디 아라비아(SAUDI ARABIA)
국기뒷면(NATIONAL FLAG REVERSE)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 바탕에 아랍어(語)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알라 외에는 신(神)이 없고, 마호메트는 예언자이다.”라는 《코란》의 1절이 씌어 있다. 기의 뒷면이 역문자(逆文字)로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두 장의 천을 맞붙여 만드는 규칙이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18세기 말에 일어난 이슬람교의 복고운동이자 이슬람의 원래이념과 정신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이자 이 나라의 국교(國敎)로서 확립된 ‘와하비(Wahhabi) 개혁운동’의 기에서 유래하였다. 글씨 아래의 칼은 1902년 와하브왕국의 왕으로 네지드, 헤자즈왕국을 통합하여 사우디아라비아왕국를 세운 압둘 아지즈왕(통칭 이븐 사우드)이 추가하였다. 1973년 3월 15일 공식 제정하였다. 1973년제정
쿠웨이트(KUWAIT)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초록·하양·빨강을 배치하고 깃대 쪽으로 검정의 사다리꼴이 있다. 초록은 하티마왕조를, 하양은 4대 칼리프시대를, 검정은 압바스왕조를, 빨강은 아랍사회의 기반을 형성하는 혈연을 나타낸다. 그밖에 하양은 명예를, 검정은 전쟁터에서 기병에 의해 휘날리는 모래를, 초록은 전쟁터를, 빨강은 용감을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이 4가지 색은 범(凡)아랍 색으로서 17세기경 이라크의 시인 사피 알딘 알힐리(Safie Al-Deen Al-Hili)가 지은 시(詩)에서 유래한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1961년 11월 24일 새로운 국기로 제정하였다.1961년제정
카타르(QATAR)
국기의 뜻과 의미
예전에는 빨강 한 가지 빛깔로만 된 기를 사용하였는데, 1860년에 톱니 모양의 넓은 하양 띠가 깃대 쪽에 추가되었고, 1949년 무렵부터 빨강이 진해져서 밤색에 가까워졌고 하양 띠가 더욱 넓어졌다. 밤색은 이 나라에서 나는 특유의 염료 색에서 유래하였다. 하지만 그색은 정식국기색으로 결정되었다. 톱니 날은 9개이고 가로세로 비율은 보통 28:11이다. 이 톱니날은 이나라의 순수한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다. 그리고 이색을 택한 것은 이웃나라 바레인은 물론 다른나라와 구분하기위함으로 해석된다. 1916년 특별조약으로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을 때는 빨강 사각형과 초승달이 있는 흰색 기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곧 이전의 기로 환원하였고, 톱니 모양이 물결 모양으로 바뀐 적도 있었다. 1971년 7월 독립하면서 현재의 기를 국기로 제정하였다. 빨강과 하양으로 된 바레인의 국기와 비슷하다. 1971년제정
바레인(BAHRAIN)
국기의 뜻과 의미
과거에는 빨강색으로만 된 기였는데, 이웃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연합의 국기와 구별하기 위해 톱니 모양의 흰 띠를 더했다. 빨강은 피와 자유를, 하양은 바레인의 순결과 평화와 강한 정신을 나타내며, 두 색의 비율은 4:1이다. 흰 띠의 톱니 개수는 5개인데, 이슬람교에서의 5개 기둥을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5:3이다. 영국식민지 시절에 영국이 해적선과 해적단토벌을 위해서 해적선과 일반 상선 및 민간선박을 식별하기 위해 상선에 올린 깃발에서 유래하였다. 1971년 독립당시의 국기에는 흰 띠의 톱니 개수가 8개였다. 그후 2002년 2월 14일 나라이름을 바레인왕국으로 바꾸면서 독립당시의 국기를 새롭게 수정하여 기존의 톱니 개수를 8개에서 5개로 줄이고 가로세로 비율을 3:2에서 5:3으로 바꾸는 등 일부 수정하고 재제정하였다. 1971년제정 그후에 2002년 지금의 형태로 새롭게 수정하여 제정
아랍에미리트연합(U.A.E)(UNITED ARAB EMIRATES)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초록·하양·검정의 4색은 이슬람국가에 공통된 색깔로서, 연방을 구성하고 있는 각 수장국(首長國)의 기의 색깔을 짜맞춘 것이다. 4색은 원래 17세기경 이라크의 시인인 사피 알딘 알힐리(Safie Al-Deen Al-Hili)의 시(詩)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인 1971년 12월 2일 연방법 2조에 따라 제정하였다. 1971년제정
오만(OMA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하양·빨강·초록이 배치되어 있고 깃대 쪽에는 빨강 수직띠에 문장(紋章)이 있다. 빨강은 새로운 오만을, 하양은 평화와 번영을, 초록은 이슬람교에 대한 믿음과 식물자원의 풍부함을 나타낸다. 문장에는 이 나라의 전통적인 장검(長劍)과 단검이 조합되어 있다. 1970년 12월 17일 제정하였으며, 1995년 10월 18일 가로세로 비율을 3:2에서 2:1로, 깃대 쪽의 빨강 수직 띠를 기 너비의 3/1에서 4/1로 바꾸는 등 수정하였다. 1970년제정 그후 1995년에 수정
예멘공화국(YEMEN)(REPUBLIC OF YEMEN)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하양·검정의 3색기로서 빨강은 독립을 위한 혁명을, 하양은 평화와 희망을, 검정은 식민지시대의 압정(壓政)을 나타낸다. 옛 북(北)예멘 국기에서 중앙의 별을 삭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남예멘의 이전 국기도 비슷한 모양이었다. 이전의 북예멘국기는 빨강,하양,검정의 가로형 삼색기의 흰색중앙에 녹색별을 새긴국기였으며 이전의 남예멘의 국기는 깃대부분에 하늘색 이등변 삼각형안에 붉은별을 새기고 이를 빨강,하양,검정의 가로형 삼색기에 삽입한 국기였다. 그리고 지금 사용하고 있는 국기는 남.북예멘이 1981년에 국가통일을 이루는 목표로 체결된 아덴협정이 체결되면서 지금의 국기를 통일국가의 국기로 만들기로 합의 하였다. 그리고 지금 사용하고 있는 국기의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1990년 5월 22일 남.북예멘이 통일되면서 지금의 국기를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1990년제정
팔레스타인(PALESTINE)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검정색,빨강색,하양색,초록색의 범아랍색으로된 국기를 제정했다. 이깃발은 1964년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에 의해 제정 되었다. 그리고 1988년 11월 15일에 팔레스타인의 국기로 제정되었다. 국기의 원형은 1916년에 일어난 아랍 혁명의 깃발로서 검정색은 아바스 왕조와 침략자에대한 대항정신과 어두운역사와 과거를 뻘강색은 하심 왕조와 아랍인의 칼과 피를 상징하며 그리고 초록색은 파티마 왕조와 비옥한 국토를 하양색은 우마이야 왕조와 순결과 깨긋함을 상징한다.
1964년제정
이스라엘(ISRAEL)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과 하양은 유대교 기도자(祈禱者)의 어깨걸이 빛깔이고, 중앙의 6각 별 모양은 2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졌으며 고대 이스라엘 다윗왕의 방패(Shield of David)일명 다윗의 별을 나타낸다. 6각 별 모양은 이전에는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사용한 바 있으나 1354년 처음으로 유대인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점차 확대되었다. ‘시온주의운동(Zionist movement)’이른바 시오니즘(유대복고주의) 또는 시오니스트의 깃발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었으며 1897년 시온주의자 회의에서 채택하였고 1948년 11월 12일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1897년에 채택 그후 1948년 이스라엘의 건국과 함께 정식국기로 게양 그해 12월에 정식으로 제정
러시아 연방
독립국가 연방
러시아연방(RUSSIA)
(RUSSIAN FEDERATION)
문장형국기(STATE FLAG)
소련(소비에트연방)국기(SOVIET NATIONA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범슬라브색으로된 국기의 시초로 이깃발은 제정러시아 즉 러시아제국의 국기이다.위로부터 하양·파랑·빨강의 3색기로서, 하양은 고귀함과 진실·고상함·솔직·자유·독립을, 파랑은 정직·헌신·순수·충성을, 빨강은 용기·사랑·자기희생을 나타낸다. 또는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3색을 위로부터 각각 천상세계, 하늘, 속세를 가리키는 우주적 개념으로 설명하였고, 이후에는 3개 동(東)슬라브국가인 백러시아(지금의 벨로루시)·우크라이나·러시아의 통합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원래는 상선과 민간선박에 게양하던 기였는데, 1705년 1월 20일에 표트르 1세의 영에 따라 국기로서 최초로 인정하였고 러시아혁명(볼셰비키혁명) 아래에서는 폐지되었다. 소련(소비에트연방)붕괴 즈음인 1991년 8월 21일에 제정(帝政)러시아의 국기가 국기로서 부활하였고 2000년 12월 25일 국기에 관한 법에 따라 재제정하였다. 그리고 구소련국가를 국가로 부활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몇몇 공산주의자들과 일부 몇몇 극우 민족주의자들을 주축으로 한 일각에서는 소련국기를 새국기로 부활하자는 목소리까지도 나왔으나 결국은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시되었다. 그대신 소련국기는 군기로는 물론 민간용 깃발로는 물론 전승기념행사와 공산당을 비룻한 공산주의단체가 주관하는 10월혁명(러시아혁명-볼셰비키혁명)기념행사 그리고 공산당과 공산주의단체가 주관하는 행사와 집회때에만 사용이 허용되었다.1991년제정 2000년에 수정
우크라이나(UKRAINE)
국기의 뜻과 의미
오랫동안 러시아에 대해 분리 독립을 주장해온 탓에 '독립 우크라이나의 깃발' 또는 ‘우크라이나의 기’라고 부른다. 위가 파랑, 아래가 노랑인 2색기이며, 2색은 기독교도입 이전부터 오랫동안 이 나라를 상징하는 전통색깔로서 파랑은 하늘과 산과 물결을, 노랑은 금빛 대지를 나타내는데, 전체적으로는 파란 하늘 아래 펼쳐진 농지(農地)를 상징한다. 2색으로 된 기는 1848년 10월 리보프주(州)의 주도인 리보프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으며 당시에는 파랑 바탕에 왕관을 쓴 노란색의 사자가 있었다. 볼셰비키와의 대립 속에서 1918년 1월 22일 독립을 선언한 후 3월 22일에 현재와 비슷한 기를 국기로 제정하였고, 그후 소련시대의 국기를 쓰다가 1991년 소련으로 부터의 독립과 함께 국기로 부활 했다. 그리고 소련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지 5년 만인 1996년 9월 3일 새로운 국기관련법에 따라 공식으로 재제정하였다. 1991년에 제정 그후 1996년 수정
벨로루시(벨라루스) (BELARUS)
문장형국기 (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벨로루시국기의 모태가 된 깃발
백러시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국기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과 초록이 2:1 비율로 배치되었고 깃대 쪽에는 하양 띠 바탕에 전통문양으로 된 수직 띠가 있다. 하양 띠는 기 가로의 1/9 길이이다. 전통무늬는 풍부한 문화적 유산과 그것의 정신적인 계승, 국민의 단합을 나타내며, 빨강은 이 나라의 지나간 시대의 영광을, 초록은 미래·희망·봄·부흥·산림·들판을 상징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지금의 국기는 1953년 소련시대때 제정된 백러시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를 모체로 만든 국기로 소련시대의 백러시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에 새겨진 낫과 망치 오각별을 제거하여 만든 깃발이 지금의 국기가 되었다. 1918년과 1991~1995년 동안은 위로부터 하양·빨강·하양의 전통적인 가로형 3색기였으나, 1995년 실시한 국민투표에서 75.1%의 찬성으로 현재의 기로 결정되었다. 1995년제정
몰도바공화국(MOLDOVA)
(REPUBLIC OF MOLDOVA)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파랑·노랑·빨강의 3색기이며, 중앙에는 이 나라의 국장(國章)을 배치하였다. 국장 안에 있는 독수리는 붉은 부리와 발톱을 지니고 있고 노란색 십자가를 물고 있다. 또한 오른쪽 발톱에는 녹색의 올리브가지를, 왼쪽 발톱에는 노란색의 홀(笏)을 쥐고 있으며, 가슴에는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된 방패가 있는데, 그 속에는 검은색 테두리의 노란색 황소머리가 장미와 초승달 사이에 있고 위에는 태양이 있다. 독수리는 옛 루마니아 문장(紋章)에서 유래하였으며 황소머리는 베사라비아(Bessarabia) 지방을, 십자가는 이 나라가 기독교국가임을, 홀과 올리브가지는 엄숙함과 평화를 나타낸다. 기 전체의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간혹 2:1인 경우도 있다. 프랑스혁명의 영향을 받아 일어난 1848년의 혁명 동안 3색기를 채택하였으며, 1990년 5월 12일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중앙의 국장만 빼고는 루마니아 국기와 동일하다. 1990년제정
아르메니아(ARMEN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파랑·귤색의 3색기로서, 법률에 따라 동(東)아르메니아어(語)로 빨강·파랑·귤색이라는 뜻의 ‘카르미르, 카포이트, 나른디아고인(karmir, kappoyt, narndjagooyn)’이라고 부른다. 일설에 의하면 이깃발는 노아의 방주가 아라랏트산에 도달했을 때 아르메니아 사람들에게 주어진 국기라는 이야기도 있다. 빨강은 과거와 최근에 아르메니아 군인이 흘린 피를, 파랑은 하늘을, 귤색은 비옥한 토지와 농부를 나타낸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8~1921년의 짧은 독립기간 동안 국기로 사용하다가 소련연방으로부터 재독립한 1990년 8월 23일 가로세로 비율을 3:2에서 2:1로 바꾸어 재제정하였다. 1990년제정
그루지아(GEORGIA)
국기의 뜻과 의미
2004년 1월 14일에 새롭게 제정,발표된 지금의 그루지아의 새국기는 지난날 그루지아왕국의 국기를 새롭게 부활한 국기이다. 지금의 그루지아의 새국기는 하양 바탕에 빨강색 십자가를 새기고 빨강색 십자가 주위에 4개의 또다른 십자가를 하양색 바탕에 삽입한 국기이다. 지금의 새국기는 지난 9세기경 그루지아왕국시대 때부터 사용된 국기로서 지난 2003년 12월말에 있었던 그루지아의 시민혁명때 사용된 깃발로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시민혁명후 들러선 새정부와 의회는 지난 9세기경 그루지아왕국시대 때부터 사용된 국기이자 지난 2003년 12월말에 있었던 그루지아의 시민혁명때 사용된 깃발을 지금의 새국기로 제정하고 이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의 그루지아의 국기는 갈색 바탕의 왼쪽 위에 검정과 하양 띠가 직사각형 형태로 들어 있다. 갈색은 국가 전통 색깔이며, 검정과 하양은 비극적인 과거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징한다. 기 전체의 가로세로 비율은 5:3이고 색깔별 세부 비율은 가로가 11:14, 세로가 3:3:9이다. 1917년 러시아 제국의 붕괴에 따라 1918년 5월 26일 그루지야 독립국이 형성되면서 3년간 국기로 사용하였는데 당시는 비율이 지금과 달랐다. 1922년 소련(소비에트연방)에 흡수된 후에는 사용하지 못하다가 1990년 11월 14일 독립을 선언하면서 다시 제정하였다. 그후 2004년 1월 14일 시민혁명 이후에 들어선 새정부는 새국기의 제정 사실을 발표하고 지난 9세기경 그루지아왕국시대 때부터 사용된 국기로서 지난 2003년 12월말에 있었던 그루지아의 시민혁명때 사용된 깃발을 지금의 국기로 제정 했다.2004년 1월 14일제정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빨강·초록의 3색기이며, 초승달과 8각 별을 중앙에 배치하였다. 별은 터키인(人)이 분류한 8개의 터키 민족을, 파랑은 터키 민족의 고유 색깔을, 초록은 이슬람교를, 빨강은 현대화와 진보를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비슷한 형태의 국기가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 시절인 1918~1920년 동안 사용되었으나 공산화된 이후 사라졌다가 1991년 2월 5일 독립하면서 다시 정식 제정하였다. 1991년제정
카자흐스탄(KAZAKHSTAN)
국기의 뜻과 의미
이 나라의 파란 하늘과 미래의 희망을 상징하는 하늘색 바탕에, 깃대 쪽에는 ‘국가 장식(national ornamentation)’이라고 부르는 민족 전통의 무늬가 수직으로 있고, 중앙에는 32개의 햇살을 가진 금색 태양과 스탭 지역에 사는 독수리가 나는 모양의 금색 그림을 넣었다. 그리고 단일이념을 가진 사람들의 충실함과 자유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숭고한 사상과 이념을 의미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소련의 붕괴로 독립한 후 1992년 1월부터 5월말 까지는 소련시대때 제정된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를 임시 국기로 사용 했다. 그리고 같은해인 1992년 6월 4일에 지금의 국기를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전통 무늬는 투르크메니스탄과 벨로루시 국기에도 들어 있다. 1992년제정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위로부터 파랑·하양·초록의 3색 사이에 빨간색의 가는 선을 넣었다. 파랑 바탕에는 초승달과 흰색 5각 별 12개를 배치하였는데, 고유의 전통과 문화를 상징하며 12궁도(宮圖)를 나타내기도 하며 이 나라의 고유한 천문학을 상징한다. 이 나라가 이슬람교국가이며 초승달이 이슬람교의 상징임에도 불구하고 초승달이 종교보다는 국가 부활에 더 의미를 두고 해석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하양은 평화를, 초록은 자연을, 빨강은 생명력을, 파랑은 영원한 밤과 생명의 근원인 물을 나타낸다. 소련의 붕괴에 따라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독립국가연합)의 한 국가로 독립할 때인 1991년 11월 18일 제정하였다..1991년제정
키르키즈스탄(KYRGYZSTAN)(KYRGYZ REPUBLIC)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 바탕에 민족 전통의 노랑 무늬를 배치하였다. 노랑 무늬는 40개의 햇살을 가진 태양으로서 40개에 이르는 키르기스족(族)을 나타내며 반은 시계방향, 나머지 반은 시계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다. 태양 안에는 3줄로 이루어진 2세트의 선들이 교차하고 있는데, 이 나라의 유목민족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천막인 유르트를 형상화한 것이다. 소비에트연방이 해체되어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독립국가연합)에 속한 국가로서 독립하면서 1992년 1월부터 2월까지는 키르키즈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를 임시국기로 사용 했다. 그리고 바로 그때부터 키르키즈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를 대신할 독립국가의 새국기를 일반공모를 통해 제정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많은 작품들이 대거 출품 되었는데 그중에서 초원위에 빛나는 태양을 형상화한 지금의 국기형태와 디자인을 국기로 제정하기로 결정하였고 그해 1992년 3월 3일 지금의 국기형태와 디자인을 갖춘 지금의 국기를 정식국기로 제정하였다.1992년제정
타지키스탄(TAJIKISTAN)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하양·초록을 가로로 배열한 3색기로서 하양은 다른 2색에 비해 조금 더 넓다. 하양 중앙에는 7개의 금색 별로 둘러싸인 금색 왕관이 있다. 하양은 국가의 기간산업인 면직공업을, 초록은 농업을, 왕관과 별은 존엄성과 다른 국가와의 우의, 그리고 노동자·농부·지식계층간의 결속을 상징한다. 1991년부터 1992년 8월 까지 약 1년 8개월간은 구소련시대때 제정된 타지크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를 사용 했고 1992년 8월부터 10월까지는 구소련시대때 제정된 타지크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국기에서 낫과 방치 오각별을 제거하고 위 반쪽을 빨강, 아래 반쪽을 하양·초록·빨강으로 세분한 국기를 사용하였으나, 1992년 11월 24일 현재의 기로 바꾸어 제정하였다. 1992년제정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
국기의 뜻과 의미
붉은색의 수직 띠가 깃대 가까이 있고 초록 바탕에 하얀색의 초승달과 5개의 별이 있다. 붉은색 띠 안의 도안은 예로부터 전해지는 융단무늬로 이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나타내며,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적 국민적 통일성을 듯하며 그계열의 다섯부족을 상징한다. 초록색은 이슬람을 상징하며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국가임을 상징한다. 그리고 5개의별은 고체,액체,가스체,수정체,플라즈마와 빛,소리,후각,촉각,균형감각 즉지구상에 존재하는 우주와 생명의 다섯가지 기본요소와 중요한 상태를 상징함 그리고 융단 무늬의 아래에 새겨진 올리브가지는 평화를 상징한다.1990년에 주권을 선언하고 다음해 1991년에 독립 후 다음해 1992년 1월부터 5월까지는 투르크멘소비에트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를 얼마동안은 임시국기로 사용 했다. 그리고 같은해인 지금의 국기를 1992년 5월 25일에 정식으로 제정한다. 제정당시의 최초의 국기는 지금의 모습과는 약간 다른 것으로서 그때 당시에는 올리브가지가 전혀 없었다. 그래서 1992년에 최초로 제정된국기는 지금과는 약간 다른 기본형 국기였다. 그로부터 5년후 1997년 대통령령에 따라 1992년에 제정된 최초의 기본형 국기에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가지를 첨가하는 등 1992년에 제정된 최초의 기본형 국기의 형태와 모습을 다소 수정하였고, 2001년 1월 24일 수직 띠의 형태를 조금 더 넓게 하고 그밖에 별들의 자리, 초승달의 너비, 도안 장식을 조금씩 바꾸었으며 가로세로 비율을 기존의 2:1에서 3:2로 바꾸었다.1992년제정 그후 2001년수정
유럽
영국(GREAT BRITAIN)
유니언 잭의 모태가 된 깃발
세인트 죠지기 세인트 앤드류기 세인트 패트릭기
(성 죠지기) (성 앤드류기) (성 패트릭기)
국기의 뜻과 의미
'유니언 잭(Union Jack)'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기는 연합왕국을 형성하는 잉글랜드·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3국의 기를 조합하여 만든 것이다. 3국의 기는 모두 기독교에서 기원한 십자기로서, 중세의 십자군 원정 때부터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의 기는 흰색 바탕에 적십자를 그려, '세인트 조지(Saint George)의 십자기'라고 한다. 세인트 조지는 잉글랜드의 수호성인(守護聖人)으로, 그의 순교를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된 이 기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여러 설이 있어 확실하지가 않다. 그러나 리처드 1세와 에드워드 1세때 십자군들은 십자기의 기치 아래 세인트 조지의 가호를 받아 각지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전해진다. 그리하여 적어도 세인트 조지의 십자기는 에드워드 1세때인 1277년에는 잉글랜드의 국기로 제정되었음이 분명하다.
스코틀랜드의 기는 파랑 바탕에 하양의 비낀 십자기로서, '세인트 안드레의 십자기'라고 한다. 이 나라의 수호성인 세인트 안드레를 기념하는 것으로, 세인트 조지와 비슷한 전설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1603년 엘리자베스 1세가 죽은 후 스코틀랜드의 왕 제임스 4세가 영국 연합왕국의 왕인 제임스 1세로 추대되었을 때, 그의 명을 받은 문장(紋章)학자들이 양국의 기를 조합시킨 대(大)브리튼 왕국 국기를 만들었다. 이 기는 제임스기(James Flag)로도 불린다.
대브리튼 왕국의 국기는 문장학자들의 고심 끝에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양국 국민들의 불만이 대단하였다. 잉글랜드 국민들은 세인트 조지기의 흰 바탕이 세인트 안드레기의 청색 바탕 때문에 너무 작아졌다고 불평하였고, 스코틀랜드 국민들은 세인트 조지기의 적십자(赤十字)는 온전한 데 비하여 세인트 안드레기의 백십자(白十字)는 중앙에서 둘로 끊기게 되었다고 하여 불만이었다. 양국의 국수주의자들은 새로 제정된 연합왕국의 국기(제임스기)를 게양할 때에는 각각 자기들 고유의 십자기를 함께 게양하기도 하였다.
1803년 조지3세 때 아일랜드가 병합되어 대(大)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되었고 국기도 변경되었다. 아일랜드(지금의 북아일랜드)기도 또한 수호성인 세인트 패트릭을 기념하는 흰 바탕에 빨강의 비낀 십자기였다. 변경된 새 국기는 제임스기에 세인트 패트릭의 십자기를 합친 모양으로, 이것이 현재의 영국기이다. 1801년제정
프랑스(FRANCE)
국기의 뜻과 의미
트리컬러(Tricolor)로 불리는 프랑스의 국기는 자유·평등·박애를 상징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삼색기는 1789년 프랑스혁명 당시 바스티유를 습격한 다음날인 7월 15일 국민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라파예트가 시민에게 나누어준 모자의 표지 빛깔에서 유래하였다. 나폴레옹 1세가 워털루전투에서 패한 후 한때 사라졌다가 1830년 다시 라파예트에 의해 등장하였다.원래는 깃대 쪽에 빨강이 있었는데, 1794년 국기로 공식 제정하면서 현재의 배열로 바뀌었다. 원래는 3색을 시각적으로 같은 크기로 보이게 하기 위하여 3색의 비율을 30:33:37로 불균등하게 나누었는데, 1946년 3등분으로 고쳤다. 절대왕조(絶對王朝)에 대항하여 일어난 시민혁명을 표상한 이 삼색기는 국민주권(國民主權)의 상징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알려졌다. 그 후 유럽에서는 절대왕조가 붕괴되고 속속 시민국가가 탄생하였는데, 이렇게 탄생된 시민국가의 국기 중 대부분은 프랑스 3색기의 영향을 받아서 제정된 것인데, 아일랜드의 국기가 그 좋은 예이다. 일찍이 영국에 대항하는 독립투쟁을 계속해 오던 아일랜드에서는 1848년 젊은 혁명지도자 T.F.메가가 프랑스로부터 녹색 ·흰색 ·오렌지색의 3가지 빛깔로 된 3색기를 가지고 돌아와서 국기로 하자고 주장한 일이 있으며, 그 해 프랑스의 2월혁명을 축하하면서 프랑스의 3색기와 함께 이 기를 전국에 게양하였다. 그 후 계속해서 이 기는 독립운동의 상징으로서 사용되어 오다가 1937년 독립선언과 함께 정식으로 국기가 되었다. 녹색은 가톨릭, 오렌지색은 프로테스탄트, 흰색은 양자의 결합과 우애를 표시한다고 한다. 그 밖의 나라에서도 그 나라 전통의 빛깔이나 국민들이 좋아하는 빛깔을 이용하여 3색기를 만들거나, 아니면 그 나라 독자적인 도안에다 프랑스 국기의 3색인 파랑 ·하양 ·빨강의 빛깔을 사용해 국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프랑스 3색기는 유럽뿐만 아니라 중근동(中近東) 및 중남미(中南美) 여러 나라에까지 크게 영향을 끼쳐 19세기 중기와 후기에는 식민 본국에 대한 독립투쟁의 상징으로서 3색기의 3가지 빛깔을 가지고 자국의 국기를 만든 나라들이 많다.아시아에서도 프랑스 3색기의 영향을 받았는데, 타이가 그 좋은 예이다. 타이는 근대화된 많은 나라들이 3색기를 사용하고 있는 데 자극을 받아 종래까지 사용해 오던 국기 대신 파랑 ·하양 ·빨강의 3가지 빛깔로 된 현재의 국기를 가지게 된 것이다. 한편, 신흥 아프리카 제국(諸國)의 국기들도 3색기를 가지고 있는 근대시민국가 또는 독립 전 그들을 지배하고 있던 본국 국기의 영향을 받아 제정된 것들이기 때문에 넓은 의미로는 3색기에 속하며, 실제로도 그들 대부분의 국기들은 3색기로 불리고 있다. 페루의 국기는 빨강 ·하양 ·빨강의 2가지 빛깔이지만 도안이 크게 3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3색기라고 한다.1794년제정
독일(GERMANY)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부터 검정·빨강·노랑(금색)인 가로형 3색기이다. 공식명칭은 '연방기'라는 뜻의 ‘Bundesflagge’이며, 독일어로 3색을 뜻하는 ‘Schwarz, Rot, Gold’라고도 부르나 독일인들은 일반적으로 간단히 독일 국기라는 뜻으로 ‘Deutschlandfahne’라고 부른다. 검정은 인권 억압에 대한 비참과 분노를, 빨강은 자유를 동경하는 정신을, 노랑은 진리를 상징한다. 3색의 유래에 대해서는 1813~1815년에 걸친 나폴레옹 전쟁시 옛 프러시아군(軍) 의용병의 복장색이라는 설과 다른 여러 설이 있다. 그리고 1832년 바바리아 헌법선포기념일에 수만명의 군중들이 독일통일을 외치며 이 깃발을 들었다는 사실도 있다.
역사적으로 검정·빨강·노랑의 3색기는 국기로서 3번 제정되었다. 1848년 통일 후 처음 채택하였으나 1852년 폐지되었으며 1867~1945년까지는 검정·하양·빨강의 가로형의 3색기가 등장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9년 바이마르공화국 수립과 함께 검정·빨강·노랑의 3색기가 다시 채택되었고 1933년 나치스 정권 장악과 함께 폐지되었다. 나치스 정권시대에는 빨강바탕에 하양원안에 갈고리 십자가 즉 이른바 하켄크로이츠 이른바 나치스문장이 새겨진 나치스깃발이 국기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1945년 나치스 독일의 패망 후 독일연방공화국(서독)은 1949년 5월 9일에 정부수립과 함께 바이마르공화국의 3색기를 정식국기로 부활하여 제정시켰다. 한편 동독도 독일민주공화국의 정부수립과 함께 바이마르공화국의 검정·빨강·노랑의 3색기를 국기로 제정하였다. 결국 동.서독은 1959년까지 바이마르공화국의 검정·빨강·노랑의 3색기를 동.서독의 단일국기로 게양하여 이를 사용하다가 1959년 동독(독일민주공화국)건국 10주년에 즈음하여 망치·컴퍼스·보리이삭이 그려진 형태의 소련의 문장을 모태로 디자인하여 만든 독자적인 문장(紋章)을 삽입하고 이를 추가해 서독 국기와 구별하였으나 1990년 이후 서독의 국기를 통일독일의 국기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문장이 새겨진 국기도 있는데 문장이 새겨진 국기는 정부청사와 국가기관,정부기관 그리고 관공서와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도 정식국기로 인정 되고 있다.1848년채택 그후 1919년 바이마르공화국 수립과 함께제정 그후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수립과 함께제정 그후 1990년 독일통일과 함께 국기로 제정
네덜란드
(NETHERLAND)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파랑의 3색기로서, 3색은 오라녜가(家)의 문장(紋章) 빛깔에서 택했다. 16세기 후반 오라녜가의 윌리엄공(公)이 스페인에 대해 독립운동을 일으키던 때에 처음으로 3색기가 사용되었는데, 윌리엄공을 따서 ‘공작 기’라는 뜻의 ‘Prinsenvlag’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당시에는 빨간 부분이 오렌지색이었으며 1630년 무렵부터 현재의 것으로 바뀌었다. 이후 프랑스가 점령하던 시기인 1795~1806년, 1810~1813년 및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독일에 점령되었던 1940~1945년을 빼고는 계속 같은 기를 사용하고 있다. 빨강은 용기를, 하양은 신앙을, 파랑은 충성심을 나타낸다. 1937년 2월 19일 빌레미나(Wilhelmina) 여왕의 영에 따라 제정하였으며, 국기에 관한 공식적인 법률은 없다. 지금의 국기는1796년에 등장했거나 1596년, 그리고 1630년에 등장했다는 설이 있음 하지만 지금의 국기가 국기로 사용되어 온 것은 분명함 그리고 그이후에 지금의 국기는 1937년에 정식으로제정
벨기에(BELGIUM)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검정·노랑·빨강의 3색기이다. 검정 바탕에 붉은 혀를 내밀고 깃대 쪽으로 기어오르는 황금색의 사자가 그려진 브라반트(Brabant) 공작의 문장(紋章)에서 유래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15:13으로,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특이한 경우이다. 1789년 12월 합스부르크가(家)에 대항하여 일어난 첫번째 혁명 이후 채택한 최초의 국기는 위로부터 빨강·검정·노랑으로 이루어졌다. 1815년 네덜란드에 병합되었으나, 1830년 8월의 혁명에 의해서 다음해에 독립하면서 프랑스 국기와 비슷한 현재의 형태대로 1월 23일 제정하였고 1936년 1월 28일 최종적으로 인증하였다. 그리고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이나 올림픽등과 같은 국제무대에서는 3:2비율의 국기를 사용한다.1831년제정
룩셈부르크(LUXEMBOURG)
문장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하늘색의 3색기이며 가로세로 비율은 5:3 또는 2:1로서 2가지 모두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룩셈부르크 대공가(大公家)의 문장(紋章)은 파란 줄무늬가 있는 은(銀)의 대(臺)에 빨간 사자(獅子)를 올려놓은 것이었다. 3색은 여기에서 취하였다. 18세기경부터 사용되었는데, 1845년 6월 12일 채택하였고 1972년 6월 23일 공식 제정하였으며 2001년 9월 14일 수정하였다. 3색 중 하늘색이 파랑인 것만 빼고는 네덜란드 국기와 매우 비슷하여, 배나 항공기에 게양할 때는 예전의 문장기를 사용하고 있다1845년채택 1972년에 정식으로 제정
이탈리아(ITALY)
국기의 뜻과 의미
이탈리아 3색기’라고 한다. 왼쪽부터 초록·하양·빨강의 세로형으로 된 3색기로 프랑스의 국기를 모방하여 만들었는데, 의미도 똑같이 '자유·평등·박애'이다. 3색이 아름다운 국토(초록), 알프스의 눈과 정의·평화의 정신(하양), 애국의 뜨거운 피(빨강)를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1796년 나폴레옹 1세가 이탈리아에 공화국을 설립한 후 3색기를 국기로 제정하였으며 이후 통일운동에도 사용되었고 통일 후인 1860년에 국기로 정식 제정하였다. 제정 당시에는 방패문양 으로 되어 있는 문장의 윗부분에 왕관을 새긴 왕실문장을 국기의 중앙에 삽입했는데 왕관이 없는 방패문양으로 된 형태의 문장도 국기로 사용 되었다. 그후 제2차 세계대전 후인 1946년 6월 19일에 이탈리아가 공화국으로 바뀌어 지면서 국기 안에 있던 문장(紋章)을 없애고 공화국의 정식국기로 새롭게 재제정하였다. 1860년에 처음으로 제정 그후 1946년에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제정
스페인(SPAIN)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노랑·빨강이 배치되어 있고 노랑은 빨강의 2배 크기이며 노랑에는 문장(紋章)이 있다. 노랑은 국토를, 빨강은 국토를 지킨 피를 나타낸다. 헤라클레스의 기둥이 든 문장은 옛날 에스파냐에 있었던 5왕국의 문장을 조합한 것이다. 1785년 5월 25일 카를로스 3세의 영에 의해 군함용 깃발로서 처음으로 만들어졌고 1843년 10월 13일 이사벨2세가 군기(軍旗)로 사용한 이래 국기로 사용하여왔으며 그후 지금의 국기는 스페인을 상징하는 깃발이자 국기로 정착 되었다. 그러나 1931년에 스페인이 공화국이 되면서 지금의 국기대신 빨강색.노랑색.보라색의 가로형 삼색기를 국기로 사용하였으며 빨강색.노랑색.보라색의 가로형 삼색기에 문장을 삽입한 국기도 국기로 사용 되었다. 그러나 빨강색.노랑색.보라색의 가로형 삼색기는 전혀 오래가지 않았으며 국기로서도 전혀 오래 쓰여지지 않았다. 그후 1939년에 내전에서 승리한 프랑코장군이 독재성향이 강한 파시스트정권을 수립하면서 지금의 국기를 국기로 부활 했다. 그대신 지금의 국기에 독수리문장이 삽입되었다. 그러한 형태의 국기는 프랑코정권시대때 마다 국기로 사용 되었다. 그러나 1975년 프랑코장군이 사망하고 파시스트정권이 무너지고 이나라의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 졌다. 이것은 국기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1975년 프랑코장군이 사망한지 그로부터 3년후인 1978년 12월 6일 헌법 제4조에 따라 공식 제정하였다. 그때 당시에는 독수리문장의 형태가 프랑코시대의 국기와는 약간 바뀌어 지고 변경되었으나 1981년 10월 19일 문장에 있던 독수리를 제거하는 등의 수정을 하여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수정하여 이를 새롭게 제정하였다. 이 나라의 각 자치주는 별도의 자치주 기(旗)를 제정하여 공식행사에서 사용하는 것이 허락된다. 그리고 문장이 없는 민간용국기도 정식국기로 인정 된다. 1785년 또는 1795년에 제정되었다는 기록이 있음 그러나 지금의 국기가 그시기부터 국기로 사용 된 것은 분명함 그후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여러차례의 수정 끝에 1981년 지금의 국기로 수정
포르투갈(PORTUGAL)
국기의 뜻과 의미
2:3으로 분할된 초록과 빨강의 직사각형이 수직으로 배열되었고 분할선 중앙에 포르투갈 문장이 들어 있다. 초록은 희망을, 빨강은 1910년의 10월 혁명의 피를 나타낸다. 문장은 천구의(天球儀)와 방패, 방패 안에는 다시 5개의 작은 방패를 그려넣어 십자가위의 수난(受難)을 나타냈으며, 그 밖에 무어인(人)과 싸웠던 7개의 성(城)이 그려져 있다. 국기와 문장 모두 1911년 6월 30일에 제정하였다. 1911년제정
그리스(GREECE)
바다의 기 육지의 기(백십자기)
(FLAG OF OCEAN) (FLAG OF LAND)
그리스(GREECE)
국기의 뜻과 의미
지금의 국기는 바다의 기로서 하양과 파랑의 9개 가로줄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었고 깃대쪽 상단에는 파랑 직사각형에 하양 십자가 있다. 파랑과 하양은 이 나라가 맞아들여 왕이 되었던 바바리아공(公)의 오토가문(家紋)에서 유래하였다. 파랑은 바다와 하늘을 나타내고, 십자는 이슬람·터키제국에 대한 기독교국가인 그리스 독립의 상징이었다. 9개의 줄은 1821년 시작된 독립전쟁 때 '자유냐 죽음이냐(Eleutheria e Thanatos)'라는 그리스어(語) 투쟁구호의 9음절을 나타내며, 또 독립전쟁이 9년 동안 계속되었음도 뜻한다. 국기는 시대에 따라 파랑과 하양의 가로줄만으로 된 바다의 기와 백십자기로 바뀌는 등 몇 차례 변경을 겪으며 되풀이 하다가 1978년 12월 22일에 현재의 기로 정해졌다. 가로세로 비율은 12:7이다.1822년제정 그후 시대상황과 정세변화 에 따라 수차례의 변경을 거듭한 끝에 1978년 지금의 국기로제정
아일랜드(IRELAND)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하양·귤색의 3색기이다. 초록은 가톨릭교도를, 귤색은 프로테스탄트교도를 나타내며, 하양은 이 둘의 결합과 우애의 표지(標識)이다. 프랑스혁명의 영향을 받아 혁명운동의 표지로 쓰였으며, 19세기 중엽부터 3색기가 나타났고 1848년 청년아일랜드운동(Young Ireland movement)의 기수인 토머스 프랜시스 미거(Thomas Francis Meagher)에 의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37년 12월 29일 제정하였다. 1937년제정
덴마크(DENMARK)
국가깃발/정부용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현존하는 국기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덴마크의 힘’이라는 뜻의 '단네브로그(Dannebrog)'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1219년 6월 15일 이도교인 에스토니아와의 싸움 때 출정하던 십자군에게 로마 교황이 수여한 기에서 유래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37(12:4:21):28(12:4:12)이다. 발데마르 2세(Waldemar II)가 리다니세 전투에서 에스토니아군(軍)에게 고전하고 있을 때 갑자기 하늘에서 빨강 바탕에 하양 십자가 그려진 깃발이 날아내려오면서 승리하였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15세기 이래 한 번도 바뀌지 않았으며, 이후 핀란드, 아이슬랜드, 노르웨이, 스웨덴등 북유럽 여러 나라의 국기에 영향을 미쳤다. .1625년제정
스웨덴(SWEDEN)
정부용국기/국가깃발(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1157년 국왕 에릭이 핀란드를 공격하기 전에 파란 하늘에서 금십자(金十字)를 보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하며, 옛 포르쿤가 왕조의 문장(紋章)에 기원한다는 설도 있다. 십자는 기독교국가임을 나타내며 십자기는 스칸디나비아제국 공통의 디자인이다. 가로세로 비율은 16:10이다. 칼마르동맹으로부터 독립한 1523년 구스타브 바사가 구스타프1세로 즉위하면서부터 사용하였다고 전해지며 오랫동안 색깔에 대한 규정은 따로 없었으나 1906년 6월 22일 색깔의 농도, 가로세로 비율 등을 공식으로 제정하였다. 1982년 스웨덴 국기법에 의해 재제정하였다. 1906년제정
핀란드(FINLAND)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 바탕에 파랑의 십자가가 가장자리까지 뻗쳐 있으며, 파랑은 이 나라에 유난히도 많은 호수를, 하양은 눈을 나타낸다. 십자기(十字旗)는 스칸디나비아의 일원임을 상징한다.
제정러시아로부터 독립한 지 6개월만인 1918년 5월 29일 제정하였고, 일부 수정된 현재의 형태는 1978년 5월 26일 제정하였다. 그리고 문장이 새겨진 국기도 있는데 문장이 새겨진 국기는 주로 정부기관과 국가기관,정부청사,관공서와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도 정식국기로 인정 되고 있다. 그리고 1917년 독립했을 때 제정러시아 국기의 위쪽에 있는 빨강을 빼고 파랑과 하양을 사용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1918년제정 그후 1978년에 일부를 수정
오스트리아(AUSTRIA)
문장형국기(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빨강이 배치되었는데, 1191년 레오폴드 헬덴섬(Leopold Heldenthum) 공(公)이 십자군 원정 때 프톨레마이스전투(Battle of Ptolemais) 에서 적군의 피를 뒤집어써, 갑옷 위에 걸친 흰 겉옷이 벨트 부분을 남기고 빨갛게 물들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한다. 프리드리히 2세(1210~1246) 공이 1230년에 처음으로 빨강·하양·빨강의 기를 채택하였다.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이나 정부 기관에서는 중앙에 독수리 국장(國章)이 새겨진 기를 사용한다.1945년제정
국기의 뜻과 의미
지금의 국기는 바다의 기로서 하양과 파랑의 9개 가로줄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었고 깃대쪽 상단에는 파랑 직사각형에 하양 십자가 있다. 파랑과 하양은 이 나라가 맞아들여 왕이 되었던 바바리아공(公)의 오토가문(家紋)에서 유래하였다. 파랑은 바다와 하늘을 나타내고, 십자는 이슬람·터키제국에 대한 기독교국가인 그리스 독립의 상징이었다. 9개의 줄은 1821년 시작된 독립전쟁 때 '자유냐 죽음이냐(Eleutheria e Thanatos)'라는 그리스어(語) 투쟁구호의 9음절을 나타내며, 또 독립전쟁이 9년 동안 계속되었음도 뜻한다. 국기는 시대에 따라 파랑과 하양의 가로줄만으로 된 바다의 기와 백십자기로 바뀌는 등 몇 차례 변경을 겪으며 되풀이 하다가 1978년 12월 22일에 현재의 기로 정해졌다. 가로세로 비율은 12:7이다.1822년제정 그후 시대상황과 정세변화 에 따라 수차례의 변경을 거듭한 끝에 1978년 지금의 국기로제정
국기의 뜻과 의미
지금의 국기는 바다의 기로서 하양과 파랑의 9개 가로줄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었고 깃대쪽 상단에는 파랑 직사각형에 하양 십자가 있다. 파랑과 하양은 이 나라가 맞아들여 왕이 되었던 바바리아공(公)의 오토가문(家紋)에서 유래하였다. 파랑은 바다와 하늘을 나타내고, 십자는 이슬람·터키제국에 대한 기독교국가인 그리스 독립의 상징이었다. 9개의 줄은 1821년 시작된 독립전쟁 때 '자유냐 죽음이냐(Eleutheria e Thanatos)'라는 그리스어(語) 투쟁구호의 9음절을 나타내며, 또 독립전쟁이 9년 동안 계속되었음도 뜻한다. 국기는 시대에 따라 파랑과 하양의 가로줄만으로 된 바다의 기와 백십자기로 바뀌는 등 몇 차례 변경을 겪으며 되풀이 하다가 1978년 12월 22일에 현재의 기로 정해졌다. 가로세로 비율은 12:7이다.1822년제정 그후 시대상황과 정세변화 에 따라 수차례의 변경을 거듭한 끝에 1978년 지금의 국기로제정
폴란드(POLAND)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과 빨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흰색과 빨간색은 1831년 11월 혁명을 계기로 폴란드를 상징하는 색이 되었고 1919년 다시 독립을 획득하면서 공식적으로 국가 색이 되었다. 하양은 환희를, 빨강은 독립을 상징하나, 국민의 결백성·성실성을 나타내는 흰색과 국가를 위해 흘린 피를 상징하는 빨간색을 조합(調合)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기본 형태는 10세기 말에 만들어졌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고, 중세에는 한때 빨강 바탕에 흰색 독수리 문장이 들어 있었다고도 하며 현재도 정부청사와 정부기관 그리고 국가기관 그리고 관공서와 군대에서 널리쓰이고 있는데 이것도 정식 국기로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또한 군사에 관한 기에도 독수리문장이 들어 있다. 현재의 빨강과 하양 형태가 나타난 것은 17세기부터이며, 중간중간에 하양과 빨강의 3, 4개 띠가 들어간 적도 있다고 한다. 현재 형태는 1918년 입헌공화국으로 탄생하면서 확정하였으며, 가로 대 세로 비율은 8:3이다. 1919년제정
체코공화국(CZECH REPUBLIC)
국기의 뜻과 의미
지금의 국기는 지난날의 체코슬로바키아국기를 지금의 국기로 계승하여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보헤미아와 모라비아는 예전의 대(大)모라비아 제국의 문장(紋章)에서 유래한 빨강과 하양이 국민색이었다. 1920년 2월 29일 슬로바키아 지방을 병합하여 독립했을 때 슬로바키아의 문장 색에서 딴 파랑색의 삼각형을 붙여 새 국기로 삼았다. 당시는 삼각형이 가로 길이의 1/3까지만 왔으나 3월 30일에는 1/2까지 늘였다. 파랑 삼각형의 뾰족한 부분은 아름다운 카르파티아 산맥을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992년 12월 17일 체코슬로바키아가 분리되기 직전에 체코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기를 국기로 채택했다. 그리고 1993년 1월1일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었고 그때인 1993년 1월1일 체코는 이전의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기를 정식국기로그대로 계승하고 이를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제정하였다1993년제정
헝가리(HUNGARY)
문장형국기(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하양·초록이 수평으로 배치된 3색기이다. 빨강은 힘, 하양은 성실함, 초록은 희망을 상징한다. 1848~1849년 오스트리아와의 독립전쟁 때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기본 패턴은 프랑스 혁명 때 사용된 프랑스의 3색기에서 기원했다고도 하나, 빨강·하양·초록의 기본색은 9세기 말경부터 나타났고 1608년 마티아스 2세의 통치기간 때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1945년까지는 국기 중앙에 왕관이 그려져 있었고, 1949년 공산화될 당시에는 중앙에 망치와 밀이 그려진 국장이 있었으나 1957년 헌법 개정으로 국장이 빠졌다. 그리고 1989년에 공산정권의 퇴진후 들어선 민주정부에 의해서도 국기로 인정되었다. 그리고 1989년 공산정권의 퇴진이후 전통적인 문장이 새겨진 국기도 부활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1848년등장하여 그후 여러차례 변화를 거쳐 1957년에 지금의 국기로 제정
슬로바키아(SLOVAKI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러시아국기와 똑같은 국기로서 위로부터 하양·파랑·빨강의 3색기이다.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이 나라의 국장(國章)을 배치하였다. 국장은 방패모양으로 빨강과 파랑 바탕에 특유의 흰색 십자가가 있다. 체코슬로바키아에 속하기 전인 1848년의 국기는 현재의 기에서 국장이 없는 3색만으로 이루어졌다. 1918년부터 베르사유조약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로 합병되었고, 1940년 런던의 망명정부 때에도 1848년의 3색기를 사용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분리 독립하기 한 해 전인 1992년 9월 1일 제정된 헌법에 의하여 1848년 당시의 기에 국장을 넣어 국기로 채택하고 이듬해인 1993년 1월 1일에 정식국기로 제정하였다.1993년제정
슬로베니아(SLOVENI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러시아국기와 똑같은 국기로서 위로부터 하양·파랑·빨강의 3색기로서 왼쪽 위에 이 나라의 국장(國章)을 배치하였다. 국장은 이 나라 최고봉인 트리글라브(Triglav)산(2,864m)을 형상화한 방패 모습이며 파랑 바탕에 흰색의 산으로 구성하였고 산 그림의 하단에는 바다와 강을 나타내는 2개의 파랑 물결선이 있다. 국장 상단에는 3개의 노란색 6각 별이 있는데, 14세기 말부터 15세기 초까지 대(大)슬로베니아왕조를 이룬 첼레(Celje) 백작 집안의 문장(紋章)에서 유래한 것이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연방공화국시대때에는 붉은 오각별이 국기의 중앙에 새겨졌으나 독립과 함께 삭제 되었다 그리고 1991년 6월 27일 내전을 거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제정하였다. 1991년제정
몰타(MALTA)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 위 귀퉁이의 빨강 테두리를 한 십자(十字)는 세인트 조지 십자(George Cross) 훈장으로, 제2차 세계대전 때 몰타 국민이 연합군에 가세하여 잘 싸웠기 때문에 영국 국왕 존 6세가 하사하였으며, 1943년 12월에 빨강과 하양만으로 된 기에 추가되었다. 빨강과 하양 2색기에 대한 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11세기에 사라센인(人)의 지배에서 몰타를 해방시킨 시칠리아의 로저(Roger) 백작의 기에서 유래하였다는 주장이 가장 일반적이다. 빨강은 정열을, 하양은 순수·정의·평화를 나타내며, 가로세로 비율은 보통 3:2이다. 1964년 9월 2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64년제정
키프로스(사이프러스) (CYPRUS)
그리스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의 모습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 바탕에 이 나라의 지도와 올리브나무잎을 배합하였다. 지도의 금색은 국가명(키프로스를 사이프러스라고도 한다)이 유래한 구리의 풍부한 생산을 상징하고 이나라의 단결과 통일을 상징하며, 올리브나무잎은 분쟁이 끊이지 않는 그리스, 터키 간의 평화와 화해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국민의 선택에 따라 그리스나 터키국기와 함께 게양하는 것이 인정된다. 가로세로 비율은 3:5이다. 당시 부통령의 제안으로 학교 교사에 의해 만들어진 후 1960년 8월 16일 초대대통령인 마카리오스3세가 대주교가 선정하여 제정하였다. 1960년제정
키프로스(사이프러스)국기를
그리스,터키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의 모습
그러나 1983년에 북키프로스터키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북쪽의 터키계가 터키국기를 본따서만든 백색바탕에 붉은초승달과 붉은별 새기고 붉은띠를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넣은 기를 만들면서 지금은 독립당시의 키프로스(사이프러스)국기대신 터키국기를 본따서만든 북키프로스터키공화국의 국기를 터키국기와 함께게양하고 있다.
라트비아(LATV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밤색·하양·밤색 띠가 배치되었고 각 띠의 비율은 2:1:2이다. 기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1282년 외국 침략자에 맞서 싸울 때 라트비아 의용군이 사용한 것이라는 주장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양은 자유로운 시민의 성실함 또는 진실과 정의와 자유를, 밤색은 전투에서 흘린 국민의 피와 국가 수호에 대한 단호한 결의를 상징한 것이다. 라트비아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또다시 피를 흘릴 준비가 되어 있다는 굳은 결의를 담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러시아와 스웨덴의 전쟁 결과로 1721년 이후 대부분의 영토가 러시아 통치하에 들어갔던 이 나라는 1918년 11월 18일 독립을 선포하였는데, 이때 현재의 기를 국기로 제정하였다. 당시 디자인한 사람은 안시스 시룰리스(Ansis Cirulis)이다. 1940년 8월 소련에 속하게 된 후에는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1988년 9월부터 이전 독립국시대의 국기가 다시 합법화되었으며 독립하기 1년 전인 1990년 2월 27일에 국기로서 공식 제정하였다. 1918년에제정 그후 1940년에 사용이 정지되었으나 1990년 국기로 부활하여 제정
리투아니아(LITHUAN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노랑·초록·빨강의 3색기이다. 노랑은 광명과 건강을 상징하는 태양 또는 농업을, 초록은 이 나라의 산림 등 자연을, 빨강은 활력을 상징하며 피와 대지(大地)의 빛깔을 나타내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5:3이다. 옛날에는 여러 가지 국기를 사용하였으나, 전통적인 국가색인 빨강·노랑·초록·하양 등에서 2~3색을 이용한 기가 대종을 이루었다. 현재의 기는 제1차 세계대전이후 독일에 병합되었던 이 나라가 1918년 4월 19일 독립을 선언하면서 제정하였으나, 1940년 스탈린 조약에 의해 소련에 병합된 후에는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후 빨강·하양·초록 바탕에 망치·낫·별이 국기의 깃대쪽의 윗부분에 그려진 기를 사용하다가, 1988년 지식인과 작가들 중심의 ‘리투아니아개혁운동(사유지스)’이 결성된 이후 1918년의 기를 다시 채택하였으며, 독립 회복을 선언하기 1년 전인 1989년 3월 20일 제정하였다. 그후 20004년에 가로세로 비율을 2:1에서 5:3으로 바꾸고 이를 수정 했다.1918년제정 그후 1940년 소련시대때는 사용이 정지 그후 1989년 국기로 부활 제정
에스토니아(ESTONIA)
국기의 뜻과 의미
옛 독립국시대의 국기를 부활시켰다. 위로부터 파랑·검정·하양으로 배치된 3색기이다. 19세기에 사용한 에스토니아학생동맹(Estonian University Student Association)의 깃발을 모태로 하여 이를 본떠 만들었다. 파랑은 전통적인 색깔로서 하늘·희망·우정·단결을 상징하고 검정은 대지를, 하양은 지나간 힘든 역사를 잊지 않겠다는 각오를 나타낸다. 1922년 6월 27일 제정하였고 1940년 소련(소비에트연방)에 강제로 편입한 후 사용되지 않다가 1990년 소련으로부터의 완전 독립을 선언한 후 8월 7일 새롭게 다시 부활해서 제정하였다. 가로세로 비율은 11:7이다. 1922년에 제정 그후 1940년 소련시대때는 사용이 정지 그후 1990년 독립과 함께 국기로 부활시켜 제정
노르웨이(NORWAY)
국가깃발/정부용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덴마크 국기의 하양 십자 안에 청십자를 겹쳤다. 노르웨이는 14세기 말부터 1814년까지 덴마크의 지배를 받았다. 가로세로 비율은 22(6:1:2:1:12):16(6:1:2:1:6)이다. 1821년 7월 13일 국회에서 처음 채택하였으나 동군연합(同君聯合)이라는 형태로 스웨덴에 합병되면서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후 민주화의 진척을 이루면서 1898년 국기에 관한 법률을 포고하였으며 1905년 국민투표에 의해 일방적으로 동군연합을 해체하고 완전 독립할 때 정식 제정하였다. 오른쪽 끝이 둘로 나뉜 기는 정부기로서 국경일(국경절)등에 공공기관이나 관청에서 게양한다.1905년제정
아이슬랜드(ICELANDS)
정부용국기/국가깃발(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이 나라는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사람들이 이주하여 세운 국가로서 국기도 스칸디나비아 제국과 같은 십자기이다. 파랑은 예로부터 사용해온 국민색이며 노르웨이와의 역사적 연관성으로 인해 십자의 빨강이 추가되었다. 파랑은 하늘을, 하양은 빙하를, 십자는 기독교 국가임을 나타낸다. 1915년 제정하였다. .1915년제정
안도라(ANDORR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지리적·역사적·정치적으로 프랑스와 스페인의 영향이 크다. 국기도 양국 국기를 조합한 빛깔로 되어 있다. 파랑·노랑·빨강의 3색기이며, 문장(紋章)의 방패 모양은 영주(領主)와 사제(司祭), 그리고 이 고장을 상징한다. 문장아래에는 라틴어로 "결합한 덕행은 더욱 강력하다."라고 씌어 있다. 그리고 국기는 문장이 있는 국기와 문장이 없는 국기로 되어 있다. 이들 문장이 있는 국기와 문장이 없는 민간용 국기는 모두 정식 국기로 인정 되고 있다.1866년 제정하였다. 1866년제정 그후 여러차례 변경 끝에 1939년 지금의 국기로 제정
모나코(MONACO)
국가깃발/대공기/문장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과 하양은 10세기에 이 지역에 들어온 제노바의 명문 그리말디(Grimaldi) 왕가(王家)의 전통적인 빛깔이다. 두 색의 사용은 1339년까지 거슬러올라가나, 시대에 따라 디자인은 변화를 겪어왔다. 17세기에는 빨강과 하양의 마름모꼴 문장기기(紋章旗)가 사용되었다. 가로세로 비율은 5:4 또는 3:2이다. 1881년 4월 4일 제정하였다. 인도네시아의 국기와는 비율만 빼고 동일하여, 인도네시아에서 이 나라의 국기 변경을 요구한 적도 있다고 한다. 1881년제정
산마리노(SAN MARINO)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이 나라는 유럽에서 가장 작고 가장 오래된 국가로서, 현재 국기는 1797년에 제정하였다. 하양과 하늘색의 2개 띠로 구성되었고 공화국임에도 불구하고 왕관이 포함된 문장(紋章)이 들어 있다. 하양은 순수함을 나타내고, 하늘색은 달마치아 지방의 석공(石工)이었던 성(聖)마리누스(마리노)가 종교적 박해를 받다가 4세기경에 이곳으로 피신해왔다는 건국신화에서 유래하는데, 그가 동료들과 함께 숨었던 티타노산(山)을 덮은 하늘과 아드리아해(海)를 나타낸다. 문장은 티타노산 세 봉우리에 서 있는 흰색 탑, '자유'라고 표시된 리본, 월계수와 떡갈나무의 가지와 왕관으로 되어 있다.1797년제정
바티칸시국(VATICAN)
국기의 뜻과 의미
국기인 동시에 교황기이기도 하다. 노랑과 하양은 1808년 이래 교황청 위병(衛兵)의 모표에 쓰였던 빛깔이다. 문장(紋章)은 금·은 2개의 열쇠와 교황관(敎皇冠)으로 되어 있는데, 열쇠는 '베드로의 열쇠'라 하여 마태복음 16장 19절에서 유래하였고 교황을 상징한다. 관의 3개 바퀴는 사제권(司祭權)·주교권(主敎權)·교도권(敎導權)을 나타낸다. 1825년 로마 교황 피우스 7세가 금색과 흰색으로 된 기를 처음 받아들였고, 이탈리아에 병합된 1870년까지 사용하였다. 1925년 6월 8일 이래 국기로서 공식 인정하였고, 1929년 이탈리아로부터 교황청 주변지역에 대한 주권을 인정받아 라테라노협약을 체결하면서 세계 최소 독립국이 된 이후에도 같은 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UN(United Nations:국제연합)등과 같은 국제무대에서는 3:2비율의 국기를 사용한다.1929년제정]
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
국가깃발/문장기/대공기 민간용국기(CIVIL FLAG)
(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과 빨강의 가로형 2색기이며, 깃대 쪽으로 상단에 왕관이 있다. 파랑은 빛나는 하늘을, 빨강은 불을, 금빛은 국민과 국가와 왕실이 정신적으로 단합되는 것을, 왕관은 통치자인 공작의 지위를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5:3이고, 기를 수직으로 게양할 때는 왕관이 똑바르게 서 있는 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파랑과 빨강의 가로형 2색기는 1921년에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그때당시의 국기는 지금과는 달리 왕관이 없었다. 그러다가 1921년에 제정된 국기를 1937년에 수정하였는데 그것은 1921년에 제정된 국기의 깃대부분 상단에 왕관을 새김으로서 이를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수정하고 이를 지금의 국기로 세롭게 제정하였다. 1921년제정 1937년에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수정하여 이를 제정
스위스(SWITZERLAND)
국기의 뜻과 의미
유럽 국가의 국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에 속한다. 십자는 기독교국가임을 뜻한다. 13세기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슈비츠(Schwyz)주(州)에 하사하여 자유의 상징으로 삼은 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백십자는 14세기 무렵부터 스위스군(軍)의 기치(旗幟)로 쓰여왔다. 국기는 전통적으로 자유, 명예, 충성을 나타내어왔으며, 현대에는 중립성, 민주주의, 평화, 보호도 상징한다. 1815년 22개주가 연방을 이루면서 국기로 사용되었고 1848년 정식 제정하였다. 국제적십자기기는 똑같은 모양에 색깔만 반대이다. 그리고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이나 올림픽등과 같은 국제무대에서는 3:2비율의 국기를 사용한다.1815년채택 1848년제정
불가리아(BULGAR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하양·초록·빨강의 3색기이다. 하양은 평화와 자유를 초록은 퓽요를 빨강은 용감한 군대를 의미한다. 러시아국기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국기로서 모습과 형태가 러시아국기와 유사하다. 1877년 S.파라스케보프(S.Paraskevov)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비슷한 시기인 오스만투르크로부터의 해방투쟁 때 게양되기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중앙에 사자와 ‘BULGARIA’라는 글씨가 씌어 있었으며, 1879년 4월 16일 헌법 23조에 의하여 국기로 제정하였다. 그후 1879년이래의 왕정시대때는 깃대윗부분에 1:1비율의 사각형모양으로된 빨강색 바탕에 사자문장을 삽입한 국기를 1879년의 국기와 함께 1944년까지 사용했고 1944년에는 국기중앙에 оф라는 키릴문자가 새겨진국기를 1879년의 국기와 함께 1947년까지 사용했고 공산국가 시절인 1947년부터는 왼쪽 위에 국장(國章)을 배치하였으나, 1990년 11월 국명이 불가리아 인민공화국에서 불가리아 공화국으로 변경된 후 1991년 7월 13일에 채택된 신헌법에 의해 국장 부분이 삭제되었다. 가로세로 비율은 5:3이다. 1879년제정 그후 여러차례 변경을 거듭하여 1990년에 1879년의 국기로 제정
루마니아(ROMANIA)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파랑·노랑·빨강의 3색기로서, 국기 이름도 3색이라는 뜻의 ‘트리쿨로리(Triculori)라고 한다. 파랑은 자유를, 빨강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애국자들의 피를, 노랑은 풍요를 상징한다. 3색은 예로부터 이 나라의 전통적인 깃발 색으로 이용되어왔으며 1940년대의 공산화 후에도 저항의 상징으로서 사용되었다. 3색을 국기에 처음 사용한 것은 프랑스혁명에 영향을 받아 일어난 1848년의 혁명 때로서, 당시는 빨강·노랑·파랑 순으로 가로로 나누어졌고 3색의 비율도 오늘날과는 달랐다. 그후 1866년에 지금의 형태로 바꾸었으며 1872년에 합스부르크 왕가의 카롤 1세가 루마니아의 국왕으로 취임하면서 왕실문장을 삽입한기를 사용 했다. 공산국가 시절에는 중앙에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문장(紋章)이 있었으나 1989년 민주화 혁명 당시에는 문장을 제거하고 타원형 형태로 비워두었다. 1990년 2월 27일 1872년 당시의 기를 다시 국기로 제정하였다.1990년에 1866년의 국기를 부활하여 제정
크로아티아(CROAT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파랑의 3색기로, 중앙에 빨강과 하양의 체크 무늬로 된 국장(國章)을 3색에 걸치도록 배치하였다. 이나라의 국기는 슬라브민족을 의미하며 가운데 문장은 크로아티아 지방의 중심적인 5개 지방을 상징한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시대 때에는 붉은 오각별을 국기의 중앙부분에 삽입 했으나 독립과 함께 삭제 되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945년 이래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공화국이었다가 1990년 12월 21일 주권선언을 하면서 채택되었고 다음해인 1991년 독립과 함께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1990년제정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BOSNIA AND HERZEGOVINA)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이슬람크로아티아연방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스르프스카 - 세르비아공화국
(REPUBLIC OF SRPSKA)
- 1 - - 2 -
국기의 뜻과 의미
오른쪽에 파랑 띠가 세로로 있고 그 왼쪽으로 노랑의 이등변 삼각형이 있다. 왼쪽으로는 삼각형을 따라 7개의 5각별이 삼각형의 밑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양 끝으로는 반만 보이는 별 2개가 있다. 파란색과 노란색은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와의 연합을 상징.별들은 유럽을 나타내고 있으며 위,아래의 잘려진 별들은 위아래가 완전한 별이 되며 유럽의 완성을 위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이전에는 지난 1992년 3월 독립당시의 국기로서 하얀 바탕에 백합문양들이 새겨진 파란 문장(紋章)을 넣은 기를 국기로 사용하였으나 1998년 2월 4일 현재의 기로 제정하였다. 보스니아 이슬람교도와 세르비아계·크로아티아계 등 3개 민족은 국기 및 국장(國章)의 디자인 결정과정에서 많은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1998년제정
마케도니아구유고슬라브공화국(F.Y.R OF MACEDONIA)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간 바탕에 8개의 금빛 햇살을 지닌 금빛 태양이 있고, 대각선·수평·수직으로 뻗은 햇살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진다. 일렉산더대왕의 아버지 필립2세의 문장을 상징한다. 태양의 반지름은 기 가로의 1/8이며, 기 전체의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992년 독립할 때 제정한 기는 16개의 햇살을 지닌 태양이었으나, 그리스가 마케도니아라는 국명이 그리스의 지방명이므로 국호로서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국기에 대해서도 알렉산더 대왕과 관련된 무늬이므로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발하였고 따라서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에서도 이 국기를 게양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그리스와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995년 10월 5일 햇살을 8개로 줄이고 태양의 형태도 일부 수정한 후 제정하였다.1995년제정
몬테네그로(MONTENEGRO)
버전형국기 - 1 (ALTERNATIVE FLAG VERSION - 1)
버전형국기 - 2 (ALTERNATIVE FLAG VERSION - 2)
몬테네그로국기의 모태가 된 깃발
몬테네그로의 전통기
- 1 - - 2 -
니콜라1세왕실기
- 1 - - 2 - - 3 -
국기의 의미와 뜻 2004년 6월에 새롭게 제정 발표된 몬테네그로의 국기는 몬테네그로의 전통적인 국기와 니콜라 1세(1860~1917)의 왕실기(王室旗)를 모태삼아 만든것으로서 왕실기에는 니콜라 1세를 가리키는 'НI'라는 이니셜이 키릴문자로 들어 있었지만 몬테네그로의 국기를 새롭게 만들고 제정하는 과정에서 삭제하고 이를 뺐다. 빨강색바탕에 두개의 머리위에 왕관을 쓰고 양발로 칼과 십자가를 잡고있는 황금색 쌍두독수리문장과 그안에 몬테네그로의 사자문장을 약간 수정시킨 새로운 유형의 파란색사자문장을 쌍두독수리문장의 가슴 부위에 삽입하고 주변 외곽둘레에 노랑색띠를 두르었다. 이나라의 독립과 독립국가로서의 부활를 의미하고 있다. 2004년제정
세르비아(SERBIA)
국가깃발(STATE FLAG)
국가깃발 - 1 국가깃발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범슬라브색의 삼색기로서 위로부터 빨강색,파란색,하양색의 가로형 삼색기를 만들었다. 그리고 지금의 세르비아국기는 세르비아왕국시대때부터 사용된 국기를 부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연방공화국시대때에는 세르비아왕국시대의 국기에 붉은 오각별이 국기중앙에 삽입 했으나. 1992년에 신유고연방의 수립과 함께 붉은 오각별을 삭제한 세르비아왕국시대의 국기를 지금의 국기로 부활하고 이를 새롭게 제정하였다. 그리고 국가문장이 삽입된 국기도 있는데 이것도 정식국기로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2004년에 지금의 국가문장이 삽입된 국기형태와 모습을 새롭게 제정하는등 문장이 없는 국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를 수정했다. 국기의 색깔은 물론 디자인은 러시아국기와 거의 비슷하고 유사하며 대신 색깔의 배치형태가 러시아국기와 다른 것이 특징이다.1992년제정 2004년에수정
유고슬라비아국기선집 (YUGOSLAVIA NATIONAL FLAG)
1. 유고슬라비아왕국시대 (1918-1945)
2. 유고슬라비아연방인민공화국-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시대 (1945-1992)
3. 유고슬라비아연방공화국-세르비아몬테네그로시대 (1992-2006)
유고슬라비아연방구성국국기 (1991년이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유고슬라비아국기의 모태가 된 깃발
세르비아국기 몬테네그로국기
크로아티아국기 슬로베니아국기
유고슬라비아왕국국가
유고슬라비아연방-세르비아몬테네그로국가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하양·빨강의 3색기로서, 3색은 1848년 범(凡)슬라브회의에서 채택된 범슬라브 색깔이며 러시아 국기에서 유래하였다. 그리고 세르비아,몬테네그로,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의 국기에서 쓰이는 색깔로 만든 국기이다. 파랑은 하늘을, 하양은 빛을, 빨강은 혁명과 민족의 피를 나타낸다. 1918년 유고슬라비아왕국이 건국하면서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왕국시대에는 국기중앙에 문장을 삽입한기도 국기로 사용되었다. 그후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연방공화국 국기는 중앙에 커다란 빨강 별이 하나 있었으나 1992년 6개 공화국 중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만으로 신유고연방을 구성하게 되면서 4월 27일 신헌법에 의해 현재 기를 새로 제정하였다. 그리고 2003년 2월에 유고슬라비아연방이 해체되고 나라이름을 지금의 세르비아몬테네그로라는 이름으로 바꾸고 이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두나라의 국가연합이 수립되면서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는 국제사회에서 이들 두나라의 단일기로 계속사용되어 오다가 2006년 6월 몬테네그로의 독립으로 인한 연방해체로 인해 이제 더 이상 국기로서의 가치와 존재이유가 없어 지게 되었다.
알바니아(ALBANIA)
국기의 뜻과 의미
이 나라의 영웅으로서 15세기에 이 나라 출신의 터키 장군이었으며 후에 터키에 대항하여 싸운 스칸데르베그(Skanderbeg)의 생가인 카스트리오타(Castriota)가(家)의 깃발에서 유래하였다. 빨강 바탕에 검정 독수리를 배치하였으며 독수리의 2개 머리는 이 나라가 동양과 서양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이것이 바로 스칸데르베그의 독수리라고 부른다. 그리고 알바니아가 두 개의머리를 가진 독수리의 후손임을 상징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7:5이다. 왕정 시대에는 국기의 윗부분에 모자를 새긴 국기를 공산정권시대때에는 윗부분에 붉은별을 새겼다. 그후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 물결 이후 1992년 4월 7일 알바니아공화국으로 나라이름을 변경하면서 지금의 국기를 국기로 제정하였다. 1992년제정
코소보(KOSOVO)
코소보 알바니아계깃발(KOSOVO ALBANIA FLAG)
코소보 세르비아계깃발(KOSOVO SERBIA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코소보의 국기는 파랑색바탕에 6개의 민족인 알바니아,세르비아,터키,로마-집시,고라니,보스니아인을 상징하는 6개의 하양색 오각별을 삽입했다. 그리고 6개의 하양색 오각별 아랫부분에는 노랑색으로된 코소보지도를 삽입했는데 코소보전체의 독립과 6개민족의 연대 그리고 코소보가 유럽의 일부임 동시에 유럽의 단결과 통합을 상징한다. 코소보의 국기는 국제연합(유엔)기와 코소보의 독립을 직간접적으로 도와주고 이를 후원한 유럽연합의 국기를 모태로삼아 만들었다. 독립선언과 함께 제정된 코소보의 국기는 일반공모를 통해 제정된 것으로서 특정민족의 민족주의적 내용을 배제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빨강색바탕에 검정색 쌍두독수리문양을 삽입한 알바니아의 국기와 빨강색,파랑색,하양색의 가로형 삼색기인 세르비아의 국기와 엇비슷한 형태와 도안은 결국 배제되었다. 사실 코소보는 원래의 이전부터 스스로의 독자적인 상징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내용의 깃발이 사실상 없었거나 아예 없었다. 결국 코소보의 다수민족인 알바니아인들은 알바니아의 국기를 소수민족인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의 국기를 사용해왔다. 그리하여 독립선언과 함께 게양된 코소보의 국기는 독립선언 바로전인 2008년 2월4일에 코소보 국회의 정식승인을 거쳐 정식으로 제정되었다.
2008년제정
몰타기사단 (SMOM)
(SOVEREIGN MILITARY ORDER OF MALTA)
국가깃발(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바탕에 8개의 꼭지점을 가진십자가문양을 기의 중앙에 삽입한 깃발이다. 기의 빨강색바탕중앙에 삽입한 8개의 꼭지점을 가진 십자가문양은 몰타십자가로서 교황 파스칼2세가 몰타기사단에 부여한 8가지의무와 임무를 상징한다. 몰타기사단의 국기이자 깃발은 2가지로서 빨강색바탕 중앙에 8개의 꼭지점을 가진십자가문양인 몰타십자가를 삽입한 깃발과 빨강색바탕에 하양색의 백십자를 삽입한 깃발이 있는데 현재 빨강색바탕 중앙에 8개의 꼭지점을 가진십자가문양인 몰타십자가를 삽입한 깃발은 정식국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빨강색바탕에 하양색의 백십자를 삽입한 깃발은 국가깃발로 사용되고 있다.
국기제정시기는 2가지의 시기로 나누어 진다. 먼저 붉은 백십자기는 1113년에 제정 그리고 붉은바탕의 몰타십자기 즉 몰타십자기는 1305년에 제정
지브롤터(GIBRALTAR)
국가깃발(STATE FLAG)
국기의 의미와 뜻
하양색과 빨강색의 가로형 2색기에 세개의 탑이있는 성곽이 달려있는 황금열쇠가 새겨져 있다. 하양색과 빨강색으로된 가로형 2색기로서 윗쪽의 하양색뷰뷴이 약간 더 많은면적을 차지하고 있다1982년제정
페로제도(FAEROE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색은 거품이 이는바다와 푸른하늘을 빨강색과 파랑색이결합되고 파랑색을 두른 빨강색십자가는 북구여러나라와의 연대를 의미한다.1940년채택 그후 1948년에 공식적으로 제정
잉글랜드(ENGLAND)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색바탕에 빨강색 십자가를 새긴기를 만듬 성죠지기(세인트죠지기)라고 부른다. 잉글랜드의 수호성인 성죠지(세인트죠지)에게 바친것에서 유래되었다. 1191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606년에 그레이트 유니언기가 제정될 때 함께 제정되었다.1606년제정
스코틀랜드(SCOTLAND)
문장기(ALTERNATIVE FLAG)
국기의 의미와 뜻
파랑색바탕에 X자형 하양색십자가를 새긴기를 만듬 성앤드류기(세인트앤드류기)라고부른다. 스코틀랜드의 수호성인인 성앤드류(세인트앤드류)에서 유래되었다. 1165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져 고안되었으나 정작 처음에는 검은깃발이 사용되었다. 1503년에 빨강색바탕에 X자형으로 되었다가 1512년에 파랑색과 하양색의 2가지색으로 확정,통일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그리고 파랑색과 하양색은 북유럽 바이킹 노르만족의 전통색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512년제정
웨일즈(WALES)
국기의 의미와 뜻
하양색과 초록색의 가로형 2색띠로 되어있는 2색기에 빨강색으로된 붉은용을 새긴기를 만듦 이 깃발은 오래전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온 깃발 이라고 하며기에 새겨진 붉은용은 고대 로마제국시대때 부터 힘의 상징으로 여겨져왔으며 7세기대 웨일즈왕국의 귀네드왕의 문장에도 사용되었을 만큼 오랜역사를 자랑한다.1959년제정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의미와 뜻
잉글랜드기인 성죠지기(세인트죠지기)에 영국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얼스터지역의 문장을 새긴기를 만들었다. 1922년에 얼스터지역이 지금의 북아일랜드로 남기로 결정할 때 만들어진것으로서 영국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하양바탕에 빨강색 X자형 십자가를 새긴기인 성패트릭기(세인트패트릭기)를 잉글랜드의 성죠지기(세인트죠지기)로 바꾸고 중앙에 영국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빨강색 손바닥을 하양색 6각별의 중앙에 삽입하고 6각별위에 영국국왕(영국여왕)의 왕관을 삽입했다. 잉글랜드의 성죠지기(세인트죠지기)중앙의 6각별은 북아일랜드의 6개지역을 상징하며 6각별중앙에 삽입된 빨강색 손바닥은 고대 얼스터깃발에서 유래되었으며 얼스터 배너라고 불리운다. 빨강색 손바닥에서의 손바닥은 항해도에 나타나는 형태의 문양으로서 그유래는 분명하지도 않다. 하지만 예로부터 서아시아각지에서 파티마의 손이라고 불리우는 악귀를 퇴치하는 부적이 도형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리고 구양성서에도 기록되어 있지만 서양에서는 우상적표현을 피하기위해 손으로만 최고신을 표현하는 전통과 풍속있었는데 그것이 성서위에 손을 언고 선서하는 기독교의 관행으로 정착되었다. 특히 오른손은 신성함과 행운의 상징을 뜻한다.1953년제정
맨섬(ISLE OF MAN)
국기의 의미와 뜻
빨강색바탕에 세 다리가 대퇴부 위에서 서로 부착되고 발은 시계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세 다리에 하양색 갑옷이 입혀져 있는데 그것은 박차가 달린 황금장식이 달려 있다. 그리고 이섬의 창조주로서 다리가 세개이기도한 해신 마라난의 전설에서 유래된것으로서 어디에 던져도 착지가 가능한 정신적 안정을 의미한다. 이것을 트라나리아문장 이라고 불리운다. 그리고 트라나리아문장을 삽입한 이깃발을 트리나리아기라고 부른다.1968년제정
유럽연합(EUROPEAN UNION)
전체가맹국
1. 영국 2. 프랑스 3. 독일 4. 네덜란드 5. 벨기에 6. 룩셈부르크 7. 이탈리아
8. 스페인 9. 포르투갈 10. 아일랜드 11. 덴마크 12. 그리스 13. 오스트리아
14. 스웨덴 15. 핀란드 16. 폴란드 17. 체코공화국 18. 헝가리 19. 슬로바키아
http://www.peaceeye2002.com.ne.kr/
20. 슬로베니아 21. 라트비아 22. 리투아니아 23. 에스토니아 24. 몰타
25. 키프로스(사이프러스) 26. 불가리아 27. 루마니아
아프리카
이집트(EGYPT)
(ARAB REPUBLIC OF EGYPT)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부터 빨강·하양·검정의 3색기이며 하양에 ‘살라딘(Saladin)의 독수리’라고 하는 문장(紋章)이 있다. 빨강은 혁명과 투쟁의 피를, 하양은 평화 또는 밝은 미래를, 검정은 칼리프시대의 영광 또는 지난날의 암흑시대를 나타낸다. 1958년 시리아를 합병하여 아랍연합공화국을 결성하였을 때 하양 안에 초록 별 2개가 있는 국기를 제정하였다. 1971년 이집트·시리아·리비아의 3국은 아랍공화국연방을 결성하여, 같은 국기·국장(國章)를 쓰기로 하고 하양 바탕의 별 2개를 매로 대체한 후 다음해 1월 연방기로서 정식으로 게양하였다. 1984년에는 매를 금색 독수리로 대체하였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리비아(LIBYA)
(LIBYAN ARAB JAMAHIRIYA)
국기의 뜻과 의미
1969년9월 왕정타도쿠데타로 독립당시의 국기,국가,국장을 폐지하고 새로운국기인 빨강색,하양색,검정색의 가로형 삼색기와 지금의 새국가와 새국장을 제정 했다. 그후 1971년 이집트·시리아와 함께 아랍공화국연방을 결성한 후 같은 국기·국장(國章)를 사용하였는데, 1977년 이집트의 이스라엘 접근 정책에 반발하여 아랍공화국연방의 국기를 폐지하고 이슬람을 상징하는 색깔인 초록의 한 색만으로 된 기를 국기로 제정하여 이를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초록은 이슬람권의 여러 국민에게는 신성한 빛깔이며 이나라의 지도자 가다피가 주장하는 녹색혁명의 상징이기도 하다. 1977년제정
특기사항
리비아의 정식국명은 다른 이름으로는 이렇게 부르고 있다.
대리비아사회주의인민아랍국
위대한리비아사회주의인민아랍국
위대한사회주의인민리비아아랍국
영문국호
GREAT SOCIALIST PEOPLE'S LIBYAN ARAB JAMAHIRIYA
알제리(ALGERIA)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과 하양 바탕에 있는 빨간색의 초승달과 5각 별은 이 나라의 국교(國敎)인 이슬람교의 상징이며, 초록은 번영을, 하양은 평화를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프랑스의 식민이 시작된 1837~1847년 동안 저항운동을 하던 에미르 압델 카데르(Emir Abdel-Kader) 세력의 깃발을 변형한 것이라고 하며, 1928년 민족지도자인 메살리 하지(Messali Hadj)가 현재와 같은 모양으로 디자인하였다. 1954년의 NLF(National Liberation Front:민족자유전선)의 기로서 채택되었고 1958~1962년 동안 임시정부의 기로서 사용되다가 독립할 때인 1962년 7월 3일 국기로 공식 제정하였다. 1962년제정
튀니지(TUNISI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 바탕의 하양 원 안에서 빨강 초승달이 역시 빨강 별을 거의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다. 하양 원은 태양을 나타내며 별과 달은 이슬람교의 전통 상징이다. 초승달이 고대 튀니스 근방에 식민(植民)을 했던 페니키아인(人)의 여신의 상징이라는 설도 있다. 1835년 이 지방을 지배하고 있던 터키인이 터키의 기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었으며, 1959년 6월 1일 헌법에 의해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1959년제정
모로코(MOROCCO)
큰별삽입형국기(BIG STAR VERSION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 바탕에 초록 선으로 그려진 5각별이 있다. 빨강은 모로코 국민의 조상인 알라위트가(家)의 깃발색에서 유래하였으며, 순교자의 피와 왕실을 의미하고 초록색은 평화와 자연을 의미한다. 별의 5개 각은 이 나라의 국교(國敎)인 이슬람교의 5가지 율법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문장은 주술의 도장 및 수호도장으로 쓰인다. 따라서 국가의 안녕과 신에 대한 옹호로도 해석된다. 붉은 기는 17세기부터 쓰였는데, 1912년 다른 많은 붉은 기와 구별하기 위해 '술레이만의 별'이라는 표지를 붙였다. 그리하여 이 기는 1912년 에 채택되고 그후 1915년에 술레이만의 별을 새긴 이 기를 지금의 정식국기로 제정되었다.1912년에 채택 1915년에 제정
모리타니(MAURITANIA)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 바탕에 노란색의 5각별과 초승달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아프리카에서의 위치, 이슬람교에 대한 신앙, 모리타니 이슬람공화국(Repulique Lslamique de Mauritanie)이라는 국가명을 강조한다.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교를 상징하며 초록은 사하라사막을 푸른 들판으로 만들겠다는 희망을 의미한다. 초록·노랑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며,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프랑스 공동체 내의 자치 공화국이었다가 1960년에 독립 했다 그리고 지금의 국기는 독립하기 1년 전인 1959년 4월 1일 정식으로 제정하였다.1959년제정
수단(SUDAN)
국기의 뜻과 의미
1970년 혁명정권에 의해 독립당시의 파랑·노랑·초록의 가로형 3색기를 폐지하고 새로 제정된 국기로, 빨강은 이 나라와 대아랍국토(Great Arab Land)에서 희생된 사람들의 피와 혁명을, 하양은 이슬람교와 평화와 미래에의 기대와 빛을, 초록은 이슬란교의 번영과 행복과 농업을, 검정은 블랙 아프리카의 빛깔이며 혁명을 상징하기도 한다. 1976년 새로운 국기법에 의하여 파랑·노랑·초록의 3색기에서 현재의 기로 바꿔 제정하였다. 1970년제정
세네갈(SENEGAL)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초록·노랑·빨강의 3색기로서 이 3색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다. 초록은 이슬람교와 농업과 희망을, 노랑은 부(富)와 경제발전과 숭고한 문화적 원천을, 빨강은 독립을 위한 용기와 희생과 투쟁을 나타낸다. 그밖에 3색이 UPS(Union Progressiste Senegalaise:세네갈 진보동맹)로 통합하기 이전의 3당을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1960년 6월 프랑스에 의해 말리와 함께 연방으로 구성되었다가 같은 해 8월 20일 세네갈공화국으로 분리·독립하였을 때 연방기였던 3색기의 흑인상(黑人像, kanaga) 대신에 UPS의 당장(黨章)인 5각 초록별을 붙였다. 그 빛깔은 농산물의 풍요를 나타내며, 별은 통합과 희망과 빛과 지식을 상징한다.
1960년제정
감비아(GAMB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하양·파랑·하양·초록의 4색기이며 빨강은 선린우호(善隣友好) 또는 높이 솟은 태양을, 파랑은 이 나라 전체를 따라 흐르며 생활에 매우 중요한 감비아강(江)을, 초록은 농업과 국토를, 하양은 감비아 강가의 주요 도로 또는 평화와 순수를 나타낸다. 1821년 영국의 식민지가 된 후에는 영국의 국기인 유니언 잭이 들어 있는 기를 사용하였으며, 거의 1세기 반 만에 독립을 맞은 1965년에 지금의 국기를 제정하였다.1965년제정
기니비사우(GUINEA-BISSAU)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노랑·초록의 3색기이며, 빨강 바탕에 커다란 검정 5각별이 있다. 초록·노랑·빨강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로서, 빨강은 해안지방과 포르투갈과의 투쟁을, 노랑은 북부의 사바나와 풍요를, 초록은 남부의 삼림지방과 농업을 나타내며, 검은 별은 아프리카의 상징이자 국민과 그 단결을 나타낸다. 1956년에 조직되어 1973년 일방적으로 독립선언을 했던 PAIGC(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아프리카독립당)’의 기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간혹 3:2인 경우도 있다.1973년제정
카보베르데(CAPE VERDE)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하양·빨강의 3색기이다. 파랑은 바다와 하늘의 무한한 공간을, 하양은 평화를, 빨강은 평화를 위한 노력을 나타낸다. 왼쪽 중앙의 약간 아래쪽에 10개의 노란색 5각별이 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대서양의 적도 가까이에 있는 이 나라의 섬들과 통합을 형상화한 것이다.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였고 국가 통합 문제로 갈등을 빚던 기니비사우 와 1981년 공식 결별한 후에도 비슷한 모양의 국기를 사용하다가 이나라의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1992년 9월 22일 지금의 새국기를 현재의 국기로 제정하였다.1992년제정
12.기니(GUINEA)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부터 빨강·노랑·초록의 3색기이다. 초록·노랑·빨강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인데, 빨강은 독립투쟁에서 흘린 피를, 노랑은 황금과 태양을, 초록은 농업·삼림·나뭇잎·번영을 나타낸다. 1958년 11월 10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이 나라와 함께 1960년 UAS(Union of African States:아프리카국가연합)을 형성한 말리와 가나의 국기는 3색이 각각 왼쪽으로부터 초록·노랑·빨강, 위로부터 빨강·노랑·초록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서로 매우 흡사하다. 1958년제정
13.
라이베리아(LIBERIA)
국기의 뜻과 의미
기의 모양에 따라 '고독한 별(Lone Star)'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이 나라는 미국이 해방노예를 식민(植民)시켜 세웠으며, 국기도 성조기를 본떠서 만들었다. 11개의 줄은 독립선언서와 헌법에 서명한 11명을 나타내고, 파랑은 아프리카대륙과 성실과 충성을, 빨강은 용기를, 하양은 순수를, 1개의 커다란 5각별은 독립 당시에 이 나라가 아프리카에서 유일한 흑인 독립국가였음을 나타낸다. 1847년 8월 24일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847년제정
14.
시에라리온(SIERRA LEONE)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하양·파랑의 3색기이다. 초록은 농업과 천연자원과 산을, 하양은 통일과 정의를, 파랑은 이 나라 유일의 천연 양항(良港)이자 수도인 프리타운(Freetown)이 세계평화에 공헌하기를 바라는 희망을 나타낸다. 1889~1961년 동안의 영국 식민 기간에는 한쪽에 영국 국기인 유니언 잭이 들어 있는 파랑 국기를 사용하였으며, 독립하기 한 해 전인 1960년에 현재의 기를 제정하였다.1960년제정
15.코트디보아르(아이보리코스트)(COTE D`IVOIRE)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부터 귤색·하양·초록의 3색기이다. 귤색은 국민의 명랑성과 북부의 대초원을, 하양은 청순함을, 초록은 풍부한 원시림을 나타낸다. 3색이 일체가 되어 결합·질서 및 노동에 의한 활동적인 젊음을 상징한다. 프랑스의 3색기를 본따 디자인하였으며 프랑스에서 독립한 1960년 11월 3일 헌법 제1조 2항에 의해 제정하였다. 1959년제정
가나(GHAN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노랑·초록의 3색기로서 중앙에 아프리카의 통일과 자유의 길잡이인 검은 별이 있다. 초록·노랑·빨강은 이 나라가 에티오피아와 함께 국기색으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며, 가나는 아프리카대륙에서 다른 나라보다 일찍 독립하였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국기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노랑은 황금 또는 과거의 번영했던 시절 및 앞으로 부국이 되리라는 희망을, 빨강은 독립투쟁의 피를, 초록은 농업과 삼림(森林)을 나타낸다. 1957년 제정하였다. 이 나라와 함께 1960년 UAS(Union of African States:아프리카국가연합)을 형성한 말리와 기니의 국기도 3색의 배열 순서만 다를 뿐 비슷하다.1957년제정
토고(TOGO)
국기의 뜻과 의미
4가지 색은 모두 널리 알려진 범(凡)아프리카적 색채로서, 빨강은 독립를 위해 흘린 피를, 초록은 희망을, 노랑은 국가 통일을, 하양은 평화·지혜·위엄·빛을 상징한다. 이와 달리 각 색이 박애, 국민과 농업, 신념, 순결을 상징한다는 설도 있다. 별은 생명을 상징하며, 초록과 노랑을 5개 띠로 배열한 것은 토고의 5개 지역을 나타낸다. 공모로 디자인을 정하여 1960년 4월 27일 제정하였다. 1960년제정
베냉(BENIN)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은 산림·사바나·희망·부흥을, 노랑은 향상을,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와 조상들의 용기를 나타낸다. 초록·노랑·빨강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다.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 속하여 있다가 1959년 다호메이(Dahomey) 공화국으로 독립하면서 국기로서 제정하였으나, 1975년 대통령 M.케레쿠가 공산 독재정치를 시행하고 국명을 베냉 인민공화국으로 바꾸면서 국기도 초록 바탕에 빨강 별이 있는 국기로 바꾸었다. 1990년 공산주의적인 레닌주의 노선 탈피를 선언하고 국명을 다시 베냉 공화국으로 바꾸면서 독립 당시의 국기로 환원하였다. 1959년제정 그후 1975년새국기를 제정 했다가 1990년 새로이 부활하여 제정
말리(MALI)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부터 초록·노랑·빨강의 3색기로서, 3색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다. 초록은 자연과 농업을, 노랑은 순결과 풍부한 처연자원을, 빨강은 독립을 위하여 흘린 피와 용기를 나타낸다. 1960년 말리연방으로 독립했을 때 국기의 중앙에 있던 흑인상(黑人像, kanaga)은 세네갈이 연방에서 탈퇴하면서 인간 형상의 우상을 없애라는 이슬람 세력과 이슬람 지도자들의 압력으로 인해 1961년 3월 1일에 없앴다. 1961년제정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
큰별삽입형국기(BIG STAR VERSION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은 혁명을, 초록은 농업과 임업을, 노랑 5각별은 희망과 천연자원을 나타내며, 3색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다. 이 나라는 1913년 프랑스의 독립 식민지인 오트볼타가 되었고, 1960년 오트볼타 공화국으로 독립하였을 때는 볼타강을 표현하고 이를 상징하는 뜻을 가진 검정·하양·빨강 띠로만 이루어진 가로형 3색기를 사용하였다. 1984년 8월 사회주의국가인 부르키나파소로 국명을 변경하면서 8월 4일 현재의 국기로 바뀌었다. 1984년제정
니제르(NIGER)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오렌지색·하양·초록의 3색기이며, 중앙에 오렌지색 원이 있다. 오렌지색은 독립혁명 및 이 나라 북쪽 경계선을 이루는 사하라사막을, 하양은 평화·순수·희망 및 사바나지역를, 초록은 발전과 번영 및 남쪽·서쪽의 푸른 초원과 그것을 유지하게 해주는 니제르강(江)을, 동그라미는 태양을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며 간혹 정사각형에 가까운 7:6인 경우도 있다. 1959년 프랑스에서 독립할 때 제정하였고 다음해 헌법에서 추인하였다. 인도국기와 비슷하다.1959년제정
나이지리아(NIGERIA)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초록·하양·초록이 배치되었고 이 3부분은 북부의 하우사족(族)과 풀라니족, 남동부의 이보족, 남서부의 요루바족을 나타낸다. 초록은 풍부한 농산물와 농지를, 하양은 평화와 화합을 나타낸다. 독립할 즈음에 국기 디자인을 공모하였는데, 2,870점의 작품 중에서 마이클 타이워 아킨쿤미(Michael Taiwo Akinkunmi)라는 학생이 제출한 작품이 선택되었다. 1960년 영국연방의 일원으로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60년제정
카메룬(CAMEROON)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빨강·노랑의 3색기이며, 3색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이다. 초록은 남부의 삼림지대 또는 희망을, 빨강은 중부의 경작지대 또는 통일을, 노랑은 북부의 사바나 또는 태양을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1972년 카메룬연방공화국을 연합공화국으로 바꾸었고, 1975년 초록에 있던 2개의 노랑 별을 1개의 빨강 별로 고치면서 공식 제정하였다. 1975년제정
상투메프린시페(SAO TOME AND PRINCIPE)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초록·노랑·초록이 배치되었고 노랑은 초록의 1.5배 크기이며 깃대 쪽 빨강 삼각형의 높이는 기 세로의 1/2 길이이다.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애국자의 피를, 노랑은 국토를, 초록은 이 나라의 주요산물인 카카오 재배지를 둘러싼 삼림과 바다를, 검정은 블랙 아프리카의 일원임을 의미하며 2개의 5각 별은 상투메섬[島]과 프린시페섬을 상징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963년에 포르투갈 해외주(海外州)가 되었다가 1975년 독립하면서 11월 5일에 제정하였다. 1975년제정
적도기니(EQUATORIAL GUINE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은 농업을, 하양은 평화를, 빨강은 독립을 위하여 흘린 피를, 파랑은 풍부한 물과 바다를 나타낸다. 문장(紋章)에는 스페인어(語)로 '통일·평화·정의'라고 씌어진 리본이 그려져 있고 문장 위에는 본토와 섬을 나타내는 6개의 6각 별이 있다. 1968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제정하였고 1972부터 프란시스코 응궤마가 종신대통령으로서 독재정치를 펴는 동안 문장이 바뀌었으나 1979년 8월 21일 새 정권이 들어서면서 다시 이전 기로 제정하였다. 1968년제정
가봉(GABO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초록·노랑·파랑의 3색기이다. 초록은 밀림을, 노랑은 태양 또는 적도를, 파랑은 바다를 상징한다.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기 1년 전인 1959년 채택하였을 때는 깃대쪽 상단에 프랑스의 3색기가 들어 있었으나, 1960년 8월 현재의 모습으로 변경하였고 1961년 공식 제정하였다. 아프리카에서 헌신적 봉사활동을 한 알베르트 슈바이쳐는 이 나라(당시는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에서 병원을 세우고 의료봉사를 하면서 오고우에강(江)의 물소리와 밀림의 침묵 등 아프리카 생활의 회상을 담은 《물과 원시림 사이에서 Zwischen Wasser und Urwald》(1921)라는 책을 썼는데, 국기 디자인은 이 저서의 광경을 그대로 형상화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1959년제정 다음해인 1960년 새로이 바꾸어 제정
콩고공화국(CONGO - BRAZZAVILLE)
(REPUBLIC OF CONGO)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노랑·빨강의 3색기로서, 이 3색은 에티오피아와 가나에서 최초로 사용한 범(凡)아프리카 색깔이다.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1958년 8월 18일 제정하였다. 응구아비정권에 의해 콩고인민공화국이 시작되었던 1969년 12월 30일부터는 빨강 바탕에 5각별과 해머를 노랑색으로 염색한 붉은 기를 사용하였으나 1991년 6월 10일 현재의 국기(초록·노랑·빨강)로 다시 환원하였다1958년제정 그후 1969년에 다른 국기가 제정되었으나 1991년에 새롭게 부활하여 제정
콩고민주공화국(CONGO - KINSHASA)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국기의 뜻과 의미2006년 새헌법의 제정발표과 함께 새롭게 제정발표된 콩고민주공화국의 새국기는 1966년부터 1971년 자이레(자이르)공화국으로 나라이름을 바꾸는 것은 물론 국기,국가,국가문장을 새로이 바꾸어 제정할 때 까지 사용된 국기를 모태로 하여 제정했다. 밝은 파랑색 바탕에 노랑색띠로된 테두리를 양옆에 두른 빨강색띠를 깃대부분 왼쪽아래로 부터 시작해서 오른쪽 위쪽부분 까지 그려져 있으며 밝은 파랑색에 노랑색큰별이 깃대부분 왼쪽 윗부분에 그려져 있다. 밝은 파랑색은 아프리카의 푸른하늘과 자유를 발강색은 독립과 자유 그리고 정의를 위해싸운 피와 국민을 노랑색과 노랑색별은 아프리카의 민족정신과 민족의식과 아프리카의 문명과 독립의식과 정신을 상징한다. 2006년에 제정
차드(CHAD)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파랑·노랑·빨강의 3색기이다. 파랑은 하늘·희망·농업과 국토의 남부지역을, 노랑은 태양과 국토의 북부지역(사막)과 사금을 주로 한 지하자원을,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외 불꽃과 국내 통일과 번영을 나타낸다. 디자인은 파랑·하양·빨강으로 된 프랑스의 국기에서 기원하였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프랑스공동체의 자치공화국으로부터 별도 독립할 때인 1959년 11월 6일 제정하였다.1959년제정
중앙아프리카공화국(CENTRAL AFRICAN REPUBLIC)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 위의 별은 흑인아프리카의 사회혁명을, 빨강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흘린 피를, 파랑은 콩고를, 하양은 차드를, 초록은 가봉을, 노랑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을 나타내는데, 지난날 4개국이 한 나라로 통합·독립하기를 원했음을 의미한다. 그밖에 5색은 범(凡)아프리카 색과 프랑스를 나타내며 빨강은 유럽과 아프리카의 상호 존중을, 노랑 별은 밝은 미래를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1958년 12월 1일 공식 제정하였다. 1976~1979년 동안 보카사가 중앙아프리카 제국으로 지배할 당시에는 초록 바탕에 노랑 별과 독수리와 태양이 있는 제국기를 사용하였으며 이후 이전 기로 환원하였다. 1958년제정
에티오피아(ETHIOPI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노랑·빨강의 3색기이며 중앙에 하늘색 원 바탕에 ‘솔로먼의 별’이라고 부르는 노란색 상징이 있다. 1897년에 처음 나타난 3색은 아프리카의 통일을 상징하는 범(凡)아프리카 색깔이 되어 아프리카 국가의 국기에 많이 사용되었다. 3색은 성경 '노아의 홍수'의 장(章)에서 하느님이 노아가족을 축복하는 말 중에 나오는 무지개를 상징한다. 초록은 부(富)를, 노랑은 종교의 자유를, 빨강은 용기와 희생을 상징한다. 별 모양의 상징은 국가와 국민의 통합과 발전을, 별의 하늘색은 평화를, 별의 선이 끊어진 것은 국민과 종교의 평등을 나타낸다. 1996년 2월 5일, 3색만으로 이루어진 이전 국기에다 별 모양의 상징을 추가하여 새로 제정하였다. 1996년제정
에리트레아(ERITREA)
에리트레아국기의 모태가 된 깃발
1952년.1993년의 국기 에리트레아자유전선기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빨강·파랑의 3색 바탕에 금색 올리브가지로 된 문장(紋章)을 배치하였다. 초록은 농업과 푸른 대지를, 파랑은 홍해(紅海)를, 빨강은 투쟁에서 흘린 피를, 올리브가지는 독립투쟁의 승리와 희망에 찬 국가의 모습을 나타낸다. 에리트레아는 1959년 에티오피아에 귀속었다가 에티오피아로부터 독립한 1993년에, 1952년 당시의 국기와 ELF(Eritrean Liberation Front:에리트레아자유전선)의 자유군대(Liberation Army) 깃발을 조합하여 국기로 사용하였으며 1995년 12월 5일 공식 제정하였다. 1995년제정
소말리아(SOMALIA)
국기의 뜻과 의미
유럽 여러 국가로부터 독립할 때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의 신탁통치이사회의 공헌이 컸으므로 국제연합기의 밝은 파랑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이 5개인 별은 식민 지배를 받던 시절에 나누어졌던 5개 지방의 단결을 표시한다. 별의 흰색은 민족과 국가의 평화와 번영을 상징한다. 1954년 10월 12일 제정하였다1954년제정
지부티(DJIBOUTI)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과 초록이 배치되어 있고 왼쪽으로 하양 삼각형에 5각 별이 있다. 지부티는 독립 전에는 프랑스령(領) 아파르이사라고 하였는데, 아파르족(族)과 이사족(Issas)이 주요 국민이다. 국기에서, 에티오피아와 관계가 깊은 아파르족은 이슬람교의 색인 초록으로, 소말리아와 가까운 이사족은 소말리아 국기를 기념하는 파랑으로 나타내고 있다. 하양의 삼각형은 양 부족의 단결을, 별은 독립투쟁을 상징한다. 하양은 평화를, 파랑은 바다를, 초록은 지구를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1972년부터 아프리카국가자유연합(African National Liberation Union)에 의해 사용되어왔으며 1977년 6월 27일 독립 때 공식적으로 제정하였다1977년제정
케냐(KENYA)
국기의 뜻과 의미
검정은 국민을, 빨강은 자유를 위한 투쟁을, 초록은 농업과 천연자원을, 하양은 통일과 평화를 나타낸다. 중앙에 겹쳐 배치한 마사이족(族) 용사의 전통적인 방패와 2개의 흰색 창은 자유를 수호하는 상징이다. 까망·하양·빨강·하양·초록의 비는 6:1:6:1:6이고 전체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1963년 12월 12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고, 독립운동을 이끈 KANU(Kenya African National Union:케냐아프리카국민연맹) 기의 검정·빨강·초록 사이에 평화를 상징하는 하양 테두리를 추가하여 국기로 제정하였다.1963년제정
우간다(UGANDA)
국기의 뜻과 의미
검정·노랑·빨강의 3색이 6개 띠로 배치되었고 중앙에는 흰색 원 안에 관학(冠鶴)이 들어 있다. 3색은 1962년 4월 선거에서 승리한 우간다인민회의(Uganda People's Congress)를 상징하는 색깔로서 검정은 흑인의 아프리카를, 노랑은 빛나는 태양을, 빨강은 형제애를 나타낸다. 관학은 이 나라의 국조-나라새(國鳥)이며 민족의 상징이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인 1962년 10월 9일 제정하였다. 1962년제정
탄자니아(TANZANIA)
탄자니아국기의 모태가 된 깃발
탕가니카국기 잔지바르국기
국기의 뜻과 의미
노랑 테두리를 두른 검은 띠가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초록과 파랑의 2개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초록은 국토와 농업을, 노랑은 광물자원을, 검정은 국민을, 파랑은 인도양(印度洋)을 나타낸다. 1964년 10월 29일 탕가니카와 잔지바르가 합병했을 때 두 나라의 이름을 합쳐 새로운 국명을 정한 것과 마찬가지로 국기도 국기·국장법(National Flag and Coat of Arms Act)에 의해 양 국기의 빛깔을 배합하여 제정하였다. 1964년제정
르완다(RWANDA)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노랑·연두의 3색이 2:1:1의 비율로 배치되어 있고 오른쪽 상단에 24개의 햇살을 지닌 노란색의 태양이 있다. 파랑은 사랑과 평화를, 노랑은 경제발전을, 연두는 국민의 힘과 천연자원의 합리적 개발로 번영을 이루자는 희망을, 태양과 햇살은 국민을 계몽하는 빛을 상징한다. 1961년 제정한 이전 국기는 빨강·노랑·초록의 세로형 3색기로서, 중앙에 있는 R자는 이 나라가 ‘혁명(Revolution)에 의해 탄생했고 국민투표(Referendum)에 의해 확인된 공화국(Republic)’임을 의미하였는데, 빨간색이 독립 이래 계속된 유혈참사를 연상시키므로 국기를 바꾸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다. 이에 따라 화가이자 엔지니어인 알폰스 키리모베네쇼(Alphonse Kirimobenecyo)가 현재의 국기를 디자인하였고 2001년 10월 25일 제정하였다. 2001년제정 2002년 1월1일에 공식적으로 게양
부룬디(BURUNDI)
국기의 뜻과 의미
2개의 흰색 대각선이 엇갈려 위아래로 2개의 빨강 칸과 좌우로 2개의 초록 칸을 만들어내고 있다. 중앙에는 흰색 바탕에 초록 테두리의 빨강 6각별이 3개 있는데, 3개의 별은 국가 표어인 ‘통일, 노동, 진보’를 나타내며 또한 후투족(族), 투시족, 트와족의 3개 부족을 나타내기도 한다. 빨강은 독립을 위한 고난과 투쟁을, 초록은 희망을, 하양은 평화를 나타낸다. 1961년 만들어진 최초의 국기는 위로부터 빨강·하양·초록의 3색기에 노랑 문장(紋章)이 있었으나 1962년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바뀌었고 1962년 문장을 바꾼 후 1966년 다시 단결 ·노력 ·진보를 표시하는 3개의 별로 바꾸었다. 현재의 기는 1967년 6월 28일 제정하였고 1982년 9월 27일 가로세로 비율을 3:2에서 5:3으로 바꾸는 등 수정하였다. 1967년제정 1982년에 수정
말라위(MALAWI)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검정·빨강·초록의 3색기이며, 위쪽에는 떠오르는 붉은 태양이 있다. 검정은 아프리카인(人)을, 빨강은 자유와 독립를 위하여 흘린 피를, 초록은 상록의 자연을 나타낸다. 해돋이는 아프리카 대륙의 희망과 자유의 여명(黎明)을 상징한다. 영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던 시절에는 영국의 국기인 유니언 잭이 들어 있는 국기를 사용하였으며, 1964년에 독립할 때 현재의 기를 제정하였다.1964년 제정
잠비아(ZAMBIA)
국기의 뜻과 의미
오른쪽에 빨강·검정·귤색의 수직띠가 있는 초록색 기이다. 빨강은 자유를 위한 투쟁을, 검정은 국민(흑인)을, 귤색은 풍부한 광물자원을, 초록은 천연자원을 나타낸다. 수직띠 위에 있는 독수리는 자유 및 고난을 이겨내는 국민의 능력을 상징한다. 독립투쟁을 이끌던 UNIP(United National Independence Party:통일민족독립당)의 기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었으며,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인 1964년 10월 제정하였다. 1996년 원래 진한 녹색이던 것을 밝은 초록으로 수정하였다.1964년제정 1996년에 수정
짐바브웨(ZIMBABWE)
국기의 뜻과 의미
위부터 초록·노랑·빨강·검정·빨강·노랑·초록이 배치되었고, 깃대 쪽으로 검정 테두리의 하양 삼각형에는 노랑 독수리가 빨강 별 위에 앉아 있다. 초록은 농업과 번영과 천연자원을, 노랑은 부(富)와 금속자원를, 빨강은 독립투쟁을, 검정은 흑인국가임을 나타내고, 빨강 별은 동유럽권과 사회주의권과의 연대를, 독수리는 국조-나라새(國鳥)로서 평화를, 하양 삼각형은 평화와 전진을 나타낸다. 1980년 4월 18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제정하였다. 1980년제정
앙골라(ANGOL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과 검정에 노랑(紋章) 문장이 있으며 3색은 식민지 시절 해방운동을 하던 MPLA(앙골라해방인민운동)의 깃발에서 취하였다. 빨강은 독립투쟁을, 검정은 아프리카 대륙을, 노랑은 광물자원이 풍요한 국토를 나타낸다. 빨강과 검정이 ‘자유가 아니면 죽음’이라는 각오를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문장의 별은 사회주의와 진보를, 톱니바퀴는 공업화와 노동자를, 손도끼는 농업과 농민을 나타낸다. 독립할 때인 1975년 11월 11일 제정하였다. 1975년제정
모잠비크(MOZAMBIQUE)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초록·검정·노랑이 배치되었고 하양 선이 3색을 나누고 있으며 깃대 쪽의 빨강 삼각형에는 문장(紋章)이 들어 있다. 삼각형은 기 가로의 3/7를 차지한다. 노랑은 광물자원을, 검정은 국민을, 빨강은 해방전쟁 때 흘린 피를, 초록은 국토와 삼림을 나타낸다. 문장은 노랑 5각별 안에 흰색 책이 펼쳐 있고 그 위를 라이플총과 괭이가 서로 교차하고 있는 모습인데, 나라의 표어인 '면학·생산·투쟁'을 표현한다. 구체적으로는 별은 독립을, 책은 교육을, 총은 국방을, 괭이는 생산을 나타내고 있다.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할 때는 모잠비크해방전선(Front for Liberation of Mozambique)이 쓰던 기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1983년 5월 1일 일부 수정하여 다시 제정하였다. 1983년제정
보츠와나(BOTSWANA)
국기의 뜻과 의미
하늘색 바탕에 하양·검정·하양으로 된 띠가 중앙에 가로로 놓여 있다. 하늘색은 이 나라에서 매우 귀한 비와 물을 상징하며, 국가동물인 얼룩말에서 유래한 하양·검정·하양의 띠는 흑인과 백인의 단결, 사회의 순수한 본성을 상징한다. 기 세로의 색깔별 비율은 9:1:4:1:9이며 가로세로 비율은 36:24이다. 1966년 9월 30일 영국의 베추아날란드 보호령(British protectorate of Bechuanaland)에서 보츠와나 공화국으로 독립하면서 현재의 기를 제정하였다.1966년제정
나미비아(NAMIBIA)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는 파랑, 오른쪽으로는 초록의 삼각형이 있고, 하양 테두리의 빨강 띠가 깃대쪽 아래 모서리에서 오른쪽 위 모서리를 향해 배치되었다. 파랑은 푸른 하늘과 대서양의 바다 및 수자원과 비를,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와 가장 중요한 자산인 국민을, 초록은 농업자원을, 하양은 평화와 단합을 상징한다. 왼쪽 위에 있는 황금의 원과 빛은 광물·생물자원을 나타내고, 12개의 빛은 이 나라에 살고 있는 종족을 표상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835개 작품 중 선택되었으며, 1990년 3월 21일 남서아프리카(South West Africa)가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나미비아공화국이 될 때 제정하였다. 1990년제정
스와질랜드(SWAZILAND)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은 평화와 안정을, 노랑은 풍부한 자원을, 짙은 빨강은 과거의 투쟁을 나타낸다. 중앙의 문장(紋章)은 국장(國章)의 일부분으로, 방패와 창과 권표(權標:권위의 상징)로 되어 있으며 적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방패의 하양과 까망은 이 나라에서 평화롭게 함께 살고 있는 백인과 흑인을 상징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1년에 소브후자(Sobhuza) 2세가 영국군으로서 활약한 에마소트샤(Emasotsha) 연대(聯隊)에 부여한 기에서 유래한다. 1967년 4월 25일 처음으로 국기로서 사용되었고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1968년 10월 6일 공식적으로 제정하였다. 1967년채택 1968년공식국기로 제정
레소토(LESOTHO)
국기의 뜻과 의미
2006년 10월 독립40주년에 즈음하여 제정발표된 레소토의 새국기는 위에서 부터 파랑,하양,초록의 가로형 삼색기에 레소토 전통문화와 민족의 상징인 검정색의 레소토모자관을 하양색중앙에 삽입한국기를 만들어 제정했다.파랑색은 비와 물 그리고 하늘을 하양색은 평화와 깨끗함을 초록색은 국토와 풍요로움을 검정색은 어두었던 과거와 고난을 상징하며 검정색으로된 레소토모자관은 레소토의 전통문화와 민족을 상징한다.2006년제정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빨강·초록의 3색기이며, 자유·애국·진보를 상징하고 있다. 하양과 빨강은 19세기에 이 지방을 지배하던 메리나(Merina) 왕국(또는 호바 왕국)의 기에서 유래하였는데, 예로부터 많은 말라가시인(人)들이 동남아시아로부터 이주한 것을 볼 때 아시아와의 역사적이고 민족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초록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던 동부 해안 주민들을 고려하여 추가하였다. 1959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59년제정
모리셔스(MAURITIUS)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파랑·노랑·초록의 4색기이다.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애국자들의 피를, 파랑은 인도양의 푸른바다을, 노랑은 자유와 빛나는 태양을, 초록은 농업과 1년 내내 늘 푸른 국토를 나타낸다. 4개의 띠는 국민을 이루는 인도인, 유럽인, 아프리카인, 중국인을 나타내며 다민족 국가로서의 협력과 번영을 기원한다는 의미이다.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절에는 영국의 국기인 유니언 잭이 들어 있는 기를 사용하였으나 1968년 독립할 때 현재의 기를 제정하였다. 1968년제정
코모로(COMOROS)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노랑·하양·빨강·파랑의 4개 칸이 배치되었고, 깃대 쪽으로 초록색 이등변 삼각형이 있다. 삼각형 중앙에는 이슬람교의 상징인 하양 초승달과 4개의 하양 5각별이 수직으로 놓여 있다. 4칸의 색은 각각 이 나라를 구성하는 4개의 주요 섬을 나타내는데, 파랑은 은자지자섬(Njazidja), 빨강은 은주아니섬(Nzwani), 노랑은 므왈리섬(Mwali), 하양은 마요트섬(Mayotte)을 가리킨다. 이 중 마요트섬은 이 나라가 1975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할 때 단독으로 국민투표를 실시한 결과 프랑스령으로 남고 싶다는 희망을 나타냈으나, 코모로는 자국 영토로 주장하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5:3이다. 1975년 독립 후 몇 차례 국기가 바뀌었으며, 1996년 제정된 국기를 변형하여 2001년 12월 23일 새 헌법에 따라 제정하여 2002년에 정식으로 게양하였다. 2001년제정 2002년에 정식으로 게양
세이셸(SEYCHELLES)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으로부터 파랑·노랑·빨강·하양·초록의 5개 사선 띠가 배치되어, 새로운 미래를 향한 신생국가의 역동성을 나타낸다. 파랑은 이 나라를 둘러싼 하늘과 바다를, 노랑을 빛과 생명을 주는 태양을, 빨강은 미래의 단합과 사랑을 위해 일하는 국민과 그들의 결정을, 하양은 사회 정의와 조화를, 초록은 땅과 자연환경을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첫 번째 국기는 영국 직할식민지로부터 세이셸공화국으로서 독립한 1976년에 제정하였고 1977년의 2번째 국기는 인민연합당의 당기(黨旗)에서 취한 디자인으로 빨강·초록·하양의 3색기였다. 현재 국기는 이전 시대의 일당체제와는 다른 다당제 체제를 상징하며 1996년 6월 18일 제정하였다. .1996년제정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SOUTH AFRICAN REPUBLIC)
지금의 남아프리카공화국국기의 모태가 된 깃발
아프리카민족회의깃발 1928-1994년까지의 국기
(ANC깃발)
국기의 뜻과 의미
노랑과 하양 테두리로 둘러진 초록의 Y자형 띠가 가로로 놓여 있고 Y자의 위는 빨강, 아래는 파랑이다. 빨강은 독립과 흑인 해방운동을 위해 흘린 피를, 초록은 농업과 국토를, 노랑은 풍부한 광물자원(주로 금)을, 파랑은 열린 하늘을, 까망과 하양은 흑인과 백인을, Y자는 통합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는 흑·백 인종, 각 부족, 9개주의 화합을 상징한다. 이전의 백인정권시대에는 위로부터 오렌지색·하양·파랑의 가로형 3색기에 국기중앙의 하양색에 영국국기인 유니언 잭과 오랜지자유국의 국기와 트랜스발공화국의 국기를 삽입한 국기를 사용하였으나, 1994년 4월 27일 넬슨 만델라의 흑인 정권 출범을 계기로 이전의 국기형태와 디자인 그리고 인종차별철폐운동을 주도한 넬슨 만델라가 주도한 ANC(African National Congress:아프리카민족회의)의 기의 형태와 디자인을 모태로하여 이를 하나로 새롭게 결합하여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형태와 디자인을 갖춘 지금의 국기를 지금의 정식국기로 제정하고 이를 지금의 정식국기로 게양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형태와 디자인을 갖춘 지금의 국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전의 국기에서 국기색으로 삽입되고 쓰여지던 오렌지색은 지금의 국기에서 국기색으로 쓰이는 빨강색으로 바뀌졌다. 프레드 브로넬(Fred Brownell)이 지금의 국기를 고안하고 디자인하였다.1994년제정
서사하라(WESTERN SAHARA)
사하라아랍민주공화국(SAHARAWI ARAB DEMOCRATIC REPUBLIC)
국기의 의미와 뜻
범아랍색인 검정색, 하양색, 초록색으로 구성된 세 가지 색의 가로 줄무늬 바탕에 깃대 쪽으로 빨간색 삼각형이 그려져 있으며, 하양색 가로 줄무늬 가운데에는 이슬람교의 상징인 빨간색 초승달과 별이 그려져 있다. 검정색은 침략자에대한 대항정신과 어두운역사와 과거를 빨강색은 아랍인의 칼과 피를 초록색은 비옥한 국토를 하양색은 순결을 상징하며 빨강색의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교를 상징하고 있다. 1976년 2월 27일에 폴리사리오해방전선이 사하라아랍민주공화국으로의 독립을 선언하면서 제정했으며 1991년 6월에 일부를 약간 수정한 국기로서 폴리사리오 해방전선의 기를 모태로 하여 이를 바탕으로하여 한 것이다.
1976년제정
레위니웅(REUNION)
지역깃발 (REGION FLAG)
아프리카연합(AFRICAN UNION)
기의 뜻과 의미
초록색위로부터 초록색과 하양색 그리고 초록색의 가로형삼색기에 노랑색띠를 두른 가는 선을 넣었다. 하양색바탕에 아프리카지도를 삽입한 문양을 넣었다. 녹색은 아프리카의 희망과 포부를 노랑색띠는 아프리카의 희망과 미래를 하양색은 평화와 단결 순수함을 상징한다. 그리고 아프리카지도를 삽입한 문양은 평화와 단결 그리고 아프리카의 통일과 연대를 상징한다. 아프리카통일기구의 기를 약간 수정하여 만들어 제정했다.아프리카연합이 결성되던 2002년 제정하였다..2002년제정
남북아메리카
미국(U.S.A)
(UNITED STATES OF AMERICA)
국기의 뜻과 의미
'성조기(Stars and Stripes)'라고 하며, 미국의 국가(國歌) 또한 같은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특징은 미합중국을 구성하는 주(州)의 수만큼 별이 있어서, 주가 증가할 때마다 별의 수가 증가된다는 점이다. 주의 증가가 결정되면 성급하게 새 국기의 디자인을 발표하는 시민도 있지만, 정식으로는 대통령이 임명한 국기위원회에서 디자인을 심의 결정하고 다음해 독립기념일(7월 4일)에 공식 발표한다.
1777년 처음 제정하였는데, 독립선언 당시의 13주를 기념하기 위하여 13개의 줄과 13개의 별이 그려진 기였다. 당시는 별의 배열에 대해 아무 규정도 없었기 때문에 원형(圓形)으로 배열한 것, 수열(數列)로 늘어놓은 것 등 그 종류도 다양하였으나, 1795년 버몬트·켄터키의 2주가 증가되면서 별만이 아니라 줄 또한 증가시키기로 결정되어 15개의 줄과 15개의 별이 그려진 국기로 변형되었으며, 그 후로는 주가 증가해도 줄은 그대로 두고 별만 더하기로 결정하였다. 성조기는 현재까지 26번 변경되었으며, 최신의 변경은 1960년 하와이주(州)가 승격하였을 때로서 현재 별의 수는 50개이다. 국기의 뜻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13개의 줄무늬는 독립당시의 13주를 청색바탕의 50개의 별은 미국을 구성하는 50개주를 뜻하며 줄무늬의 백색과 적색은 모국인 영국과 영국으로 부터의 독립을 뜻하며 청색과 청색바탕의 별은 하늘을 뜻한다.1777년제정 그후 미국의 영토가 확장되고 주의 수가 늘어 나면서 성조기는 20여차례나 형태와 디자인이 수정,변경되었고 1960년 지금의 국기로 수정,변경되었다.
캐나다(CANADA)
국기의 뜻과 의미
단풍잎 모양 때문에 흔히 '메이플리프플래그(Maple Leaf Flag)'일명 메이플리프기 또는 단풍잎기라고 한다. 양쪽의 빨강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나타내고, 12개의 각이 있는 빨간 단풍잎은 이 나라의 상징이며 국가적인 상징이다. 빨강과 하양은 영국의 국기 유니언 잭의 색에서 따온 것이며 1921년부터 국가색으로 사용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때 흘린 국민들과 장병들의 피와 이나라의 하얀눈을 상징한다. 이전까지는 빨강 바탕에 영국 국기 등이 들어 있는 기를 사용하다가 1964년 10월 22일 국회에서 현재의 기가 채택되었고 다음해 2월 15일 영국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에 의해 국기로서 공포되었다. 1965년제정
멕시코(MEXICO)
황금문장삽입형국기 - 1
(GOLDEN COAT OF ARMS FLAG VERSION - 1)
황금문장삽입형국기 - 2
(GOLDEN COAT OF ARMS FLAG VERSION - 2)
국기의 뜻과 의미
왼쪽부터 초록·하양·빨강의 세로형 3색기이며, 중앙에 문장(紋章)이 들어 있다. 3색은 여러 가지를 상징하는데, 초록은 독립과 희망과 천연자원등을, 하양은 종교의 순수성과 통일과 정직 등을, 빨강은 백인·인디오·메스티소의 통합과 국가 독립을 위해 바친 희생 등을 나타낸다. 문장은 “독수리가 뱀을 물고 앉아 있는 호숫가의 선인장이 있는 곳에 도읍을 세워라”라는 아스테크 건국전설이 그려져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7:4이다. 1810년 스페인과 독립전쟁을 벌일 당시 3색기를 처음 사용하였고 1821년 제정하였다. 1937년 수정하였으며 1968년 9월 16일 세목사항(細目事項)을 제정하였고 1984년 2월 8일에 추인하였다. 1821년제정 그후 수차례의 변경과 수정끝에 1968년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수정시켜 이를 변경하여제정
과테말라(GUATEMAL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1821년 니카라과·엘살바도르·온두라스·코스타리카와 함께 중앙아메리카연방공화국(Federal Republic of Central America)으로 독립하였으며, 연방 해체 후 이전의 중앙아메리카연방공화국의 국기를 세로의 배열로 바꾸어 문장(紋章)을 넣었다. 파랑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하양은 평화에 대한 염원을 나타낸다. 문장은 칼과 총 및 억압 아래서는 살 수 없기 때문에 자유의 상징인 국조 - 나라새(國鳥) 케트살(Quetzal)로 이루어졌고, 중앙의 두루말리에는 'LIBERTAD, 15 DE, SETIEMBRE, DE 1821(1821년 9월 15일 자유)'라고 씌어 있다. 2개의 월계수가지는 승리와 영광을 상징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8:5이다. 1871년 11월 18일 처음 제정하였고 1997년 12월 26일 재제정하였다. 국내에서는 중앙에 문장이 없는 기도 사용한다. 1821년제정
코스타리카(COSTA RICA)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이 나라는 엘살바도르·과테말라·온두라스·니카라과와 함께 1821년 중앙아메리카 연방(Federal Republic of Central America)의 하나로 독립하였으며, 파랑·하양·파랑의 중앙아메리카 연방 국기에다 자유(自由)를 나타내는 빨강을 넣은 지금의 국기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848년 분리 독립한 후이며 그때 당시에는 지금의 국기의 중앙에 지금의 국장과 유사한 문장을 새겼다. 이는 지금의 국기형태와 유사한 것 이었다. 그리고 1848년에 지금의 국기형태와 유사한 깃발이 등장하던 바로 그시기에 잠정적으로 채택되었다. 1906년에 정식으로 공인되었다. 그후 1964년에 파랑·하양·파랑의 중앙아메리카 연방 국기에다 자유(自由)를 나타내는 빨강을 더하고 중앙 왼쪽에 둥근 원 모양의 문장(紋章)을 배치하여 국기로 사용하였다. 빨강은 다른 색의 2배 크기이다. 1964년 공식 제정하였다. 국내에서는 문장이 들어 있지 않은 기를 사용한다.1848년에 잠정적으로 채택 1906년에 정식으로 공인 1964년에 명실 상부한 정식국기로 공식제정
니카라과(NICARAGU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1821년 코스타리카·엘살바도르·과테말라·온두라스와 함께 중앙아메리카연방공화국(Federal Republic of Central America)으로 독립하였으며, 이후 연방에서 분리 독립하였으나 옛 연방기에 문장(紋章)을 그려 넣어 국기로 사용하고 있다. 하양은 국토와 조국의 순수성을, 파랑은 이 나라가 2개 대양에 둘러싸인 것을 나타낸다. 문장은 연방5개국을 나타내는 5개의 화산과 '자유의 모자(帽子)', 바다, 햇살, 무지개 등이 삼각형 안에 들어 있고 국명(國名)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삼각형은 동일성을 상징한다. 1908년 제정하였고 1971년 8월 27일 재제정하였다. 국내에서는 중앙에 문장이 없는 기도 사용한다. 엘살바도르, 온두라스국기도 비슷한 모양이다.1908년제정
온두라스(HONDURAS)
국기의 뜻과 의미
온두라스는 1821년 중앙아메리카 연방(Federal Republic of Central America)의 하나로 독립하였으며, 1838년 연방에서 분리 독립하였으나 이후에도 연방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기 중앙에는 연방의 구성국(코스타리카·엘살바도르·과테말라·온두라스·니카라과)을 나타내는 5개 별이 배치되어 있는데, 1866년 5개국의 재연합을 희망하면서 추가하였다. 파랑은 태평양과 카리브해(海)를, 하양은 국토의 평화를 나타낸다. 1949년 공식 제정하였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국기도 비슷한 모양이다. 1866년채택 1949년에 정식으로 제정
엘살바도르(EL SALVADOR)
민간용국기 문자형국기
(CIVIL FLAG) (CIVIL FLAG/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엘살바도르는 1821년 코스타리카·과테말라·온두라스·니카라과와 함께 중앙아메리카 연방(Federal Republic of Central America)으로 독립하였으며 1841년에 엘살바도르 공화국으로서 독립하면서 연방기의 문장(紋章) 부분만 바꾸어 국기로 사용하였다. 이후 몇 차례 수정을 거쳐 1912년 5월 현재의 기로 바꾸었다. 1912년제정
파나마(PANAMA)
국기의 뜻과 의미
개의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었고 파랑과 빨강은 독립 때의 2대 정당인 보수당과 자유당을, 하양은 평화를 상징한다. 별은 두 당의 평화와 국민의 단결을 나타내며, 그밖에 파랑별은 국민의 순수·양심을, 빨강 별은 국가의 권위와 법을 나타낸다. 3색이 국가 독립에 공헌한 미국의 성조기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아마도르 게레로(Amador Guerrero)가 디자인하고 그의 아내인 마리아 오사 데 아마도르(Maria Ossa de Amador)가 제작하였다. 1903년 12월 20일 처음으로 국기로 채택하였고 1904년 법률 64조에 의해 제헌의회에서 잠정적으로 제정하였으며, 1925년의 법률 48조에 의해 인증하고 1941년 3월 28일에 법률 28조에 의해 비준하였다. 1904년제정
벨리즈(BELIZE)
국기의 뜻과 의미
위아래로 좁은 빨강 띠가 있고, 바다를 나타내는 파란색 바탕 중앙에 문장(紋章)을 배치하였다. 문장의 가운데에는 일하는 2명의 주민, 특산물인 마호가니나무, 생활에 필요한 범선등이 그려져 있다. 그림 주위는 50개의 초록색 올리브잎사귀 화환으로 둘러싸고 있는데, 영국의 직할 식민지였던 이 나라의 이전 국명 ‘영국령(British) 온두라스’가 독립항쟁을 시작한 해인 1950년을 나타낸다. 1950년 처음으로 채택하였고 위아래의 빨강 띠는 독립할 때인 1981년 9월 21일 추가하였으며 이전 기를 일부 수정하여 국기로 제정하였다. 1981년제정
쿠바(CUBA)
국기의 뜻과 의미
3개의 파란색 줄은 독립운동 당시의 세 군관구(軍管區)와 독립운동 당시의 3개주 즉 동부주,중부주,서부주를, 하양은 독립운동의 순수함을, 삼각형은 자유·평등·박애(博愛)를,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를, 별은 독립을 상징한다. 1850년 베네수엘라 출신의 장군 나르시소 로페스(Narciso Lopez)가 스페인과의 독립전쟁에 참가하였을 때 처음 사용하였다. 1866년에 이 기를 채택하였으며 1898년 독립하고 미국의 3년간의 군정이 끝난 후 공화제가 실시되던 1902년 5월 20일 국기로 제정하였다. 1902년제정
도미니카공화국(DOMINICAN REPUBLIC)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 십자가 상하 좌우로 빨강과 파랑의 4부분을 구획하며 십자 중앙에 국장(國章)이 있다. 3색은 이 나라의 전통 색깔로서 파랑은 신(神)과 평화를, 빨강은 조국을 위해 흘린 피 또는 불을, 하양은 자유와 희생을, 하양 십자는 순결을 나타낸다. 국장은 성경 및 금색 십자가 2개의 창에 묶인 4개의 깃발로 장식되었고 올리브가지와 야자수로 받쳐져서 방패 모양을 이루며 위쪽 리본에는 ‘Dios, Patria, Libertad(신·조국·자유)’, 아래쪽 리본에는 ‘Republica Dominicana(도미니카공화국)’이라는 국호가 적혀 있다. 중앙에 국장이 들어 있지 않은 국기는 주로 국내에서 민간용으로 사용한다. 국부(國父)인 드와르테가 고안하였고 1844년 11월 6일 공화국의 성립을 선언하면서 공식으로 제정하였다. 1844년제정
아이티(HAITI)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파랑·빨강 바탕의 중앙에 국장(國章)을 배치하였다. 직사각형의 이 문장(紋章)은 자유와 독립을 쟁취한 역사를 담고 있는데, 자유를 상징하는 야자수 양쪽에 국기 모양이 있으며 2문의 대포가 있고 'L'UNION FAIT LA FORCE(단결은 힘)'이라고 씌어 있다.
1964년 이전에는 파랑·빨강의 2색이었으며, 프랑스의 3색기에서 백인을 추방하는 의미로 하양을 없앴다고 한다. 이후 1964년 종신대통령이 된 뒤발리에는 흑인을 나타내는 파랑을 검정으로 바꾸고 디자인도 빨강과 검정을 좌우로 넣었으며 중앙에 국장을 추가하여 민족주의를 더욱 강조했다. 그러나 1986년 혁명이 있은 후에 현재의 국기로 다시 제정하였다. 그리고 국장이 없는 국기도 있는데 이것도 정식 국기로 인정 되고 있으며 주로 민간용 국기 또는 국내에서 쓰이는 일반용 국기 으로 사용돠고 있다.1822년제정 그후 1964년에 흑,적의 2색기를 제정해 사용하다가 1986년에 부활제정
자메이카(JAMAICA)
국기의 뜻과 의미
노랑의 대각선 띠가 기를 4등분하여 위아래로 초록의 2개 삼각형과 좌우로 검정의 2개 삼각형을 만들어낸다. 초록은 농업과 천연의 부(富)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검정은 국민이 짊어지고 극복해야 할 고난을, 노랑은 빛나는 태양의 아름다움과 천연자원을 나타내며, 전체적으로는 "고난과 어려움이 있더라도 희망이 있고 태양은 빛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의회의 양당(兩黨)위원회에서 디자인하였고 1962년 8월 6일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일에 처음 사용·제정하였다. 1962년제정
바하마(BAHAMAS)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은 바다를, 노랑은 토지와 금빛 나는 모래 색, 그리고 700여 개에 달하는 섬이 있는 관광지로서의 바하마제도를 상징하는 동시에 빛나는 태양을 나타낸다. 검은 삼각형은 풍부한 자원을 개발하는 국민의 활기·기업심(企業心)·결단력을 나타낸다. 영국 영토에 속하던 시대의 기에는 영국 국기인 유니언 잭이 들어 있었으나, 1973년 7월 10일 독립하면서 현재의 기로 제정하였다. 1973년제정
바베이도스(BARBADOS)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은 카리브해(海)와 대서양을, 노랑은 이 나라의 국토와 부(富)를 상징한다. 왼쪽의 파랑은 하늘을, 노랑은 금빛 모래를, 오른쪽의 파랑은 바다를 상징한다는 설도 있다. 옛 영국 식민지시대 기의 문장(紋章) 가운데에는 로마신화의 수신(水神)인 넵튠의 창[矛]이 그려져 있었는데, 그 상반부만을 국기의 중앙에 놓았다. 창을 꺾음으로써 역사적·정치적 속박에서 해방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창의 세 모서리는 ‘국민의,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정부’라는 민주주의의 3원칙을 나타낸다. 1966년 11월 30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제정하였다. 1973년제정
도미니카연방(DOMINICA)
(COMMONWEALTH OF DOMINICA)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 바탕에 노랑·검정·하양의 3색 십자(十字)가 있고 그 위에 노랑 테두리의 초록 별 10개가 있는 빨강 원이 있다. 초록은 식물이 풍부한 국토를, 검정은 국민의 대다수인 흑인을, 하양은 냇물의 맑음과 국민의 포부의 순수성을, 노랑은 카리브 인디언 및 바나나·감귤 등의 농산물과 태양을, 3색의 십자는 삼위일체(三位一體)의 신앙을, 빨강 원은 사회주의를, 10개의 별은 행정구획을 상징한다. 중앙의 새는 국조 - 나라새(國鳥)인 앵무새이다. 가로세로 비율은 48(21+2+2+2+21):24(9+2+2+2+9)이다. 1978년 11월 3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으며, 1981년 11월 3일에는 검정과 하양 띠의 위치를 서로 바꾸고 초록 별의 가장자리를 노랑 테두리로 감싸는 등 수정하였다. 1978년제정 그후 1981년지금의 국기로 수정
안티과바부다(ANTIGUA AND BARBUD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과 파랑은 힘과 희망을, 검정은 국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을, 노랑·파랑·하양은 이 나라의 자연의 매력을 나타낸다. 또 태양은 자유로운 새 시대를 상징한다. 1958년부터 속해 있던 영국령 서인도연합이 1962년 해체되고 1967년 영국의 자유연합주에 포괄되던 1967년에 고등학교 미술교사인 레지널드 새뮤얼스(Reginald Samuels)가 디자인하였으며 같은 해 2월 27일 제정하였다. 이 나라는 1980년 11월 영국연방으로 정식 독립하였다. 1967년제정
그레나다(GRENADA)
국기의 뜻과 의미
가장자리로 빨강 띠가 둘러졌고 중앙의 사각형은 대각선 2개에 의해 노랑과 초록의 4개 삼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중앙에는 빨강 원 안에 노랑 별이 있고 가장자리의 빨강 띠 안에 6개의 노랑 별이 있다. 모두 7개인 5각별은 행정상 7개 지방(중앙의 별은 수도인 세인트조지스)을 상징하는 동시에 희망을, 빨강은 용기와 국가의 독립을, 노랑은 지혜와 따뜻함과 부(富)를, 초록은 농업과 농산물과 번영을 나타낸다. 왼쪽의 도안은 주요 농산물인 육두구(nutmeg)나무의 열매인데 이 나라는 세계 제2의 육두구 생산국이다. 197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74년제정
그레나다(GRENADA)
국기의 뜻과 의미
가장자리로 빨강 띠가 둘러졌고 중앙의 사각형은 대각선 2개에 의해 노랑과 초록의 4개 삼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중앙에는 빨강 원 안에 노랑 별이 있고 가장자리의 빨강 띠 안에 6개의 노랑 별이 있다. 모두 7개인 5각별은 행정상 7개 지방(중앙의 별은 수도인 세인트조지스)을 상징하는 동시에 희망을, 빨강은 용기와 국가의 독립을, 노랑은 지혜와 따뜻함과 부(富)를, 초록은 농업과 농산물과 번영을 나타낸다. 왼쪽의 도안은 주요 농산물인 육두구(nutmeg)나무의 열매인데 이 나라는 세계 제2의 육두구 생산국이다. 197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74년제정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SAINT VINCENT AND THE GRENADUNES)
국기의 뜻과 의미
이 나라 사람들은 국기를 ‘보석(The gems)’이라고도 부른다. 왼쪽부터 파랑·노랑·초록을 1:2:1로 배치한 3색기이다. 1979년에는 3색의 비율이 같고 빵나무를 배합하여 디자인하였으나 1985년 정권이 바뀌면서 일부 수정하였고 같은 해 10월 21일 빵나무를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대체하고 3색의 비율을 현재대로 수정하였다. 노랑 바탕에 있는 초록의 다이아몬드 3개는 국가의 승리를 뜻하는 ‘V'자 모습이며 또한 이 나라의 많은 섬들이 ‘앤틸리스 제도(諸島)의 보석’인 동시에 풍부한 자연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파랑은 하늘과 바다를, 노랑은 국민들의 밝고 따뜻한 기질과 금빛 모래를 나타내며 초록은 이 나라에서 성한 농업과 국민의 생명력을 상징한다. 1985년제정
세인트킷츠네비스(SAINT KITTS AND NEVIS)
국기의 뜻과 의미
개의 하양 별은 세인트크리스토퍼섬과 네비스섬 또는 희망과 자유를 상징하며, 초록은 비옥한 국토를, 노랑은 1년 내내 내리쬐는 태양을, 검정은 아프리카의 유산을, 빨강은 식민 지배 동안 계속된 노예제도에 대한 투쟁을 나타낸다. 1983년 9월 19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영국연방의 하나인 세인트크리스토퍼네비스 연방(이전 국명)으로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83년제정
트리니다드토바고(TRINIDAD AND TOBAGO)
국기의 뜻과 의미
양쪽에 하양 테가 있는 검정 띠가 깃대 위로부터 대각선으로 걸쳐 있다. 검정은 헌신과 국토의 부(富)를, 빨강은 태양과 용기를, 하양은 바다와 향상심의 순수함을 나타낸다. 2개의 흰 선은 이 나라의 2개 섬을 뜻하고 인종평등을 나타낸다. 독립위원회가 디자인하고 1962년 제정하였다.1962년제정
영국령버진제도(BRITISH VIRGIN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그지역의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 청색바탕은 카리브해의 푸른바다를 상징함1960년제정
케이만제도(CAYMAN ISLANDS)
정부용국기/국가깃발(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독자문장을 넣은 기를 만들어 제정 청색바탕은 카리브해의 푸른 바다를 상징함1958년 제정
앙길라(ANGUILLA)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앙길라의 돌고래문장을 새긴기를 만듬 국기의 청색바탕은 카리브해와 대서양의 푸른바다를 상징함 그리고 청색바탕에 새겨진 돌고래문장의 하양색은 평화 파랑색은 바다와 젊음 그리고 3가지의 희망을 상징함 그리고 3마리의 돌고래는 힘과 인내 그리고우정과 지혜를 상징함1990년제정
버뮤다(BERMUDA)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민간 상선기에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 깃발에 새겨진 문장은 이곳의 최초의 정착민이 이곳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형상화함 1915년제정
몬트세라트(MONTSERRAT)
버전형국기(VERSION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문장을 새긴기를 만들어 제정함 국기의 청색바탕은 카리브해의 푸른바다를 상징함1909년제정
터크스케이커스제도(TURKS AND CAICOS ISLANDS)
국기의 의미와 뜻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방패문장을 넣은기를 제정 노란색 방패문장속의 이지역특유의 동식물상을 알수있는 여왕소라조개,바다가재,선인장이 새겨져 있다.1968년제정
버진제도(VIRGIN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색 바탕에 미국의 독수리가 날개를 펴고 가슴에는 미국국기모양의 방패를 새기고 오른쪽 발톱에는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가지를 왼쪽 발톱에는 3개의 청색화살을 잡고 있으며 양옆에는 나라이름의 약어인 V자와 I자가 새겨져 있다.1921년제정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국기의 뜻과 의미
청색 삼각형은 입법,사법,행정을 상징하고 하양색별은 독립국가를 상징하며 빨강색은 독립을 위한 피를 하양색은 개인의 자유와 안전을 상징함1952년제정
네덜란드령안틸레스(NETHERLANDS ANTILLESS)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하양색,청색은 네덜란드국기의 색채에서 유래되었으며 5개의 하양색별은 이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큐라세오,보네르,사바,세인트마틴,세인트 유스타티우스를 상징함1986년제정
보네르 (BONAIRE)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색노랑색과 하양색 그리고 파랑색으로 되어있는 사선형삼색기에 나침반과 나침반의 방향과 진로를 상징하는 의미를 뜻하는 문양을 하양색바탕에 삽입했다. 노랑색은 정신세계와 섬사람들의 생각과 의식을 하양색은 순수함과 평화 그리고 개끗함을 파랑색은 카리브해와 바다를 상징한다. 그리고 하양색바탕에 새겨진 나침반모양의 모양과 그안에 새겨진 6각별은 정신세계와 현실세계사이를 전진하는 섬사람들을 의미한다.1981년제정
큐라세오 (CURACAO)
아루바(ARUBA)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색은 카리브해의 푸른바다를 빨강색빛깔은 다른섬과 사람들로부터 자유롭고 독립된 상태를 상징하며파랑색바탕에 2개의 노랑색띠를 새겼다.1976년제정
마르티니크 (MARTINIQUE)
지역깃발(REGION PLAG)
프랑스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의 모습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색바탕의 하양색십자가를 4등분되어 4개의 칸에똑같은 상체로 세우고 L자형으로 한 하양색으로된 뱀이 새겨져 있다. L자형으로 된뱀은 이섬이 성 루시아(세인트루시아)의 일부였을 당시의 성 루시아(루시아)의 첫글자를 의미하며 이를 이탤릭체로딘 뱀의 형태로 표출한 것이다.1766년제정
과달루프(GUADELOUPE)
버전형국기(VERSION FLAG) 지역깃발 (REGION FLAG)
콜롬비아(COLOMBIA)
문장형국기(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8각별삽입형(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노랑·파랑·빨강의 3색기는 베네수엘라·에콰도르와 함께 스페인로부터의 해방운동을 일으킨 때의 기로서, 콜롬비아,베네수엘라,에콰도르 3국과 파나마까지 가세하여 모두 4개나라가 1822년 대(大)콜롬비아공화국 또는 콜롬비아합중국 일명 콜롬비아연방공화국(Great Colombia Republic)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독립하였을 때 국기로 제정하였고, 그후 베네수엘라,에콰도르는 독립하고 파나마까지 독립하면서 대(大)콜롬비아공화국은 와해 되었지만 그후 현재의 콜롬비아 국기로서 계승되었다. 노랑은 부(富)·주권·정의를, 파랑은 부귀·충성·경계(警戒)를, 빨강은 용기·관용·희생을 통한 승리를 나타낸다. 베네수엘라와 에콰도르의 국기도 비슷한 모양이다. 그리고 문장이 삽입된 국기도 있는데 문장이 삽입된 국기는 대통령관저.정부청사와 정부기관.국가기관.관공서에서만 게양하고 있다. 그리고 8각별이 삽입된 국기도 있는데 민간선박.민간상선 과 민간용 으로 게양되는데 때로는 외교공관에 게양되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민간선박과 민간상선용으로 게양 되고 있다.1861년제정
베네수엘라(VENEZUELA)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노랑·파랑·빨강의 3색기로서 중앙에 하양 5각별 7개가 반원을 그리며 배치되어 있다. 1806년 장군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Francisco de Miranda)가 이끌던 혁명군의 기를 변화시킨 것이다. 노랑은 부(富)·고귀함·사랑·권력·고귀함을, 파랑은 스페인과 이 나라를 분리하는 카리브해(海)와 충성·정의·극복을, 빨강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와 명예·용기·힘·위대함을, 7개의 별은 1811년 7월 5일 독립선언에 서명하였던 7개 주(州)를 나타낸다. 1811년 제정하였고, 1930년 일부 수정하였다. 1822년 콜롬비아·에콰도르와 함께 속했던 옛 대(大)콜롬비아공화국(Great Colombia Republic)의 3색기와도 비슷한 형태이며, 현재의 콜롬비아·에콰도르 국기와도 유사하다. 그리고 문장이 삽입된 국기도 있는데 문장이 삽입된 국기는 정부청사와 대통령관저.국가기관.관공서.정부기관에서 사용하며 이것 또한 정식국기로 인정되고 있다. 그후 2006년에 노랑·파랑·빨강의 3색기의 중앙에 하양 5각별 7개에 19세기초에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여 베네수엘라에 합류한 가이아나를 상징하고 독립영웅 시몬 볼리바르를 기리고 이를 기념하기위해 새로이 삽입된 볼리바르의 별을 삽입하고 하양 5각별 7개를 8개로 바꾸어 수정하고 문장이 삽입된 국기의 형태를 원주민을 상징하는 활.낫.열대 과일 그림과 왼쪽을 향하는 말을 삽입한 새국가문장을 삽입한 문장삽입형 국기를 새로이 수정해 바꾸어 제정했다. 1811년제정 그후 여러차례의 수정을 거듭한끝에 2006년에 수정
에콰도르(ECUADOR)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노랑·파랑·빨강의 3색기로서 노랑은 다른 색의 2배 크기이며, 중앙에 문장(紋章)이 있다. 1822년 콜롬비아·베네수엘라와 함께 속했던 옛 대(大)콜롬비아공화국(Great Colombia Republic)의 3색기에 문장을 첨가한 것이다. 노랑은 부(富)와 태양과 농장을, 파랑은 하늘과 바다와 아마존강(江)을, 빨강은 독립운동에서 흘린 피를 나타낸다. 문장은 화산인 침보라소, 상선(商船), 바다, 안데스산맥에 사는 콘도르, 태양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쪽에 공화제의 상징인 도끼가 있다. 일반 국민은 흔히 문장이 없는 3색기를 사용한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860년 현재의 기로 바꾸었고 1945년 공식 제정하였다. 콜롬비아·베네수엘라 국기도 모양이 비슷하다.1860년에 채택 그후 1900년에 지금의 국기로 수정 그리고 1945년에 정식국기로 제정
페루(PERU)
문장형국기(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하양·빨강이 세로로 배치되어 있고, 관공서용에는 하양 띠에 문장이 들어 있으며 민간용 국기에는 문장이 들어 있지 않은데 모두 공식 국기이다. 최초의 국기인 1820년대의 것은 파랑 바탕에 노랑 태양이 들어 있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으나 이후 몇 년간 빨강과 하양을 기본으로 하여 수차례 형태가 바뀌었다. 그러다가 1825년 독립하여 국민의회가 시작될 때 현재의 새로운 국기를 제정하였다.
페루 독립의 영웅인 아르헨티나 장군 호세 산 마르틴의 군대가 스페인에 맞서기 위해 피스코에 상륙했을 때, 붉은 날개와 흰 가슴을 가진 아름다운 새가 갑자기 날아올라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는데, 빨강과 하양은 이 새에서 유래한다. 문장은 특산인 라마·기나나무, 국부(國富)의 상징인 풍요각(豊饒角) 등으로 되어 있다.
칠레(CHILE)
문장형국기 (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공화국의 전통 색상인 빨강·하양·파랑으로 이루어졌다. 빨강은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하여 선조들이 흘린 피와 원주민인 인디오를, 파랑은 칠레의 밝고 깨끗한 하늘을, 하양은 안데스산맥의 눈을 나타낸다. 파랑 사각형은 인디오의 무장(武裝)에서 유래한 것이며, 별은 나라의 자랑과 통일과 진보의 길잡이를 상징한다. 1817년 페루 부왕(副王)의 아들인 B.오이긴스가 반군을 일으켰을 때 처음 채택한 국기는 현재와 같은 모양에다 중앙에 방패 모양의 국장(國章)이 들어 있었으며, 1818년 2월 12일 독립을 선언하면서 공식 사용하였다.1817년제정
볼리비아(BOLIVIA)
민간용국기(CIVIL FLAG)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위로부터 빨강·노랑·초록의 3색기이며 중앙에 문장(紋章)이 있다. 빨강은 동물을, 노랑은 광물자원을, 초록은 식물의 각 자원을 표시한다. 방패 모양의 문장에는 콘도르·알파카·빵나무, 포토시의 구릉, 9개 지방을 나타내는 9개의 별, 태양 등이 있다. 1851년 10월 31일 제정하였고 1888년 7월 14일 인증하였다. 국내에서는 문장이 없는 기를 사용하기도 하나 공공 및 민간 단체에서는 주로 문장이 있는 것을 주로 사용한다. 1851채택 1888년제정
파라과이(PARAGUAY)
국고의 증인형국기/국기뒷면 민간용국기
(NATIONAL FLAG REVERSE) (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하양·파랑 3색이 동일한 크기로 배치된 3색기이며, 3색이 상징하는 것은 매우 다양하여 빨강은 독립전쟁·애국심·용기·영웅심·동일성·정의를, 하양은 평화·순수·의지·통일을, 파랑은 질서·사랑·지식·자유·진실·자유 등을 나타낸다.
하양 바탕에 있는 문장은 기의 겉면과 뒷면이 다른데, 겉면의 것은 국장(國章), 뒷면의 것은 국고(國庫)의 증인(證印)이다. 국장에는 파란색 원 바탕의 노란색 별이 ‘REPUBLICA DEL PARAGUAY’라는 글씨로 둘러싸여 있고, 증인에는 빨간색 모자를 쓴 노란색 사자가 ‘Paz y Justicia(평화와 정의)’라는 글자에 싸여 있다.
빨강·하양·파랑 3색이 든 국기는 영국이 침공한 시기인 1806년경 군대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자유의 상징인 프랑스의 3색기에서 영향을 받았다. 1813년 제헌의회에서 공식적으로는 채택하였으며, 이후 수차례 형태가 바뀌다가 1842년 현재의 형태로 정착하였다.1813년채택 1842년에 정식국기로 제정
우루과이(URUGUAY)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과 하양의 9개 줄은 독립 당시의 9개 지방을, 하양은 평화를, 파랑은 자유를 나타낸다. 독립 전부터 아르헨티나와 오래전부터 역사적으로도 국가적으로도 긴밀하고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같은 모양의 '5월의 태양(El sol de Mayo, The Sun of May)'이 깃대 쪽 상단에 들어 있다. '5월의 태양'은 인간 얼굴 모습의 빛나는 태양으로서 직선과 너울거리는 모양의 16개 햇살을 가지고 있는데, "최후의 승리를 거둔 날에 하늘은 개이고 태양이 상냥하게 축복을 보냈다"는 이야기에서 연유하며, 잉카 문명의 상징인 동시에 독립 정신을 상징한다. 1830년 7월 11일 제정하였고 1952년 수정하였다. 1830년제정
브라질(BRAZIL)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 바탕에 노랑 마름모가 있고 그 안에 파랑 원이 있으며 원 안에는 흰색 리본이 가로질러 있다. 초록은 농업을, 노랑은 광업과 지하자원을, 초록은 산림자원을, 노랑은 광물과 지하자원을, 파랑은 하늘을 나타낸다. 천구의(天球儀)의 별자리 그림은 독립일인 1889년 11월 15일 8시 30분 리우데자네이루 하늘에 펼쳐진 것이라고 하는데, 22주(州)를 표시하는 22개의 별과 연방의 별을 합한 23개가 있다. 흰색 리본에는 초록색의 포르투갈어(語)로 '질서와 진보'라는 포어가 씌어 있다. 대학교수인 라이문도 T.멘데스(Raimundo T.Mendes)가 디자인하였다. 기본형은 1889년 제정하였고 1968년 수정하였으며 1992년 5월 11일 브라질법률 8421조에 의하여 다시 제정하였다. 1889년에 처음으로 제정 그후 1960년과 1968년에 수정되었다가 1992년에 지금의 국기로 새롭게 수정하여 다시 제정
아르헨티나(ARGENTINA)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늘색과 하양은 정의와 진실,우애를 듯한다. 하늘색,하얀색,하늘색의 가로형 삼색기로서 대(對) 스페인 독립운동을 추진했던 애국자인 장군 마누엘 벨그라노(Belgrano)의 복장에서 취했으며 각각 하늘과 땅을 나타낸다. 문장(紋章)은 '5월의 태양(Sun of May)'이라 하며 인간 얼굴 모습의 빛나는 태양인데, "최후의 승리를 거둔 날에 하늘은 개이고 태양이 상냥하게 축복을 보냈다"는 이야기에서 연유한다. 국내에서는 문장이 들어 있지 않은 국기도 함께 사용한다. 1816년 2월 25일 제정하였다. 우루과이 국기에도 '5월의 태양'이 들어 있다. 1816년제정
가이아나(GUYANA)
국기의 뜻과 의미
‘금빛 화살촉(Golden Arrowhead)’또는 금빛화살의 기 또는 황금화살의 기 또는 황금화살의 깃발 이라고 부른다. 하양 테두리의 노랑 화살촉이 오른쪽을 향해 있고 왼쪽으로는 빨강 삼각형이 검정 테두리로 둘러싸인 모습이다. 초록은 농지와 삼림을, 화살을 본뜬 노랑은 광물자원과 지하자원 그리고 추진력을, 빨강은 국가건설의 열의와 약동력을, 하양은 풍요로운 강과 수자원을, 검정은 인내를 나타낸다. 이 나라는 영국령 가이아나였는데, 독립하기 4년 전인 1962년에 국기 디자인을 국제공모한 결과 미국인인 휘트니 스미스(Whitney Smith)의 작품을 선정하였고 1964년의 새 정부가 들어섰을 때도 바뀌지 않았으며, 1966년 독립과 함께 제정하였다. 1966년제정
수리남(SURINAME)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부터 초록·하양·빨강·하양·초록이 2:1:4:1:2의 비율로 배치되었고 빨강은 보다 나은 생활로의 진보를, 하양은 정의와 자유를, 초록은 풍요한 국토와 희망을, 노란색 별은 단결로 구축되는 빛나는 미래를 나타낸다. 가로세로 비율은 3:2이다. 네덜란드의 자치국 시절인 1959년 12월 15일 만들어졌다. 최초의 국기는 흰색바탕에 5개의 별을 둥근선으로 묶은 것으로 유럽인,흑인,중국인,크리올인,아메리카 원주민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후 1975년 11월 25일 완전 독립하면서, 이전 기에서 5개 민족을 나타내던 5개 별을 하나로 통합한다는 의미에서 1개 별로 바꾸는 등 일부 수정하여 정식 제정하였다.1975년제정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원주민기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 쪽의 영국 국기(유니언 잭)는 이 나라가 영국연방의 일원임을 나타내고, 그 아래의 커다란 7각 별은 ‘연방 별(Star of Federation)’이라고 불리는데 독립 이전의 7개 지역이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으로 통일되었음을 나타낸다. 기 오른쪽에 있는 5개의 크고 작은 별은 남십자자리 일명 남십자성을 표시하는데, 4개는 7각 별이지만 하나는 5각 별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기본 디자인은 독립할 때인 1901년에 공모로 정해졌으며 1909년 5월 22일 제정하였고 1953년 수정하였다. 원주민은 별도의 국기를 주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1909년제정 그후 1953년에 수정
뉴질랜드(NEW ZEALAND)
뉴질랜드원주민 - 마오리족깃발
(MAORI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진한 파랑 바탕의 왼쪽 위에 있는 유니언 잭은 영국연방의 일원임을 나타낸다. 흰색 테두리의 빨강 5각별 4개는 남십자성이며, 진한 파랑은 남태평양을 나타내고 별들의 위치는 남태평양에서의 이 나라 위치를 나타낸다. 1840~1901년에는 유니언 잭을 국기로서 사용하였다. 현재의 기는 영국의 상선에 게양하는 기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1865년부터 이 나라의 상선에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유니언잭과 함께 육지에서도 사용해오다가 1902년 6월 12일 국기로 제정하였다. 이후 1981년 ‘국기·엠블렘·명칭에 관한 보호법’에 의하여 재제정하였다. 1901년제정
피지(FIJI)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 상단 쪽으로 영국연방에 속해 있음을 나타내는 영국 국기(유니언 잭)가 기 1/4 크기로 있고 오른쪽 가운데에는 하늘색 바탕에 방패 모양의 문장이 있다. 1970년 10월 10일 독립일에 당시 영국령 시대의 기를 조금 수정하여 국기로 제정하였다. 1908년 7월 4일 제정된 문장에는 하양 바탕에 세인트 조지(Saint George)의 적십자, 영국왕실을 상징하는 왕관을 쓴 사자, '노아의 홍수'에서 유래한 비둘기·사자·바나나·코코야자 등이 그려져 있다.
국기 디자인은 공모로 정했으며, 로비 윌콕(Robi Wilcock)과 머레이 매켄지(Murray MacKenzie)의 작품이다. 1970년제정
통가(TONGA)
국기의 뜻과 의미
전체적으로 빨강 바탕에 깃대 위쪽으로 하양 사각형 안에 굵은 빨강 십자가가 있다. 19세기 초 이후 들어온 기독교가 국기에도 반영되어 십자가는 기독교를, 빨강은 구세주가 흘린 피를 나타내었다. 1862년에 최초로 사용하였으나 1863년 제정된 국제적십자기와 너무 비슷하다는 이유로 약간 수정하였고, 1875년 11월 4일 공식적으로 제정하였다. 1875년제정
사모아(SAMO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은 용기를, 하양은 순결과 순수를, 파랑은 자유를 나타내고, 별은 제2차 세계대전후 잠시 동안 이 나라를 통치하였던 뉴질랜드의 국기와 같은 남십자성(the Southern Cross)이다. 신탁통치 시절인 1948년 5월 26일에 선정하였는데, 당시에는 똑같은 크기의 별 4개가 있었으나 1949년 2월 24일에 별 1개를 추가하였다. 1962년 독립할 때 정식으로 제정하였다. 그후 1997년 나라이름을 서 사모아를 사모아로 바꾼후에도 계속해서 국기로 사용하고 있다.1962년제정
파푸아뉴기니(PAPUA NEW GUINE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과 까망의 2개 삼각형으로 구성되었다. 빨강 삼각형에는 특산인 극락조(極樂鳥)가 울부짖는 모습이 노란색으로 그려져 있고 까망 삼각형에는 남십자자리 일명 남십자성을 나타내는 5개의 하양 별이 그려져 있다. 바탕의 빨강과 까망은 국가의 전통 색이며, 극락조는 고향을 향한 국가의 부상(浮上)을, 5개의 별은 오스트레일리아 및 다른 남태평양국가들과의 결속을 상징한다. 디자인은 지방 미술교사인 수전 카리케(Susan Karike)가 했다고 하며, 독립하기 4년 전인 1971년 7월 1일 제정하였다. 1971년제정
바누아투(VANUATU)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검정·초록의 3색기이다. 빨강은 용기와 희생과 전통의 힘을, 검정은 국민의 피부색을, 초록은 풍부한 자연환경과 독립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다. 검정 테두리의 노랑 선이 3색을 'Y'자로 경계짓고 있는데, 뉴헤브리디스 제도(諸島)의 모습을 나타내며, 노랑은 태양과 기독교를 상징한다. 검정 삼각형 부분에 배치한 문장(紋章)은 2개의 잎줄기가 멧돼지의 송곳니안에서 교차된 모습으로서, 잎줄기는 평화를, 섬주민들이 목걸이로 이용하는 멧돼지의 송곳니는 부와 영광을 나타낸다. 영국·프랑스 공동통치로부터 독립을 이끈 바누아쿠당(黨)의 당기를 기본으로 하여 디자인하였으며, 1980년 2월 18일 제정하였다.1980년제정
솔로먼제도(SOLOMON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은 물(바다·내·비)을, 초록은 국토(나무·농작물)를, 노랑은 태양을 나타낸다. 5개의 별은 원래는 태평양으로 둘러싸인 이 나라의 5개 구역의 섬들을 가리켰으나 이후 섬들이 7개 구역으로 바뀌자 그 상징도 섬의 주요한 5개 구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달라졌다. 1978년 11월 18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제정하였다. 1978년제정]
키리바티(KIRIBATI)
국기의 뜻과 의미
바다의 파도 위에 태양이 떠오르고 그 위로 갈매기가 날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태평양의 해양국임을 나타내고 있다. 원래는 영국의 보호령이던 길버트엘리스 제도에서 1937년부터 사용되던 깃발이었으며, 1974년 제정된 식민지 헌법에 따라 1979년 자치 정부가 창설된 후 길버트 제도가 독립하여 키리바시가 되면서 조금 수정하여 국기로 제정하였다(엘리스 제도는 키리바시인(人)과 폴리네시아계 투발루인과의 사이의 인종적인 대립에 따라 비슷한 시기에 따로 독립하여 투발루가 되었다). 1979년제정
투발루(TUVALU)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늘색 바탕에 있는 유니언 잭(영국 국기)은 투발루가 영국연방(英國聯邦)의 일원임을 표시한다. 하늘색은 섬을 둘러싼 열대해를, 9개의 노랑 별은 이 나라를 형성하는 9개의 섬을 나타내고, 지도상 실제 위치를 본떠 배치하였다.
영국의 보호령이던 길버트엘리스 제도에서 1975년 엘리스 제도가 분리하였을 때는 지금의 기와는 달리 별이 없고 파란 바탕인 기를 국기로 정하였으며, 1978년 독립할 때 정식으로 현재 형태대로 제정하여 1995년까지 사용하였다. 이후 몇 차례에 걸쳐 모습이 조금씩 바뀌다가 1997년 4월 11일에 1978년의 것으로 다시 돌아왔다.1978년제정 그후 1995년에 다른 국기를 사용하다가 1997년에 1978년의 국기를 부활시켜 제정함
마이크로네시아로네시아연방(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국기의 뜻과 의미
태평양을 나타내는 파란 바탕에 남십자성을 상징하는 5각별 4개를 배열하였다. 4개의 별은 이 나라의 주요한 4개 섬 즉 트루크,포나페,야프,코스라이에이을 표상하고 상징며, 흰 별 4개를 이으면 십자가가 되어 기독교국가임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던 1962년부터 사용하여왔으며 1978년 11월 30일 제정하였다. 1978년제정
마샬제도공화국(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태평양을 나타내는 진한 파랑 바탕에 깃대 상단쪽으로 24개의 하얀 빛살을 발하는 태양을 배치하였다. 24개의 빛은 자치구역의 수를 나타내고, 4개의 긴 빛은 기독교국가임을 표상하며 또는 마주로(Majuro)·에베예(Ebeye)·잘루이트(Jaluit)·워체(Wotje)의 4개 주요 섬을 나타낸다. 또 깃대 왼쪽 아래로부터 오른쪽 상단으로 뻗어올라갈수록 넓어지는 오렌지색과 흰색의 대각선은 장래의 발전 또는 일몰과 일출을 뜻한다. 오렌지색은 용기를, 흰색은 평화를 뜻하기도 한다. 1979년 5월 1일 미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하였을 때 제정하였으며 디자인은 당시 대통령의 부인인 엠라인 카부아(Emlain Kabua)가 하였다. 1979년제정
팔라우(PALAU)
국기의 뜻과 의미
하늘색 바탕 위에 노랑의 커다란 원을 배치하여 남태평양의 해양국임을 나타내고 있다. 달을 뜻하는 노랑 원은 국가의 결속과 운명을, 하늘색은 독립을 상징한다. 1947년부터 국제연합 신탁통치령으로 미국의 지배 아래 있다가 1980년 10월, 1981년 1월 1일부터 자치독립할 것임을 선포할 때 제정하였다. 가로세로 비율은 8:5이며 원의 지름은 기 길이의 3/5이다. 원은 상하 중앙에 있으며 원 바깥의 좌우 비율은 2:3으로 약간 깃대 가까이에 있다. 팔라우는 연방국으로 16개 국가가 있는데, 이 중 8개국만이 국기를 가지고 있다. 1981년제정
나우루(NAURU)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 바탕에 노랑 선이 가로로 놓여 있고 깃대쪽 하단에 하양 별이 있다. 파랑은 태평양을, 노랑은 적도를, 12개의 빛줄기를 발하는 별은 나우루 12부족의 단결을 나타낸다. 이 별은 나우루가 적도에서 1° 남쪽에 위치하는 것도 나타낸다. 제2차 세계대전후인 1947년에 영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3국의 신탁통치령이 되었다가, 독립할 때인 1968년 1월 31일 제정하였다. 1968년제정
괌(GUAM)
국기의 뜻과 의미
국기주위를 빨강색띠가 둘러싸고 있으며 파랑색바탕은 태평양의 푸른바다를 상징한다. 그리고 파랑색바탕에는 문장이 새겨져 있다. 그안에는 야자나무와 아가나강의 포구 그리고항해하는 배와 괌이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1960년제정
미국령사모아(AMERICAN SAMOA)
국기의 뜻과 의미
미국독수리가 추장의 상징인 전투용 곤봉,우아토기,의회의 지혜의 상징인 작대기 퓨를 잡고 있다. 색채는 미국국기의 색채를 따왔으며 미국과의 우정을 상징함1960년제정
쿡제도(COOK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별들을 원형으로 새김 파랑색은 바다 그리고 하양색은 자유룰 사랑하는 주민과 이섬의 중요한 섬들 공동체의식과 각구성원들의 평등함과 서로 의지함을 상징함1979년제정
북마리아나제도(NORTHERN MARIANA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색은 바다를 상징하며 중앙의 하양색별은 북마리아나제도의 정부(자치정부)와 이나라를 상징 하며 라테돌은 이지역의 차모로문화와 차모로족을 상징한다. 그리고 타가스톤으로도 불리우는 라테돌은 추장의 거대한 가옥을 받치던 추춧돌이기도 한다. 그주위에는 전통적인 이지역의 꽃다발들을 새겼는데 그것은 민족의 융합과 단결을 상징한다.1995년제정
노포크제도(NORFOLK ISLANDS)
국기의 의미와 뜻
초록색과 하양색 그리고 초록색의 세로형 삼색기안에 초록색 소나무를 하양색의 중앙에 삽입하여 새긴기를 만들었다. 중앙의 초록색 소나무는 노포크(노퍽)소나무로서 이섬의 고유종 나무이기도한 남양소나무의 일종이기도한 나무이다.1980년제정
니우에(NIUE)
국기의 의미와 뜻
노랑색바탕의 깃대윗부분에 캔턴으로 그려진 영국국기에 남십자성을 상징하는 4개의 별을 새기고 중앙에 이섬을 표시하는 별을 새겼다. 노랑색은 밝게비추는 태양과 뉴질랜드와의 영원한 우호와 충성을 상징한다. 그리고 깃대윗부분에 캔턴으로 그려진 영국국기인 유니언잭은 영국국기가아닌 영국국기가 깃대윗부분에 캔턴으로 그려진 뉴질랜드의 국기에서 유래되었다. 영국국기의 왼쪽과 오른쪽 그리고 위아래에 그려진 4개의 노랑색별은 남십자성을 상징하고 가운데 중앙의 파랑색의 원형에 그려진 노랑색의 큰별은 니우에의 자치 독립과 밝게 빛추는 태양과 햇빛 그리고 이섬사람들의 우호적인 성격을 상징한다.1974년제정
프랑스령폴리네시아(FRENCH POLYNESI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과 하양색 그리고 빨강색의 삼색기에 문장을 새김 빨강색은 용기를 하양색은 이상과 밝은미래와 순수함을 상징 중앙의 문장은 파도무늬로서 태평양을 상징하고 그 위에 과거부터 사용하고 못을 쓰지않았다는 배 후쿠리아가 떠 있으며 그배경에 떠 있는 태양은 이를 보고 행복과과 낙천적인 기질을 상징한다.1984년제정
토켈라우제도 (TOKELAU)
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
문장깃발(STATE FLAG)
월리스푸트나(WALLIS AND FUTUNA)
프랑스국기와 함께게양할 때의 모습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 윗부분에 프랑스국기를 새겼다. 그리고 오른쪽의 빨강색바탕에 4개의 삼각형을 새겼다. 빨강색은 용기를 하양색은 순결함을 4개의 삼각형은 이 섬의 토착의 왕과 프랑스 통치자를 상징하며 동시에 19세기 기독교전도단의 상징이었던 몰타십자가의 변형을 상징한다. 그리고 깃대 윗부분의 프랑스국기는 프랑스와 프랑스의 통치권을 상징 한다. 1985년제정
국제기
국제연합기(유엔기)(UN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연합 (UNITED NATIONS)
깃발의 뜻과 의미
국제연합은 1946년 국제연합의 공식문장이자 휘장으로 북극에서 본 세계지도에 올리브의 잎가지로 둘러싼 것을 채택[총회결의 92(I)]하였고, 1947년 청색 바탕에 국제연합의 흰 문장을 부상시킨 것을 국제연합기로 제정하였다[총회결의 167(II)]. 세계지도를 올리브잎으로 에워싸고 있는모양의 이 기는 국제연합이 목표로하는 세계의 평화추진을 나타내고 있다. 도안은 지구를 북극 위에서 본 세계지도로 지도상 위선은 지구위도 30도마다 표시하여 안쪽의 작은 원은 북위 60도를 바깔쪽의 큰 원은 남위 60도를 표시한다. 또한 8줄의 경선은 영국 그리니치천문대의 경도0도를 기준으로 자오선 45도마다 표시하고 있다. 국제연합기 및 그 사용에 있어서는 국제연합헌장의 어떤 규정에도 없다. 다만, 총회결의에 따라 사무총장이 1947년 12월 19일 국제연합기의 사용을 규율하고 그 명예를 보호하기 위하여 '국제연합기 규칙(United Nations Flag Code)'을 제정하였다(현재의 규칙은 1952년 11월 11일자로 개정된 것).
규칙에 의하면 ① 국제연합의 건물·사무소 등에는 반드시 달 것, ② 국제연합을 위한 행동을 하는 위원회 등의 단체가 국제연합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할 것, ③ 국제연합 전문기구의 건물·사무소 등에 게양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다(규칙 4). 그리고 정부·단체·개인이 국제연합을 지지하기 위하여, 또는 그 원칙 및 목적을 추진시키기 위하여 국제연합기를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규칙 5). 한편, 국제연합기를 군사작전에서 사용할 때는 국제연합의 권한 있는 기관의 명시적 사용허가를 얻었을 때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규칙 6). 국제연합기는 이 규칙에 반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국제연합기 또는 그 복제를 상업적 목적이나 직접 상품과 결부된 형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규칙 7). 국제연합이 국제연합기를 사용할 권리는 총회결의와 국제연합기 규칙에 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또 국제연합기의 사용이 특히 문제가 되는 군사적 행동(국제연합군 및 평화유지활동의 발동)에 대해 그 예를 들어보면, 1950년 6·25전쟁 때 국제연합 가맹국이 제공한 병력을 통할하는 통일사령부가 국제연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84에 의해 명시적으로 인정되었고, 중동파견 제1차 국제연합 긴급군(United Nations Emergency Force I:UNEF I), 콩고파견 국제연합군(Organisation des Nations Uniesau Congo), 중동파견 제2차 국제연합 긴급군(UNEF II) 등도 사용하였다.그 외에는 관계총회·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관한 규정은 없으나 파견 상대국과의 지위협정에 따라 국제연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하고 있다.
올림픽기(OLYMPIC FLAG)
기의 뜻과 의미
올림픽기란 근대올림픽을 상징하는 기로 오륜기를 말한다. 올림픽경기대회 기간 동안 경기장 내의 메인폴에 게양되며, 주경기장과 경기장 주변에 많은 참가국의 기와 함께 게양된다. 개회선언과 동시에 게양되었다가 폐회식 종료시에 내린다. 흰 바탕에 선을 두르지 않고 중앙에 오륜마크를 앉혔으며 좌측 상위 깃대 쪽에 청색이 오도록 단다.처음으로 이 기가 피에르 쿠베르탱(Pierre Coubertin)에 의해서 언급된 것은 1913년 8월, IOC(Ineternational Olympic Committee:국제올림픽위원회) 잡지인 《올림픽 리뷰 Olympic Revue》의 기사에서였다.올림픽마크와 마찬가지로 근대올림픽의 창시자인 쿠베르탱이 1914년 6월 프랑스 파리의 소르본(파리)대학에서 열린 IOC 20주년 기념행사에서 첫선을 보였고, 이 자리에서 IOC의 공식기로 채택되었다.그 이후에도 올림픽경기는 아니지만, 올림픽조직위원회를 대표하는 성격으로 1915년 3월 18일에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의 만국박람회장에서 공식적으로 올림픽기가 게양되었다. 그러나 1916년 올림픽 때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무산되어 이 기를 게양할 수가 없었다.1914년 4월 3∼5일에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챗비운동장(Chatby Ground)에서 개최된 범이집트 경기에서 이 기가 선을 보였으며, 당시 이집트 IOC위원인 안젤로 볼라나키(Angelo Bolanaki)의 수중에 들어갔다가 나중에 그가 그리스로 이주한 뒤 1959년 IOC에게 되돌려주었다. 1920년 제7회 앤트워프(Antwerpen) 대회 때부터 올림픽기는 개막식과 폐막식 행사의 한 부분이 되었으며, 올림픽 기간 동안 주경기장에 게양된다. 한편 올림픽기가 동계올림픽에도 게양되기 시작한 것은 1952년 노르웨이에서 열린 제6회 오슬로대회 때부터이다. 그때 부터 모든 동,하계올림픽에 올림픽기가 어김없이 게양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국경을 초월하는 것을 뜻하는 흰색 바탕에 위쪽 원은 왼쪽에서부터 파란색·검정색·빨간색이며, 아래의 원은 노란색과 초록색의 고리 5개가 서로 얽혀 있다. 5가지 색은 세계 여러 나라 국기에 대개 이 5가지 색이 들어 있어 세계의 결속이라는 의미에서 채택되었다. 동그란 고리 5개는 올림픽정신으로 하나가 된 유럽·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아메리카의 5개 대륙을 상징한다.이 최초의 올림픽 공식기는 1984년 올림픽경기 이후 마침내 사용을 마감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경기대회에서 새로운 올림픽기가 탄생하여 현재까지 사용해 오고 있다. 올림픽 폐막식에서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의 시장이 다음번 올림픽이 열릴 도시의 시장에게 이 기를 넘겨준다. 그리고 이양된 기는 다음 올림픽이 열릴 때까지 차기 개최도시의 시청에 보관된다. 한편 동계올림픽때 쓰이는 올림픽 공식기는 1952년 노르웨이에서 열린 제6회 오슬로 대회때 처음으로 제정 되어 사용되기 시작 했으며 그후 지금까지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국제장애우올림픽기(PARALYMPIC FLAG)
기의 뜻과 의미
2003년에 새롭게 제정된 국게장애우올림픽깃발은 하양색바탕에 빨강색과 파란색과 초록색의 반고리문양의 위에 국게장애우올림픽위원회 -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영문약자인 IPC가 빨강색과 파란색과 초록색의 반고리문양 위에 새겨진 새깃발을 제정했다. 최초의 깃발은 1988년에 서울장애우올림픽의 5가지색의 태극문양이 새겨진기를 제정했으며 1994년 릴레함메르동계대회 때가지 사용 되었다. 그러다가 1991년에 기존의 5가지색을 몸과 마음,정신을 상징하는 뜻에서 빨강,초록,파란색의 3색태극문양으로 바꾸었는데 위에 초록색 태극문양을 아래에는 빨강색과 파란색 태극문양이 삼각으로 새겨진 깃발이였으며 1996년 애틀란타대회에 처음으로 게양 되었다. 그러다가 2003년에 지금의 깃발이 새롭게 발표되어 채택되고 2004년 4월에 이를 공식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이깃발이 처음으로 게양된 것은 2004년 아테네대회의 페회식때 부터이며 그때부터 국게장애우올림픽깃발로 쓰이기 시작 했다. 빨강색과 파란색과 초록색의 반고리문양은 몸과 마음 그리고 정신을 상징 한다.
국제적십자기(RED CROSS FLAG)
기의 뜻과 의미
적십자운동은 1868년에 앙리뒤낭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바로그때 적십자기는 앙리뒤낭의 모국인 스위스의 국기를 본따서 이를 역으로 만들었는데 흰색바탕에 붉은 십자가를 넣은 기를 적십자기로 채택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흰색 바탕위에 붉은 십자표지, 즉 적십자 표지는 1863년 10월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결정된 것으로서 스위스기의 색깔을 거꾸로 만든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제네바 국제회의가 열린 다음해인 1864년 8월의 외교관회의에서는 백색바탕의 적십자 표지를 모든 군대의 의무요원,군 병원 및 야전병원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표장으로 사용키로 한 최초의 제네바 협약을 채택했다. 이 협약에는 보호표장으로 적십자만이 명시되어 있었다.
적신월기(이슬람적십자기)
(RED CRESCENT FLAG)(ISLAMIC VERSION)
기의 뜻과 의미
흰색바탕에 이슬람의 상징인 초승달을 붉게 물들여서 삽입한 적십자기의 이슬람식 버전으로 거의 모든 이슬람국가들이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국제적으로도 널리공인되었다. 이 깃발이 만들어진 계기는 1876년 러시아와 회교국가인 터어키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을 때 "오토만 부상자 구호협회(터어키 적신월사의 옛 명칭)"는 적십자 대신에 적신월을 사용하기 시작했다.왜냐하면 과거 십자군 원정 때에 기독교도들이 십자가 모양을 사용했으므로 이에 대한 종교적인 거부반응으로 터어키는 붉은색의 초승달을 택한 것이다. 적신월 표장은 그 뒤 모든 회교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적십자 표장과 동등한 자격을 가지고 있다.
적사자기(이란의 적십자기)
(RED LION FLAG)(I.R OF IRAN VERSION)
기의 뜻과 의미
흰색 바탕위에 붉은 태양과 사자가 새겨진깃발로서 일종의 적십자기에 속한다. 이깃발은 팔레비왕정때부터 사용되었으나 1979년 이슬람회교혁명이후 인 1980년에 폐지하고 지금의 적반월기를 적십자기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적십자적신월기(RED CROSS AND RED CRESCENT FLAG)
기의 뜻과 의미
붉은 십자가와 붉은 초승달을 함께 새기고 이를 물들인 깃발 또한 일종의 적십자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남극기(ANTARCTICA FLAG)
기의 뜻과 의미
파란바탕에 남극지도를 새긴기를 만들었다. 파란바탕은 푸른바다를 흰색 남극지도는 남극대륙을 위미한다.]
불교기(BUDDHISM/BUDDIHIST FLAG)
기의 뜻과 의미
청·황·적·백·주황 등 다섯 가지 색을 가로와 세로로 배치한 기(旗)이다. 1952년 일본에서 열린 제1회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공식 깃발로 사용한 후 1954년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 불교도대회'에서 정식 승인되었으며 모든 불교국가와 불교단체에서 사용하였다. 이 기를 제창한 사람은 미국 국적 스리랑카 대표 올코트(Colonel Henry Stell Olcott)이다. 그는 부처가 성도할 때 성체(聖體)에서 여섯 종류의 색광이 방출되었다는 것에 근거해서 육색기(六色旗)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결정된 것은 다섯 색상으로 된 기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1966년 8월 11일 대한불교조계종이 개최한 제13회 임시중앙종회에서 불기(佛紀) 연대 통일과 불교기 사용을 논의하여 확정하였다. 그 뒤부터 각종 불교 행사에서 종파를 초월하여 게양하며 더러는 불상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다섯 가지 색상은 부처의 상호(相好)와 가르침을 상징한다. 가로 선은 부처의 가르침을, 세로 선은 부처의 가르침이 영원하고 변함없다는 것을 뜻한다. 또 오색이 세계 인종의 색을 상징하고, 가로와 세로의 선은 부처의 가르침이 세상에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도 해석한다. 또 각 색상도 각각 상징하는 바가 있다. 청색은 부처의 모발색에서 비롯된 색으로,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고 불법을 구하려는 노력을 상징한다. 황색은 부처의 몸빛과 같이 변하지 않는 굳건한 마음을 나타내고, 적색은 열정적으로 정진할 것을 표현한 것이다. 백색은 깨끗한 마음으로 청정(淸淨)을, 주황색은 부처의 가사로 인내를 상징한다.
아시아경기대회기(ASIAN GAMES FLAG)
제1회아시아경기대회기(FIRST ASIAN GAMES FLAG)
유니버시아드기(UNIVERSIADE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버전형깃발 - 1 버전형깃발 - 2
(ALTERNATIVE FLAG - 1) (ALTERNATIVE FLAG - 2)
북대서양조약기구기(NAT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북대서양조양기구 (NORTH ATLANTICt TREATY ORGANIZATIONS)
전체가맹국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프랑스 5. 독일 6. 네덜란드 7. 벨기에
8. 룩셈부르크 9. 이탈리아 10. 스페인 11. 포르투갈 12. 아이슬랜드
13. 노르웨이 14. 덴마크 15. 그리스 16. 터키 17. 폴란드 18. 체코공화국
19. 헝가리 20. 슬로바키아 21. 슬로베니아 22. 불가리아 23. 루마니아
24. 라트비아 25. 리투아니아 26. 에스토니아
세계스카우트기(SCOUTS AND GUIDES FLAG)
독립국가연합기(C.I.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독립국가연합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동남아시아국가연합기(ASEAN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미주기구기(OA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미주기구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석유수출국기구기(OPE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석유수출국기구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아랍연맹기(ARAB LEAGUE FLAG)
영연방기구기(THE COMMONWEALTH FLAG)
이슬람국가기구기(ISLAMIC CONFERENCE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이슬람국가기구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헤즈볼라기(HEZBOLLAH FLAG)
알 카에다기(AL-QUAEDA FLAG)
시크교기(SIKKHISM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모르몬교기(MORMONISM FLAG)
말일성도 예수그리스도 교회 깃발
(THE CHURCH OF JESUS CHRIST LATTER DAY SAINTS FLAG)
카리브공동체기(CARICOM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카리브공동체 (CARIBBEAN COMMUNITY)
중미기구기(OCA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중미기구
(CENTRAL AMERICAN ORGANIZATIONS)
(ORGANIZATION OF CENTRAL AMERICAN STATES)
콜롬보계획기(COLOMBO PLAN FLAG)
국제축구연맹기(FIFA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게축구연맹 (FEDE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걸프협력회의기(GC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걸프협력회의 (GULF COOPERATION COUNCIL)
북유럽회의기(NORDIC COUNCIL FLAG)
태평양지역공동체기(PACIFIC COMMUNITY FLAG)
하마스기(HAMAS FLAG)
유럽안보협력회의기(OSCE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유럽안보협력회의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서유럽동맹기 (WEU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서유럽동맹 - 서유럽연합 (WESTERN EUROPEAN UNION)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기 (APE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무지개 깃발 (RAINBOW FLAG)
기의 뜻과 의미
무지개 깃발은 동성애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식이다. 그것은 샌프란시스코에 살던 길버트 베이커라는 화가에 의해 1978년 처음 디자인 되었는데, 당시 그 지역 동성애 인권 운동가의 게이 사회를 나타낼 수 있는 상징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게이 사회의 다양성을 표현하고자 했던 길버트는 분홍, 빨강, 주황, 노랑, 녹색, 청록, 남색, 보라의 8가지색을 사용하였고, 그것들은 각각 섹슈얼리티, 삶, 치유, 태양, 자연, 예술, 조화, 영혼을 상징한다. 하지만 1979년 분홍과 청록색이 제외되고 파랑이 남색을 대체한다. 무지개 깃발은 197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커밍아웃을 하고 시의원에 당선된 최초의 동성애자가 저격당하자 이에 항거하는 의미로서 행해진 게이/레즈비언 퍼레이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 1989년 웨스트 헐리우드에 하는 존 스토우토라는 사람이 그의 아파트 발코니에 레인보우 깃발은 내걸었다가 이를 금지한 집주인에게 소송을 걸어 승소한 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계기로 그 무지개 깃발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된다.오늘날 이것은 게이 프라이드와 다양성의 상징이 되었으며, 1994년 스톤월 25주년 기념 퍼레이드에서는 만 명의 뉴욕 시민들이 30피트, 1마일의 거대한 무지개 깃발과 함께 행진하기도 하였다. 이 무지개 깃발은 인간의 평등과 진보 그리고 참된 진리와 연대를 상징하는 깃발이다.
UEFA컵 챔피언스 리그기 (UEFA CHAMPIONS LEAGUE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에스페란토기 (ESPERANTO FLAG)
유네스코기 (UNESC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UNESCO)
적수정기 (RED CRYSTAL FLAG)
탈레반기 (TALIBAN FLAG)
사파티스타 민족해방전선기 (FZLN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사파티스타민족해방전선
(영문 - ZAPATISTA FRONT OF NATIONAL LIBERATION)
(스페인어 - EJERCITO ZAPATISTA DE LIBERACION NACIONAL)
산디니스타민족해방전선기 (FSLN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산디니스타민족해방전선
(영문 - 1 - SANDINISTA NATIONAL LIBERATION FRONT)
(영문 - 2 - SANDINIST NATIONAL LIBERATION FRONT)
(스페인어 - FRENTE SANDINISTA DE LIBERACION NACIONAL)
영연방경기대회기 (COMMONWEALTH GAMES FLAG)
국제프랑스어권공동체기 (FRANCOPHONIE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프랑스어권-프랑코포니국가기구 - 국제프랑스어권공동체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굿윌게임기 (GOODWILL GAMES FLAG)
스페셜 올림픽기 (SPECIAL OLYMPIC GAMES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비국제연합-비국가민족조직기구기 (UNPO FLAG)
로고깃발 (LOG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비국제연합-비국가민족조직기구
비국제연합-비국가소수민족조직기구
국제연합비회원국-비국가소수민족조직기구
국제연합비회원국-비국가민족조직기구
나라없는국민-소수민족협회기구
나라없는국민-소수민족협회
(UNREPRES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국제박람회기구 - 세계박람회기 (BIE - WORLD FAIR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박람회기구 (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
국제육상경기연맹기 (IAAF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육상격기연맹 (INTERNATIONAL ASSOCITION OF ATHLETICS FEDERRATIONS)
동아시아경기대회기 (EAST ASIAN GAMES FLAG)
세계무역기구기 (WT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경제협력개발기구기 (OECD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남극조약기 (ANTARCTIC TREATY FLAG)
아랍마그레브연합기 (AMU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초록색의 중앙에 하양색띠를 넣은기의 중앙에 노랑색의 초승달을 중앙 아랫부분에 새기고 중앙 윗부분에 5개의 하양색별을 넣은기를 만들었다. 노랑색의 초승달과 5개의 하양색별은 이슬람교를 상징하며 5개의 하양색별은 북아프리카의 5개국(리비아,알제리,튀니지,모로코,모리타니)을 상징한다. 그리고 초록색과 하양색, 빨강색과 노랑색은 북아프리카의 5개국(리비아,알제리,튀니지,모로코,모리타니)의 국기색에서 유래되었으며 빨강색은 석양으로 물든 하늘을 초록색은 대지를 상징하며 하양색은 석양으로 물든하늘의 빛을 상징하며 하얀지평선을 경계로한 푸른대지와 석양으로 물든 하늘을 상징한다.1990년제정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아랍마그레브연합 (ARAB MAGHREB UNION - UNION OF ARAB MAGHREB)
유럽자유무역연합기 (EFTA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유럽자유무역연합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중부유럽자유무역연합기 (CEFTA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중부유럽자유무역연합
(CENTRAL E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CENTRAL EEUROPEAN FREE TRADE AGREEMENT)
77그룹기 (THE GROUP OF 77 - G-77 FLAG)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기 (MERCOSUR FLAG)
버전형깃발 - 1 (ALTERNATIVE FLAG VERSION - 1)
버전형깃발 - 2 (ALTERNATIVE FLAG VERSION - 2)
버전형깃발 - 3 (ALTERNATIVE FLAG VERSION - 3)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남미공동시장
(영문 - SOUTHERN CONE COMMON MARKET)
(스페인어 - MERCADO COMUN DEL SUR)
(포르투갈어 - MERCADO COMUN DEL SUL)
상하이협력기구기 (SC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상하이협력기구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태평양제도포럼-남태평양제도포럼기
(PIF FLAG - SPF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태평양제도포럼-남태평양제도포럼 (PACIFIC ISLANDS FORUM - SOUTH PACIFIC FORUM)
이슬람법정연대기 (ICU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이슬람법정연대 (ISLAMIC COURTS UNION)
슬라브연합기 (SLAVIC UNION FLAG)
동남아시아경기대회기 (SEA GAME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동남아시아경기대회 (SOUTHEAST ASIAN GAMES)
안데스공동체기 (ANDEAN COMMUNITY FLAG)
포르투갈어권국가기구기 (CPLP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포르투갈어권국가기구
(영문 - 1 - COMMUNITY OF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영문 - 2 - COMMUNITY OF PORTUGUESE LANGUAGE COUNTRIES)
(포르투갈어 - COMUNIDADE DOS PAISES DE LINGUA PORTUGUESA)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기 (SAD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 (SOUTHERN AFRICANf DEVELOPMENT COMMUNITY)
동아프리카공동체기 (EA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동아프리카공동체 (EAST AFRICAN COMUMMUNITY)
동카리브국가기구기 (OEC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동카리브국가기구 (ORGANIZATION OF EASTERN CARIBBEAN STATES)
중미의회기 (PARLACEN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중앙아메리카-중미의회 (CENTRAL AMERICAN PARLIAMENT - PARLACEN)
라틴아메리카의회기 (LATIN-AMERICAN PARLIAMENT FLAG)
남동부아프리카공동시장기 (COMESA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남동부아프리카공동시장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서아프리카국가경제공동체기 (ECOWA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서아프리카국가경제공동체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적갈매기수장기 (RED CHEVRONS FLAG)
적십자국제위원회기 (ICR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적십자국제위원회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국제어린이날깃발 (INTERNATIONAL CHILDREN DAY FLAG)
평화깃발 (PEACE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지구기 (EARTH FLAG)
아프로아메리칸-가비기 (AFRO-AMERICAN FLAGS)
기의 뜻과 의미
빨강,검정,초록색의 가로형 3색기의 형태를 가진깃발로서 이 가비기는 아프로-아메리칸기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1920년 미국의 뉴욕에서 열린 제1회 국제흑인개선협회회의에서 처음으로 제정되어 게양되었다. 빨강색은 전사들과 흑인들과 흑인민중들이 흘린피를 검정색은 아프리카 대륙과 흑인들을 초록색은 대지와 희망을 상징한다.1920년제정
세계민주청년연맹기 (WFDY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세계민주청년연맹 (WORLD FEDERATION OF DEMOCRATIC YOUTH국제학생연맹기 (IU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학생연맹 (INTERNATIONAL UNION OF STUDENTtS))
국제공산당깃발 (COMMUNISM-COMMUNIST FLAG)
지하드깃발 (JIHAD FLAG)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깃발 (ANARCHISM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버전형깃발 - 1 버전형깃발 - 2
(ALTERNATIVE FLAG - 1) (ALTERNATIVE FLAG - 2)
크리스찬-기독교기 (CHRISTIAN FLAG)
지중해연합기
(UNION FOR THE MEDITERRANEAN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지중해연합
(영문 - UNION FOR THE MEDITERRANEAN)
(프랑스어 - UNION MEDITERRANEENNE)
남아메리카-남미국가연합기
(UNION OF SOUTH AMERICAN NATION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남아메리카-남미국가연합
(영문 - UNION OF SOUTH AMERICAN NATIONS)
(스페인어 - UNION DE NACIONES SURAMERICANAS)
(포르투갈어 - UNIAO DE NACOES SUL-AMERICANAS)
(네덜란드어 - UNIE VAN ZUID-AMERIKAANSE NATIES)
베네룩스깃발 (FLAG OF BENELUX)
루소포니-포르투갈어권경기대회기
(LUSOPHONY GAMES FLAG)
지중해경기대회기
(MEDITERRANEAN GAMES FLAG)
팬아메리카경기대회기
(PAN AMERICAN GAMES FLAG)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
남아메리카경기대회기
(SOUTH AMERICAN GAMES FLAG)
남아시아경기대회기
(SOUTH ASIAN GAMES FLAG)
서아시아경기대회기 (WEST ASIAN GAMES FLAG)
중앙아메리카-카리브경기대회기
(CENTRAL-AMERICAN AND CARIBBEAN GAMES FLAG)
중앙아메리카경기대회기
(CENTRAL-AMERICAN GAMES FLAG)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경기대회기
(FRANCOPHONE GAMES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경기대회
(영문 - FRANCOPHONE GAMES)
(프랑스어 - JEUX DE LA FRANCOPHONIE)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기 (SAAR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흑해경제협력기구기 (BSEC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흑해경제협력기구
(ORGANIZATION OF THE BLACK SEA ECONOMIC COOPERRATION)
(BLACK SEA ECONOMIC COOPERRATION)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기 (INTERPOL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INTERNATIONAL CRIMINAL POLICE ORGANIZATION)
102 아시아개발은행기 (ADB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아시아개발은행
(ASIAN DEVELOPMENT BANK
아프리카개발은행기 (AFDB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아프리카개발은행
(영문 - AFRICAN DEVELOPMENT BANK)
(프랑스어 - BANQUE AFRICAINE DE DEVELOPPEMENT)
유라시아경제공동체기 (EURASEC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인도양위원회기 (COI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인도양위원회
(영문 - INDIAN OCEAN COMMISSION)
(프랑스어 - COMMISSION DE L OCEAN INDIEN)
러시아-벨로루시연합기 (UNION STATE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러시아-벨로루시연합 (러시아-벨라루스연합)
러시아-벨로루시연방 (러시아-벨라루스연방)
(UNION STATE OF RUSSIA AND BELARUS)
이슬람교육과학문화기구기 (ISESC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이슬람교육과학문화기구
(ISLAMIC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이슬람개발은행기 (IDB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이슬람개발은행
(ISLAMIC DEVELOPMENT BANK)
구암공동체기 (GUAM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구암공동체민주주의경제개발협력기구
(GUAM ORGANIZATION FOR DEMOCRACY AND ECONOMIC DEVELOPMENT)
유러비젼깃발 (EBU-EUROVISION FLAG)
버전형깃발 - 1 (ALTERNATIVE FLAG VERSION - 1)
버전형깃발 - 2 (ALTERNATIVE FLAG VERSION - 2)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유러비젼-유럽방송연맹
유럽방송연맹
(영문)
(EUROVISION-EUROPEAN BROADCASTING UNION)
(EUROPEAN BROADCASTING UNION)
(프랑스어)
(EUROVISION-UNION EUROPEENNE DE RADIO-TELEVISION)
(EUROPEENNE DE RADIO-TELEVISION)
유러비젼송콘테스트기 (EUROVISION SONG CONTEST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유러비젼송콘테스트
(영문 - EUROVISION SONG CONTEST)
(프랑스어 - CONCOURS EUROVISION DE LA CHANSON)
아일랜드게임깃발 (ISLAND GAMES FLAG)
북미자유무역지대(나프타)기 (NAFTA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남미공동시장
(영문 -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NAFTA)
(스페인어 - TRATADO DE LIBRE COMERCIO DE AMERICA DEL NORTE-TLCAN)
(프랑스어 - ACCORD DE LIBRE-ECHANGE NORD-AMERICAIN-ALENA)
세계은행(세계은행그룹)기 (WORLD BANK-WBG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세계은행-세계은행그룹
(WORLD BANK-WORLD BANK GROUP)
국제부흥개발은행기 (IBRD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부흥개발은행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세계보건기구기 (WHO FLAG)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국제노동기구기 (IL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노동기구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국제민간항공기구기 (ICAO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민간항공기구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국제원자력기구기 (IAEA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민간항공기구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국제통화기금기 (IMF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통화기금
(INTERNATIONAL MONETARY FUND)
만국우편연합기 (UPU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만국우편연합
(UNIVERSAL POSTAL UNION)
세계식량계획기 (WFP FLAG)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기 (UNICEF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국제연합-유엔아동기금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데플림픽기 (DEAFLYMPIC FLAG)
흑해해군협력실무그룹기 (BLACKSEAFOR FLAG)
전체이름 (풀네임) (FULL NAME)
흑해해군협력실무그룹
(BLACK SEA NAVAL COPPERATION TASK GROUP)
무지개평화깃발 (RAINBOW PEACE FLAG)
기타국제기구깃발
권시(GUERNSEY)
국기의 의미와 뜻
잉글랜드기인 성 죠지기(세인트 죠지기)의 빨강색 십자가안에 황금색십자가를 삽입한 기를 만듬1985년제정
져지(JERSEY)
국기의 의미와 뜻
17세기 후반부터 하양색바탕에 X자형 빨강색십자가를 새긴깃발인 성 패트릭기(세인트 패트릭기)사용해왔다. 그후 1981년에 성 패트릭기(세인트 패트릭기)안에 잉글랜드왕실을 상징하는 왕관과 붉은바탕의 세마리의 황금사자가 든 방패가 새겨졌다. 빨강색바탕의 황금사자는 수호자를 뜻하며 그위의 왕관은 플랜타게네트왕가를 상징하며 잉글랜드로의 귀순을 의미한다.1981년제정
그린란드(GREENLAND)
국기의 의미와 뜻
하양색과 하양색반원은 내륙의 빙산과 얼음을 상징하며 빨강색과 빨강색반원은 한여름 태양의 일출을 형상화 하고 있다 이깃발은 덴마크국기의 색채를 따서 만들었다.1985년제정
앨란드제도(ALAND ISLAND)
국기의 의미와 뜻
스웨덴의 국기를 모태로 만들었으며 황금십자가는 스웨덴과 스웨덴계 주민을 파랑색은 핀란드의 십자가와 섬주변의 바다를 상징한다. 그리고 스웨덴국기의 황금십자가안의 빨강색십자가를 새겼는데 황금십자가안의 빨강색십자가는 핀란드의 황금색 사자문장의 배색에서 유래되었다.1954년제정
북키프로스-터키공화국(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
터키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의 모습
국기의 의미와 뜻
하양색바탕에 빨강색띠를 국기윗부분과 아랫부분에 삽입하고 중앙에 빨강색초승달과 빨강색별을 새겼다. 이국기의 색채는 터키국기의 색채와 디자인에서 유래되었으며 터키국기의 디자인과 색채를 따서 만들었다. 그리고 게양할 때는 터키국기와 함께게양하고 있다.1983년제정
쿠르디스탄(KURDISTAN)
버전형깃발 (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의미와 뜻
빨강색,하양색,초록색의 가로형 삼색기중앙에 노랑색의 태양을 형상화한 태양문양을 삽입한 기를 만들었다. 빨강색은 박애 그리고 독립을 위해 싸운 전사들과 애국자들이 흘린피와 정열 그리고 혁명을 상징하며 하양색은 자유와 평등 그리고 진리와 순결 그리고 공평함과 공정함을 초록색은 사막의 국토가 숲과 녹색의 기름진 평야로 바꾸기를 희망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의 중앙에 새겨진 노랑색의 태양문양은 민족의 단결과 쿠르드족의 선민사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들은 위대한 민족이라는 것을 상징하며 태야의 광선과 빛깔의 수는 조로아스터교(배화교)의 영향을 받은 예지드파가 신비의 수로 여기는 18개를 의미한다.1992년제정
스르프스카-세르비아공화국 (REPUBLIC OF SRPSKA)
국가깃발 - 1 국가깃발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타타르스탄공화국(TATARSTAN)
문장형국기(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색,빨강색의 중앙에 흰색띠를 넣은기를 제정했다. 정식비율은 2:1이다. 초록색은 봄과 푸른벌판 그리고 아름다운 삼림지대와 푸른 자연을 상징하며 하양색은 순수성과 평화를 빨강색은 성숙함과 에너지와 열정 그리고 힘과 생활을 상징한다.1991년제정
바슈코르토스탄공화국(BASHKORTOSTAN)
바슈키리야공화국(BASHKIRIYA)
버전형국기(VERSION FLAG)
국기의 의미와 뜻
파란색,하양색,초록색의 가로형 삼색기중앙에 이나라의 전통문장을 넣은 기를 만들었다. 정식비울은 2:1이다. 파란색은 자유와 연대 그리고 하양색은 선명성과 미덕과 평화와 순수함을 그리고 초록색은 푸른벌판과 아름다운 자연과 청결 그리고 예의와 바슈코르토스탄의 모든사람들의 개방적인 모습과 상호협력을 상징하며 국기중앙의 전통문장은 바슈코르토스탄의 국가적 통일성과 전통을 상징한다.1992년제정
10. 체첸공화국(CHECHEN REPUBLIC)
(REPUBLIC OF CHECHENYA)
체첸공화국(이츠케리아체첸공화국 - 독립체첸공화국) (이츠케리아-독립국정부)
체첸공화국(친러시아계정부)
지금 체첸공화국에는 사실상 2개의 정부가 존재하고 있다.
하나는 1991년이래 지속되어오다가 제2차체첸전쟁때 러시아군에 밀려 남부산악지대로 옮겨서 활동하며 독립을 위해 투쟁중인 체첸공화국독립정부 이른바 이츠케리아-독립국정부와 다른하나는 제2차체첸전쟁때 러시아의 직간접적인 지원으로 들어선 친러시아계정부가 그것이다.
그에따라서 국기와 국가 그리고 국가문장이 이츠케리아-독립국정부와 친러시아계정부의 것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것은 다시말해서 지금 체첸공화국에는 사실상 2개의 정부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에따라 체첸공화국의 자료는 이츠케리아-독립국정부와 친러시아계정부의 국기와 국가를 전부 나누어 수록 했다.
잉구슈공화국(INGUSHET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 부터 초록색,하양색,초록색의 가로형 삼색기에 빨강색으로된 태양의 모습을 형상화한 문양을 넣은 기를 제정했다. 초록색과 하양색 그리고 초록색의 가로형 삼색기의 배열형태는 1;2;1의 크기로서 중앙의 하양색이 약간 조금 더 넓은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초록색은 약간 작은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하양색은 평화와 순수함 그리고 사람들의 독특한 생각과 활동을 녹색은 비옥함과 푸른숲과 삼림지대 그리고 이슬람교와 이슬람의 신앙을 그리고 하양색바탕의 빨강색의 문양은 태양의 문양을 형상화 한것으로서 정열과 활발함 그리고 사람들의 열정과 의지 그리고 태양과 우주의 공존과 상호관계 그리고 빛을 상징하고 지구와 태양계의 공전궤도를 형상화하며 사람과 동물 그리고 식물등의 생태계와 생명의 탄생 그리고 무한한 번영과 창조를 상징한다.1994년제정
드네스트르 몰다비아 공화국(DNIESTR MOLDAVIA REPUBLIC)
(DNIESTR REPUBLIC)(TRANSDNIESTER REPBUBLIC)
(TRANSDNIESTRIAN REPUBLIC)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구소련시대의 몰다비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국기의 낫과 망치 그리고 오각별을 제거한 뻘강색,초록색,빨강색의 삼색기를 제정를 제정했으나 2000년에 1996년이전의 국기로 환원 했다. 그후 낫과 망치 그리고 오각별을 제거한 국기는 민간용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1996년제정
나고르노카라바흐공화국(ARTSAKH)
(REPUBLIC OF NAGORNO-KARABAKH)
(REPUBLIC OF MOUNTAINOUS ARTSAKH)(KARABAKH)
(REPUBLIC OF ARTSAKH)
국기의 뜻과 의미
아르메니아국기의 끝부분에 하양색의 V자 모양의 화살촉모양으로된 톱니 문양의 삼각띠를 아르메니아국기에 새긴기를 만들어 제정 한것으로서 하얀색 문양은 아르메니아의 전통적인 융단과 거의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아르메니아의 전통과 이 지역의 인구를 뜻하며, 하얀색 문양은 나고르노카라바흐가 아르메니아의 영토에서 삼각형 모양으로 분리된 지역임을 뜻한다. 이깃발은 아르메니아와의 민족의식과 통일의지을 상징함
1992년제정
티베트(TIBET)
국기의 뜻과 의미
가운데 있는 노랑색의 태양 위로 파랑색과 빨강색이 빛의 형상으로 그려져 있으며 아래쪽에는 눈 덮인 산 위에 두 마리의 눈사자(Snow Lion)가 삼보(三寶)를 떠받치고 있는 형상이 그려져 있다.1912년제정 그후 1950년이후 중국의 무력침공으로 인도에 망명정부가 세워지면서 망명정부에 의해 국기로 제정
소말릴랜드(SOMALILAND)
국기의 의미와 뜻
초록색,하양색,빨강색의 가로형 삼색기의 중앙에 독립을 상징하는 검정색 오각별을 가로형 삼색기의 초록색 부분 가운데에 아랍문자이자 이슬람교의 신앙고백을 의미하는 샤하다를 새긴국기를 만든 것 으로서 초록색은 번영을, 하양색은 평화를, 빨간색은 영웅의 피를 의미하며, 샤하다는 이슬람교를, 검정색 오각별은 소말리아인이 거주하는 5개 지역과 소말리아인이 거주하는 5개 지역이 단결하는 꿈이 좌절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슬람교의 신성한 구절인 샤하다가 새겨져 있기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와 마찬가지로 조기를 게양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1996년 10월 14일에 제정되었다.
1996년제정
아조레스제도 (AZORES)
국기의 의미와 뜻
파랑색과 하양색의 세로형 2색의 선상에 황금색 참매를 넣었으며 그위에 황금색별 9개를 깃대부분에 포르투갈의 방패문양을 넣었다. 9개의 별은 이지역을 구성하는 9개의 섬을 황금색 참매는 이섬에 참매가 많이 사는 섬이라는 것을 상징하며 파랑색과 하양색의 세로형 2색기는 왕정시대의 포르투갈과 왕정시대의 포르투갈국기에서 유래되었다.1979년제정
영국령인도양지역 (BRITISH INDIAN OCEAN TERRITORY)
국기의 의미와 뜻
영국의 관용선박기의 바탕형태를 인도양의 푸른바다 그리고 바다의 이미지와 바다의 뜻과 의미가 강한 하양색과 파랑색의 물결무늬로 바꾸고 그안에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1990년제정
영국령남극지역 (BRITISH ANTARTIC TERRITORY)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의 바탕색채를 파랑색에서 하양색으로 바꾸고 하양색바탕에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함 하양색은 남극대륙의 눈을 상징함1998년제정
카나리아제도 (CANARY ISLANDS)
민간용국기(CIVIL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색과 파랑색 그리고 노랑색의 의 세로형 삼색기에 카나리아제도의 문장을 삽입함 하양색은 피코 드 타이드화산 정상의 눈덮인 모습을 파랑색은 바다를 노랑색은 노동으로 얻은 부를 상징함 그리고 문장을 삽입하지 않은 기존의 하양색과 파랑색 그리고 노랑색의 의 세로형 삼색기도 정식국기로 인정 되고 있다.197세인트헬레나아셴션제도 (SAINT HELENA AND ASCEN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문장을 넣은 기를 만듬 방패문장의 위에는 노란색바탕에 새가그려져 있고 암석사이를 동인도회사의 선박그린 문장을 새김1984년제정
8년제정 그후 1989년수정
크리스마스제도 (CHRISTMAS ISLANDS)
국기의 의미와 뜻
초록색과 파랑색의 삼각형으로된 2색기이자 깃대왼쪽부터 시작해서 오른쪽아래로 이어지는 사선형 2색기로서 기의 중앙의 노랑색원형안에 녹색으로된 크리스마스제도의 지도를 외형으로 그려넣었으며 기의 초록색에는 노랑색의 열대 극락조를 기의 파랑색에는 남십자성 모양의 5개의 하양색별들을 삽입했다.2002년제정
마데이라제도 (MADEIRA)
국기의 의미와 뜻
파랑색과 노랑색 그리고 파랑색 의 세로형 삼색기로서 노랑색에 빨강색테를 두른 십자가뮨양를 새겼다. 노랑색에 새겨진 빨강색테를 두른 십자가문양은 1433년에 이지역에 처음으로 들어온 엔리케왕자의 문장에서 유래되었다. 파랑색은 대서양바다와 광명,평화를 노란색은 대지와 알맞은 기후와 부와 성실함 그리고 단결을 상징 하며 노랑색중앙의 빨강색의 테를 두른 백색 십자가는 그지방 분리주의의 상징을 의미한다.
1978년제정
24.피트케인제도 (PITCAIRN ISLANDS)
국기의 의미와 뜻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 이 문장은 방패와 투구 그위의 장식으로 구성 되어 있다. 1984년제정
25.시랜드 (SEALAND)
국가깃발(STATE FLAG)
국가깃발 - 1 국가깃발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26.세보르가 (SEBORGA)
27트리스탄다쿠나 (TRISTAN DA CUNHA)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
2002년 제정
웨이크제도 (WAKE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좌측청색바탕에 황금색원반이 새겨져 있고 그속에 이제도의 환초로 이루어진 4개의섬의 모습을 그린 지도와 이섬의 이름을 원형으로 새기고 이 섬주변의 3개의 섬을 3개의 별로 새겼다. 하양색은 진실을 빨강색은 용기를 노란색은 충성을 청색은 태평양의 바다를 상징함1985년제정
압하지아공화국 (ABKHAZIA)
문장형국기(STATE FLAG)
친그루지아계 압하지아공화국국기
(PRO-GEROGIAN ABKHAZIA FLAG)
(PRO-GEROGIAN ABKHAZIAN AUTONOMOUS REPUBLIC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과 빨강색으로된 직사각형의 캔턴은 독립을 위해 싸운 사람들과 전사들의 피를 빨강색 직사각형의 캔턴안에 있는 하양색의 손과 그위에 새겨진 하양색 7개의 별은 압하지아와 압하지아민족의 단결과 과 여러 이민족들과의 화합을 상징한다 그리고 7개의 별은 압하지아를 구성하고 있는 7개의 지역과 행정구역과 압하지아민족의 신성한 수를 상징한다. 그리고 가로형태로 되어있는 7개의 초록색과 하양색띠는 역시 압하지아민족의 신성한 수이자 압하지아를 구성하고 있는 7개지역을 상징하며 동시에 압하지아의 양대종교인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상징하고 이들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화합과 공존을 상징한다. 빨강색으로된 직사각형의 캔턴안에 있는 하양색 손바닥에서의 손바닥은 항해도에 나타나는 형태의 문양으로서 그유래는 분명하지도 않다. 하지만 예로부터 서아시아각지에서 파티마의 손이라고 불리우는 악귀를 퇴치하는 부적이 도형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리고 구양성서에도 기록되어 있지만 서양에서는 우상적표현을 피하기위해 손으로만 최고신을 표현하는 전통과 풍속있었는데 그것이 성서위에 손을 언고 선서하는 기독교의 관행으로 정착되었다. 특히 오른손은 신성함과 행운의 상징을 뜻한다.
1992년제정
아자르공화국 (ADJARIA)
추바슈공화국 (CHUVASHIA)
국기의 뜻과 의미
국기의 중앙에 새겨진 특유한형태의 문양은 "생명의 나무"를 형상화 한 것으로서 이나라의 기본적인 상징으로서 이나라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나긴 오랜역사와 유산을 표시하고 이를 상징하며 빨강색은 이나라의 문화와 전통 및 독창성을 보존하고 자유로운 사람들과 대지와 생명의 나무가 갖고 있는 나이와 이 나라의 땅과 대지와 국토 그리고 지구상의 모든 대지를 상징한다. 노란색은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과 모든 생명에게 생활의 많은 힘과 도움을 주는 태양과 햇빛의 모습과 빛깔을 상징하며. 국기의 중앙에 새겨진 특유한형태의 문양은 "생명의 나무"의 윗부분에 새겨진특유한형태의 8개빛깔의 탄소별 3개는 이나라의 전통장신구의 성분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나라의 아름다운 문화와 전통을 상징하고 생명의 나무에 있는 나뭇잎을 상징하고 이를 형상화 하고있다. 그리고 정식국기비율은 8:5이다.
1992년에제정
아디게이공화국 (ADYGEYA)
국기의 뜻과 의미
초록색바탕에 9개의 노랑색별을 아치형으로 새기고 그안에 또다른 3개의 노랑색별과 3개의 화살이 교차된 문양을 새긴기를 만들었다. 초록색은 푸른숲과 삼림지대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과 이슬람교를 상징하며 초록색바탕의 아치형의 9개의 노랑색별과 그안에 새겨진 또다른 3개의 노랑색별과 3개의 화살이 교차된 문양은 이나라의 계열부족과 국민적,민족적,국가적 단결과 연대 그리고 통일과 협력과 우정을 상징하며 이나라의 민족의식을 상징한다. 정식비율은 2:1이다.1992년제정
다게스탄공화국 (DAGESTAN)(DAGHESTAN)
문장형국기(STATE FLAG)
문장형국기 - 1 문장형국기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기의 뜻과 의미
이슬람과 민족적 색채가 짙은 위에서 부터 초록색,파랑색,빨강색으로된 가로형 삼색기를 만들었다. 초록색은 이슬람교와 이나라의 푸른자연을 파랑색은 카스피해의 바다와 푸른하늘을 빨강색은 사람들의 용기와 정열 그리고 민주주의와 계몽의식 그리고 의지를 상징한다.1994년제정
카바르디노발카리아공화국 (KABARDINO-BALKARIA)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 부터 파랑색,하양색,초록색의 가로형 삼색기중앙에 이나라의 자연과 숲과 삼림지대 그리고 눈덮인 산봉우리의 모습을 형상화한 문양을 넣은 기를 만들엇다. 파랑색은 푸른하늘을 하양색은 평화와 순수함 그리고 산악지대의 하얀눈을 초록색은 이나라의 삼림지대와 푸른숲 그리고 이슬람교를 상징한다. 그리고 국기의 중앙에 새겨진 원형으로된 문양은 자연과 숲과 삼림지대와 눈덮인 산봉우리의 모습을 형상화한 문양으로서 이나라의 민족적 모습을 상징한다.1994년제정
칼미크공화국 (KALMYKIA)
(KALMYK REPUBLIC)
칼미키야공화국(KALMYKIYA)
국기의 뜻과 의미
노랑색바탕에 파랑색원을 새기고 그파랑색원안에 하얀 백련꽃(연꽃)을본뜬 도안을 삽입한 국기를 제정 했다. 노랑색은 빛과 이나라의 문화유산과 불교유산과 자원을 파랑색의 원형은 밝은미래와 번영 그리고 이나라의 모든 사람들을 그리고 노랑색과 원형의 파랑색은 동양사상을 상징하며 하얀 백련꽃(연꽃)은 불교신앙의 상징을 뜻하며 이는 이나라가 유럽대륙에서 유일한 불교국가임을 상징하며 이나라의 불교신앙을 상징한다. 1993년제정
카라차이체르케시아공화국 (KARACHAY-CHERKESSIA)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 부터 파랑색,초록색,빨강색의 가로형 삼색기중앙에 산넘어로 해가 뜨는 모습을 형상화한 문양을 새긴국기를 만들었다. 파랑색은 평화와 푸른하늘을 초록색은 이슬람교와 이슬람신앙 그리고 푸른숲과 삼림지대와 아름다운 자연과 자연의 생성을 빨강색은 정열과 의지를 상징한다. 그리고 이깃발은 이슬람과 민족적인 색채가 강한 국기로서 산넘어로 해가 뜨는 모습을 형살화한 문양을 넣었다.1994년제정
카렐리아공화국 (KARELIA)
카렐리야공화국(KARELIYA)
국가깃발(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하늘색,초록색의 가로형 삼색기를 제정 1994년제정
모르도비아공화국 (MORDOVIA)
모르도바공화국(MORDOVA)
국기의 뜻과 의미
빨강색,하양색,파랑색의 삼색기중앙에 이나라의 특유한 문장을 넣은 기를 제정1995년제정
나히체반공화국 (NAKHICHEVAN)
아제르바이잔국기와 함께 게양할때의 모습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란색,적색,노란색의 가료형 삼색기에 노란색 초승달과 별을 새긴 기를 만듬1992년제정
세베르드나야오세티야공화국 (SEVERNAYA OSETIYA)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 부터 하양색,빨강색,노랑색의 가로형 삼색기를 만들었다. 하양색은 평화와 순결과 깨끗함 정신적인 순수함을 빨강색은 용기와 정열 그리고 풍부함과 민족적,국가적의지와 용기와 전사들과 병사들이 흘린피를 노랑색은 풍요와 번영 그리고 오세티아민족의 문화유산과 민족의식 그리고 이나라의 역사와 문화와 전통 그리고 국가와 민족의 재생과 부활 그리고 오세티아민족이 걸어온 역사의 모든것을 상징하며 이깃발은 오세티아인들의 민족의식을 나타낸 것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1991년제정
남오세티아공화국 (SOUTH OSSETIA)
민간용국기(CIVIL FLAG) 문장형국기(STATE FLAG)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친그루지아계 남오세티아공화국국기
(PRO-GEROGIAN SOUTH OSSETIA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위에서 부터 하양색,빨강색,노랑색의 가로형 삼색기에 늑대모습을 형상화한 문양을 넣은기를 만들어 제정했다. 하양색은 평화와 순결과 깨끗함과 정신적인 순수함을 빨강색은 용기와 정열 그리고 풍부함과 민족적,국가적의지와 용기와 전사들과 병사들이 흘린피를 노랑색은 풍요와 번영 그리고 오세티아민족의 문화유산과 민족의식 그리고 이나라의 역사와 문화와 전통 그리고 국가와 민족의 재생과 부활 그리고 오세티아민족이 걸어온 역사의 모든것을 상징하며 이깃발은 오세티아인들의 민족의식을 나타내고 이를 표현한 국기로서 오세티아민족의 통일을 염원하는 뜻이 내재되어 있다.
1992년제정
사하-야쿠티아공화국 (SAKHA-YAKUTIA)
국기의 의미와 뜻사하공화국의 국기는 파랑색과 하양색,빨강색과 초록색으로된 국기로서 국기의 윗부분의 가장 넓은반쪽은 하양색원이 새겨진 파랑색을 나머지 작은면적의 반쪽은 하양색과 빨강색으로된 띠와 약간 넓은초록색띠로 세분화되어 있다. 파랑색은 공간, 평화로운 북쪽의 푸른하늘과 희망 그리고 자유를 상징하고 하양색은 하얀눈과 설원 그리고 순수함과 이나라의 모든사람들을 빨강색은 모든생명과 신념 그리고 용기를 초록색은 모든사람들의 형제애 그리고 삼림지대와 침엽수림과 짧은여름을 상징하고 파랑색의 하양색원은 빛나는 태양과 사하공화국에서 내려오는 전통의 신화를 상징한다.1992년제정
투바공화국 (TUVA)
문장형국기(STATE FLAG)
국기의 뜻과 의미
하양색과 하양색 테두리로 둘러진 파랑색의 Y자형 띠가 가로로 놓여 있고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파랑색으로 되어 있으며 하양색과 하양색 테두리로 둘러진 파랑색의 Y자형 띠의 주변의 깃대부분에는 노랑색 이등변 삼각형이 새겨져 있다. 파랑색은 푸른하늘 그리고 강물과 이나라의 자연과 용기를 하양색은 순수함과 깨끗함 존엄과 전통문화와 이나라의 전통유산과 이나라 사람들의 예의바른 모습을 노랑색은 풍부한 자원과 이나라의 모든사람들 그리고 이나라의 불교와 불교신앙을 상징한다. 그리고 Y자는 국가의 통일과 단결 그리고 통합을 나타내며 수도키질의 주변의 강줄기가 하나의 강줄기로 흐르는 모습을 형상화 하고 있다.1992년제정
남조지아사우스샌드위치제도
(SOUTH GEORGIA AND SOUTH SANDWICH IS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영국의 관용선박기에 문장을 새긴기를 제정1992년제정
세인트피엘미켈론 (SAINT PIERRE AND MIQUELON)
프랑스국기와 함께게양할 때의 모습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부분에는 바스크국기와 브리타니기 그리고 노르만기가 새겨있으며 이세개의 깃발은 이섬에 상륙한 출신국의 국기를 뜻한다. 그리고 청색바탕에는 프랑스의 탐험가가 직접 타고온 배를 그리고 배위의 파도를 형상화했다.
프랑스령남극지역 (FRENCH SOUTHERN AND ANTARCTIC LANDS)
국기의 뜻과 의미
깃대 윗부분에 프랑스국기를 새기고 파랑색 바탕에 문장을 새긴기를 만들었다.1956년제정
알더니(ALDERNY)
국기의 뜻과 의미
잉글랜드기인 성죠지기(세인트죠지기)에 그지역의 문장을 넣은기를 만듬1906년제정
앗시리아(ASSYRIA)
브레추지역(BRECHOU)
국기의 뜻과 의미
잉글랜드기의 윗부분에 빨강색바탕의 두마리의 황금사자 2마리를 아랫부분에는 이지역의 문장을 새긴기를 만듬1967년제정
엔넨키오지역(ENNENKIO)
험지역(HERM)
국기의 뜻과 의미
잉글랜드기의 윗부분에 이지역의 문양을 새긴기를 만들었다.1953년제정
존스턴섬(JOHNSTON ATOLL)
미드웨이제도(MIDWAY ISLANDS)
버전형국기(VERSION FLAG)
노바사섬(NAVASA ISLAND)
팔미라섬(PALMYRA ATOLL)
사크지역(SARK)
국기의 뜻과 의미
잉글랜드의 성죠지기(세인트죠지기)를 기초로하여 잉글랜드기의 윗부분의 캔턴부분에 사자왕 리처드 1세의 사자상을 상징하는 두마리의 사자를 새긴기를 만들어 잉글랜드로의 귀순과 잉글랜드에 대한 충성을 의미한다.1980년제정
마요테섬(MAYOTTE)
로고깃발(LOGO FLAG)
우드무르티아공화국(UDMURTIA)
우드무르티야공화국(UDMURTIYA)
우드무르트공화국(UDMURT REPUBLIC)
국기의 뜻과 의미
검정색,하양색,빨강색의 세로형 삼색기에 태양을 도형화하고 이를 도안하여만든 특유한형태의 8개빛깔의 빨강색의 탄소별을 새긴 국기를 만들었다. 검정색은 지구의 모습 그리고 대지와 땅을 하양색은 깨끗함과 순수함 그리고 순결과 순결한 정신을 빨강색은 정열과 사람들의 열정 그리고 태양의 모습과 생명을 상징한다. 그리고 국기중앙의 빨강색으로된 특유한형태의 8개빛깔의 탄소별은 태양의 모습과 태양의 빛을 형상화 한것으로서 이나라의 문화유산과 전통을 상징한다.1992년제정
부랴티아공화국(BURYATIA)
부랴트공화국(BURYAT REPUBLIC)
국기의 뜻과 의미 부랴트공화국의 국기는 위에서 부터 파랑색,하양색,노랑색의 가로형 삼색기에 국기의 깃대 윗부분에 소욤보뮨양을 본딴 문양을 삽입한 국기로서 파랑색,하양색,노랑색의 2:1:1의 색채의 빛깔 배율로 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파랑색이 약간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하양색과 노랑색이 약간 작은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파랑색은 바이칼호수와 강물과 푸른하늘 그리고 이나라의 자연을 상징한다. 그리고 하양색은 평화와 순수함 그리고 눈덮인 산과 초원 그리고 눈덮인 숲과 삼림지대와 이나라의 모든사람들을 노랑색은 이나라의 문화 유산과 지하자원 그리고 부를 상징하며 국기 윗부분에 새겨진 소욤보문양을 본뜬 문양은 이나라가 몽골민족의 후예임을 상징하며 통일과 단결을 상징한다. 이국기는 국가와 민족의 부활과 재생을 의미하고 있다.정식비울은 2:1과 3:2이다.1992년제정
알타이공화국(ALTAI REPUBLIC)
고르니알타이공화국(GORNIY ALTAY REPUBLIC)
고르노알타이공화국(GORNO - ALTAI REPUBLIC)
(ALTAY REPUBLIC)(GORNO - ALTAY REPUBLIC)
국가깃발(STATE FLAG)
국가깃발 - 1 국가깃발 - 2
(STATE FLAG - 1) (STATE FLAG - 2)
국가깃발 - 3
(STATE FLAG - 3)
국기의 뜻과 의미
알타이공화국의 국기는 하양색과 파랑색으로된 국기로서 국기의 윗부분의 반쪽은 하양색을 나머지 반쪽 파랑색과 파랑색의 윗 부분에 하양띠와 파랑띠를 배열한 국기형태와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파랑색은 알타이공화국의 푸른하늘과 푸른벌판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 그리고 알타이공화국의 산과 강 그리고 맑은 강줄기 그리고 알타이공화국의 아름다은호수와 깨끗함과 청결한 모습을 상징하며 하양색은 알타이공화국의 아름다운 자연의 참모습과 순수함 그리고 평화와 인간애 그리고 인간의 사랑과 우정을 상징하고 알타이공화국의 모든사람들을 상징한다.1992년제정
프랑스령기아나(FRENCH GUIANA)
지역깃발 (REGION FLAG)
부건빌섬(BOUGAINVILLE ISLAND)
시킴(SIKKIM)
잔지바르(ZANZIBAR)
국기의 의미와 뜻파랑색은 인도양의 푸른바다를 검정색은 아프리카를 그리고 초록색은 밀림과 숲속 그리고 농업을 상징하고 국기깃대의 탄자니아국기는 탕가니카와 통합할때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탕가니카와 함께한 탄자니아의 일원임을 상징한다. 2004년제정
로드하워섬(로드하우섬) (LORD HOWE ISLAND)
멜리야지역(MELILLA)
세우타지역(CEUTA)
민간용 깃발(CIVIL FLAG)
셰틀랜드제도(SHETLAND ISLANDS)
국기의 의미와 뜻
파랑색바탕에 하양색으로된 스칸디나비아십자가를 삽입한기로서 북유럽으로의 귀속을 의미한다. 15세기후반까지 노르웨이의 일부였음을 상징하며 파랑색과 하양색은 바이킹의 전통색에서 유래되었다.1969년제정
채텀제도(CHATHAM ISLANDS)
헤브리데스제도(HERBRIDES)
코코스제도(COCOS ISLANDS)
토러스 해협제도(TORRES STRAIT ISLANDS)
보이보디나(VOJUBODINA)
이스터섬 (EASTER ISLAND)
문장기 (PROVINCE FLAG)
갈라파고스제도 (GALAPAGOS ISLANDS)
서파푸아 - 웨스턴파푸아 - 파푸아(이리안자야)
(PAPUA - WEST PAPUA - IRIAN JAYA)
몰루카제도 (MOLUCCAS ISLANDS - SOUTH MOLUCCAS)
아체지역 (ACEH)
아카디아 (ACADIA)
바스크 (BASQUE COUNTRY)
(EUSKADI - PAIS VASCO)
카탈루냐 (CATALONIA)
(CATALUNA - CATALUNYA)
콘웰(콘월) (CORNWALL)
코르시카 (CORSICA)
국기의 의미와 뜻
옛날 암살위기에 처한 왕을 구한 무어인이 또띠라는 머리띠를 선사받았는데 그 눈이 띠에 덮이지 않는한 코르시카는 안녕하리라는 전설에서 유래된 기로서 14세기부터 사용된 기이다.1762년처음으로 제정 그후 1794년과 1814년에 재차 제정을 거듭하다가 1980년에 제정
크리미아공화국(크림공화국) (CRIMEA)
동투르키스탄 (신강(신장) - 위구르)
(EAST TURKISTAN - UYGHURYA) (XINJIANG - SINKIANG)
플란더스-플랑드르 (FLANDERS-FLANDRES)
가가우지아-옐리공화국(가가우즈-옐리공화국)
(GAGAUZ-YELI REPUBLIC)
하와이 (HAWAII)
국기의 뜻과 의미
1845년에 제정되었으며 국기의 윗부분에 영국국기 유니언잭이 삽입되어 있는 것은 하와이의 초대국왕인 카메하메하대왕이 영국에 보호를 청할 때 당시 하와이를 방문중이었던 영국인선장인 G,방쿠버의 조언에따라 만든 것 이라고 한다. 그리고 8개의 줄은 1843년에 국가로 승인해준 미국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미국국기 성조기의 줄무늬를 모태로하여 그린 것이다. 그리고 이국기는 당시 태평양에서 세력쟁탈전을 벌이던 미국과 영국에 대한 배려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1845년제정
발레아레스제도 (ISLAS BALEARES)
(BALEARIC ISLANDS - MARRORCA)
실리제도 (ISLES OF SCILLY) (SCILLY ISLANDS)
사미 (SAMI)
왈로니아 (WALLONIA)
국기의 의미와 뜻
노랑색바탕의 빨강색의 붉은수탉은 고대갈리아지방에서 살았던 갈리아인들의 상징으로서 프랑스와의 역사적,문화적관계와 인연을 상징하며 프랑스문화권의 상징을 의미한다.1998년제정
세인트 유스타티유스 (SAINT EUSTATIUS)
네덜란드령사바섬 (SABA)
네덜란드령세인트마틴 (신트마틴)
(SINT MAARTEN - SAINT MARTIN)
마리엘공화국 (MARIY-EL)
국기의 의미와 뜻
파랑색과 하양색과 빨강색의 가로형삼색기에 태양을 상징하고 이를 형상화 시킨 전통문양을 삽입한기를 만들었다.2006년제정
코미공화국 (KOMI REPUBLIC)
바바리아-바이에른 (BAVARIA-BAYERN)
갈리시아 (GALICIA)
민간용국기(CIVIL FLAG)
카슈미르 (KASHMIR)
잠무카슈미르 아자드카슈미르
100.잠무카슈미르 (JAMMU AND KASHMIR)
아자드카슈미르 (AZAD KASHMIR)
101
잠무카슈미르 (JAMMU AND KASHMIR)
아자드카슈미르 (AZAD KASHMIR)
노바스코샤 (NOVA SCOTIA)
국기의 의미와 뜻
스코틀랜드국기를 모태로하여 만들었으며 스코틀랜드국기자체를 뒤집어서 하양색바탕에 파랑색십자가를 삽입했으며 스코틀랜드의 왕실문장인 붉은사자문장을 삽입했다. 노바스코샤의 모태가 스코틀랜드였음을 의미하고 상징하고 있다.1858년제정
누나부트 (NUNAVUT)
뉴펀들랜드 (NEWFOUNDLAND)
퀘벡 (QUEBEC)
국기의 뜻과 의미
퀘벡의 깃발은 파랑색바탕에 하양색 십자가를 새기고 하양색 십자가주위에 하양색 백합문양을 새긴깃발로서 프랑스와 역사적으로 깊은 인연과 관계를 상징한다. 파랑색바탕의 하양색 백합문양은 프랑스의 부르봉왕조의 문장에서 유래되었으며 파랑색바탕의 하양색 십자가는 중세 프랑스군깃발에서 유래 되었다. 퀘벡주의 깃발이면서 퀘벡독립의 상징이기도 한다.1948년제정
프랑스령세인트마틴 (SAINT MARTIN)
문장깃발 (STATE FLAG) 지역깃발 (REGION FLAG)
세인트바르델레미 (SAINT BARTHELEMY)
헛리버 (HUTT RIVER)
카라칼파크스탄공화국 (KARAKALPAKSTAN)
비키니섬 (BIKINI ATOLL)
뉴질랜드령남극지역 (NEW ZEALAND ANTARTIC TERRITORY)
칠레령남극지역
(REGION OF MAGELLANES AND CHILEAN ANTARCTICA)
문장기 (CHILEAN ANTARCTICAFLAG)
아르헨티나령남극지역
(PROVINCE OF FIRE LAND ANTARCTICA
AND SOUTH ATLANTIC ISLANDS)
노르웨이령 남극지역 (NORWEGIAN ANTARCTIC TERRITORY)
스피츠베르겐-스발바드 (SPITZBERGEN-SVALBARD)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이슬람크로아티아연방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남부티롤 (TRENTINO-SOUTH TYROL)
남부수단 (SOUTHERN SUDAN)
레돈다(리돈다) (REDONDA)
국가깃발(STATE FLAG)
자를란트 (SAARLAND) (SAAR)
프리슬란드-프리시아 (FRIESLAND-FRISIA)
타히티 (TAHITI)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하카스공화국 (KHAKASSIA)
브리타니(브르타뉴) (BRITTANY)
시칠리아(시실리)섬 (SICILY-SICILIA)
푼틀란드 (PUNTLAND)
서남부소말리아 (SOUTHWESTERN SOMALIA)
러블리왕국(러브리왕국) (KINGDOM OF LOVELY)
알래스카 (ALASKA)
국기의 의미와 뜻1927년에공모를 통해제정되었다. 기의 왼쪽아래에 새겨진 8개의 별은 북극성을 상징하고 뜻하며 기의 오른쪽위에 새겨진 큰별은 북두칠성을 의미한다. 파랑색은 하늘과 호수 그리고 늪지대를 노랑색별의 노랑색은 광물자원을 상징한다.1927년제정
아부다비 (ABU DHABI)
두바이 (DUDAI)
샤르자 (SHARJAH)
아지만 (AJMAN)
푸자이라 (FUJAIRAH)
움알카이와인 (UMM AL-QAIWAIN)
버전형국기(ALTERNATIVE FLAG VERSION)
국기뒷면(NATIONAL FLAG REVERSE)
라스알하이마 (RAS AL-KHAIMAH)
조호르 (JOHOR)
케다 (KEDAH)
켈렌탄 (켈란탄) (KELANTAN)
파항다룰마크무르 (파항) (PAHANG)
페라크 (PERAK)
143셀렝고르 (셀랑고르) (SELANGOR)
테랑가누 (테렝가누) (TERENGGANU)
네게리셈빌란 (NEGERI SEMBILAN)
페를리스 (PERLIS)
풀라우피낭 (PULAU PINANG - PENANG)
멜라카 (말라카) (MALACCA)
사바 (SABAH)
국기의 뜻과 의미
파랑색과 하양색 그리고 빨강색의 가로형 삼색기의 깃대 윗부분의 캔턴부분에 산의 모습을 그린기이다. 깃대 윗부분의 캔턴부분에 새겨진산은 동남아시아의 최고봉인 키나발루산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깃대 윗부분에 그려진 캔턴의 하늘색은 통일과 번영 그리고 푸른하늘을 상징하며 파랑색은 평화를 하양색은 순결과 깨끗함을 빨강색은 용기를 뜻하며 가로형 삼색기의 파랑색과 하양색 그리고 빨강색은 말레이시아국기의 국기색에서 유래되었다.1988년제정
사라와크 (SARAWAK)
라부안섬 (LABUAN)
크리미아타타르 (CRIMEAN TATARS)
타밀엘람 (TAMIL EELAM)
콥트-파라오공화국 (COPTIC PHARAONIC REPUBLIC)
쏘제이스-쏘제공화국 (REPUBLIC OF SAUGEAIS)
민간용국기(CIVIL FLAG)
차고스제도 (CHAGOS ISLANDS - CHAGOS ARCHIPELAGO)
마르케사스제도-마르퀴즈제도
(MARQUESAS ISLANDS - ILES MARQUISES)
하울랜드-자비스 베이커섬
(HOWLAND-JARVIS AND BAKER ISLAND)
주바랜드 (JUBALAND)
마하키르 (MAAKHIR)
네비스섬 (NEVIS ISLANDS)
오크니제도 (ORKNEY ISLANDS)
국기의 의미와 뜻
빨강색바탕에 스칸디나비아 십자가형태의 노랑색십자가를 삽입하고 그안에 파랑색십자가를 노랑색십자가에 삽입한기를 만들었다. 빨강색과 노랑색은 스코틀랜드왕실의 사자깃발의 색채에서 유래되었으며 파랑색은 스코틀랜드의 성앤드류기(세인트앤드류기)의 색채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이기는 원래부터 스칸디나비아의 북유럽-노르만문화권의 일부임을 상징한다.2007년제정
산자크-산드자크 (SANDZAK)
산자크-산드자크 (SANDZAK)
제투섬 (JETHOU)
내몽골 (INNER MONGOLIA)
버전형깃발(ALTERNATIVE FLAG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