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강 김규진(金圭鎭·희정당 벽화), 이당 김은호(金殷鎬·백학도), 청전 이상범(李象範·삼선관파도), 심산 노수현(盧壽鉉·조일선관도) 등
한국 근·현대 미술사의 대표적 작가들이라는 사실입니다.
1917년에 일어난 창덕궁 화재로 희정당·대조전과 같은 주요 전각이 불타자
왕실에서는 건물 복원 계획에 착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총독부는 일본인 화가가 그림을 그리도록 압력을 넣었지만 순종은 이에 굴복하지 않고
영친왕의 스승 김규진과 갓 서화미술회를 졸업한 김은호·이상범·노수현 등
20대의 젊은 화가들에게 이 일을 맡겼고 작품은 1920년에 완성됐습니다.
희정당에는 동·서벽 위에 2개의 작품이 있는데
<총석정절경도 195×880cm>
<금강산만물초승경도195×880cm>
해강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의 작품입니다.
순종의 어명을 받고 금강산을 여행하면서 그린 초본을 바탕으로 한
이 두 실경산수화는 극진한 형사와 장식적 사실주의에 충실한 화법으로 그려졌습니다.
<총석정절경도>는
배를 타고 바다로 나와 해금강을 바라 본 광경으로 뒤로 원경의
산봉우리를 배경으로 깍아 지른 듯 바다에 솟아있는 절벽의 장엄한 모습을
병풍처럼 펼쳐놓았습니다. 거기에 넘실거리는 물결을 도안화된 방식으로 그렸고
해변을 때리는 파도는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화제의 총석정은 화면 중앙부분 푸른 산언덕 위에 여러 그루의
소나무로 둘러싸여 있는 것입니다.
<금강산만물초승경도>는
수많은 산봉우리와 끝없는 계곡의 변화,
가을빛이 완연한 수림과 곳곳의 폭포와 계류 등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게
구성하여 금강산 일만이천봉이 다 담겨있는 듯한 사실감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장대한 구성과 화려하고 정교한 청록기법을 동원하여 정성을 다한 두 작품에서
김규진은 50대 화가의 필력과 화기의 완숙함을 최대로 발휘하고 있습니다.
총석정절경도
금강산만물초승경도
왕실이 후원한 미술교육기관인 서화미술원에서 교육받은 대표적 신진 화가인 김은호에 의해 1920년경 제작되어 대조전에 부착된 벽화로, 채색 화조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형상의 표현과 기술묘사에 충실하여 화려한 구성을 담고 있다.
궁중 벽화로는 다른 5점과 더불어 유일하게 현존하고 있으며, 단순한 장식이 아닌 전각의 기능과 연계되어 추락한 왕실의 안녕 및 권위의 회복, 왕실의 역량을 재확인하는 길상적,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어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있다.
이 작품을 그릴 때, 젊은 화가가 아주 섬세하고 학의 모습이 살아있게 그리는 모습을 본 고종이 이당의 오른손을 잡고 “경의 손이 이처럼 이채롭소”하고 칭찬해준 오른손을 돌아가실 때 까지 궤향지에 싸서 남에게 보여주길 꺼려했다는 일화도 있을 많큼 정성을 다한 작품으로
이 작품의 내용을 보면
달은 높게 떠서 은은히 온세상을 널리 비쳐 만백성을 굽어 살펴주시고
구름은 서운이라 하여 항시 좋은 일이 있어라는 뜻으로
본시 구름은 있다가 없어 졌다하기에 변화무쌍하다 하여 무한성을 지녀 산천의 기운과 만물의 생기가 깃들라는 뜻이며
학은 신의 경지가 아니면 날지를 않고
오동나무와 소나무가 아니면 앉지를 않고
대나무 죽실이 아니면 먹지를 않는다 하여
군왕이나 왕손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멀리서 날아오는 16마리의 학은 당시의 왕손에 대한 번창을 기원했거나 기대감을 갖게하는 것이고
소나무는 홍송으로 바닷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송과 같이 거친 바람에도 잔병이 없고 일년 사시사철 푸르름이 지속되기에 절개와 지조를 뜻하는 것으로 변함없는 마음을 나타냈고
목단은 부귀영화를 뜻하는 것으로 흑, 적, 백목단을 한꺼번에 같이 그린 것은 최고의 영화를 바란 것입니다.
중앙 하단에 버섯같이 생긴것 그러나 바위에 나는 버섯은 없죠 이는 진시황제가 찾던 불노초라는 것으로 영구불멸의 뜻이 담겨있고,
대나무는 바람이 불어도 휘어지긴 해도 부러지지 않는 것처럼 어떤 역경속에도 일어설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파도는 시련과 고난을 뜻하나 육중한 바위처럼 버텨주시길 기원하는 작품으로 이 작품은 이당선생께서 이필법으로 그려 마치 학의 모습이 살아있는 듯 하여 옛날 왕궁에 여명이 뜰때나 황혼이 깃들 때 마치 학이 날아와 앉는 듯한 모습이 생생하게 보여진다는 작품으로
1986년도에 레이건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다녀갈때 선물로 준 작품이기도 합니다
1978년에 창덕궁 벽에 균열이 와서 명주위에 그려진 그림까지 훼손되는 지경에 이르게 되어 시급히 영인을 받고 진본을 벽에서 떼어내어 벽을 보수한 연후에 다시 제자리에 붙이는 과정에서 작업이 원활치 못하여 현재 창덕궁 대조전 벽에 한지로 만들어진 영인본이 걸려져 있답니다.
대조전 봉황도
창덕궁 대조전 봉황도
왕실이 후원한 미술교육기관인 서화미술원에서 교육받은 대표적 신진 화가인 오일영(吳一英)과 이용우(李用雨)에 의해 1920년경 제작되어 대조전(大造殿)에 부착된 벽화로, 채색 화조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형상의 표현과 기술묘사에 충실하여 화려한 구성을 담고 있다.
궁중 벽화로는 다른 5점과 더불어 유일하게 현존하고 있으며, 단순한 장식이 아닌 전각의 기능과 연계되어 추락한 왕실의 안녕 및 권위의 회복, 왕실의 역량을 재확인하는 길상적,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어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있다
경훈각의 동·서벽 위에 있는
조일선관도(朝日仙觀圖, 184×526cm)와 삼선관파도(三仙觀波圖, 184×526cm)는
중국의 전설을 그림으로 조형한 산수인물화이다.
조일선관도는 대담하면서도 세밀하게 그려진 청록산수로 20대 초의 노수현(盧壽鉉, 1899~1978)이 그린 작품이다. 오른쪽에 바다가 있고 그 위로 학 네 마리가 날고 있으며 학과 산 사이의 공간에는 붉은 해가 솟아 있다. 암산과 골짜기의 기이한 형태, 청록색의 농담변화, 짙은 색의 소나무 등이 어우러져 장식적인 화려함을 갖는다. 암산 사이로 보이는 집들과 파도의 표현은 형식적인 면을 보인다.
조일선관도와 짝을 이루는 삼선관파도도 맑은 녹색조가 압도적으로 쓰인 청록산수로 20대 초반의 이상범(李象範, 1897~1972)이 그렸다. 이 작품은 오른쪽에 있는 세 신선이 왼쪽의 바다를 보면서 서로 나이자량을 하는 이야기를 주제로 한 것으로 오원 장승업의 ‘삼인문년도’와 비슷한 발상의 그림이다.
두 작품은 뾰족한 각을 이루며 중첩된 암산과 수목, 여기저기 흩뿌려진 태점 등의 묘사뿐만 아니라 구도에서 유사성을 보이는데 이는 스승인 심전 안중식 화풍의 영향이 이들의 초기작품에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첫댓글 오늘은 창덕궁 부벽화를 공부하고 가네요....
늘 시간에 쫒겨 자세히 볼수 없었는데..더~많은 의미와 의도를 가지고 있었네요..
장식이나 길상의 의미를 넘어서~왕실의 안녕과 권위회복, 왕실의 번영등,,전각들과의 연계성까지..
다시한번 복습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