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h is home to millions of species. Just one dominates it. Us. Our cleverness, our inventiveness and our activities have modified almost every part of our planet. In fact, we are having a profound impact on it. Indeed, our cleverness, our inventiveness and our activities are now the drivers of every global problem we face. And every one of these problems is accelerating as we continue to grow towards a global population of 10 billion. In fact, I believe we can rightly call the situation we're in right now an emergency – an unprecedented planetary emergency.
지구는 수백만 종의 보금자리이다. 그중 단 한 종, 우리 인간들이 지구를 지배한다. 우리의 영리함, 창의적 상상력, 그리고 활동은 지구 구석구석을 변화시켜왔다. 실제로 우리는 지구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닌게 아니라, 우리의 영리함, 창의적 상상력, 그리고 활동들은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모든 지구적 문제들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지구 인구가 100억을 향해 계속 증가해가면서, 이들 문제들은 단 하나의 예외도 없이 가속화되고 있다. 사실상 나는 우리가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비상사태, 유례없는 지구적 비상사태라고 부를 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믿는다.
- Tell us what you think: Star-rate and review this book
We humans emerged as a species about 200,000 years ago. In geological time, that is really incredibly recent. Just 10,000 years ago, there were one million of us. By 1800, just over 200 years ago, there were 1 billion of us. By 1960, 50 years ago, there were 3 billion of us. There are now over 7 billion of us. By 2050, your children, or your children's children, will be living on a planet with at least 9 billion other people. Some time towards the end of this century, there will be at least 10 billion of us. Possibly more.
우리 인간은 약 20만년 전 종으로 부상했다. 지질학적 연대로 볼 때, 이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최근의 일이다. 겨우 1만년전만 해도, 지구 인구는 1백만에 불과했다. 200년 전인 1800년이 되자, 인구는 10억에 이르렀다. 50년전인 1960년의 인구는 30억이었다. 현재의 인구는 70억이 넘는다. 2050년이 되면, 여러분의 자녀와 그 자녀의 자녀들은 최소한 90억에 이르는 사람들과 이 지구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금세기 말 어느 시점에는 인구가 적어도 100억에 이를 것이다. 그 이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
We got to where we are now through a number of civilisation- and society-shaping "events", most notably the agricultural revolution,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 in the West – the public-health revolution. By 1980, there were 4 billion of us on the planet. Just 10 years later, in 1990, there were 5 billion of us. By this point initial signs of the consequences of our growth were starting to show. Not the least of these was on water. Our demand for water – not just the water we drank but the water we needed for food production and to make all the stuff we were consuming – was going through the roof. But something was starting to happen to water.
우리는 일련의 문명, 그리고 사회 형태를 결정짓는 '사건들'을 거치면서 현재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농업혁명, 과학혁명, 산업혁명, 그리고 -서방의 경우- 공공건강혁명이 있다. 1980년, 지구 인구는 40억이었다. 겨우 10년 뒤인 1990년의 인구는 50억이었다. 이 시점에 이르러서, 인구성장의 결과에 따른 초기 징후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 징후들 중에 '물'의 문제는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우리의 물 수요 -그냥 마실 물 뿐만 아니라 식품들과 우리가 소비하는 온갖 상품들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었다. 그러나 물에 무슨 일인가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Back in 1984, journalists reported from Ethiopia about a famine of biblical proportions caused by widespread drought. Unusual drought, and unusual flooding, was increasing everywhere: Australia, Asia, the US, Europe. Water, a vital resource we had thought of as abundant, was now suddenly something that had the potential to be scarce.
1984년, 언론인들은 광범위한 가뭄으로 야기된 이디오피아의 묵시록적 규모의 기근을 보도했다. 유례없는 가뭄과 유례없는 홍수가 지구 전역에서 증가하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미합중국, 유럽. 우리가 넘쳐난다고 믿어왔던 필수적 자원, 물이 갑자기 구하기 힘들 가능성이 있는 무언가가 되어버렸다.
By 2000 there were 6 billion of us. It was becoming clear to the world's scientific community that the accumulation of CO2, methane and other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 as a result of increasing agriculture, land use and the production, processing and transportation of everything we were consuming – was changing the climate. And that, as a result, we had a serious problem on our hands; 1998 had been the warmest year on record. The 10 warmest years on record have occurred since 1998.
2000년이 되자 인구는 60억으로 늘어났다. 경작면적의 증가, 토지이용, 그리고 인간이 소비하는 모든 것에 대한 생산, 가공, 운송의 결과로 대기중에 축적된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그리고 다른 온실 가스들이 기후를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 세계 과학계에 자명해졌다. 그 결과, 우리가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는 사실 또한 명확해졌다. 1998년은 기록적으로 따뜻한 해였다. 유사 이래 가장 따뜻한 10개의 연도는 1998년 이래 기록됐다.
We hear the term "climate" every day, so it is worth thinking about what we actually mean by it. Obviously, "climate" is not the same as weather. The climate is one of the Earth's fundamental life support systems, on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we humans are able to live on this planet. It is generated by four components: the atmosphere (the air we breathe); the hydrosphere (the planet's water); the cryosphere (the ice sheets and glaciers); the biosphere (the planet's plants and animals). By now, our activities had started to modify every one of these components.
우리는 매일 같이 '기후'라는 말을 듣는다. 그러니 그게 실지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기후'가 날씨와는 다르다는 것은 분명하다. 기후는 지구의 근본적 생명유지시스템중 하나로, 인간이 지구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을 지 없을 지를 결정한다. 기후는 네 가지 구성요소에 의해 발생한다. 대기(우리가 숨 쉬는 공기), 수계(지구의 물), cryoshpere(빙원과 빙하), 생물권(지구의 식물과 동물). 바야흐로, 인간 행위는 이 네 가지 요소 모두를 빠짐없이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Our emissions of CO2 modify our atmosphere. Our increasing water use had started to modify our hydrosphere. Rising atmospheric and sea-surface temperature had started to modify the cryosphere, most notably in the unexpected shrinking of the Arctic and Greenland ice sheets. Our increasing use of land, for agriculture, cities, roads, mining – as well as all the pollution we were creating – had started to modify our biosphere. Or, to put it another way: we had started to change our climate.
이산화탄소 방출은 대기를 변화시킨다. 날로 늘어나는 물 사용량은 수계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증가하는 대기와 해수면 온도는 cryoshere(빙원과 빙하)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그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가 유례없이 줄어들고 있는 북극과 그리인란드 빙원이다. 농업경작과 도시와 도로건설, 지하자원 채굴 등을 위해 갈수록 확대되는 토지 이용은 우리가 발생시키는 온갖 오염물질들과 더불어 지구의 생물권을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아니, 달리 말하면, 우리는 우리의 기후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There are now more than 7 billion of us on Earth. As our numbers continue to grow, we continue to increase our need for far more water, far more food, far more land, far more transport and far more energy. As a result, we are accelerating the rate at which we're changing our climate. In fact, our activities are not only completely interconnected with but now also interact with, the complex system we live on: Eart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all this is connected.
현재 지구 인구는 70억이 넘는다. 인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우리는 훨씬 더 많은 물과 훨씬 더 많은 음식, 훨씬 더 많은 땅, 훨씬 더 많은 교통수단과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계속해서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 결과, 우리는 기후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실제로, 우리의 활동은 서로 완벽하게 상호연결돼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복잡한 시스템, 즉 지구와도 상호작용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서로 어떻게 연결돼있는 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Let's take one important, yet little known, aspect of increasing water use: "hidden water". Hidden water is water used to produce things we consume but typically do not think of as containing water. Such things include chicken, beef, cotton, cars, chocolate and mobile phones. For example: it takes around 3,000 litres of water to produce a burger. In 2012 around five billion burgers were consumed in the UK alone. That's 15 trillion litres of water – on burgers. Just in the UK. Something like 14 billion burgers were consum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2. That's around 42 trillion litres of water. To produce burgers in the US. In one year. It takes around 9,000 litres of water to produce a chicken. In the UK alone we consumed around one billion chickens in 2012. It takes around 27,000 litres of water to produce one kilogram of chocolate. That's roughly 2,700 litres of water per bar of chocolate. This should surely be something to think about while you're curled up on the sofa eating it in your pyjamas.
증가하는 물 사용량 문제에 대해서 중요한, 그러나 거의 알려지지 않은 측면 한 가지를 살펴보자. '숨은 물' 문제. 숨은 물이란, 우리가 소비하지만 물을 포함하고 있다고는 거의 생각하지 못하는 물건들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물이다. 닭고기, 쇠고기, 면화, 자동차, 초컬릿 그리고 이동전화 등이 그 예이다. 예를 들어, 햄버거 하나를 생산하는 데는 3천리터 정도의 물이 든다. 2012년, 영국 한 나라에서만 약 50억개의 햄버거가 소비됐다. 그건 햄버거 생산에 15조 리터의 물이 사용됐다는 의미다. 영국 한 나라에서만 말이다. 2012년, 미국에서 소비된 햄버거는 140억개 정도다. 그렇다는 건, 물 42조 리터가 사용됐다는 뜻이다. 미국에서 햄버거를 생산하는 데, 1년 동안 들어간 양의 물이 그 정도인 것이다. 닭고기 한 마리를 생산하는 데는 약 9천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영국 한 나라에서만 2012년 한해 소비된 닭고기가 10억마리 가량이다. 초콜릿 1킬로그램을 생산하는 데는 약 2만7천 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다시 말해 초콜릿 바 한개 당 거의 2700 리터의 물이 든다는 것이다. 이건 여러분이 잠옷 차림으로 소파에 웅크리고 앉아있는 동안 생각해 볼 만한 거리임에 틀림없다.
But I have bad news about pyjamas. Because I'm afraid your cotton pyjamas take 9,000 litres of water to produce. And it takes 100 litres of water to produce a cup of coffee. And that's before any water has actually been added to your coffee. We probably drank about 20 billion cups of coffee last year in the UK. And – irony of ironies – it takes something like four litres of water to produce a one-litre plastic bottle of water. Last year, in the UK alone, we bought, drank and threw away nine billion plastic water bottles. That is 36 billion litres of water, used completely unnecessarily. Water wasted to produce bottles – for water. And it takes around 72,000 litres of water to produce one of the 'chips' that typically powers your laptop, Sat Nav, phone, iPad and your car. There were over two billion such chips produced in 2012. That is at least 145 trillion litres of water. On semiconductor chips. In short, we're consuming water, like food, at a rate that is completely unsustainable.
하지만 잠옷에 대해서도 나쁜 소식들을 전해야만 하겠다. 왜냐하면 당신이 입고 있는 순면 잠옷 한벌을 생산하는 데는 9천 리터의 물이 들 것이기 때문이다. 커피 한잔을 생산하는 데는 100리터의 물이 사용된다. 그것도 당신이 커피에 물 한방울도 붓기 전의 이야기다. 지난해 영국인들은 거의 200억 잔의 커피를 마셨다. 그리고, 역설 중의 역설인 것은, 1리터 짜리 플라스틱 물병 한 개를 생산하는 데는 약 4리터의 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영국인들이 사서 마시고 버린 플라스틱 물병만 90억개에 달한다. 360억 리터의 물이, 거의 완벽하게 불필요한 데에 사용된 것이다. 물을 담기 위한 병들을 생산하느라고 물이 낭비되는 것이다. 랩탑컴퓨터와 위성 내비게이터, 전화, 아이패드, 그리고 자동차의 전원용으로 보통 사용되는 '칩' 한 개를 생산하는 데는 약 7만2천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2012년 생산된 이러한 칩들의 갯수는 20억개가 넘는다. 적어도 145조 리터의 물이 사용됐다는 얘기다. 반도체 칩들을 만드는 데 말이다. 줄여 말해서, 우리는 음식에서도 그렇듯이 물 또한 전혀 지속가능하지 않은 속도로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Demand for land for food is going to double – at least – by 2050, and triple – at least – by the end of this century. This means that pressure to clear many of the world's remaining tropical rainforests for human use is going to intensify every decade, because this is predominantly the only available land that is left for expanding agriculture at scale. Unless Siberia thaws out before we finish deforestation. By 2050, 1bn hectares of land is likely to be cleared to meet rising food demands from a growing population. This is an area greater than the US. And accompanying this will be three gigatons per year extra CO2 emissions.If Siberia does thaw out before we finish our deforestation, it would result in a vast amount of new land being available for agriculture, as well as opening up a very rich source of minerals, metals, oil and gas. In the process this would almost certainly completely change global geopolitics. Siberia thawing would turn Russia into a remarkable economic and political force this century because of its newly uncovered mineral, agricultural and energy resources. It would also inevitably be accompanied by vast stores of methane – currently sealed under the Siberian permafrost tundra – being released, greatly accelerating our climate problem even further.
식량 경작을 위한 토지수요는 2050년에는 적어도 두배로 늘어날 것이며, 금세기 말이면 적어도 세배 늘어날 것이다. 이는 전세계에 얼마 남지 않은 열대 우림 상당수를 인간 사용을 위해 없애버리라는 압력이 매 십년마다 거세지리라는 것을 뜻한다. 왜냐하면 대규모 경작지 확대를 위해 남아있는 땅이라고는 열대우림이 거의 유일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삼림파괴를 끝내기 전에 시베리아 땅이 녹는다면 몰라도 말이다. 2050년이 되면, 인구증가로 인해 늘어난 식량수요를 맞추기 위해 10억 헥타의 땅이 개간될 가능성이 있다. 미합중국 영토보다 더 넓은 면적이다. 이에 따라, 해마다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3기가톤 더 늘어날 것이다. 만약 우리가 삼림을 모조리 파괴하기 전에 시베리아가 녹는다면, 광대한 경작가능지가 새로 생길 뿐 아니라 광물, 금속, 석유와 가스의 아주 풍부한 천연자원 채굴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그 과정에서, 지구의 지정학 또한 완전히 뒤바뀌게 될 것이 틀림없다. 시베리아가 녹게 되면 러시아는 새로 발견된 광물, 농업 그리고 에너지 자원 덕분에 금세기의 두드러진 경제 정치 세력으로 부상할 것이다. 또한 이는 현재 시베리아의 영구동토대 툰드라 아래 봉인돼 있는 엄청난 양의 메탄가스를 방출시킴으로써 지구 기후 문제를 한층 더 가속화시킬 것이 뻔하다.

Amazon rainforest smoulders after being cleared for cattle pasture in Brazil. Photograph: Michael Nichols/Getty Images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이 소 방목지로 개간된 뒤 연기에 휩싸여 있다.
Meanwhile, another 3 billion people are going to need somewhere to live. By 2050, 70% of us are going to be living in cities. This century will see the rapid expansion of cities, as well as the emergence of entirely new cities that do not yet exist. It's worth mentioning that of the 19 Brazilian cities that have doubled in population in the past decade, 10 are in the Amazon. All this is going to use yet more land.
한편, 30억의 늘어난 인구를 위한 주거지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2050년이 되면, 인구 70%가 도시에서 살 게 될 것이다. 금세기는 급격한 도시 팽창과 더불어, 아직 출현하지 않은 전혀 새로운 형태의 도시들의 등장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지난 10년동안 인구가 두배로 늘어난 브라질의 19개 도시중에서, 10개가 아마존 지역에 있다는 사실은 언급해둘 가치가 있다. 이 모든 도시가 앞으로도 더 많은 땅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We currently have no known means of being able to feed 10 billion of us at our current rate of consumption and with our current agricultural system. Indeed, simply to feed ourselves in the next 40 years, we will need to produce more food than the entire agricultural output of the past 10,000 years combined. Yet food productivity is set to decline, possibly very sharply, over the coming decades due to: climate change; soil degradation and desertification – both of which are increasing rapidly in many parts of the world; and water stress. By the end of this century, large parts of the planet will not have any usable water.
현재의 소비속도와 경작 시스템으로는 인구 100억명을 먹여살릴 방법이 묘연하다. 사실상, 단지 앞으로 40년동안 인간들을 먹여살리는 데만, 지난 1만년 동안 생산된 식량 모두를 합친 것보다도 더 많은 식량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몇십년 동안, '기후 변화', 다시 말해 세계 상당수 지역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토질 악화와 사막화, 그리고 물 부족사태로 인해 식량 생산성은, 아마도 매우 가파른 속도로, 떨어지기 시작할 것이다. 금세기 말이 되면, 지구 상당수 지역에서 사용가능한 물이 고갈될 것이다.
At the same time, the global shipping and airline sectors are projected to continue to expand rapidly every year, transporting more of us, and more of the stuff we want to consume, around the planet year on year. That is going to cause enormous problems for us in terms of more CO2 emissions, more black carbon, and more pollution from mining and processing to make all this stuff.
동시에, 전세계 해운업과 항공산업 부문은 해마다 급속한 팽창을 계속해 나갈 것이다. 해마다 지구 곳곳에 더 많은 사람과 사람들이 소비하고자 하는 더 많은 물자들을 실어 나르느라고 말이다. 이는 이산화탄소 방출량 증가, 블랙 카본(풀이나 나무 등을 태울 때 나오는 검댕이. 지구온난화 물질) 증가, 그리고 광산채굴과 이런 온갖 물자들을 생산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등 인류에게 엄청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But think about this. In transporting us and our stuff all over the planet, we are also creating a highly efficient network for the global spread of potentially catastrophic diseases. There was a global pandemic just 95 years ago – the Spanish flu pandemic, which is now estimated to have killed up to 100 million people. And that's before one of our more questionable innovations – the budget airline – was invented. The combination of millions of people travelling around the world every day, plus millions more people living in extremely close proximity to pigs and poultry – often in the same room, making a new virus jumping the species barrier more likely – means we are increasing, significantly, the probability of a new global pandemic. So no wonder then that epidemiologists increasingly agree that a new global pandemic is now a matter of "when" not "if".
하지만 한번 생각해보자. 지구 전역에 사람과 물자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질병들을 전세계에 퍼뜨리는 데 아주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만들어내고 있는 셈이다. 겨우 95년 전에, 전세계에 퍼진 전염병이 있었다. 이 스페니쉬 플루 유행병으로 인해 사망한 인구는 약 1억명에 달했던 것으로 현재 추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보다 미심쩍은 혁신의 결과물들, 즉 저가항공편이 출현하기 이전의 일이다. 매일 세계 전역으로 수백만의 사람들이 여행하는 데다, 다른 수백만의 사람들이 돼지와 가축류들과 지근거리에서 살고 있거나 심지어 같은 방안에서 살기도 함으로써 신종 바이러스가 종의 장벽을 뛰어넘을 가능성을 더 높여주고 있다는 사실은, 새로운 지구적 규모의 유행병의 가능성이 날로, 심각하게,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로운 지구적 전염병 출현이 '만약'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의 문제라는 데 동의하는 전염병학자들이 날로 늘어나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We are going to have to triple – at least – energy production by the end of this century to meet expected demand. To meet that demand, we will need to build, roughly speaking, something like: 1,800 of the world's largest dams, or 23,000 nuclear power stations, 14m wind turbines, 36bn solar panels, or just keep going with predominantly oil, coal and gas – and build the 36,000 new power stations that means we will need. Our existing oil, coal and gas reserves alone are worth trillions of dollars. Are governments and the world's major oil, coal and gas companies – some of the most influential corporations on Earth – really going to decide to leave the money in the ground, as demand for energy increases relentlessly? I doubt it.
예측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금세기 말까지 에너지 생산량을 적어도 세배는 늘려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림잡아 계산해도 전세계에 걸쳐 1800개에 달하는 최대규모의 댐이나 2만3천개의 핵발전소, 1400만개의 풍력 터빈, 360억개의 태양광 패널을 건설해야 할 것이다. 아니면 그냥 계속 석유와 석탄, 가스를 주연료로 사용하면서 추가로 필요한 3만6천개의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현재 남아 있는 석유, 석탄, 가스 매장량만 하더라도 몇조 달러 규모에 이른다. 정부들과 지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들이 포함된 세계 최대 석유, 가스업체들이 에너지 수요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한다고 해서, 그 돈을 땅 속에 얌전히 묻어두려고 할 것인가? 내 생각엔, 글쎄다.
Meanwhile the emerging climate problem is on an entirely different scale. The problem is that we may well be heading towards a number of critical "tipping points" in the global climate system. There is a politically agreed global target – driven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 to limit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rise to 2C. The rationale for this target is that a rise above 2C carries a significant risk of catastrophic climate change that would almost certainly lead to irreversible planetary "tipping points", caused by events such as the melting of the Greenland ice shelf, the release of frozen methane deposits from Arctic tundra, or dieback of the Amazon. In fact, the first two are happening now – at below the 2C threshold.
한편, 현재 떠오르고 있는 기후 문제는 규모의 차원이 전혀 다르다. 문제는, 우리가 지구 기후 시스템에 있어서 일련의 치명적인 '티핑 포인트'를 향해 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지구 평균 기온상승을 섭씨 2도로 제한하기 위한, 정부간기후변화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주도로 정치적으로 합의된 국제적 목표가 있다. 이런 목표를 내세운 이론적 근거란, 섭씨 2도 이상의 기온 상승은 그리인란드 빙붕이 녹아내리는 현상, 북극 툰드라에 언 상태로 축적돼 있는 메탄가스의 방출이나 아마존 지대의 가지마름병 같은 사건들로 초래된, 돌이킬 수 없는 지구적 '티핑 포인트'들로 귀결될 것이 틀림없는 파국적 기후 변화를 초래할 심각한 위험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빙붕이 녹고 메탄 가스가 방출되는 앞선 두 가지 일은, 섭씨 2도시 상승의 문턱을 넘지 않은 현재, 이미 일어나고 있다.
As for the third, we're not waiting for climate change to do this: we're doing it right now through deforestation. And recent research shows that we look certain to be heading for a larger rise in global average temperatures than 2C – a far larger rise. It is now very likely that we are looking at a future global average rise of 4C – and we can't rule out a rise of 6C. This will be absolutely catastrophic. It will lead to runaway climate change, capable of tipping the planet into an entirely different state, rapidly. Earth will become a hellhole. In the decades along the way, we will witness unprecedented extremes in weather, fires, floods, heatwaves, loss of crops and forests, water stress and catastrophic sea-level rises. Large parts of Africa will become permanent disaster areas. The Amazon could be turned into savannah or even desert. And the entire agricultural system will be faced with an unprecedented threat.
세번째 아마존 가지마름병의 경우, 우리는 이런 일을 초래할 기후 변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삼림파괴를 통해 바로 지금, 그런 짓을 자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 조사 결과, 우리가 섭씨 2도를 넘는, 훨씬 넘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초래할 것이 틀림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지금으로선 미래 지구 평균기온이 섭씨 4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며, 섭씨 6도 상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렇게 되면 두말 할 것없이 파국적인 상황을 맞게 될 것이다. 이는 지구를 순식간에 전혀 다른 상태로 몰아넣을 수 있는, 급격한 기후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지구는 지옥의 소굴이 될 것이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수십년 간, 우리는 유례없이 극심한 이상 기후, 화재, 홍수, 더위, 작물과 삼림의 손실, 물 부족사태, 그리고 파국적인 해수면 상승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아프리카의 상당수 지역이 영원한 사막지대로 변할 것이다. 아마존은 사반나 아니 심지어는 사막으로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농업 경작 시스템이 유례없는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More "fortunate" countries, such as the UK, the US and most of Europe, may well look like something approaching militarised countries, with heavily defended border controls designed to prevent millions of people from entering, people who are on the move because their own country is no longer habitable, or has insufficient water or food, or is experiencing conflict over increasingly scarce resources. These people will be "climate migrants". The term "climate migrants" is one we will increasingly have to get used to. Indeed, anyone who thinks that the emerging global state of affairs does not have great potential for civil and international conflict is deluding themselves. It is no coincidence that almost every scientific conference that I go to about climate change now has a new type of attendee: the military.
Every which way you look at it, a planet of 10 billion looks like a nightmare. What, then, are our options?
영국이나 미국, 그리고 유럽 대부분 지역처럼 보다 '운이 좋은' 국가들은, 아마 군사요새화된 국가처럼 변해갈 지도 모른다. 자기 나라가 더이상 사람이 살 수 없는 땅이 되었거나, 물이나 식량이 부족하거나, 갈수록 부족해지는 자원 때문에 내전이 일어났거나 하는 이유로 나라를 떠난 수백만 사람들의 입국을 막기 위해서 중무장한 국경수비대를 둠으로써 말이다. 이런 사람들은 '기후 피난민'이 될 것이다. '기후 피난민'이란 우리가 앞으로 갈수록 익숙해지게 될 용어이다. 실제로, 현재 드러나고 있는 지구적 사건들이 내전이나 국제전의 잠재적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사람들은, 자기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이다. 내가 참석하는 기후 변화에 관한 거의 모든 과학회의들에는 현재 새로운 형태의 참석자들이 있다. 바로 군대. 어느 모로 보나, 100억 인구를 가진 지구란 악몽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남겨진 대안은 무엇인가?
The only solution left to us is to change our behaviour, radically and globally, on every level. In short, we urgently need to consume less. A lot less. Radically less. And we need to conserve more. A lot more. To accomplish such a radical change in behaviour would also need radical government action. But as far as this kind of change is concerned, politicians are currently part of the problem, not part of the solution, because the decisions that need to be taken to implement significant behaviour change inevitably make politicians very unpopular – as they are all too aware.
우리에게 남겨진 유일한 대안은 우리의 행동을, 급격하게 그리고 지구적으로, 모든 차원에서, 바꾸는 것이다. 짧게 말해서, 우리는 한시라도 빨리 소비를 줄여야 한다. 아주 많이. 급격하게 많이. 그리고 더 많이 보존해야 한다. 훨씬 많이. 이러한 급격한 행동변화를 위해서는 급진적인 정부 정책 또한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변화에 관한 한, 정치인들은 현재로서는 문제의 해결책이라기보다는, 문제의 일부분이 되어 있다. 의미있는 행동변화를 위해 시행되어야 할 결정들이란 결국 정치인들의 인기를 형편없이 떨어뜨리게 될 것이며, 이러한 사실을 정치인들은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So what politicians have opted for instead is failed diplomacy. For example: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hose job it has been for 20 years to ensure the stabilis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Earth's atmosphere: Failed. The UN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whose job it's been for 20 years to stop land degrading and becoming desert: Failed.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whose job it's been for 20 years to reduce the rate of biodiversity loss: Failed. Those are only three examples of failed global initiatives. The list is a depressingly long one. And the way governments justify this level of inaction is by exploiting public opinion and scientific uncertainty. It used to be a case of, "We need to wait for science to prove climate change is happening". This is now beyond doubt. So now it's, "We need to wait for scientists to be able to tell us what the impact will be and the costs". And, "We need to wait for public opinion to get behind action". But climate models will never be free from uncertainties. And as for public opinion, politicians feel remarkably free to ignore it when it suits them – wars, bankers' bonuses and healthcare reforms, to give just three examples.
그래서 정치인들이 그 대신 택해온 방편은, 실패로 끝나기 마련인 외교였다. 예를 들어보자. 20년간 지구 대기권의 온실 가스 안정화를 보장하기 위해 일해온 UN기후변화기조회의(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실패. 20년간 토양 악화와 사막화를 막기 위해 일해온 UN사막화방지회의(UN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실패. 20년간 생물학적 종다양성 손실 속도를 줄이기 위해 일해온 생물학적 다양성회의(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실패. 이들은 실패로 끝난 전세계적 프로그램의 단 세가지 사례에 불과하다. 그 목록은 참담하도록 길다. 그리고 정부들이 이런 정도의 '하는 일 없음'을 정당화하는 방법이 바로 국민 여론과 과학적 불확실성을 교묘히 이용하는 것이다. "과학이 기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라는 것이 그간의 변명이었다. 이제 기후 변화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졌다. 그러자 지금은 "과학자들이 그 영향은 무엇이고 비용은 얼마가 들지 알려줄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민 여론이 우리의 정책을 지지해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로 바뀌었다. 하지만 기후 모델은 불확실성에서 영원히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여론으로 말하자면, 정치인들은 필요할 때마다 놀랄만큼 자유롭게 여론을 무시해왔던 것이다. 딱 세가지 예만 들어보자. 온갖 전쟁, 은행가들의 보너스, 국민의료제도 개혁을 보라.
What politicians and governments say about their commitment to tackling climate chang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doing about it.
정치인들과 정부들이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자신들의 헌신성에 대해서 하는 말은, 그들의 실제 행동과는 완전히 다르다.
What about business? In 2008 a group of highly respected economists and scientists led by Pavan Sukhdev, then a senior Deutsche Bank economist, conducted an authoritative economic analysis of the value of biodiversity. Their conclusion? The cost of the business activities of the world's 3,000 largest corporations in loss or damage to nature and the environment now stands at $2.2tn per year. And rising. These costs will have to be paid for in the future. By your children and your grandchildren. To quote Sukhdev: "The rules of business urgently need to be changed, so corporations compete on the basis of innovation, resource conservation and satisfaction of multiple stakeholder demands, rather than on the basis of who is most effective in influencing government regulation, avoiding taxes and obtaining subsidies for harmful activities to maximise the return for shareholders." Do I think that will happen? No. What about us?
업계는 어떤가? 2008년, 당시 도이체 방크 소속 고위급 경제학자였던 파반 수크데프가 이끄는 한 무리의 고명한 경제학자들과 과학자들 그룹이 생물학적 다양성의 가치에 대한 권위 있는 경제적 분석을 행한 바 있다. 그들의 결론은? 전세계 3천대 기업들의 기업활동이 자연과 환경에 끼친 손실액은 바야흐로 해마다 2조2천억 달러에 이르며, 증가추세에 있다. 이들 비용은 다가올 미래에 지불돼야만 할 것이다. 여러분의 자녀나 손주들에 의해서. 수크데프의 말을 인용하자면: "기업의 규칙들이 시급히 바뀔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들이 누가 가장 효과적으로 정부 규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주주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나쁜 방법으로 보조금을 지원받고 세금을 회피할 가장 효과적 방법이 무엇인가에 주력하기 보다는, 기술혁신과 자원보존,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려는 노력을 기반 삼아 서로 경쟁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보는가? 나는,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들은?
I confess I used to find it amusing, but I am now sick of reading in the weekend papers about some celebrity saying, "I gave up my 4×4 and now I've bought a Prius. Aren't I doing my bit for the environment?" They are not doing their bit for the environment. But it's not their fault. The fact is that they – we – are not being well informed. And that's part of the problem. We're not getting the information we need. The scale and the nature of the problem is simply not being communicated to us. And when we are advised to do something, it barely makes a dent in the problem. Here are some of the changes we've been asked to make recently, by celebrities who like to pronounce on this sort of thing, and by governments, who should know better than to give out this kind of nonsense as 'solutions': Switch off your mobile phone charger; wee in the shower (my favourite); buy an electric car (no, don't); use two sheets of loo roll rather than three. All of these are token gestures that miss the fundamental fact that the scale and nature of the problems we face are immense, unprecedented and possibly unsolvable.
신문 주말판 기사에서 모모한 유명인사들이 "배기통 큰 내 고급승용차를 포기하고 이젠 전기자동차를 샀어요. 이만하면 환경을 위해 내가 할 만큼은 한 것 아닌가요?"라고 떠들 때, 예전에는 재미있다고 생각했지만, 이젠 지긋지긋하다. 그들은 환경을 위해 해야 할 일을 티끌 만큼도 하고 있지 않다. 그렇다고 그게 그들의 잘못은 아니다. 내막은, 그들-우리-이 제대로 된 정보를 전달받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문제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우리는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지 못하다. 문제의 규모와 성질이 우리에게 아예 전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무언가 해야 한다는 권고를 받더라도, 문제해결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뿐이다. 여기 최근에 우리가 이런 종류의 일을 떠벌이기 좋아하는 유명인사들로부터, 그리고 이런 말도 안되는 웃음거리를 '해결책'이라고 내놓을 정도로 한심해서는 안되는 정부들로부터 요청받은 몇가지 행동변화 방법들이 있다: 휴대전화 충전기의 전원을 꺼라,샤워할 때 오줌눠라(내가 좋아하는 방법), 전기자동차를 사라(아니. 나는 사절.), 뒤를 닦을 때는 휴지 세칸이 아니라 두칸만 잘라 써라. 이 모든 것은,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의 규모와 성질이 유례없고, 어쩌면 해결 불가능할지도 모를, 엄청난 것이라는 기본적인 사실을 간과한 체면치레에 불과하다.
The behavioural changes that are required of us are so fundamental that no one wants to make them. What are they? We need to consume less. A lot less. Less food, less energy, less stuff. Fewer cars, electric cars, cotton T-shirts, laptops, mobile phone upgrades. Far fewer.And here it is worth pointing out that "we" refers to the people who live in the west and the north of the globe. There are currently almost 3 billion people in the world who urgently need to consume more: more water, more food, more energy. Saying "Don't have children" is utterly ridiculous. It contradicts every genetically coded piece of information we contain,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un) impulses we have. That said, the worst thing we can continue to do – globally – is have children at the current rate. If the current global rate of reproduction continues, by the end of this century there will not be 10 billion of us.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Zambia's population is projected to increase by 941% by the end of this century. The population of Nigeria is projected to grow by 349% – to 730 million people.
우리에게 요구되는 행동변화는 너무도 근본적인 것이어서, 아무도 하려고 들지 않을 정도다. 근본적 행동변화란? 소비를 줄여야 한다. 아주 많이. 덜 먹고, 에너지를 덜 쓰고, 물자를 덜 써야 한다. 자동차, 전기자동차, 순면 티셔츠, 랩탑 컴퓨터, 업그레이드된 휴대전화 등을 덜 사야 한다. 아주아주 많이, 덜 사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란 서방과 북반구에 사는 사람들을 지칭한다는 사실을 지적해 둘 필요가 있다. 현재 거의 30억에 달하는 인구가 더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절박한 상황에 있다. 더 많은 물, 더 많은 식량,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말이다. "아이를 낳지 말라"는 말은, 터무니없는 헛소리다. 그건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유전자 정보와 모순되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그리고 재미있는) 본능에도 어긋난다. 그렇다고 해도,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최악의 사태는, 현재의 속도로, 전세계인들이, 아이를 낳는 것이다. 만약 현재의 지구적 출생률이 지속된다면, 금세기말 지구인구는 100억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UN에 따르면, 금세기말 잠비아 인구는 941%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나이지리아는 349% 증가해, 7억3천만명이 될 것이다.
Afghanistan by 242%.
아프가니스탄 242%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213%.
콩고민주공화국 213%
Gambia by 242%.
감비아 242%
Guatemala by 369%.
과테말라 369%
Iraq by 344%.
이라크 344%
Kenya by 284%.
케냐 284%
Liberia by 300%.
라이베리아 300%
Malawi by 741%.
말라위 741%
Mali by 408%.
말리 408%
Niger by 766%.
니제르 766%
Somalia by 663%.
소말리아 663%
Uganda by 396%.
우간다 396%
Yemen by 299%.
예멘 2995
Eve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is projected to grow by 54% by 2100, from 315 million in 2012 to 478 million. I do just want to point out that if the current global rate of reproduction continues, by the end of this century there will not be 10 billion of us – there will be 28 billion of us.
심지어 미국의 인구도 2100년도엔 54% 증가해, 2012년의 3억1천5백만에서 4억7천8백만으로 늘어날 것이다. 내가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단지, 현재 세계 출생률이 같은 비율로 지속된다면 금세기말 인구는 100억이 아니라, 280억명이 될 거라는 사실이다.
Where does this leave us? Let's look at it like this. If we discovered tomorrow that there was an asteroid on a collision course with Earth and – because physics is a fairly simple science – we were able to calculate that it was going to hit Earth on 3 June 2072, and we knew that its impact was going to wipe out 70% of all life on Earth, governments worldwide would marshal the entire planet into unprecedented action. Every scientist, engineer, university and business would be enlisted: half to find a way of stopping it, the other half to find a way for our species to survive and rebuild if the first option proved unsuccessful. We are in almost precisely that situation now, except that there isn't a specific date and there isn't an asteroid. The problem is us. Why are we not doing more about the situation we're in – given the scale of the problem and the urgency needed – I simply cannot understand. We're spending ?8bn at Cern to discover evidence of a particle called the Higgs boson, which may or may not eventually explain mass and provide a partial thumbs-up for the standard model of particle physics. And Cern's physicists are keen to tell us it is the biggest, most important experiment on Earth. It isn't. The biggest and most important experiment on Earth is the one we're all conducting, right now, on Earth itself. Only an idiot would deny that there is a limit to how many people our Earth can support. The question is, is it seven billion (our current population), 10 billion or 28 billion? I think we've already gone past it. Well past it.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런 식으로 바라보자. 만약 내일, 소행성이 지구를 향하여 날아오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치자. 물리학은 꽤 단순한 과학이기 때문에, 2072년 6월 3일 지구와 충돌할 것이라는 계산에 도달했고, 그 영향으로 지구상 인구 70%가 절멸할 것임을 알았다. 각국정부들은 전 세계인을 유례없는 행동 속으로 소집시킬 것이다. 과학자, 엔지니어, 대학과 업계조차 징발될 것이다. 그 절반은 충돌을 막을 방법을 찾기 위해, 다른 절반은 첫번째 방법이 실패할 경우 우리의 종인 인류의 생존과 재건을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날짜가 특정되지 않았고, 소행성이 없다 뿐이지, 현재 거의 그와 유사한 상황에 있다. 문제는 우리다. 문제의 크기와 심각성을 감안할 때, 우리가 처한 상황에 대해 왜 더 많은 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인지 나는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 우리는 유럽핵물리학입자연구소(CERN)가 힉스 입자라고 불리는 입자의 증거를 발견하도록 하는 데 80억 유로를 쓰고 있다. 힉스 입자가 발견된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질량(mass)을 설명하거나 그럼으로써 소립자물리학의 표준모델에 대해 부분적으로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확실한 것도 아닌데, 말이다. 그리고 CERN의 물리학자들은 그것이 지상 최대의, 가장 중요한 실험이라고 침을 튀기며 설명하고 있다. 그렇지 않다. 지상 최대의 가장 중요한 실험은, 현재 우리 모두가 지금 이 순간, 지구 자체를 대상으로, 행하고 있다. 지구가 먹여살릴 수 있는 인간의 수에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라도 알고 있을 것이다. 문제는 그것이 (현재 인구인) 70억인가, 100억인가, 아니면 280억인가? 이다. 이미 한계선을 지났다고, 그것도 한참 지났다고, 나는 생각한다.
Science is essentially organised scepticism. I spend my life trying to prove my work wrong or look for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my results. It's called the Popperian condition of falsifiability. I hope I'm wrong. But the science points to my not being wrong. We can rightly call the situation we're in an unprecedented emergency. We urgently need to do – and I mean actually do – something radical to avert a global catastrophe. But I don't think we will. I think we're fucked. I asked one of the most rational, brightest scientists I know – a scientist working in this area, a young scientist, a scientist in my lab – if there was just one thing he had to do about the situation we face, what would it be? His reply? "Teach my son how to use a gun."
과학은 기본적으로, 조직화된 회의주의다. 나는 내 연구가 틀렸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또는 내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기 위해 평생을 바쳐왔다. 그것을 칼 포퍼주의에 기반한 반증가능성 조건이라고 한다. 자신이 틀렸기를 바라는 것이다. 하지만 과학은 내가 틀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은 유례없는 비상사태임에 틀림없다. 시급히 뭔가를 해야만 한다. 지구적 파국을 막기 위해 뭔가 획기적인 일을 실제로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내 생각에, 우리가 그럴 것 같진 않다. 우린 끝났다고 나는 생각한다. 내가 아는 가장 이성적이고 명석한 과학자들중의 하나인, 이 일대에서 일하는 한 젊은, 내 실험실에서 일하는 과학자에게 물었다. 만약 우리가 당면한 상황에 대해 단 한가지 일만 해야 한다면 무슨 일을 할 것인가?
"아들녀석에게 권총 사용법을 가르쳐주는 거요." 그의 대답이었다.
This is an edited extract from Ten Billion, by Stephen Emmott (Penguin, £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