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매일 새로운 외래어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외래어의 트렌드와 한국어와의 공생관계를 알아봅니다.
Can the Korean language survive the invasion of English loanwords?
한국어는 영어 외래어의 침략으로 부터 살아남을 수 있을까?
From simple words like “waiting” and “keeping” to “gaslighting” and “jump defection,” the invasion of English loanwords shows no sign of stopping soon
“웨이팅”, “키핑” 같은 단순한 용어부터 “개스라이팅”, “점프디펙션” 까지 영어 외래어의 침략은 곧 중단될 기미가 보이지 않음
By Yim Hyun-su 임현수 기자
Published : Feb 1, 2022 - 16:01 Updated : Feb 1, 2022 - 17:35
Korea Herald
When a North Korean defector fled back to the North after jumping over the heavily fortified inter-Korean border fence in January, many headlines described the incident as a “jump defection.”
1월에 북한의 망명자가 남북한 간의 견고한 장벽을 뛰어넘어갔을 때 많은 헤드라인이 이 사건을 “점프디펙션”으로 묘사했다.
Though a similar incident has occurred in the past, the use of the term became widespread in the media only this month, according to Google Trends. “Gaslighting,” loosely defined as the act of making someone question their reality by manipulating facts, also skyrocketed in usage early last year, the Google website showed, as the phrase began to enjoy media exposure in Korea, in the context of dating in particular.
비슷한 일이 과거에도 일어났었지만 구글 트렌드에 의하면 이번 달에 이런 용어의 사용이 확산되었다. 사실을 조작하여 자신의 실체를 의심하게 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는 “개스라이팅”은 특히 작년 초에 한국의 데이트 프로그램에서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구글에서 보여주듯이 사용이 급증했다.
The English word “waiting” has been used in South Korea’s service sector for years,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Korean verb “gidarida” which means “to wait.” And in recent years, the use of “keeping” has been on the rise, referring to the act of shops holding an item for customers.
영어단어 “웨이팅”은 기다리는 것을 의미하는 “기다리다”라는 우리말이 있지만 수년간 우리나라 서비스분야에서 사용되어왔다. 최근에는 고객에게 상품을 팔지 않고 보관하고 있는 “키핑”이라는 단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The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trend, bringing in a cluster of new loanwords related to COVID, said researcher Park Joo-hwa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 institution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팬데믹은 코비드에 관련된 새로운 외래어들을 가져오는 트렌드를 가속했다고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국어원의 박주하 연구원이 말했다.
“COVID-related jargon is becoming more mainstream -- terminologies that most people wouldn’t normally use are being more commonly used in the context of social distancing and testing,” Park said.
“코비드에 관련된 용어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 대부분이 통상 사용하지 않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검사에 관련된 용어들이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박연구원은 말했다.
The institute regularly issues a list of Korean alternatives to replace foreign loanwords as part of it campaign to encourage using more Korean words. One recent list includes terms such as “pandemic,” “epidemic,” “drive-through,” “travel bubble” and “long COVID” as examples.
국어연구원은 한국어를 더 많이 사용하게 하는 캠패인으로 외국에서 차용한 단어를 한국어로 대체하는 용어 리스트를 정기적으로 발행한다. 예를 들면 “팬데믹”, “에피데믹”, “드라이브스루”, “트래블버블”, “롱 코비드” 등의 용어이다.
“’Travel bubble,’ for example, can be seen as jargon and elderly people or kids who do not speak English well might not understand what travel bubbles are when they first hear them,” she said.
“예를 들어 ’트래블 버블’은 전문용어로 영어를 할 줄모르는 노인층이나 어린이는 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So why do Koreans love using foreign loanwords, especially English ones?
그러면 왜 한국인들은 외국에서 빌려온 용어를, 특히 영어를 사용하기를 좋아할까?
“Some words make someone sound more ‘educated’ and other words less so,” said assistant professor of Korean linguistics at Korea University Jeffrey Holliday who teaches an undergraduate course on Korean sociolinguistics.
“일부 단어들은 훨씬 ‘교육받은’ 것처럼 들리고 어떤 단어는 그렇지 않다.”고 학부에서 사회언어학을 가르치는 고려대학교 국어학과 제프리 홀리데이 조교수는 말했다.
“Speakers can manipulate that, often even subconsciously, to make themselves sound smarter in one context, but perhaps more approachable or down-to-earth in another.”
“말하는 사람은 보통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현명하게 보이고 접근하기 쉽고 현실감 있게 조작할 수 있다.
In fitness, “cheating day” has caught on in recent years as personal trainers and fitness YouTubers embraced the term in reference to a day off from a strict diet or exercise regimen. President Moon Jae-in’s policy to exp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has also been dubbed “Moon Jae-in Care” -- a term used in official settings by the presidential office since the policy was unveiled in 2017. The name was inspired by Obamacare, a colloquial name for the Affordable Care Act which was signed into law by US President Barack Obama in 2010.
최근에 피트니스에서 개인 트레이너나 피트니스 유투버가 엄격한 다이어트와 운동규칙에서 벗어나서 하루를 보내는 것을 “치팅 데이”라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적인 건강보험을 확대하는 정책을 “문재인 캐어” 라고 하는데 2017년 정책을 발표한 이래 대통령비서실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용어이다. 이 명칭은 2010년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한 건강보험개혁법의 구어체 적인 이름인 오바마 캐어에서 따온 것이다.
“When we look at English loanwords in Korea, I think there are a couple of common motivations for adopting them -- sometimes it’s because they sound exotic or high class. In other cases, it could be because the English word allows the speaker to avoid some negative connotation or feeling carried by the equivalent Korean word or expression,” he added.
“한국에서 영어 외래어를 보면 일반적으로 몇 가지 사용동기가 있다. – 가끔은 발음이 이국적이고 고급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다른 이유는 영어가 한국어 단어나 표현이 가지는 느낌이나 다소 부정적인 의미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고 그는 덧붙였다.
“In yet other cases, it could be because although an equivalent Korean word or expression could exist, the English word might just be shorter, and thus perceived as more convenient by some. It could also be a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또다른 경우, 한국어의 단어나 표현이 있지만 영어가 훨씬 짧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이다. 이러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There has been pushback against the widespread use of loanwords from linguistic puritans, however, includ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One of the institute’s main jobs is to encourage the use of Korean words over foreign loanwords.
그러나 국립국어원을 포함한 언어보호자들은 외래어 사용의 확산을 막고있다. 국어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는 외래어에 대한 대체 한국어의 사용을 촉진하는 것이다.
But researcher Park explained the institute’s goal has moved on from keeping the Korean language “pure” to tackling more practical issues such as breaking language barriers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and demographics.
그러나 박연구위원은 한구어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것 보다는 세대간이나 지역 간의 언어장벽을 허무는 것과 같은 보다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목표를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At the beginning, our project to refine the Korean language was designed to remove Japanese influence following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in 1945.
“초기에 우리의 프로젝트는 1945년 일본의 지배로부터 해방된 후 한국어에서 일본의 영향을 제거하고 재정비하는 것이었다.”
“Given the historical background, many people were on board at that time,” Park said.
“그때는 역사적인 배경속에 많은 사람들이 동조했다.” 고 박위원은 말했다.
But the focus has shifted as of late as recent loanwords -- many of them from Western languages including English -- have not been introduced by coercion, the researcher explained.
그러나 최근에는 강요에 의해 소개되지않은 외래어 – 대부분이 영어를 포함한 서양언어 - 로 중심이 변경되었다고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We are aware of the view that these loanwords are just a sign of times -- so instead of ‘purifying’ the language, we are more focusing on ensuring smooth communication.”
“우리는 이런 외래어들이 시대의 산물이라고 인식하고있다. – 따라서 언어를 ‘순화’하는 대신 원활한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Park said foreign loanwords can create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generations and social groups.
박위원은 외국 외래어가 세대간 이나 사회집단 간의 의사소통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When jargon or loanwords are used in official settings or by the media, people who are unfamiliar with a particular field of work might not understand them.”
“전문용어나 외래어가 공식적으로 또는 미디어가 사용할 때 특정분야나 업무가 생소한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The cultural link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re also driving the use of English loanwords, according to Holliday.
홀리데이교수에 의하면 한국과 미국간의 문화적 관계는 영어 외래어의 사용을 촉진하고있다.
Though Korea and China have strong cultural links too, he notes that these links are more historical than contemporary, which helps explain why the majority of Chinese-origin loanwords in Korean are much older. The difference, he suspects, is that such words were brought into Korean by scholars who were educated on Chinese classics or Buddhist texts, not by the youth of the time who were trying to sound cool.
한국과 중국간의 문화적 관계 역시 강하지만 그는 양국간의 관계는 현재보다는 과거의 관계가 커서 대부분의 중국어 외래어는 훨씬 오래된 용어들이 많다는 점을 주목했다. 이러한 용어들은 그 시대의 젊은이들이 아니라 중국고전이나 불교경전을 교육받은 한국학자들이 가져온 단어들이다.
“When a new English loanword is adopted into Korean, the Korean speaker who adopted it had to get it from somewhere, which means they had to have consumed some media or had some contact with an English speaker. So you’re only going to get loanwords from a language when enough people are engaging with the language in some form.”
“새로운 영어 외래어가 한국에서 사용될 때 한국인들은 영어사용자를 만나거나 미디어를 통해서 한다. 따라서 충분한 인원이 일정한 형태로 언어를 사용할 때만 외래어를 사용한다.
While some are concerned by the foreign loanwords that are flooding in, professor Holliday said they are not “replacing” the Korean words.
일부는 외국에서 차용된 언어가 홍수를 이루고 있는 것을 염려하지만 홀리데이교수는 한국어를 “대체하는 것” 은 아니라고 말했다.
“’Waiting’ doesn‘t replace ‘gidarida’ in general but only in a restaurant or service context. Many people don’t view it that way, but they can also be viewed as enriching the language.”
“일반적으로 ’웨이팅’은 ‘기다리다’를 대체하는 것은 아니고 식당이나 서비스분야에서만 사용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보지는 않지만 이러한 용어들이 언어를 살찌운다고도 볼 수 있다.
#외래어 #웨이팅 # 웨이팅” “키핑” “개스라이팅” “점프디펙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