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너머에 있을 그리운 벗을 찾아 길을 떠났다.바람과 파도가 깎아내린 작은 섬들이 한 폭의 풍경화처럼 펼쳐져 있다. 육지에 단양팔경이 있다면 바다 건너 이곳에는 울릉팔경이 있다. 울릉도 여행의 시작이자 마지막인 도동항을 거쳐 꼭 한번은 봐야 할 한반도의 막내 섬 ‘독도’까지 이 모든 것이 감탄의 연속이다. 해질녘이면 출발하는 배의 출어 행렬인 ‘도동모범(道洞暮帆)’, 오징어잡이배의 화려한 어화인 ‘저동어화(苧洞漁火)’, 사동 하늘에 뜨는 달을 가리켜 ‘장흥망월(長興望月)’, 겨울철 달밤 남양의 설경이라 하여 ‘남양야설(南陽夜雪)’이다. 또 석양에 걸려 출렁거리는 바다와 섬들이 만들어낸 낙조의 향연이 환상적인 ‘태하낙조(台霞落照)’, 솟아나는 생명의 무한한 힘 ‘추산용수(錐山湧水)’, 절경에 취하고 단풍에 반한 나리분지의 단풍 ‘나리금수(羅里錦繡)’, 대자연의 조화로 만들어진 알봉이 불타는 단풍 ‘알봉홍엽(紅葉)’을 울릉팔경이라 한다. 네이버 지도 울릉도 지도 보기 밤이 깊어도 꺼질 줄 모르는 ‘은빛어화(漁火)’와 비단 같은 단풍 ‘홍엽(紅葉)’해질녘이면 출발하는 오징어배의 출어 행렬은 가히 장관을 이룬다. 석양을 배경으로 일자로 늘어선 배들은 출렁거리는 바다와 어우러져 쏟아지는 달빛에 온몸을 적신다. 울릉도에는 날마다 불꽃축제가 열린다. 칠흑 같은 밤바다를 환하게 밝히는 ‘은빛어화’는 밤이 깊어도 꺼질 줄 모르고, 바다와 올망졸망한 섬들이 만들어낸 낙조의 향연은 낭만적이고 환상적이다. 절경에 취하고 단풍에 반한 울릉도의 비단 같은 풍광은 지나가는 이들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동해 바다에서 불어오는 해풍의 내음이 잔잔히 스며든 나리분지의 비단 같은 단풍은 곱디고운 빛을 머금었고, 울창한 숲으로 우거진 단풍은 만산홍엽으로 덮여 마치 산 전체가 불타고 있는 모습을 연출한다. 쪽빛 하늘을 배경으로 선홍색으로 펼쳐진 알봉의 단풍 또한 일품이다. 이미지 목록 | | 1 현포전망대에서 내다보이는 공암과 뾰족하게 솟은 송곳한, 노인봉이 배경처럼 펼쳐져 있다. <서상준기자> 2 석포전망대에서 바라본 북면 해안 풍경이 가을 단풍과 함께 넋을 잃게 만든다. <울릉군청 제공> | 동해의 거센 파도와 바람이 빚어낸 추억의 섬 ‘울릉도’를 걷다만연한 가을 날씨에 바람까지 좋다. 망향봉과 행남마을 사이에 접안시설을 갖춘 도동항부터 걷기 시작했다. 도동항은 내륙의 포항항과 묵호항에서 출발한 여객선이 들어오는 울릉도의 관문인 항구이다. 이곳은 울릉도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많은 숙박시설과 음식점이 몰려 있어 여행객들의 거점이 되는 곳이다. 도동항 옆의 행남마을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향나무인 울릉도 향나무가 서 있다. 높이는 4m에 불과하지만 수명은 무려 2,000여 년이 된 향나무다. 행남마을 아래로는 마치 영화에서나 본 듯한 아름다운 해안 산책로가 조성돼 있다. 해안산책로는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꼽히는 풍경을 자랑하며 도동항에서 저동 촛대바위까지 이어진 해안 절경을 100% 즐길 수 있는 멋진 산책로로도 유명하다. 하늘과 구름, 그 푸르던 바닷물조차 붉게 물들게 하는 남서일몰전망대도 중요한 관광코스 중의 하나다. 남서일몰전망대는 사태구미 해안변에 병풍처럼 펼쳐진 단애절벽과 기암괴석 그리고 넓은 수평선을 바라보며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바람이 만들어낸 황토굴의 고장 ‘황토구미’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내려오는 전설에는 황토의 맛이 짠맛, 매운맛, 쓴맛, 단맛 등 아홉 가지 맛이 난다 하여 황토구미라고 불렸다고 한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곳은 서면 태하리 마을에서 바닷가로 나아가 우측 해안을 따라가면 누런 황토를 띤 흙들이 바위와 같이 굴을 형성하고 있다.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뜨거워지는 우리 땅 ‘독도’반만 년의 역사 우리 땅 ‘독도’. 그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뜨거워지는 것을 느낀다. 홀로 서 있는 모습이 전혀 외로워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홀로이기에 더 강인하고 굳건해 보인다. 독도는 원래 하나의 섬이었지만 오랜 침식작용으로 인해 동도와 서도 두 개의 섬으로 나뉘었다. 그 주위에는 89개의 부속 섬들이 보석처럼 또 형제처럼 빼곡하게 박혀있다. 마치 두 동생들이 형을 따르는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삼형제굴바위’와 그 바위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 ‘장군바위’, 권총바위라고도 불리는 ‘촛대바위’가 가슴 벅찬 웅장함을 뽐내고 있다. 특히 동도의 끝자락에 위치한 한반도의 모습을 닮은 ‘한반도바위’는 이미 독도 스스로가 자신을 대한민국의 땅이라고 외치는 듯했다. 독도는 ‘해양 동식물의 보고’로도 잘 알려져 있다. 바다제비, 괭이갈매기, 황조롱이, 물수리, 노랑지빠귀 등 약 60여 종의 철새들과 쇠비름, 쑥부쟁이, 박주가리, 해국, 땅채송화 등 60여 종의 야생화가 조화를 이루며 형형색색의 아름다움을 자아내고 있다. 이전 이미지 밤이 깊어도 꺼질 줄 모르는 ‘은빛어화(漁火)’ 오징어잡이 어선들이 밤바다를 온통 환한 불빛으로 수놓는다. 해질녘 오징어를 잡기 위해 출발하는 어선들의 출어 행렬은 가히 장관을 이룬다. 석양을 배경으로 길게 늘어선 오징어배들의 행렬도 가히 장관이지만, 칠흑 같은 밤바다를 환하게 밝히는 수많은 어선들의 ‘은빛어화’는 저절로 탄성을 지르게 하는 불꽃축제를 연상케 한다.<울릉군청 제공> 원본보기 1 / 6 다음 이미지 가는 길 내륙의 포항과 묵호(동해)항에서 출항하는 여객선을 타면 된다. 출항시간은 두 여객선 모두 오전 10시이며 소요시간은 3시간 정도이다. 여객선 운항시간은 (비)성수기 변동사항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에 확인은 필수다. 섬에서 섬 여행이다. 제주도 동쪽 바다에 평탄하게 자리 잡은 땅. 소가 누워있는 모양처럼 용암이 굳었다. 그래서 이름도 소섬, 일명 ‘우도(牛島)’다. 이른 아침 제주에 내리자마자 우도로 들어가기 위해 성산항을 찾아갔다. 연인과 가족이 붐비는 우도행 배에 차를 실었다. 우도까지 배로 15분. 여기저기 카메라 셔터 소리가 바닷바람에 실려 날린다. |

180만 평의 화산섬, 여의도 면적의 약 3배인 섬에 1천800여 명의 주민이 산다. 투명한 바다와 흙빛 돌의 매력은 하루 3~4천 명의 관광객을 유혹한다. 주민 중 관광업 종사자는 200명 남짓. 섬사람 대부분은 어업과 농업에 종사한다. 비옥한 땅 덕분에 마늘, 양파, 땅콩 등 농산물 수익은 수산물 소득을 앞선다. 하지만 농촌 노령화는 여기도 예외가 아니다. 주민의 50% 이상이 60세를 넘는다. 여느 시골 마을처럼 조용하고 순박한 기운이 흐른다. |
|
돌담 너머로 걸을까, 밟을까, 달릴까 
우도에 내리자마자 해안도로 드라이브를 시작했다. 나지막한 집과 소박한 돌담에 마음을 빼앗긴다. 우도 격벽돌담은 돌과 돌 사이 구멍으로 바람의 길을 내줬다. 무너질 듯 세월을 이겨낸 견고한 담의 비결이다. 우도 돌담은 집담, 산담, 밭담 등 종류가 다양하다. 돌담 너머 풍경에서 밭을 만날지, 집을 만날지, 바다를 만날지 종잡을 수 없다. 검은 돌담이 가져다주는 설렘 덕분에 우도 예찬자가 되어 버린다. 섬을 일주하는 도로는 그리 넓지 않다. 승용차 두 대가 조심조심 피해야만 지날 수 있는 좁은 길이다. 운전을 하다 순환버스를 마주치기라도 하면 비좁은 길을 빠져나가려 식은땀을 흘려야 한다. 좁은 길을 차로 달리니 옆을 지나는 자전거 여행객에게도, 걷는 여행객에게도 미안한 마음이 든다. 수학여행 온 수백 명의 학생도 관광버스로 우도를 한 바퀴 돌고는 사라져 버렸다. 우도면사무소 지역특화담당자 양경원씨는 “2~3시간 우도를 훑고 지나가지만 말고 천천히 우도를 느끼고 갔으면 좋겠습니다. 바다낚시, 스쿠버다이빙 등 즐길 거리도 많거든요”하며 아쉬움을 표시한다. 최근 닦은 올레길은 차가 많이 다니는 해안도로 대신 내륙의 소박한 돌담길을 택했다. 천천히 걸을지, 자전거 페달을 밟을지, 자동차로 달릴지는 여행자가 선택할 몫이다. |
|
영화 속 풍경 평온한 섬 이야기 
우도는 영화 <인어공주>, <시월애>, <연풍연가>와 드라마 <여름향기>, <러빙유> 등에 배경으로 출연했다. 그만큼 환상적인 풍경을 선물한다. 신생대 제4기 화산활동으로 생긴 우도는 선사시대 주거지인 동굴 집 자리 흔적을 통해 옛 역사를 짐작케 한다. 1697년 말을 키우기 위한 국유목장이 설치되면서 우리 역사에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헌종 10년 김석린 진사 일행이 정착했고 이후 입도한 주민들은 영일동, 비양동, 고수동, 주흥동, 우목동, 천진동 등 8개 마을을 만들었다. 조일리 비양동에서 만난 공순금(68세)해녀는 물질 나갈 채비가 한창이었다. “60명의 해녀가 물질을 나가지. 요즘엔 우뭇가사리, 소라를 잡아와~”라며 설명을 해준다. 해안선 곳곳에 옛 해녀들의 집회 장소이자 탈의실이 됐던 ‘불턱’의 흔적이 남았다. 해녀가 직접 하는 식당에 들어서 소라회 한 접시를 먹었다. 접시당 만원의 횟감이 간단한 요기거리로 좋다. 우도팔경을 중심으로 포인트를 잡아 도는 것도 좋지만 해안선을 따라 숨은 이야기를 찾아다니는 것도 좋다. 액운을 막기 위해 사다리꼴 또는 원꼴 모형으로 돌을 쌓은 방사탑은 하르방, 할망 2기가 마을을 지키고 있다. 섬 북쪽 전흘동 망루와 등대는 1948년 제주도 4.3사건 이후 공비의 침투 등 해안을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도 주민이 세운 것이다. 우도 서쪽에는 하얀 돌 때문에 ‘산호사해수욕장’이라 불리는 해변이 있다. 사실 산호사가 아닌 홍조류가 하얀 빛을 발산하는 것이어서 근래에는 홍조단괴해빈(紅藻團塊 海濱)이라 불린다. 섬 남동쪽에는 검은 모래로 이루어진 검멀레가 하얀 해변과는 대조적인 매력을 뽐낸다. 에메랄드빛 바다를 자랑하는 하고수동 해수욕장은 섬 북동쪽에서 관광객을 유혹한다. 우도의 바다는 환상적이라는 감탄을 절로 자아내게 한다. 섬을 떠나기 전 우도등대공원에 올랐다. 해발132m 우도봉 정상에 오르니 푸른 빛깔의 우도잔디와 하늘, 바다가 어우러져 마지막 선물을 안겨준다. 우도팔경 중 하나인 지두청사다. 제주 여행에서 우도를 들러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다. |
|

|
| 
제주 성산포항에서 우도행 도항선은 항시 대기하고 있다. 여름철에는 우도발 첫배가 오전 7시, 성산발 마지막 배가 오후 6시 30분에 있다. 차량 운송도 가능하다. 우도 내에서는 순환버스가 섬 곳곳을 돈다. 자전거나 스쿠터를 대여해 이용할 수도 있다. 
우도신라펜션민박 서빈해수욕장 인근에 있다. / 064-782-5502 
바다가있는풍경 검멀레 앞에 있다. / 064-784-8335 
등머을 콘도 비양동에 있다. / 064-784-3878 
백악관 하고수동해수욕장 인근에 있다. / 064-783-023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