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의 투자설명서, 신용평가서 등을 꼭 살펴보세요!
|
■ (사례) B씨는 최근 자신의 어머니가 OO증권에서 안전한 건설사의 회사채로 추천받아 채권에 투자하였으나, 투자설명서를 읽어보니 부동산PF 관련 유동화채권임을 알게 되었음 |
□ 대개 투자자들은 채권이 펀드나 파생결합증권보다 상품구조가 간단하다고 생각하여 수익률만 확인하고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투자수익률, 만기 등 채권의 기본적인 정보 외에 발행기관의 사업위험 등 원금회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꼼꼼히 확인 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령, 위 사례의 유동화채권(ABSTB*)의 경우, 개발사업의 특성, 신용보강 내용 등 위험요소가 다양하므로 투자설명서 또는 신용평가서** 등을 통해 관련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고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sset Backed Short Term Bond)
** 신용평가기관이 채권별 특성 및 위험을 평가한 리포트
채권의 구조 비교 : 일반채권 vs.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
□ 투자설명서, 신용평가서 등은 금융회사 홈페이지, 예탁결제원의 세이브로(SEIBRO)나 금감원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채권 주요 정보 확인 가능한 곳
핵심(상품) 설명서 | 채권 정보 | 투자설명서 | 신용평가서 |
| 예탁결제원 SEIBRO (http://seibro.or.kr) (메뉴) 채권 → 종목상세내역 | 금감원(DART) (dart.fss.or.kr) (메뉴) 공시서류검색 → 공시통합검색 | 금감원 (www.fss.or.kr) (메뉴) 업무자료→ 금융투자 → 신용평가공시 |
금융회사 홈페이지 또는 직원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