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건설·부동산업계를 힘들게 했던 요인 중 하나는 ‘자금조달(금융)’이다. 주택 시장에서 수분양자들이 내는 중도금과 잔금 등 집단대출 금리가 급등한 데다 부동산 개발업체와 건설사가 돈을 빌릴 곳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11일 금융업계와 개발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중도금 대출 금리는 연 5~8% 선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광명뉴타운 A구역을 담당하고 있는 농협은 이달부터 신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6개월 변동 기준에 2.25%를 더해 중도금 대출을 안내하고 있다. 합산하면 연 6.2%다. 경기 이천역세권 B조합의 경우 부산은행이 코픽스+2.98%를 제시해 중도금 대출금리가 연 6.9%에 달한다. 집단대출의 문도 좁아지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달 말 중앙회 차원에서 각 지점에 대출 가이드라인을 발송했다. 이 문건에 따르면 집단대출은 당초 시공능력평가 100위 내에서 50위권 건설사로 한정하고, 비수도권의 경우 분양률이 70%(종전 60% 이상) 넘지 않으면 대출을 불허하도록 했다.
광고
중도금 대출 이자가 연체 이자를 역전하는 상황도 생겨나고 있다. 경기 평택 고덕신도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분양 아파트는 집단대출을 해주기로 한 신한·우리은행의 중도금 대출 금리가 연 6.63%에 이른다. 2차 중도금 납부일은 오는 23일까지다. 그런데 중도금 연체 이율은 연 6.5% 선이다. 사업자도 돈 구하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을 허용하라고 지침을 내렸지만, 자금 경색은 여전하다. 신용등급 ‘A1’급 증권·건설사가 보증한 단기유동화채 금리가 여전히 연 10%에 육박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8일 자신들이 보증한 A1 등급의 경기 고양 주교동 오피스텔 사업 PF 유동화물을 금리 연 9.3%를 주고서야 차환할 수 있었다. 이주비 대출 이자 대납을 중단한 사업장도 나왔다. 내년 입주를 앞둔 서울 신반포3차·경남아파트 재건축(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은 지난달 그간 제공했던 이주비 대출 이자에 대한 후불제 혜택을 이달 부로 중단한다고 조합원들에게 통보했다. 사업비 대출 이자가 연 3.58%에서 6.94%로 급등하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