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15호인‘이천동 석불’의 잔잔한 미소는 안동의 상징적인 얼굴로 잘 알려져 있다. 속칭 ‘제비원 미륵불’이라고도 불리는 이 석불은 바로 연미사의 오랜 역사에서 홀로 남은 고마운 부처님이자 우리 불교사에서도 몇 안되는 대표적인 미륵불이다.
연미사라는 이름은 원래 조선시대 여행객이 쉬어가는 숙소인 연비원(燕飛院), 속칭 제비원이라 불렀다는 데서 연유했다고 한다. 당시 연미사 석불에는 제비 모양의 누(樓)가 덮고 있었으며 법당은 제비의 부리에 해당된다고 해 연미사라 지어 불렀다고 전한다.
또한 이 석불은 대표적 민요인‘성주풀이’에도 나올 만큼 민초들이 오랜 세월동안 뿌리내리려 한 신앙의 대상과도 닿아 있다. 때문에 연미사가 사찰로써는 매우 작은 규모이긴 하나 저 미륵불이 담고 있는 미술적, 민족적 유산은 그 어느 것보다 값진 보배라고 할 만한 것이다.
또한 비록 이 불상이 고려시대 유행하던 불상의 한 형태일 뿐 이라고 하지만 알 듯 모를 듯한 저 넉넉하고도 묘한 미소는 우리 민족의 정한(情恨)을 부처님에 기대어 표출시키고자 한 것처럼 느껴진다.
연미사 입구
연미사 대웅전
연미사 대웅전내
연미사 대웅전내 산신탱
연미사 금강역사상
연미사 석불
보물 제115호
연미사 석불은 속칭 제비원 미륵불 등의 이명(異名)이 있으나 지정문화재로 등록된 공식명칭은 ‘안동 이천동 석불상’이다. 이 석불은 연미사의 서쪽 끝부분, 안동에서 영주로 향하는 국도 바로 옆에 우뚝 서 있는 고려시대 초기의 마애불상이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지금부터 1300여년 전 신라 선덕여왕 때 의상조사가 이 곳 5층석탑 앞 토굴에서 수도를 했으며 그 후 의상조사의 문도(門徒) 도선국사가 이 석불을 조각했다고 한다. 전체 높이는 12.38m이며 높이 9.95m, 너비 7.2m의 거대한 자연 암석을 이용하여 몸체를 만들고 머리는 2.43m 크기인 다른 돌을 조각하여 올려놓은 특이한 형태의 불상인데 이러한 형식의 불상은 고려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다. 두부(頭部)의 크기로는 충남의 은진미륵 다음으로 크다. 머리의 뒷부분은 파손되었으나 앞쪽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머리는 소발이 높은 육계를 갖추고 있고, 이마에는 커다란 백호가 양각되어 있다. 얼굴은 아래턱이 아주 완만하게 처리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4각형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전체적인 얼굴 조각 수법은 크고 풍만한 편이며 고려시대 거구의 불상에서 일반으로 나타나는 투박함은 보이지 않는다. 머리와 얼굴 특히 입에는 주홍색이 남아 있어서 원래는 채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법의는 두 어깨를 감산 통견이며 몇 개 안되는 옷주름은 매우 도식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두 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어 왼손을 가슴에 대고 오른손은 배에 대고 있는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 수인을 하고 있다. 불상의 발 아래에는 음각된 연꽃으로 대좌를 표현하고 있다. 석불상 앞에는 불상을 막아 서 있는 또 다른 바위가 있다. 석불상을 막고 있는 이 바위는 석불이 새겨져 있는 바위의 절반 정도의 크기이지만 윗부분은 상당히 넓은 평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 바위는 석불상과 3m 정도 떨어져 있는데 연미사 대웅전에서 석불상으로 가는 길을 따라 가면 석불상 앞에는 마치 석굴사원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이 공간은 4평 정도의 크기이며 그 안에 들어가면 완전히 차단된 하나의 방속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데 하나의 기도공간인 셈이다. 불상을 조성한 후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각이 지어졌다는 전설로 보아 이 바위를 전각을 짓기 위한 초석의 역할로 해석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이 불상은 고려시대 유행하던 지방화된 거구의 불상 가운데 하나로 당시 불상 양식을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현재 석불상 입구에는 금강역사상이, 석불상 정면에는 쌍사자석등이 놓여 있다.
연미사 석불 가는 길
연미사 삼층석탑
경북 유형문화재 제99호
연미사의 뒤쪽으로 난 길을 약 30여m 정도 오르면 석불상 뒤편에 약 3m 높이의 삼층석탑이 있다. 도괴되어 주위에 흩어져 있던 것을 복원해 놓은 것으로 현재 경북 유형문화재 제99호로 지정되어 있다. 단층 기단 위로 3층의 탑신을 올렸으며 기단과 탑신은 아무런 조식이 없는 단조로운 모습이며 옥개석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를 살짝 올려 날렵함을 표현했다. 주위의 자연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는 탑으로 석불상과 같은 시기인 고려시대 석탑으로 추정된다.
이천동 석불
이천동 석불
연미사 찾아가는 길
중앙고속도로 안동IC를 빠져 나와 안동 시청 쪽으로 약 10분 정도 달리다 보면 태화 오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영주 가는 5번 국도로 좌회전한다. 이 3번 국도를 가다 서부초등학교를 지나 다시 영주방면으로 좌회전 해 직진만 약 10분 정도 가다보면 오른쪽에 와룡면, 도산서원 가는 도로를 지나 몇 분 정도 가다보면 제비원 가구단지와 왼쪽에 제비원 휴게소가 나오고 곧‘이천동 석불/연미사’표지판이 나오는 오른쪽 길로 500m 정도 가면 오른쪽 길가에 연미사가 자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