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용 프로젝터 인기 상승 -
- 단초점렌즈 프로젝터 중심으로 수요 증가 추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프로젝터, HS Code: 85286910
□ 선정 사유
ㅇ 프로젝터는 이전에 가정용보다 사무용 혹은 교육용 제품이라는 인식이 강한 제품이었음. 최근 광원기술의 발전으로 여러 브랜드들이 가정용 프로젝터시장에서 경쟁함에 따라, 가격은 하락하는 반면 성능은 높아지면서 새로운 소비자들이 지속 진입하고 있음.
□중국 프로젝터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7년 중국 프로젝터 총출하량이 316만 대를 돌파했으며 전년대비 25.8% 성장함.
- 중국 프로젝터시장은 2015년 최저를 기록한 후 지속 성장하고 있음.
- 2022년 중국 프로젝터시장의 출하량은 600만 대를 넘을 것이며 전체적인 성장률은 17%에 달할 전망임.
2017~2022년 중국 프로젝터 출하량 및 성장률 추이
자료원: IDC中国
ㅇ 2017년 가정용 프로젝터시장의 관심도가 가장 높음
- 현재 중국은 가정용 프로젝터의 관심도가 가장 높으며 비율이 41.36%에 달함.
- 영화관용 프로젝터와 소형 프로젝터의 관심도가 각각 10.67%, 22.97%에 달함.
- 가정용 프로젝터의 새로운 광원기술이 개발되면서 일반 소비자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고 있음.
2017 중국 프로젝터시장 용도별 구매율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ㅇ 단초점렌즈 프로젝터(투사거리가 짧은 프로젝터) 중심으로 수요 증가 추세
- 프로젝터 투사거리가 점점 짧아지는 추세이며 1m 내에서 큰 화면을 투사하는 실용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관심도가 50.44%에 달함.
- 단초점렌즈에는 일반 단초점 및 반사식 특수 단초점이 있으며 반사식 특수 단초점의 발전속도가 매우 빠름.
- 교육 혹은 가정용 어느 방면에서나 단초점렌즈가 주는 편리함을 점차 중시하는 상황임.
- 인터렉티브 및 스마트 프로젝터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했으며 3D 프로젝터 관심도는 대폭 하락함.
- 교육업계에서 인터렉티브 프로젝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2017년 중국 프로젝터 제품 특성별 소비자 구매율
자료원: 중관촌 온라인(中关村在线)
ㅇ 4K 제품 빠르게 발전
- 4K란 HD화질의 4배에 달하는 초고화질 해상도를 뜻함. 소비자들의 화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4K 프로젝터에 대한 관심도가 32.06%에 달함.
- 최근 1년 4K 프로젝터에 대한 발전속도가 굉장히 빨랐으며 4K 제품이 지속 출시되고 있음.
-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은 4K 화질로 중계를 볼 수 있는 첫 대회였음.
- 전 세계의 4K 채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4K 프로젝터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임.
- 최근 1만 위안 이하의 4K 제품이 출시되면서 8000위안에 가정용 4K 프로젝터를 구매할 수 있게 됨. 2018년은 4K프로젝터시장의 황금기가 될 것임.
2017 중국 프로젝터시장 해상도별 소비자 구매율
자료원: 중관촌 온라인(中关村在线)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5개국 수입동향
중국 프로젝터 국가별 수입 현황(HS Code 852869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2017 | 증감률 |
- | 총계 | 39,423 | 80,534 | 79,591 | -1.2 |
1 | 필리핀 | 1,375 | 17,138 | 23,658 | 38.1 |
2 | 일본 | 9,603 | 7,382 | 19,405 | 162.9 |
3 | 캐나다 | 9,756 | 8,674 | 5,967 | -15.4 |
4 | 벨기에 | 2,986 | 2,173 | 3,315 | 221.9 |
5 | 독일 | 2,492 | 5,291 | 6,996 | 12.8 |
자료원: KITA
□ 대한국 수입액 추이
중국 프로젝터 대한국 수입 현황(HS Code 85286910 기준)
(단위: 천 달러, %)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금액 | 8,476 | 2,650 | 1,005 | 300 | 590 | 577 |
증감률 | 9,166.6 | -68.7 | -62.1 | -70.1 | 96.4 | -2.3 |
□ 경쟁동향 및 주요 기업
ㅇ 2017년 중국 프로젝터시장의 5대 설비업체는 EPSON(爱普生), BenQ(明基), XGMI(极米), SONY(索尼), NEC 등임.
- EPSON, SONY, NEC는 교육, 가정용, 사무용 등 세분화된 영역에서 지명도가 높았음.
- BenQ은 사무용에서 높았음.
- 유일한 인터넷 브랜드 XGMI는 가정용에서 두각을 드러냈고 협력을 통해 상업용 영역에 진출하고 있음.
2017 중국 프로젝터시장 브랜드 TOP 5
(단위: 천 대, %)
브랜드 | 2016
| 2017
| 성장률 |
출하량 | 점유율 | 출하량 | 점유율 |
EPSON | 445 | 17.7 | 501 | 15.8 | 12.6 |
BenQ | 305 | 12.1 | 303 | 9.6 | -0.6 |
XGMI | 218 | 8.7 | 263 | 8.3 | 20.7 |
SONY | 226 | 9.0 | 213 | 6.7 | 5.5 |
NEC | 176 | 7.0 | 206 | 6.5 | 17.1 |
기타 | 1,145 | 45.5 | 1,678 | 53.1 | 46.5 |
합계 | 2,515 | 100.0 | 3,164 | 100.0 | - |
자료원: IDC中国
ㅇ 많은 신규 브랜드들이 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 XGIMI는 자사의 레이저 프로젝터인 A1과 A1Pro를 출시했으며 아동용 및 사무용 등 여러 상품을 출시함으로써, 적극적인 시장 행보를 보이고 있음.
- 샤오슈야이(小帅)는 1080P의 고화질 레이저 프로젝터를 출시함.
- 리광(理光)은 교육용 프로젝터시장에 진출했으며, 아오투마(奥图码) 또한 최근 4K 프로젝터를 출시함.
ㅇ 3000위안 기준으로 수요층이 양분돼 있으며, 특히 3000위안 이상 제품은 가격대별 수요층이 골고루 분포
2017 중국 프로젝터시장 가격별 소비자 관심도
자료원: 징둥샹청(京东商城)
□ 관세율
ㅇ 프로젝터(HS 85286910)
- 중국 대한국 수입세율: 21.6%(한중 FTA)
한중 FTA 양허표(단위: %)
연도 | 세율 |
MFN | 30 |
2015 | 27.9 |
2016 | 25.8 |
2017 | 23.7 |
2018 | 21.6 |
2019 | 19.5 |
- 양허유형 PR-35(관세는 한중 FTA 발효일부터 5년간 기준 세율의 35%를 매년 같은 비율로 삭감됨. 2019년 1월 1일부터 기준세율의 65% 유지)
□ 수입 인증
ㅇ 해당 제품의 대중국 수출 시 중국에서 CCC인증을 받아야 함.
ㅇ 중국 품질인증센터 CCC인증 신청서류 목록
1) 인증신청서(신청기업의 직인 및 신청인(연락담당자) 필요)
2) 신청인, 제조업체와 생산공장의 영업허가증, 조직기구 증서
3) 대리권한부여통지(대리회사를 통해서 인증절차를 진행할 때)
4) 상표등록증명(상표가 있을 경우) 혹은 상표사용위임장(상표를 신청기업이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5) 공장점검조사표(최초 신청, 또는 기업이 추가로 상품 인증 신청 시) 혹은 최근의 유효한 ‘공장검사보고’
6) 라벨
7) 설명서
8) 부품리스트(word 형식)
9) 부품인증서
10) 비금속재료 정보
11) 모델별 차이점 설명(여러 종류 모델을 동시에 신청한 경우 작성 필요)
12) 기계샘플 사진
13) 전기회로도(혹은 원리도)
14) 조립도
15) 접지단자 부식방식 설명(부품과의 대응관계를 명시해야 함. 특히 비금속재료 부분)
□ 시사점
ㅇ 고성능 프로젝터가 보편화될 것임.
- 광원 기술의 발달로 레이저 프로젝터의 가격이 점차 인하되고 있는데 반해, 해상도 기술은 발전하고 있어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대형 TV를 대체할 수 있는 레이저 프로젝터를 선호하게 될 것임.
- 레이저 프로젝터와 함께 초단초점렌즈와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프로젝터 또한 보편화될 것임.
ㅇ 기존 주요 브랜드의 우세는 여전할 것이나 신규 브랜드의 시장진출에 따라 경쟁이 가열될 전망임.
- 기존의 프로젝터 시장구조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며 EPSON, BenQ, SONY 등이 우세를 점할 것임.
- 레이저 및 LED 프로젝터 등으로 인해 새로 형성된 가정용 프로젝터 시장에서 새로운 브랜드들이 지난 2년간 경쟁해 왔고, 현재 경쟁이 가열되며 가격을 낮추고 있는 상황임.
- 규모면에서 새로운 가정용 프로젝터 시장의 성장속도는 비교적 빠르며, 후발 브랜드들이 일정한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ㅇ 향후 3, 4년은 기존의 프로젝터가 스마트 기술과 만나 새로운 기능의 프로젝터 시대로 나아가는 전환기가 될 것임.
- 小米(샤오미), XGIMI, OPTOMA 등 많은 프로젝터업체들이 인공지능(AI) 및 음성인식 등의 스마트 기술이 탑재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음.
- 관련 기업은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가격 인하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함.
ㅇ EPSON 중국 총경리 하카이시아키히로는 소비 고급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과거의 가격, 사양 등을 비교한 단순 표시단말기 제품이 아닌, 다원화된 솔루션을 통해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주는 제품이 필요하다고 함.
자료원: 중관촌온라인, 징둥샹청, IDC中国, KITA,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