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사설
[사설] 봉안 시설까지 포화, 장례 문화 완전히 바뀌어야
조선일보
입력 2024.10.02. 00:30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4/10/02/5E5WCOUSNRE3RL6DJDHS64Y5XU/
빈자리 안 보이는 납골당 - 고인을 모시는 장사 방식으로 화장이 일반화된 가운데 고령화로 인해 사망자 수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전국의 납골당은 포화 상태다. 지난 29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시연화장의 야외 벽면에 설치된 봉안 시설이 거의 빈자리 없이 가득 차 있다. /고운호 기자
전국에 있는 봉안 시설 대부분이 90% 가까운 포화 상태에 이른 데다 그곳에 있는 유골마저 15~45년으로 제한돼 있는 봉안 기간이 끝나가면서 대규모 유골 이장 문제가 대두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전통적 매장 문화를 따랐으나 1990년대 중반 ‘전 국토의 묘지화’ 우려가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면서 봉안 시설을 갖춘 추모 공원이 급속하게 늘어났다. 그러나 이곳에 안치했던 유골들이 대략 30년 안팎으로 책정돼 있던 기한이 최근 한꺼번에 닥치자 이른바 ‘조상님들의 대이사’가 불가피해진 것이다.
한국장례문화진흥원이 전자 정부 누리집에 올려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우리나라 장사 시설은 616곳으로 등재돼 있다. 공설·사설을 망라해서 추모 공원과 종교 시설, 그리고 그곳에 마련된 봉안당을 헤아린 숫자다. 지난해 국내 사망자는 35만3000명이었는데, 올해 6월엔 사망자 중 93.6%가 화장 장례를 했다. 이제 화장이 보편적 장사 문화로 자리 잡긴 했지만 해마다 고인 30여 만 명을 새롭게 봉안 시설에 모셔야 하는 것이다.
계약 기간이 끝나 자리를 비워줘야 하는 탓에 부모의 유골을 돌려받은 자식들은 본인 역시 이미 많은 나이에 이르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님 유골을 집마당에 묻었다’ ‘전혀 연고가 없는 타 지역 납골당에 보냈다’ ‘고향 땅에 뿌렸다’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봉안 시설 측도 난감하다고 하소연한다. 모신 지 15년쯤 지나면 추모객의 발길이 끊기기도 하고, 만기가 될 때쯤 아예 연락이 닿지 않는 유족도 많지만, 그렇다고 유골을 함부로 자체 처분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여러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봉안당이나 수목장처럼 공간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고인을 모시지 말고, 화장한 유해를 산·바다 등에 뿌리고 표지를 두지 않는 산분장(散粉葬)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관습적으로 해오던 해양장(海洋葬)은 이미 12년 전에 관련 부처가 해양 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을 내렸고, 지난해 말 자연장 범위를 수목장에서 해양장까지 확대하는 장사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제도 도입을 준비 중이다.
처음부터 가족 봉안을 계획하거나 이웃끼리 합장 봉안을 할 수 있고, 유골 보관 기간 30여 년이 지나면 지하 공동 매장지로 이장할 수도 있다. 온라인으로 고인을 기리는 디지털 추모 공간을 활성화해도 된다. 과거 매장장에서 화장장으로 바뀐 것처럼 지금은 제2 장례 문화로 획기적 전환이 필요한 때다.
춘분
2024.10.02 01:40:07
자연스럽게 자연으로 돌아가면 된다. 화장이 대세로 굳어졌으니 이제 뿌리는 것 만 대세가 되면 된다. 고인에 대한 기억은 사진으로 하고.
답글작성
39
1
aatc52
2024.10.02 01:26:45
결국은 미래에는 나무 밑에다 재를 묻는 수목장 같은 장례문화가 되지 않겠나 싶다.
답글작성
27
2
봉수
2024.10.02 04:40:35
해양 산분장으로 흔적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
답글작성
21
3
동네머슴
2024.10.02 04:38:53
장례문화는 고인을기리는 마음보다 앞으로 어떻케 모시는가가 중요한데 장례치르고 관리 잘안하면 그런장례는 없어져야 그냥 산이나 바다에 뿌리면서 집에서 제사나잘지내면 어떨까?
답글작성
6
2
바우네
2024.10.02 02:45:36
'해마다 고인 30여 만 명을 새롭게 봉안 시설에 모셔야'(?) '사람을 세는 단위'는 '명(名)', '시체 따위를 세는 단위'는 '구(具)'이다. 즉 '30여 만 명'이 아니라 '30여 만 구를 새롭게 봉안 시설에 모셔야'.
답글1
6
5
anak
2024.10.02 05:56:03
살아서 주택난 죽어선 봉안란
답글작성
5
0
논밭
2024.10.02 05:53:18
살아도 괴롭고 죽어도 갈 곳이 없다.
답글작성
5
0
무수옹
2024.10.02 04:08:53
영국은 교회 마당에 매장했다가 20년 후엔 발굴해 화장하고 강물에 띄워 보낸다. 우리도 이젠 바꿔야 한다.
답글작성
4
2
북한산 산신령
2024.10.02 02:33:41
옳은말이다 빨리 바꿔야 합니다 매장문화가 바뀌듯이 가족봉안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답글작성
4
1
나도 한마디
2024.10.02 07:55:33
가장 좋은방법은 산이나 바다에 뿌리는 것이다.. 뒷끝이 깨끗하고 죽은조상탓 할일없다.. 누가뭐하다 갔는지 적고싶은사람들이 묘비를 만든다.. 꼴에 죽어서도 자랑하려고... 나중에 묘나 납골당 때문에 골칫거리 되는것보다 흔적없이 사라지는게 오히려 후손에게도좋다..
답글작성
3
0
상사화 1
2024.10.02 07:14:28
장례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많이 바뀐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이에 대해 좀더 효율적이고 보다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길 바란다!
답글작성
3
0
심연식
2024.10.02 04:22:11
전국에 있는 봉안시설 90% 포화 상태란다 땅에 묻이기도 어렵고 화장하여 봉안시설 보관되기도 어렵고 이제는 죽어도 갈 곳마전 없는 세상이 되여가고 있는 것 아닌가 말이다 강이나 바다에 벼려져야 하는 죽은 뒤에는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나 하는 인간가치가 살아서나 죽어서나
답글작성
3
7
사랑과 평화
2024.10.02 01:38:28
수목장 나무에 작은 QR코드 명패만 달고,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고인 정보 보여주면 일반 숲과 다를게 없을것 같은데
답글작성
3
2
산길가기
2024.10.02 00:43:24
개인일에 시건방지게 간섭마라!! 언론이 왜 개인의 선택을 강요하냐?? 낄낄빠빠! 아무거나 끼지말고 빠질때 빠져라!!
답글작성
2
17
외로운사냥꾼
2024.10.02 08:53:02
화장과 자연에 뿌리는 장례문화를 제도적으로 안착시키자.
답글작성
1
0
duvent
2024.10.02 06:44:54
납골당은 포화상태 수목장에서 해양장까지, 제2의 장례 문화를 확대하는 장사법 개정안이 필요한 싯점이다.
답글작성
1
0
산길가기
2024.10.02 05:07:59
그럼 국립묘지 419묘지 다 없애냐?? 미이친!! 각자 사정따라 판단하면된다!!
답글작성
1
5
bruno1
2024.10.02 09:36:43
지방에만 해도 남는땅이 많을텐데 지자체끼리 계약하여 마땅한 댓가를 주고 오래된 봉안유골을 이장하는것도 방법일것이다. 사람은 실물이 없으면 그것에대해 아무런 생각을 하지않는다. 돌아가신분을 기리는 전통행위마저 빠르게 소멸할것이다.
답글작성
0
0
월터슐로스
2024.10.02 09:35:39
수목장이 좋을 것 같네요. 나무를 심고 유골을 나무 밑에 매장하는 방식부터, 기존의 나무 아래에 유골을 묻는 방식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국토에 큰 부담도 안 주고 후손에게 푸른 자연을 물려주고....
답글작성
0
0
박근혜
2024.10.02 06:18:15
나무에 뿌리는 방향으로 정부가 주도해서 장례문화 개선해야 합니다.
답글작성
0
0
도인
2024.10.02 05:27:10
우선 우리나라에는 수 많은 산소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묘가 차지하는 공간도 넓어서, 해마다 벌초문제로 집안에 분란이 늘아나고 있다. 이 산소를 없애고 그 유골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행정절차와 비용 때문에 , 이를 실행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정부가 이런 문제의 해결에 나서야 할 때다. 도처에 큰 산소가 많은데, 부자는 죽어서도 화려하고 가난한 자는 죽어서도 초라해야 된다는 말인가? 국가에서 관리하는 인터넷 추모공간 만들고, 고인의 사진 이력 , 자서전, 기념할 만한 사진 등을 정부 관할 기관에 보내면, 정부에서 이를 바탕으로 개인 방을 만들어 주는 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 제도에 따라, 유골을 정부가 지정하는 일정 장소에 뿌리고, 추모공간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는 장례보조금을 지급해야 한다. 사망신고에서 유골처리 추모공간 만드는 일까지 정부와 민간이 유기체처럼 같이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장례문화의 혁신을 이룰 것을 정부에 건의 한다
답글1
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