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잠부나무아래 선정과 깨달음, 부산시 동래구 보탑사
 
 
 
카페 게시글
빠알리 공부 정확한 개념 삼사화합 감각접촉은 연기s35:60,무애해도(법 조건 9가지),무엇을 위하여 경 S45:5,苦集 연기와 육육,사여의족 조사
행복한 포교사 추천 0 조회 84 23.02.17 04:36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3.03.03 07:14

    첫댓글 정어업명은 계에
    대념처경 팔정도는 도성제이다,
    전법륜경 팔정도는 중도이다고 동일범주의 정견을 토대로 전개한 팔정도의 正見
    S12:15<가전연경>의 正見은 '집법즉멸법'의 연기.
    안이비설신의 감각이 짓는 세상(loke)의 일어남集(그침滅)을 있는 그대로에 보는 자는 없다無(있다有)라는 사견邪見을 갖지 않는다

    중도 깨달음과 깨달음이후 정견에 의한 보림 체계의 고찰.


    전법륜경은 중도를 팔정도에 대념처경을 도성제를 팔정도에 서술하는데, ★이는 팔정도에 의해 중도 깨달음의 되먹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부미자경의 경험을 중도에 깨닫고 안목앎지혜사성제 열반의 보림에 이끔,
    중간경 유신 집.멸로 연기하듯이 집.멸성제 정견을 통해서 보림한다. 즉 수행관점의 팔정도의 보림 정견, 정사유 ..정정(오온의 전개로서 집성제를 경험하는 등 ♥팔정도의 보림으로서 중도 깨달음에 되먹임하는데, 그 보림의 역할은 감각접촉과 오온 사유 등의 청정함 즉, 근경식 촉수상 행 애 심사에 대한 갈애를 내려놓아 버린 전개로서 오염원을 떨쳐버리고,
    흐름.루asava 그침를 정견하고 연기에서 벗어니 열반한다.

  • 작성자 23.10.17 09:01

    Chachakka-sutta(六六經)
    Cha ajjhattikāni āyatanāni veditabbāni, cha bāhirāni āyatanāni vedinabbāni, cha viññāṇakāyā veditabbā, cha phassakāyā veditabbā, cha vedanākāyā veditabbā, cha taṇhākāyā veditabbā. Ayaṃ kho pana bhikkhave, sakkāya-samudayagāminī paṭipadā: 
     六內入處에 대하여 알아야 하고, 六外入處에 …, 六識身에 …, 六觸身에 …, 六受身에 …, 六愛身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중략)… 그런데 비구여, 이것이 ‘有身의 集으로 向하는 방도이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