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장
불교 의례·행사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의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예절. 불교의식·경례법.
정의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의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예절. 불교의식·경례법.
내용
원래 합장은 흩어진 마음을 일심(一心)으로 모은다는 뜻이다. 다섯 손가락을 붙이는 것은 눈·귀·코·혀·피부 등이 색깔·소리·냄새·맛·감촉을 좇아 부산히 흩어지는 상태를 한 곳으로 향하게 한다는 뜻이다.
손바닥을 마주붙이는 것은 이 앞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을 감지하고 조정하는 제6식인 의식(意識)을 모은다는 뜻을 상징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보통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는 것인데, 손가락만을 합하고 손바닥을 합하지 않는 것은 마음이 거만하고 생각이 흩어졌기 때문이라 하여 꺼리게 된다.
또한, 합해진 손 모양이 가지런하지 않을 경우에도 마음이 올바르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하여 몹시 주의한다. 또한, 이 합장의 자세는 다툼이 없는 무쟁(無諍)을 상징하는 것으로, 합장한 상태로는 싸움을 할 수 없으며 동정(動靜:움직임과 고요함) 및 자타(自他)의 화합을 뜻한다.
또, 연화합장(蓮花合掌)이라 하여 두 손의 열 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합하여 연꽃봉오리모양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더러움 속에 있으면서도 항상 맑고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꽃의 의미를 상징화한 것으로, 불교의식의 초기 단계에서는 이러한 합장을 하였다. 그런데 봉오리의 모양을 갖춘 이 상태가 미래불(未來佛)인 미륵불(彌勒佛)의 시대에 이르면 활짝 핀 연꽃모양의 합장을 하게 된다는 설이 있다.
또한, 밀교(密敎)에서는 두 손을 합하는 것을 정혜상응(定慧相應 : 선정과 지혜가 서로 응함)과 이지불이(理智不二:본체의 세계와 지혜로운 작용의 세계가 둘이 아님)를 나타내는 것이라 하여 그 공덕 또한 넓고 크고 한량없다고 보고 있다. 불교인은 승속(僧俗)을 막론하고 합장으로 인사법을 삼고 있으며, 불교정신의 기본이 되기도 한다.
『칙수백장청규(勅修百丈淸規)』
(1)
예불
예불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이종익
불교 개념
간자
미륵보살의 수계를 의미하는 징표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불교 개념
간화선
선 수행방법 중 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법을 가리키는 불교수행법.
불교 인물
거연
개항기 남한총섭, 북한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개념
격외선
선의 맥이 말과 문자로 된 경전의 이론이나 지식의 격식이 아니라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임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불교 개념
견성
마음 닦는 공부를 통해 깨달음을 얻은 경지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불교 개념
경절문
수행 시 단계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본래면목을 터득하여 바로 부처의 경지에 오르게 하는 법문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