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Mounted_Inf_Russian_Mounted_Rifles \n\nOrganised and equipped as light infantry with muskets and horses as mounts, these riflemen see themselves as an elite force. Chosen for initiative and intelligence, they fight without close supervision from their officers. Their uniforms set them apart in an age when soldiers dress like peacocks: they deliberately blend into the landscape, firing on the enemy from the safety of the undergrowth. If these men are forced into close combat they will suffer heavy losses, but their ability to fire both mounted and on foot makes up for this shortcoming.\n\nHistorically, the most famous riflemen, the British Greenjackets, carried infantry rifles designed by Ezekiel Baker. This muzzle-loading flintlock fired a small ball from a tightly rifled barrel to give superb accuracy, with accounts of riflemen holding targets for each other at more than a hundred paces! It was a slow business to load the piece properly and could take a minute or more to do properly, but the resulting shot was deadly over astonishing ranges. Baker even carefully supplied a long “sword bayonet” so that the overall length of his rifle plus bayonet matched that of a line infantryman’s bayonet-tipped musket.
\n\n탈 것으로 말과 머스켓총으로 무장한 경보병으로써 조직된 이 총병들은 자신들을 우수한 군대로 여깁니다. 독창성과 똑똑함으로 선택된 그들은 장교들의 관리 감독없이도 싸웁니다. 그들의 제복은 병사들이 공작새처럼 입는 때랑은 다릅니다: 그들은 신속하게 주변환경에 녹아들어 안전한 관목지대에서 적에게 사격을 가합니다. 그들이 근접전을 하게된다면 끔찍한 피해를 겪게 될것입니다만, 말을 타면서 동시에 지면에서도 쏠수 있는 그들의 능력이 이 단점을 보완해 줍니다.\n\n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라이플맨들인 영국의 그린재킷은 에제키엘 베이커가 설계한 보병 라이플을 소지했습니다. 이 포구장전식 화승총은 백보이상의 거리에서 각자의 목표를 겨누는 라이플맨의 기술과 함께 뛰어난 정확도를 얻기 위해 정밀하게 강선을 넣은 총신으로부터 작은 구슬을 발사했습니다! 적절하게 장전하는 것은 느림의 미학이었고 일분 이상도 걸렸습니다만, 그 결과는 엄청난 거리를 뛰어넘어 치명적이었습니다. 베이커는 심지어 긴 "총검"을 공급해서 검을 포함한 전체 총 길이는 끝에 총검을 단 전열보병의 머스켓총과 맞먹었습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Mounted_Inf_Spanish_Mounted_Cazadores \n\nThese men harass the enemy and, if possible, pick off important men in the enemy ranks. Unlike their comrades in the line and light infantry, they are mounted and can fight on foot if needed. They form up in a loose skirmish line, firing independently at their self-designated targets. The result is a constant barrage rather than a devastating volley, but a deadly one as officers and sergeants are removed from the fight.\n\nHistorically, Cazadores were trained to defend the border between Spain and Portugal, an area of much activity before and during the Peninsular War. In 1800, Napoleon and his Spanish ally, Manuel de Gordoy, demanded that Portugal ally with France. This was something that Portugal, a long-standing ally of the British, refused to do. In 1801 French and Spanish troops under Gordoy took the Portuguese town of Olivenza. Once the fighting was over, Gordoy picked oranges from a nearby grove and sent them back to the Queen to inform her of his victory, giving the affair the title of “The War of the Oranges”.
\n\n이 사람들은 적을 괴롭히고 가능하면, 적군의 중요인물들만 골라 쐈습니다. 대열속의 동료들과 경보병들과는 달리 필요하면 말을 타면서 그리고 땅에 서서도 싸울 수 있습니다. 그들은 듬성듬성한 소규모 대형을 이루어 스스로 지정한 목표에 독자적으로 사격을 가했습니다. 그 결과는 무시무시한 일제사격이라기보단 지속적인 일제 엄호사격이었습니다. 그러나 장교들과 부사관들같은 핵심요인은 전투에서 제거되었습니다.\n\n역사적으로, 카자도레스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이의 국경을 지키도록 훈련되었습니다. 그 지역은 반도전쟁 이전과 전쟁중에 많은 행위가 있던 지역입니다. 1800년에 나폴레옹과 동맹관계인 스페인의 Manuel de Gordoy는 포르투갈이 프랑스와 동맹을 맺도록 요구했습니다. 이것은 오랫동안 영국의 동맹이었던 포르투갈이 거절할만한 것이었습니다. 1801년에 프랑스와 Gordoy 휘하의 스페인군은 올리벤사라는 포르투갈 마을을 점령했습니다. 전투가 끝나자 마자 Gordoy는 근처 농장에서 오렌지를 따서 그의 승리를 여왕에게 알리기 위해 보냈고 그 일로 "오렌지 전쟁"이란 명패가 붙었습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Small_French_Corvette \n\nTheir size makes them ideal as a “skirmisher” against sloops and brigs, as they have the speed to keep up and the cannon range to do damage. They will not last long, however, against a larger vessel such as a ship-of-the-line: one broadside at close range from a rated ship would likely dash any corvette to pieces.\n\nCorvettes were a two-masted, French design for a ship very similar to a sloop-of-war; slightly smaller than a frigate with only a single gun deck. Like many French vessels, they were well thought out and beautifully constructed, with good sea-handling characteristics. Corvettes were ideal for the inshore waters along the English Channel where good sailing qualities were required. Other nations counted themselves fortunate if they took a French-built corvette as a prize. The term “corvette” was revived by many navies a century later for smaller warships. Indeed, a large number of modern navies use "corvette captain" (Korvettenkapit?n, for example, in the Deutsche Marine) as a rank title, one step-up from lieutenant, indicating an officer suitable for an independent command.
\n\n그들의 크기는 슬루프 범선과 브릭 범선에 맞서 "소규모 접전"을 벌이기에 이상적입니다. 왜냐하면, 따라잡기에 충분한 속도와 피해를 주는 대포의 범위도 충분하게 갖췄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전함과 같은 더 큰 함정에 맞서서는 오래 버티질 못합니다: 급이 높은 배에 근접거리로 다가가면 배 한쪽화력만으로도 콜베트를 산산조각낼 것입니다.\n\n콜베트함은 돛이 두개 달린 프랑스식 설계로 슬루프형 포함과 아주 유사합니다; 포 갑판이 한 개인 프리깃보다 약간 더 작습니다. 다른 많은 프랑스 배들처럼, 구상이 잘되었고 아름답게 건조되었으며 동시에 좋은 항해성능도 가졌습니다. 콜베트는 좋은 항해 품질이 요구되는 영국해협의 연안 바다에 이상적이었습니다. 다른 나라들은 프랑스가 건조한 콜베트를 노획하면 운이 좋은 것으로 여겼습니다. "콜베트"라는 용어는 많은 해군에 의해 1세기 후에는 더 작은 군함을 위한 용어로 다시 살아났습니다. 실제 많은 현대의 해군 계급으로 "콜베트 캡틴"을 사용합니다.(예를들면, 독일 해군의 "콜벳텐 카피텐") 그것은 중위보다 한단계 윗계급으로 독자적인 명령을 내리기에 적합한 장교를 가리킵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Special_Rocket_Ship \n\nThe ship is entirely given over to the business of launch ramps and rocket stands. Given that rockets are horribly inaccurate, the most effective way of using them is to fire a great many at a single target all at once. Such a peppering with rockets, some of which may still be burning, can cause a target to catch fire or even explode. There is also a risk of explosion aboard the rocket ship and, because of this inherent danger, most navies see little point in using good quality hulls to mount rockets. There is little need to reinforce the fabric of the ship, because the rockets do not create much recoil, but rigging chains (not ropes) and wetted sails are standard to reduce the risk of fire.\n\nMilitary rockets in Europe were the result of some very nasty surprises suffered by European troops in India, where rockets had long been used in warfare. In Britain, Congreve’s rockets were direct copies of Indian weapons although this made them no less fearsome. Rockets were made with all kinds of warheads from simple spears to explosive shells; proposals were even put forward for a variety of war gasses and chemicals, although these were rejected as barbarous and un-Christian by every government. On ships, explosive heads were preferred, as these did the most damage to wooden targets.
\n\n배는 완전히 발사대와 로켓 스탠드 시장에 넘겨졌습니다. 로켓의 정확도가 끔찍하게 떨어지면서 가장 효과적인 사용방법은 단 하나의 목표에 동시 다발적으로 쏘는 것입니다. 로켓으로 그렇게 뿌리면 몇몇은 아직 발사 점화중인데도 목표물에 불이 붙거나 심지어 폭발시킬 수도 있습니다. 로켓을 탑재한 배는 폭발의 위험성도 있고 이 내재된 위험때문에, 대부분의 해군은 로켓을 싣기위해 품질이 좋은 선체를 사용하는 것에 좋은 점수를 주지 않습니다. 배의 뼈대를 강화시킬 필요가 별로 없는데 이유는, 로켓이 그다지 많은 반동을 일으키지 않고 삭구의 체인(로프 아님)과 젖은 돛이 화재의 위험을 줄이는데 기본이기 때문입니다.\n\n유럽의 군사용 로켓은 인도에서 유럽군대가 당한 아주 끔찍한 충격의 소산물이었습니다. 인도에서는 로켓이 아주 오랫동안 전쟁에 사용되었습니다. 영국의 콘그리브 로켓은 인도 무기의 복제판으로써 그에 못지 않은 두려움을 자아냈습니다. 로켓은 단순한 창에서 폭발탄까지의 모든 종류의 탄두로 만들어졌습니다; 심지어 전쟁가스와 화학성분까지 제안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정부는 야만적이고 무자비하다고 반발했습니다. 배에 대해서 폭발탄두가 선호되었는데 목재 목표물에 가장 큰 피해를 끼쳤기 때문입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Steam_Ship_38 \n\nBy fitting a steam engine and all its machinery into an existing hull, naval architects created a small ship-of-the-line not entirely tied to the wind and tide. The results are moderately successful, as a steamship can sail independently of the wind, but still spend a good deal of time under sail to save fuel. Tactically, however, the steamship has another advantage: manoeuvrability. The 38 guns aboard can be brought to bear with ease.\n\nHistorically, steam shipbuilding owes a great debt to the British engineer Isambard Kingdom Brunel, a man who built ships, bridges and railways. His first ship, the SS Great Western, made 74 Atlantic crossings during its life. Not content with this, Brunel designed and built an iron, screw-driven “liner”, the SS Great Britain. The first screw-driven ship to cross the Atlantic, she is now splendidly restored and preserved at Bristol Docks in England.
\n\n현존하는 선체에 증기 기관과 모든 기계장치를 붙임으로써 해군 기술자들은 바람과 파도에 완전히 얽매이지 않는 작은 전열함을 창조했습니다. 그 결과는 아주 성공적입니다. 왜냐하면, 증기선은 바람에 독립적으로 항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항해중 많은 시간을 연료 절약에 쏟습니다. 그렇지만, 전술적으로 또다른 잇점이 있습니다: 기동성입니다. 탑재된 38개의 포를 어렵지 않게 지닐 수 있습니다.\n\n역사적으로, 증기선 제작은 배와 다리와 철도를 만들었던 영국의 공학자인 아이삼바드 킹덤 브루넬 덕택이었습니다. 그의 첫번째 배인 SS 그레이트 웨스턴은 배가 수명을 다할때까지 74번의 대서양 횡단을 달성했습니다. 이것에 만족하지 않고 브루넬은 철재질의 스크류 구동 방식의 "여객선"인 SS 그레이트 브리튼을 설계하고 만들었습니다. 대서양을 횡단한 최초의 스크류 구동방식의 배는 현재 놀랍게 재현되어 영국의 브리스톨 항구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Steam_Ship_80 \n\nBy having a good weight of broadside that can be brought to bear regardless of wind conditions, this 80-gun ship is a significant force in any fleet. The ability to sail directly into the wind is something that no sail-powered vessel can ever match.\n\nThe idea of going into battle with a fire raging in his ship’s belly was not one that appeals to every captain. Fire was always a risk aboard a wooden vessel, and boiler explosions were not unknown.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coaling stations: while these ships carried sails, they did need regular supplies of coal. Steam was a tactical advantage, not a strategic one.\n\nHistorically, the first British ship to be designed and built from scratch to use steam was HMS Agamemnon, laid down in 1852; previous steam warships were conversions from sailing ships-of-the-line. Agamemnon was fitted with sails and carried 91 guns. She also had a short career as the Navy’s pride and joy, as she was paid off in 1862. She did, however, help lay the first Transatlantic telegraph cable in 1857-8.
\n\n바람의 상태에 관계없이 실을 수 있는 훌륭한 현측 무게를 지님으로써, 이 80개의 포함은 어떤 함대에서도 눈에 띄는 전력입니다. 바람속으로 곧바로 항해할 수 있는 능력은 돛달린 배중 어느 것도 흉내낼 수 없는 것입니다.\n\n배안에 맹렬한 불을 안고 전투에 뛰어드는 개념은 모든 함장에게 호소력이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불은 목재함에 실었을땐 언제나 위험적이었고 보일러 폭발도 비밀은 아니었습니다. 석탄 창고의 문제도 있었습니다: 이 배들이 항해를 할때 정기적인 석탄 공급을 필요로 했습니다. 증기는 전술적인 잇점이었지 전략적인 것은 아니었습니다.\n\n역사적으로, 처음부터 증기를 사용토록 설계되고 만들어진 최초의 영국 배는 1852년에 진수된 HMS 아가멤논이었습니다. 이전의 증기군함은 돛을 단 전열함으로부터의 전환기종이었습니다. 아가멤논은 항해에 적합했고 91개의 포를 실었습니다. 그 배는 1862년에 값을 치른 후 해군의 자존심과 즐거움의 짧은 경력을 누렸습니다. 그렇지만 1857-8년에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전보 케이블을 놓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Steam_Ship_British_Ironclad \n\nAn ironclad is an incredibly tough ship, able to withstand pounding by almost any comparable vessel. A thick outer skin of iron is riveted to a conventional wooden hull, and the two layers can defeat most solid shot except at very close range. Combined with a steamship’s ability to ignore the wind and go where the captain wills, this makes an ironclad a formidable opponent. This power is not without risk, though, as a boiler explosion will rip out the heart of any steamship.\n\nHistorically, ironclads first saw action during the American Civil War (1861-65). During the Battle of Hampton Road CSS Virginia made short work of the wooden ships in the river, but an encounter next day with USS Monitor ended inconclusively, as neither ship could knock out the other. These vessels were not, however, the first ironclad warships; they were heavy river gunboats or monitors, and almost incapable of going to sea. The first ocean-going ironclad warships were HMS Warrior and the French Navy’s La Gloire, launched during yet another arms race between Britain and France. Warrior was launched specifically to steal French thunder and make their ship obsolete, being commissioned and built while the French vessel was still on the slipway.
\n\n철장갑선은 놀라울 정도로 튼튼합니다. 비교할만한 거의 모든 함정에 의한 공격을 견딜 수 있는 배입니다. 두꺼운 외부 철판을 보통의 목재 선체에 못질했고 두겹판은 아주 근접거리 말고는 대부분의 강철탄을 막아낼 수 있습니다. 바람을 무시하고 선장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는 증기선의 능력과 합해져서 철갑선은 무시무시한 상대가 됩니다. 이것은 보일러의 폭발이 증기선의 배를 갈라버리면서 위험성없는 배가 아닌 것이 됩니다.\n\n역사적으로, 철장갑선은 미국 남북전쟁(1861-65)중에 처음 선보였습니다. 햄프턴 로드 전투중에 CSS 버지니아는 강에서 목선들과 짧게 전적을 올렸으나 다음날 USS 모니터와 붙어서는 끝을 내지 못했습니다. 어느 배도 서로를 쓰러뜨릴 수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함정들은 최초의 철갑군함은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육중한 하천의 포함이거나 감시선이었고 바다에 나갈 능력이 없었습니다. 최초의 해상 철갑군함은 영국과 프랑스간의 무기 경쟁중에 진수된 HMS 워리어와 프랑스 해군의 드 글롸흐(영광)였습니다. 워리어는 프랑스를 앞지르기 위해 특별히 진수되었고 프랑스의 배를 구식이 되게 했으며 프랑스의 배가 아직 조선대에 놓여있을 때 취역되었고 건조되었습니다.
unit_description_texts_long_description_text_Steam_Ship_Frigate \n\nCarrying powerful 32-pounder cannon, this frigate is a valuable asset to any admiral. At close range, her guns fire a powerful broadside, but this does not make her invulnerable. No frigate has a hull that can withstand a broadside from a ship-of-the-line, and in this case the paddle wheels are vulnerable too. While a paddle-wheel powered frigate is not entirely at the mercy of the wind, it is not possible to carry enough fuel to cruise over long distances; steam is a tactical advantage, not a strategic one.\n\nPaddle wheels were a logical reversal of the idea of a waterwheel, simply reversing the idea of the water flowing past the wheel and providing energy. They were originally used in river-going craft, and it was not until 1819 that the first seafaring paddle-wheel ship, SS Savannah, made the first steam-powered crossing of the Atlantic, from Savannah, Georgia, to Liverpool in England. Savannah did run out of fuel off Ireland, but eventually made landfall and then, after refitting, pressed on to St. Petersburg in Russia, where the Tsar's government was so impressed that it made a cash offer for the ship. The valuation wasn’t good enough.
\n\n32파운더 대포를 가진 이 프리깃 함은 어떤 제독에게도 귀중한 자산이었습니다. 근접거리에서 대포들이 강력한 현측사격을 가하지만 그렇다고 안전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어떤 프리깃함의 선체도 동급배의 현측 사격을 견딜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외륜이 취약합니다. 외륜으로 움직이는 프리깃함은 바람의 자비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지만 먼 거리를 순항하는데 필요한 연료를 가지고 다닐 수 없습니다; 증기는 전술적 잇점이지 전략적인 것은 아닙니다.\n\n외륜은 수차의 논리적 역발상입니다. 단순히 물이 바퀴를 지나 흐르는 개념을 뒤집어서 동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원래 강을 타는 선박에서 사용되었고 1819년이 되서야 바다에 다니는 외륜선인 SS 사바나가 조지아주 사바나에서 영국의 리버풀까지 대서양을 건넌 최초의 증기선이 되었습니다. 사바나는 아일랜드를 떠나 연료가 떨어졌지만 결국엔 육지를 발견하고 수리한 후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계속 나아갔습니다. 그곳의 짜르 정부는 강한 인상을 받아 그 배에 후원을 했습니다. 그 평가는 그리 좋진 않았습니다.
첫댓글 오오 오랫만에 고생하셨습니다.=ㅇ=
ㅋㅋ 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