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3153이다혜 13주차.hwp
※1주차 과제는 글번호 328번, 11주차 과제는 글번호 984번에 등록되어있습니다.
수퍼 약 판매 막아놓고 주말엔 문 닫는 약국들
조선일보
서울 송파구에 사는 이모(37·여)씨는 지난 주말 진통제를 사려고 한 시간이나 약국을 찾아 헤맸다. 집 근처 약국들은 그날따라 일제히 문을 닫았다. 이씨는 "'오늘 문을 여는 당번약국은 ○○'라는 안내를 보고 찾아갔지만, 거기도 문이 닫혀 있었다"면서 "두세 군데 더 허탕을 치다 겨우 사거리에서 문을 연 약국을 찾았다"고 말했다.
주말과 공휴일에 문을 여는 약국이 턱없이 부족해 소비자들의 불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을 연다고 해놓고 실제로는 열지 않는 약국도 적지 않았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지난달 17일부터 11일간 전국 약국의 공휴일 영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2만1000여개 약국 중 공휴일에 문을 여는 약국은 3600여개로 6개 중 1개(17%)에 불과했다"며 "이는 소비자들의 요구(3개 중 1개꼴)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중 380개 약국을 방문한 결과 대한약사회의 홈페이지에 '문을 연다'고 해놓았지만 실제로는 문을 열지 않은 약국도 12%(44개)나 됐다.
일부 약국은 약값도 제멋대로였다. 경실련은 연고·소화제·진통제·감기약 같은 가정용 상비약을 사보니, 타이레놀 10개들이 한 상자는 1400~3000원으로 최고 2.1배, 후시딘 연고 1개는 2000~4500원으로 최고 2.3배, 소화제 '속청'은 400~1000원으로 최고 2.5배 가격 차이가 났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달 26일부터 4일간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정상비약을 약국 이외 장소에서 판매하는 것에 83.2%가 찬성했다. 현재 가정상비약의 수퍼 판매를 허가하는 약사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지만, 처리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철환 기자 plomat@chosun.com
[나의 코멘트]저녁에 급히 약이 필요할 때 약국이 문을 닫아 곤란한 상황을 겪은 시민들에게 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는 기대하던 정책 중 하나가 아닐 수 없었다. 물론 약물남용 등의 문제가 있어 우려를 표하는 의약협회의 주장은 타당하지만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약을 제 때에 구할 수 있도록 의약협회 내에서 방침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日의 꼼수’ 韓위안부 피해자 개별 접촉 여성기금방식 보상안 설득
[서울신문]일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한국 측의 협의 요구에 응하는 대신 피해자를 개별적으로 접촉해 아시아여성기금 방식의 보상 방안을 설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겐바 고이치로 일본 외무상은 7일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일본 정부가 한국의 배상 청구에 응하는 대신에 만든) 아시아여성기금은 해산했지만 이후에도 사업은 할 수 있다.”면서 “외교관들이 이와 관련해서 한 명씩 얘기를 들으려고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핫토리 료이치 사회민주당 의원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1000번째 수요시위가 다가오는데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의 협의 요구에 응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아니냐.”고 질문한 데 대한 답변이었다.
일본 외교관들이 한국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언제 접촉을 시도했는지는 분명치 않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9월과 11월에 양자 협의를 제의한 뒤 일본 측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고, 아시아여성기금과 관련한 일본 측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나의 코멘트] 자신의 잘못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하고 회피하려고만 하는 것은 자기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독일은 자신들의 잘못을 직시하고 진실로 반성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도 잘 받아들여서 성숙한 정신문화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단단한 것에는 감긴다는 일본 속담과 같이 어렵거나 불리한 일을 똑바로 직시하지 못하고 회피하는 습관을 버리지 못한다면 세계인으로서의 성숙된 일본인이 될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