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전문가칼럼
[이한우의 간신열전] [254] 오죽했으면
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입력 2024.10.02. 23:54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4/10/02/RLWAPECK4FCURELIKBQLCPBXCI/
민유중(閔維重·1630~1687년)은 숙종 계비 인현왕후 민씨의 아버지이다. 민유중은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실권을 장악했다. 1681년 병조판서로 있을 때 둘째 딸이 숙종 계비가 되었다. 이에 그는 임금의 장인인 국구(國舅)가 되었다.
민유중은 이듬해 금위영(禁衛營-왕실 경호 부대) 창설을 주도해 금위대장을 맡았다. 국구로서 병권과 재정권을 장악한 민유중은 전권을 휘둘렀다. 숙종 9년(1683년) 5월 5일 자 ‘숙종실록’이다. 소론의 윤증(尹拯)을 조정에서 불렀으나 윤증은 자기를 찾아온 박세채(朴世采·1631~1695년)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금 나갈 수 없는 이유가 셋이 있다. 남인(南人)의 원한[怨毒]을 화평하게 할 수 없는 것이 그 하나이고 삼척(三戚)의 위병(威柄-위세)을 제지(制止)할 수 없는 것이 하나이며 우옹(尤翁-송시열)의 세도(世道)를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이 하나이다.”
삼척(三戚)이란 청풍 김씨와 광산 김씨 그리고 여흥 민씨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3년 후인 숙종 12년(1686년) 7월 6일 홍문관 부교리 이징명(李徵明·1648~1699년)이 소를 올려 외척을 경계할 것은 건의했다. 민유중과 같은 노론이었던 이징명은 장희빈 주변을 비판함과 동시에 인현왕후 집안도 함께 겨냥했다. 오죽했으면.
“외척을 경계하는 것이 억측에 가깝다 하더라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옛사람의 명백한 교훈입니다. 신은 바라건대 성상(聖上)께서 곤성(坤聖-왕비)을 면계(勉戒)하고 외척을 칙려(飭勵)하여 근신하시기를 마치 후한(後漢) 명덕 황후(明德皇后)의 외가와 같이 하신다면, 국가의 행복일 뿐만이 아니라, 우리 곤성이 혈친을 친하게 여기는[親親] 아름다운 덕이 또한 영원히 보전되어 훼손되지 않을 것입니다.”
숙종은 이징명의 간언을 “임금을 경시하고 신하를 중시하는 짓”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또한 숙종은 더 이상 민유중을 사적으로 만나지 않았다. 1689년 노론이 축출되는 기사환국이 일어나자 이징명도 남해로 유배되었다.
#이한우의 간신열전
돋보기
2024.10.03 02:56:19
난, 홍준표랑 중학교 동기동창인 찐보수다. 칠십평생 처음으로 지난 대선에 불참했다. 왜냐하면 거니가 민비처럼 나라를 말아먹을 것을 알았고, 윤통은 고종처럼 될 것을 미리 알았기 때문이다. 예측대로 지금 나라고 온통 거니때문에 시끄럽다. 지금까지 이런 대통령 와이프는 없었다. 자기 남편을 바보라고 하고, 국정에 개입한 분은 없었다. 그런데 지금 윤격노께옵선 정국의 안정과 국가의 번영보단 와이프의 호위무사 역할에 충실히다. 나라보다 백성보다 그녀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거니특검을 거부하는 것은 거니의 남편이므로 제척사유가 된다고 본다. 와이프가 나라와 백성보다 더 중요하면 하야하고 변호사나 하시든지. 아니면 거니특검은 수용해서 법대로 하게 하든지. 임기내내 이 문제로 뒷목을 잡혀 아무 것도 못할 것이다. 문재인하면 폐원전과 김정은 대변인으로 기억될 것처럼 윤석렬하면 거니의 호위무사로 5년을 허송세월 한 무능한 대통령으로 기억될 것이다. 난 검찰총장으로 주사파를 척결하기 바랬다
답글작성
12
8
오병이어
2024.10.03 06:48:30
"권불 십년, 화무십일홍이라..." 권력 하산후에가 더 요란하겠구나. 그들의 안녕을 빌 뿐이다. 바라보자니 피로할 뿐!
답글작성
6
1
anak
2024.10.03 06:28:25
修身齊家의 중요성을 알게해준 정권
답글작성
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