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양식※ - 타사 모고나 타 강사분의 교재나 수업 내용에 대한 질문은 받을 수 없습니다.
1. 인강 내용 질문일 때 ⊙ 수강 중인 강좌 이름 - 몇 강 관련 질문인지 예시) 독해알고리즘 - 6강 전개방식 질문입니다.
2. 교재 내용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몇 페이지인지 예시) 문법알고리즘 - 24쪽 ○○ 질문입니다.
3. 인강이나 교재 내용 밖의 질문일 때 ⊙ 제목에 질문의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예시) 품사 통용 질문입니다.
4. 모고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무슨 시즌 몇 회 몇 번인지 예시) 백일기도 시즌 1의 1회 1번 질문입니다.
.
1. 인강 다 듣고 혼자 회독중입니다!
15항 규정에서도 언급했고 밑에 알아두기에서도 나와있듯이 모음 ㅏ ㅓ ㅗ ㅜ ㅟ
로 한정한다고 나오는데 맛있다 멋있다는 뒤에 실질형태소 모음이 ㅏ ㅓ ㅗㅜㅟ 중에 안들어가는데 15항 조건의 예외라고 보면되나요? 15항에서 말하는 ㅏ ㅓ ㅗ ㅜ ㅟ만 되는걸로 정해진듯 했는데 15항에도 예외가 있을 수 있나요?
강의 중 언급이 없으셔서 질문드려요♡
2. 맑게[말께]
어간, 어미구조니까 ㄹㄱ+ㄱ=ㄹ이 되서 [말게]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왜[말께]가 되는지 정확히 모르겠어요ㅠ
다른 예시인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도 똑같은 예시라서 왜 된소리로 바뀌는지 이해가안돼요ㅜ
된소리되는 부분만 강의에서 ㄴ설명이 없으셔서 질문드려요~ 제가 아직 시야가 좁아서 못찾아낸거면..ㅠ 더 열공할게요!!
그리구 각 조항 그대로 넣어서 기본서 만드신게 처음엔 진짜 어려워서 다 찢고싶었는데
자꾸 보다보니까 술술 읽히고 자신감 생겨서 시험치는데 더 도움될거 생각하니까 쌤한테 너무 감사하고 행복해요 고맙습니다정말♡
첫댓글 1.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 해설 첨부해 드릴게요! 수험생들이 이런 부분은 사실 알아 두실 필요는 없어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문제 푸는 데 필요 없는 지식이니까요^^
이 조항에서는 받침으로 끝나는 말 뒤에 오는 모음의 종류를 ‘ㅏ, ㅓ, ㅗ, ㅜ, ㅟ’로 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모음들은 단모음 ‘ㅣ’ 또는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ㅑ, ㅕ, ㅛ, ㅠ’와 같은 이중 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여기에 빠진 ‘ㅚ, ㅐ, ㅔ’ 등도 실제로는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단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들을 제외한 것은, 받침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 ㅑ, ㅕ, ㅛ, ㅠ’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오면 ‘ㄴ’이 첨가되어 이 조항에서 규정하는 발음 양상과 달라지기 때문이다. 가령 ‘앞일[암닐], 꽃잎[꼰닙]’의 경우 ‘[아빌], [꼬딥]’이 되지 않고 뒷말의 초성에 ‘ㄴ’이 첨가된 후 다시 첨가된 ‘ㄴ’에 의해 앞말의 받침이 동화된다.(표준 발음법 제29항 참조)
2. 조항 내용이 겹받침이라 된소리되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것이고 23항에서 설명해 드렸어요!^^
맑게[말게>말께] 여기서 말께로 바뀌는 이유가 뭔지 질문드렸고 23항에서 설명해주셨다고해서
인강 다시 봤는데 안울림+안울림은 백프로된소리이것만 설명해주셨거든요 음..그러면 혹시 제가 음운변동 순서를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맑게에서 받침 ㄹㄱ의 ㄱ 과 '게'의 ㄱ이 안울림 안울림되서 '께'로 먼저 바뀌고 자음군단순화 적용되는 순으로 가는건가요?
맑게[맑께>말께]
@jwoo603 23항 조항 ㄱ뒤에 괄호 속에 ㄹㄱ이 있습니다. 조항의 괄호 속 보세요^^
ㄹㄱ에서 ㄹ로 나는 경우가 예외적 케이스이고 본래 ㄹㄱ은 대표음이 ㄱ입니다. 따라서 ㄹ로 나는 경우에도 예외없이 된소리입니다.
'맑게'의 음운변동 순서는 예외적 경우라 그렇게 설명하진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