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염수정 대주교님의 추기경 서임을 축하합니다.
염수정 대주교님의 추기경 서임을 한국교회는 환영하고 다함께 기뻐하고 있습니다. 교황 성하께서 추기경님을 임명하신 것은 한국 교회가 아시아 교회와 세계 교회에 더 크게 기여해 주기를 바라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염 대주교님께서 서울 대교구의 교구장님으로서 한국 교회를 대표하여 교황님을 잘 보필하여 주실 것으로 믿습니다.
한국 교회에 추기경님을 보내주신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와 찬미를 드리며,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추기경님께 풍성한 은총을 내려 주시기를 빕니다.
추기경님의 임명을 거듭 축하드립니다.
2014년 1월 12일
주교회의 의장 강 우 일 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대주교, 추기경에 임명
교황 프란치스코께서 2014년 1월 12일(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삼종기도 직후, 한국의 서울대교구장이며 평양교구장 서리인 염수정 안드레아 대주교를 포함한 19명의 주교를 추기경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하셨다. 이로써 염수정 대주교는 김수환 추기경(1969년 서임), 정진석 추기경(2006년 서임)에 이어 한국 출신으로 임명된 세 번째 추기경이 됐다.
추기경은 주교직에 부여된 권한을 그대로 행사하면서 교황 선거권을 갖는다(만 80세 미만). 또한 정기적으로 열리는 추기경회의(consistory)에 참석하여 교회의 중요 사안들을 논의하는 등 그 교회법적 권한보다도 세계 교회 지도자로서 추기경이 지니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욱 크다.
염수정 추기경은 1943년 경기 안성 출생으로 1970년 사제품을 받았다. 이후 불광동 본당, 당산동 본당 보좌신부, 성신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이태원 본당, 장위동 본당, 영등포 본당 주임신부를 역임하였다. 교구 사무처장 등 보직을 거친 뒤 목동 본당 주임신부로 재직 중인 2001년 12월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어 이듬해 1월 주교품을 받았다. 2012년 5월 10일 정진석 추기경이 은퇴함에 따라 서울대교구장을 계승하여 2012년 6월 25일 서울대교구장에 착좌하였다.
현재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위원장, 주교회의 선교사목주교위원회 위원, 주교회의 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인 2014년 2월 22일(토), 바티칸에서 열리는 추기경회의 중에 염수정 대주교를 포함하여 신임 추기경을 서임하며, 다음날인 2월 23일(일) 새 추기경들과 함께 추기경 서임 축하 미사를 주례한다.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廉洙政, Andrew YEOM Soo-jung)의 약력은 다음과 같다.
성명_ 염수정(廉洙政) YEOM Soo-jung
| |
---|---|
學歷 | |
1969년 2월 | 가톨릭대학교 졸업 |
1975년 2월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 전공(교육석사) |
1979년 9월 - 1980년 4월 | 필리핀 아시아 극동 사목 연수원 수료 |
略歷 | |
1970년 12월 08일 | 사제 수품 |
1971년 1월 | 서울대교구 불광동 본당 보좌 신부 |
1971년 6월 | 서울대교구 당산동 본당 보좌 신부 |
1973년 - 1977년 | 성신 고등학교(소신학교) 교사 |
1977년 - 1979년 | 서울대교구 이태원 본당 주임 신부 |
1980년 - 1985년 | 서울대교구 장위동 본당 주임 신부 |
1985년 - 1987년 | 서울대교구 영등포 본당 주임 신부 |
1987년 - 1992년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대신학교) 사무처장 |
1992년 - 1998년 | 서울대교구 사무처장 |
1998년 - 2001년 | 서울대교구 제15지구장 겸 목동 본당 주임 신부 |
2001년 12월 01일 |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임명(티비우카 명의주교) |
2002년 01월 25일 | 주교 수품 |
2002년 10월 - 2005년 10월 | 주교회의 상임위원 |
2002년 10월 2일 - 현재 | 서울대교구 총대리 주교 |
2002년 10월 17일 - 현재 |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위원장 |
2002년 10월 17일 - 현재 | 주교회의 선교사목주교위원회 위원 |
2005년 10월 13일 - 2011년 10월 12일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감사 |
2011년 10월 12일 - 현재 | 주교회의 상임위원 |
2012년 05월 10일 | 서울대교구장 계승 |
2012년 06월 15일 |
제14대 서울대교구장 착좌 |
한편, 이날 교황 프란치스코께서 임명하신 추기경 명단은 아래와 같다.
80세 이하(교황 선거권 보유) 16명
- 피에트로 파롤린(Pietro Parolin), 아쿠아펜덴테 명의 대주교, 교황청 국무원장,
- 로렌초 발디세리(Lorenzo Baldisseri), 디오클레치아나 명의 대주교, 교황청 주교대의원회의 사무처 사무총장
- 게르하르트 루트비히 뮐러(Gerhard Ludwig Muller), 레겐스부르크 전임 대교구장,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
- 베니아미노 스텔라(Beniamino Stella), 미딜라 명의 대주교,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
- 빈센트 니콜스(Vincent Nichols),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교구장
- 레오폴도 호세 브레네스 솔로르사노(Leopoldo Jose Brenes Solorzano), 니카라과 마나과 대교구장
- 제라르 시프리엥 라크루아(Gerald Cyprien Lacroix), 캐나다 퀘백 대교구장
- 장피에르 쿠트와(Jean-Pierre Kutwa),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대교구장
- 오라니 주앙 템페스타(Orani Joao Tempesta),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대교구장
- 괄티에로 바세티(Gualtiero Bassetti), 이탈리아 페루지아-치타델라피에베 대교구장
- 마리오 아우렐리오 폴리(Mario Aurelio Poli),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교구장
- 염수정 안드레아(Andrew Yeom Soo-jung), 대한민국 서울 대교구장
- 리카르도 에자티 안드렐로(Ricardo Ezzati Andrello), 칠레 산티아고 대교구장
- 필리페 나켈렌투바 우에드라오고(Philippe Nakellentuba Ouedraogo),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대교구장
- 올란도 B. 퀘베도(Orlando B. Quevedo), 필리핀 코타바토 대교구장
- 치블리 랑글루아(Chibly Langlois), 아이티 레카이 교구장(이상 16명)
은퇴 대주교 3명
- 로리스 프란체스코 카포빌라(Loris Francesco Capovilla), 메셈브리아 명의 대주교
- 페르난도 세바스찬 아길라르(Fernando Sebastian Aguilar), 에스파냐 팜플로나 전임 대교구장
- 케빈 에드워드 펠릭스(Kelvin Edward Felix), 세인트루시아 캐스트리스 전임 대교구장
Pietro Parolin, Titular Archbishop of Acquapendente, Secretary of State
Lorenzo Baldisseri, Titular Archbishop of Diocleziana, Secretary General of the Synod of Bishops.
Gerhard Ludwig Muller, Archbishop-Bishop emeritus of Regensburg, Prefect of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Beniamino Stella, Titular Archbishop of Midila, Prefect of the Congregation for the Clergy.
Vincent Nichols, Archbishop of Westminster (Great Britain).
Leopoldo Jose Brenes Solorzano, Archbishop of Managua (Nicaragua).
Gerald Cyprien Lacroix, Archbishop of Quebec (Canada).
Jean-Pierre Kutwa, Archbishop of Abidjan (Ivory Coast).
Orani Joao Tempesta, O.Cist., Archbishop of Rio de Janeiro (Brazil).
Gualtiero Bassetti, Archbishop of Perugia-Citta della Pieve (Italy).
Mario Aurelio Poli, Archbishop of Buenos Aires (Argentina).
Andrew Yeom Soo jung, Archbishop of Seoul (Korea).
Ricardo Ezzati Andrello, S.D.B., Archbishop of Santiago del Cile (Chile).
Philippe Nakellentuba Ouedraogo, Archbishop of Ouagadougou (Burkina Faso).
Orlando B. Quevedo, O.M.I., Archbishop of Cotabato (Philippines).
Chibly Langlois, Bishop of Les Cayes (Haiti).
80세 이상 3명
Loris Francesco Capovilla, Titular Archbishop of Mesembria.
Fernando Sebastian Aguilar, C.M.F., Archbishop emeritus of Pamplona.
Kelvin Edward Felix, Archbishop emeritus of Castries.
발표문 원문:
http://www.news.va/en/news/pope-francis-announces-names-of-new-cardinals-2
| |
|
2014년 2월 22일 전 세계 추기경 현황
2014년 1월 12일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19명의 추기경을 발표하심에 따라, 이분들이 2월 22일 서임되면 추기경 수는 모두 218명이 됩니다(이번에 발표된 추기경을 포함한 자료입니다).
추기경이 임명된 나라: 총 67개국
교황 선출권을 가진 80세 미만 추기경 123명
교황 선출권이 없는 80세 이상 추기경 95명
대륙별 추기경 현황
| |||
|
김한수 종교전문기자
입력 : 2014.01.13 03:02 | 수정 : 2014.01.13 10:19
사제 생활 거의 대부분을 현장 성당과 행정 두 분야에만 전념해온 셈이다.
자살·낙태·배아복제 반대 활동을 하는 서울대교구생명위원회를 이끌며 고(故) 김수환 추기경의 유지(遺志)를 잇는 모금전문법인 '바보의 나눔', 장학재단 '옹기장학회'를 추진력 있게 이끌어온 점도 평가를 받는다. 2002년 서울대교구 총대리주교로 서품됐으며, 2002~2013년 평화방송·평화신문 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넉넉한 인품, 신중에 신중을 기하는 성격으로 사제들의 믿음직한 큰형님 역할을 해왔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염수정 "흩어진 양들 모아 갈등과 분열 치유하겠다"
맹추위에도 신자 등 300여명 몰려…"추기경님 사랑합니다" 외침도
연합뉴스 입력 2014.01.13 13:27 수정 2014.01.13 13:36
↑ 인사말 하는 염수정 새 추기경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한국의 세 번째 추기경에 임명된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대주교가 13일 오전 서울 명동성당 서울대교구청 주교관 앞마당에서 열린 임명축하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4.1.13 hihong@yna.co.kr
↑ 꽃다발 받은 염수정 새 추기경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한국의 세 번째 추기경에 임명된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대주교가 13일 오전 서울 명동성당 서울대교구청 주교관 앞마당에서 열린 임명축하식에서 꽃다발을 높이 들어 보이고 있다. 2014.1.13 hihong@yna.co.kr
염 추기경은 "교황께서 사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라고 저를 추기경으로 임명하신 것으로 생각한다"며 "고 김수환 추기경과 정진석 추기경께서 하신 노력을 존경하며 작은 힘이나마 보태고자 한다"는 각오를 밝혔다.
염수정 추기경 문장 확정
오늘(13일) 발표된 염 추기경의 문장은 대주교때 사용하던 문장에서 주교의 사도적 권위를 상징하는 모자와 술의 색깔이 바뀌고, 4단이었던 술의 단수도 추기경을 상징하는 5단으로 늘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서울대교구는 방패 위 십자가는 한국 순교자들의 십자가로 생명과 부활을 의미하며, 방패 속 왼쪽 무지개는 하느님의 구원을 형상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가운데 큰 별은 우리나라를 보호해 주시는 성모 마리아와 종말에 구원의 완성을 이루실 예수님을, 그리고 두개의 작은 별은 남한과 북한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방패의 붉은 바탕은 정의를, 노랑은 평화, 청색은 희생과 나눔을 의미하고 그 가운데 손을 잡은 듯 이어가는 문양은 사랑의 연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염 추기경의 사목 표어는 주교수품 당시 정했던 "아멘, 오십시오, 주 예수님"으로 염 추기경이 사제생활의 모토로 삼은 기도입니다.
평화방송 김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