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훈 바오로 신부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이사야 58,9ㄷ-14 루카 5,27ㄴ-32
예수님 시대에 함께 식탁에 앉는다는 것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룬 것이며,
영적으로 일치함을 뜻하였습니다. 예수님께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식사를 하셨다는 것은
그들이 하느님 나라의 일원임을 선언하는 행위였습니다. 의인과 죄인을 구분하여
분리해야만 하였던 바리사이들에게 이 선언은 받아들이기가 어려웠습니다.
이에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십니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의인들의 공동체가 병든 이들을 잘라 내어
배제시킨 건강한 이들만의 공동체였다면, 예수님께서 이루신 하느님 나라의 공동체는
병든 이들까지 모두 포함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의사로서 병자들 가운데 들어가셔서 그들을 돌보고 섬기시는 분이시며,
병자들은 공동체에서 격리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치유되는 이들임을 일깨워 주십니다.
우리는 살면서 자신이 죄인이라 느끼고, 주님의 자녀가 되기에 부족하다고 느낄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 예수님께서 건강한 이들이나 의인이 아닌 병든 이들과 죄인을 위하여
오신 분이시라는 사실이 얼마나 큰 위로와 희망이 되는지 모릅니다.
주님께서는 병든 이와 죄인, 레위를 부르신 것처럼, 풍파에 얼룩지고 빛바랜 우리도 부르십니다.
우리도 주님처럼 죄인들에게 다가가고, 그들이 치유되도록 봉사하여야 합니다.
우리 주변의 올바른 길에서 벗어난 이웃을 배제하거나 분리하지 말고,
그들과 한 공동체를 이루고 그들의 이웃이 되어야 합니다.
주님께서는 그저 우리를 고쳐 주시기만 하려고 부르시는 것이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주님의 사랑을 전하게도 하시려고 부르십니다.
서울대교구 최정훈 바오로 신부
************
정인준 파트리치오 신부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이사야 58,9ㄷ-14 루카 5,27ㄴ-32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
우리 마음 속에 곧잘 좋은 것에 대한 동경을 두고 삽니다. 그중에 하나가 넉넉한 경제사정,
아이들이 대학도 그렇고 좋은 직업을 구하는 것이지요.
한 어머니의 질문이 있었습니다. 자기는 자기 자식을 위해서 매일 기도하는데 원하는 대로
되지를 않는다고 한탄을 합니다. 자식이 대학원까지 나왔는데도 취직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세히 들어보니 몇 몇 회사는 되었는데 눈에 차지가 않는 것이었습니다.
어떻게 공부를 시켰고 또 좋은 대학인데 자기가 원하는 유명한 회사가 안되는 것이냐?
고 불평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같이 경제도 어렵고 또 직장 구하기도 어려운데 꼭 대기업 회사만
기대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런데 자식보다 어머니 기대가 더 커서 더 이야기를 하지는 못했습니다.
우리가 표현하는 ‘눈높이’이가 너무 높으니까 원하는 만큼 얻지를 못하는 것이겠지요.
예수님의 눈높이는 바로 소외된 사람들이셨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명문이던지 가정이 좋다는 기준을 갖고 제자들을 부르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당시 세상이 말하는 기준이 아니고 낮고 미래를 향한 것이었습니다.
우리도 주님께서 당시 사람들에 손가락질 받는 죄인 부류에 들어가는
‘세리’ 마태오를 부르셨는지 모릅니다.
복음대로라면 지나가시다가 "나를 따라라."(루카 5,27)고 하신 것입니다.
놀라운 것은 마태오도 어부출신 제자들이 배를 버리고 주님을 따라 나섰듯이
모든 것을 버리고 그 자리에서 예수님을 따른 것입니다.
마태오는 평소 지내던 부류의 사람들을 초대해서 자기 집에서 큰 기쁨의 잔치를 벌입니다.
사람들은 당연히 이러한 광경을 보고 수군거리지요. 이런 분위기를 부치기는 사람들이
누구겠어요? 다름아닌 바로 율법학자들, 바리사이들이지요.
그들은 자신의 눈높이로는 예수님 뿐 아니라 이런 사람들이 만나 희희덕 거리는 모습이
마음에 찰 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투덜거리며 제자들에게 불평을 털어 놓습니다.
"당신들은 어째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이오?"(30절)
‘사람 봐 가며 사귀라.’는 뜻이지요.
비단 당시 바리사이와 율법학자 뿐이겠어요? 드라마에서도 집안이 좋지 않다고
결혼을 반대하는 부모와 자식들간의 갈등을 주제로 할 때가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인 것이지요.
외적 조건을 갖고 사람을 판단하며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경우가 지금도
복음상황과 다를 바가 없는 것입니다.
얼마 전에 고국의 드라마 중에서 ‘왕가네 식구들’이 있습니다. 그 식구의 막내 딸이
중학교만 나온 청년과의 결혼은 극구 반대를 합니다.
아이들을 교육하는 교감인 아버지도 딸을 설득하기에 바쁩니다.
그 드라마의 결과는 막내딸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해서
행복한 가정을 꾸미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눈높이로 이웃을 너무 쉽게 판단합니다. 그것까지도 사실 안되는데
다른 사람과 연대해서 그 사람을 무시하거나 함부로 대하는 사람이 되고 맙니다.
예수님은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 그리고 그들과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에게 말씀하십니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31절)
그래서 주님께서는 모든 이를 구원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순절을 맞으며 우리 자신을 반성해야 합니다. 겉으로 회개하는 ‘겉저리 식 회개’가
아니라 내 삶의 깊숙이 차지하는 오만과 착각에서 속까지 새롭게 변화 되는
‘묵은지 식 회개’를 해야 합니다.
특히 가깝다고 함부로 하고 비꼬는 말투, 깔보는 모습으로
상처를 주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나는 상처 받으면 절대로 안되고 남들은 ‘속이 좁아서’라는 쉬운 말로 밀어 놓는 것은
아닌지요? 남이 회개 할 것이 아니라 사실은 내가 회개해야 합니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투덜거리며 살지 맙시다.
이왕이면 이웃을 좋게, 인격적 대접을 하며 주님의 사랑받는 제자로 삽시다.
소외되고 무관심으로 밀쳐냈던 이웃을 위해 기도하며 멋진 하루를 만드세요.
원주교구 정인준 파트리치오 신부
**********
이영근 아우구스티노 신부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이사야 58,9ㄷ-14 루카 5,27ㄴ-32
"나를 따르라." '그러자 레위는
모든 것을 버려둔 채 일어나 그분을 따랐습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세리인 레위를 부르시는 장면과 레위의 집에서 죄인들과 어울려
식사하시는 장면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세관에 앉아있는 레위를 보시고 말씀하십니다.
"나를 따르라." '그러자 레위는 모든 것을 버려둔 채 일어나 그분을 따랐습니다.'(루카 5,27)
사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발의 움직임이라기보다는 마음의 움직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발걸음으로서가 아니라 삶의 방식으로 따라야 하기 때문입니다.
곧 앵무새처럼 입으로만 혹은 다람쥐처럼 몸짓으로만 예수님을 본받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이고
본질적인 삶의 자세와 태도로 예수님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화답송에서 말해주듯이, ‘진리 안에서 걷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세상을 바라보는 눈, 가치관, 방식에 있어서 예수님을 따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죄인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은 율법에 어긋나는 일이었습니다. 불결한 이들과의 접촉은
그도 불결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그들과 더불어 식사를 하십니다.
‘식사를 함께 하는 것’은 하느님 나라에 대한 상징입니다.
그것은 서로 기쁨과 사랑을 나누는 행위요, 한 가족임을 나타내는 행위입니다.
그들에게 보내는 신의요, 자비요, 호의입니다.
그들을 단죄한 것이 아니라 용서하신 까닭입니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오시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예수님께서는 죄인들 속으로 들어와 그들을 당신의 가족으로 삼으십니다.
자신의 몸에 죄를 묻힘으로 죄인들을 깨끗하게 하십니다. 죄인들의 회개를 앞세우기보다
‘먼저’ 용서하시고 ‘먼저’ 자비를 베푸십니다.
흔히 우리는 죄지은 이에게 ‘먼저’ 회개하라고 강요합니다.
그러나 우리 주님께서는 ‘먼저’ 용서하시고, ‘먼저’ 함께 식사를 하시며,
당신과 한 가족으로 받아들이십니다. ‘먼저’ 죄인을 찾아오시고, ‘먼저’ 우리를 부르시고,
‘먼저’ 죽으시고, ‘먼저’ 당신을 건네주시고 자비를 베푸십니다.
오늘도 우리 주님께서는 그 놀라운 사랑으로 우리를 부르십니다.
"나를 따라라."(루카 5,27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루카 5,32)
이는 우리가 죄인인 까닭에 부르셨다는 말씀입니다.
그렇습니다. 그리스도인이란 죄를 짓지 않은 의인들인 것이 아니라 용서를 받아야 하는
죄인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단지 죄인인 것이 아니라 이미 용서받은 죄인인 까닭에
용서해야 하는 일을 소명을 받은 죄인들입니다.
곧 이미 사랑과 자비를 입었기에, 또한 그렇게 사랑과 자비를 베푸는 소명을 받은 이들입니다.
그러기에 오늘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나를 따라라.”(루카 5,27) 하심은 우리 역시 죄지은
형제에게 ‘먼저’ 다가가고, ‘먼저’ 용서하고, ‘먼저’ 자비를 베풀라는 말씀입니다. 아멘.
<오늘의 샘 기도>
주님!
저는 죄인입니다.
당신은 죄인인 까닭에 저를 부르셨습니다.
찾기도 전에 먼저 부르시고, 청하기도 전에 먼저 용서하셨습니다.
용서받았으니 용서하게 하소서.
먼저 찾아가고 먼저 용서하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이영근 아우구스티노 신부
오요안 신부의 가톨릭 참조
가톨릭사랑방 catholics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