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을 가, 가능할 가
옳을 가(可)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입 구(口)자 옆에 정(丁)자의 모습이 있다. 가(可)자에 대한 해석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중 하나는, 농사를 짓는 곡괭이(丁)와 농사를 지을 때 입(口)으로 부르는 노래로 해석하여, 힘든 농사일에 노래를 부르면 쉽게 일을 할 수 있다고 해서, "가능(可能)하다, 긍정하다"는 의미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 가로 소리나는 경우
▶ 苛 : 매울 가, 풀 초(艹) + [옳을 가(可)]
매운 맛이 풀에서 나오니까, 풀 초(艹)가 붙는다.
- 가학(苛虐) : 가혹하게 학대함
▶ 歌 : 노래 가, 하품할 흠(欠) + [노래 가(哥)]
노래(哥)를 부르면 하품(哥)하듯이 입을 크게 벌려야하므로, 하품할 흠(欠)자가 들어간다.
- 가수(歌手) : 노래를 부르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
▶ 呵 : 웃을 가, 입 구(口) + 옳을 가(可)
입(口)으로 웃는 데에서 유래.
- 가가대소(呵:웃을 가 呵:웃을 가 大:큰 대 笑:웃을 소) : 껄껄거리며 큰소리로 웃음
▶ 柯 : 가지 가, 자루 가, 나무 목(木) + [옳을 가(可)]
- 남가일몽(南:남녘 남 柯:자루 가 一:한 일 夢:꿈 몽) : 덧없이 지나간 한 때의 헛된 부귀나 행복. 중국 당(唐)나라 때의 전기소설(傳奇小說)인 이공좌(李公佐)의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
■ 기로 소리나는 경우
▶ 奇 : 기이할 기, 큰 대(大) + [옳을 가(可)→기]
큰 대(大)자는 사람의 모습으로, 기이한 사람을 일컬음
- 기이(奇異) : 보통과는 달리 이상함
■ 아로 소리나는 경우
▶ 阿 : 언덕 아, 굽은 아, 언덕 부(阝) + [옳을 가(可)→아]
언덕 등성이 굽어 있다고 해서 굽다는 의미가 생겼다.
- 아첨(阿諂) : 남에게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며 비위를 맞춤
- 곡학아세(曲:굽을 곡 學:배울 학 阿:언덕 아 世:대 세) : 학문을 왜곡하여 세상에 아첨하여 인기를 끌고자 함.
사기(史記)의 유림전(儒林傳)에 나오는 말로,중국 한나라의 원고생(轅固生)이 공손홍(公孫弘)에게 학문의 정도(正道)는 학설을 굽혀 세상 속물에 아첨하는 게 아니라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
■ 하로 소리나는 경우
▶ 河 : 물 하, 물 수(氵) + [옳을 가(可)→하]
- 하천(河川)
- 백년하청(百:일백 백 年:해 년 河:강 이름 하 淸:맑을 청) : 중국의 황하(黃河)가 항상 흐려 백년이 지나도 맑지 않는다는 데서 나온 말로, 아무리 바라고 기다려도 실현될 가능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何 : 어찌 하, 사람 인(人) + [옳을 가(可)→하]
원래는 사람(人)이 짐(可)을 메고 있는 형상인데, 가차되어 어찌라는 의미가 생겼다. 원래의 의미인 짐을 메다라는 뜻은 연 하(荷)자로 옮아 갔다.
- 하여간(何如間) : 어찌 하였든지. 어쨌든.
▶ 荷 : 연 하, 짐 하, 풀 초(艹) + [어찌 하(何)]
연은 연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수초(水草)이다. 가차되어 짐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 하중(荷重) : 짐의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