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p167 아동청소년 대표지표로 현재 흡연율부터 손상 입원률까지 나와있는데, p166 분야별 대표지표에서 아동 청소년 지표는 고등학교 남여학생 현재흡연율로 나와있습니다. 검색해보니 p167에 나와있는건 성과지표인것 같은데 대표지표로 외워야 하나요 아니면 성과지표로 외워야 하나요? ( 성과지표로 외우세요)
1권 p182 질병에 대한 지각된 위험성에서 지각된 감수성은 p181에 나와있는 지각된 민감성과 같은걸로 봐도 되나요?? 필기보니, 수업 중에 정리해주시면서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인구학적 요인, 행위의 계기가 위험성을 만든다’고 언급하셔서요..! (네, 지각된 민감성과 같고 지각된 민감성으로 하세요)
1권 p248 홍역, 볼거리, 수두의 감염성 이환 후 1개월 이내에 예방접종을 금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생백신과 사백신 모두에 해당하나요?(네) 또 위에서 언급한 질환 외의 감염성 질환에 이환되었을때도 동일하게 1개월 이내에 예방접종이 금지되나요? 아니면 위의 질환에만 해당되는건가요?(위의 질환만요)
1권 p249 면역억제자나 면역억제 아동과 한집에 사는 아동은 생백신을 금한다고 나와있는데, 사백신의 경우 접종할 수 있나요?(네, 되요) 인공면역 부분에서 생백신 투여 후 1개월 이내 금지인데 이는 생백신-생백신의 경우에만 해당하고, 생백신-사백신의 경우와 사백신-사백신의 경우에는 투여간격을 1개월 유지할 필요가 없고 바로 맞을 수 있는건가요?(네) 면역글로불린을 받은 경우 3개월 이내 생백신과 사백신 모두 투여 금지인가요?(생백만요)
1권 p256 역학조사 부분 설명해주시면서 예시로 학교에서 감염병 발생하거나 우려 시 질병관리청장,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역학조사를 요청할 수 있다고 언급하셨는데, 역학조사 요청 부분에서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의 장이 역학조사를 요청할 수 있다고 나와있어서요. 학교 감염병 발생 시 학교장이나 보건교사도 역학조사를 신청할 수 있는건가요?( 간호사 면허를 가진 보건교사도 간호사이므로 의료인에요)
1권 p270 단시간 노출기준에서 1회 노출지속시간이 15분 이하라고 나와있는데, 국가법령정보센터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는 15분 미만이라고 나와있는데 어떤걸로 해야 맞을까요? ㅠ ( 15분 미만이네요)
질문이 많은데, 편하실 떄 답변 주시면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 될 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저도 감사해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