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國歲時記(동국세시기) ; 우리나라 風俗
* 元 日 (원일) ; 正月 初 1 日
賀禮(하례)
議政大臣(의정대신)은 모든 관원을 거느리고 대궐에 들어가 正殿(정전) 뜰에 가서 朝賀(조하)를 올린다.
八道觀察使(팔도관찰사)兵使(병사) 水使(수사) 각주의 牧使도 箋文(전문). 方物(방물)을 바친다
歲粧(세장) ; 남녀 어린애들은 새 옷을 갈아 입는것이다.
歲拜(세배) ; 집안 어른 들을 찾아 인사를 올린다. 歲饌(세찬) ; 시절의 음식을 대접하는 것
歲酒(세주) ; 세찬을 올릴 때 같이 올린다. 설날에는 조상님에게 깨끗한 제사를 올린다.
歲銜(세함) ; 설날 주인은 모두 하례하로 나가고 다만 백지로 만든 책과 붓 비루만 책상위에 배치해 두면 하례객이 왔어 이름만 적고 간다. 이날 사당에는 제사를 지낸다(茶禮)
問安婢(문안비) ; 사돈집에서 부인들이 근친하는 뜻으로 서로 문안비를 보내여 문안 드린다.
이날의 飮食(음식)
白餠(백병) ; 밉쌀 가루로서 쩌서 만든 떡을 말한다 (흰떡)
변탕 떡국 ; 떡을 얄게 길게 돈 같이 서려서 장국에 다가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끓인 다음 고춧가루를 친 떡국을 말한다. 이런음식을 시절 음식이라 한다. 나이먹은 것을 떡국을 몇그릇 먹었느냐고 한다.
甑餠(증병) 시루떡 ; 밉쌀 가루를 시루안에 깔고 삶은 팥을 첩첩으로 피
어서 쩟는 떡을 새해 신에게 빌기도 한다 朔望(삭망)奠에 올리기도 한다
端午帖(단오첩) . 春帖子(춘첩자) ;
承政院(승정원)에서 五言(오언) 七言(칠언) 율시 절귀를 짓게하여 대궐안
에 기둥이나 문 설주에 붙이게 한다. 입춘에는 춘첩자(春帖子)로 端午에
는 端午帖(단오첩)의 예를 적용한다
門排(문배) ; 歲畵(세화) ; 圖畵署(도화서)에서 仙女(선녀). 直日 神將(직일 신
장)의 그림을 그려 밫이게 한다. 이것이 歲畵(세화)라 한다.
敬老 優待(경로 우대) ; 70세 이상분에 대하여는 쌀 술 고기 소곰등을 내리
는 거이 통례이다
조관으로서 80세 일반은 90세이면 品階(품계)를 승진시켜 준다 노인 우
대하고 존중하는 성대한 의식이다
정월 하룻날은 닭날이라 한다. 호랑이를 그리는 것은 寅月(인월) 정월이
라는 듯이다
三災(삼재) ; 생년으로부터 9년만에 삼재가 들기 때문에 이 삼재의 해당하는
3년간에는 남을 범해도 않되고 모든 일에 삼가 하는 것이 많다
生年(생년) 三災(삼재) 해
巳 酉 丑 ----------亥 子 丑
申 子 辰 ----------寅 卯 辰
亥 卯 未 ----------巳 午 未
寅 午 戌 ----------申 酉 戌
德談(덕담) ; 축하 하는 말을 덕담이라 한다 승진하세요 생남하세요 돈을
많이 버리세요등 그에게 이익이 되는 말
五行占(오행점) ;
金(금) 木(목) 水(수) 火(화) 土(토)를 새겨 장기쪽과 같이 만들어서
점괘를 얻는다. 占辭(점사) ;점괘에 낱아나는 말
夜光(야광) ; 藥王(약왕) ;
야광 이라는 귀신에 있어 설날밤 인가에 내려와 두루 아이들의 신
발을 신어 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가버린다 신을 잊어버린 아해는
不吉(불길)하다 하였다.
약왕의 형상은 매우 추하여 아해들을 놀라게 한다. 야광의 유래가
약왕의 음이 변한 것이 아닐가 한다
法鼓(법고) ;
중들이 북을 지고 시가로 들어와 그것을 치는 것을 말한다 방을
울리면서 염불을 하면 사람들이 다루어 돈을 던진다. 중의 떡을 얻
어 먹으면 마마를 곱게한다. 도성문 밖에서 재를 올린 쌀을 거두게
되고 쌀을 퍼다주면 새해에 복을 맞는 뜻이다
日月神(일월신) ;
설날을 경하 하면서 일월신 에게 절을 한다
神堂(신당) ;
산 늪 넷물 연꽃 언덕 물가 평지 나무 돌 등이 있는 곧에는 고루
신당을 세운다 그리고 설날부터 정월 보름까지 巫覡(무격)이 神靈
을 받들고 儺戱(나희)를 행한다
*三災(삼재) ; 수재 화재 풍재 또는 兵難(병난)疾疫(질역) 饑饉(기근)
立春(입춘)
春祝(춘축) ; 대궐안 에서는 春帖子(춘첩자)를 부인다 일반 민가 및 상점에서
도 春聯(춘련)을 붙이고 頌祝(송축)한다 이것을 春祝(춘축)이라 한다
입춘날 에는 봄에 합당한 문자를 써서 문에다 부친다
辟邪文(벽사문) ; 요사 스러운 귀신을 물리친다
觀象監(관상감) 게서는 朱砂(주사) 붉은 물로서 벽사문을 써서 대궐 안
으로 올린다 열두신 으로부터 흉악한 것을 쫏차내게 하고 너의 몸뚱이
를 여루고 너의 사지를 띠고 너의 쌀을 비고 너의 폐장을 도리내게 하
리라 니가 급히 가지않아 늦으면은 이들이 양식으로 만드리라 빨리 빨
리 법대로 시해하리라 하면서 악궤를 모라낼 주문을 올린다
春帖(춘첩) ; 단오에 쓸 부적은 이때에 만든다
지금 이용하는 춘첩어구는
對句語(대구어)를 쓴 글
(1) 國泰民安(국태민안)-----家給人足(가급인족)
(2) 雨順豊調(우순풍조)------時和年豊(시화연풍)
對聯句를 쓴 글
(1)壽如山(수여산) ----------富如海(부여해)
(2) 去天災(거천재) ---------來百福(내백복)
(3) 立春大吉(입춘대길) ------建陽多慶(건양다경)
(4) 父母千年壽(부모천년수)-----子孫萬代榮(자손만대영)
(5)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開門百福來(개문백복래)
(6)天下太平春(천하태평춘)---------四方無一事(사방무일사)
單句(단구) 單帖도 있다
(1) 春到門前增富貴(천도문전부귀)
(2) 春光先到吉人家 (춘광선도길인가)
辛甘草(신감초) 山芥(산개) ; 입춘에는 별채를 올린다
이른 봄 눈이 녹을 때 산녹에 자라는 개자이며 더운물에 데저 초장에 무처
서 먹는다. 순검초는 울에서 기루는 當歸(당귀)의 싹이며 깨끗하기가 은비
녀와 같다. 꿀을 발라서 먹으면 매우 좋다
五辛菜(오신채) ; 다섯가지의 매운맛이 있는 소채--부추 마늘 생강 달례 두릇 김장
파 세파등-佛家(불가) 부추 자총파 마늘 평지 두룻-道家(도가)
우리의 입맛을 도구기 위하여 쓴 음식을 먹도록 권장되어 왔든것이다
人日(인일)
정월 1 일은 닭 2일은 개 3일은 양 4일은 돼지 5일은 소 6일은 말
7일은 사람 8일은 곡식의 날이라 한다
1월 7일이 사람의 날 人日(인일)이라 한다
대궐에서는 임금게서 閣臣(각신)들에게 銅人勝(동인승) 銅鏡(동경)을 나누어
준다. 거울 뒷면에는 신선이 새겨저 있다.
수나라 유진의 아내 진씨가 人日(인일)에 동인승을 올린는 것이 유래한 것이
라 한다
人日制(인일제) ; 科擧(과거) 行事(행사)를 말한다.
太學(태학)成均館(성균관) 儒生(유생)들이 과거를 본다. 試(시) 賦(부) 表(표) 策(책) 銘(명) 頌(송) 律賦(율부)등 각 문해를 마음대로 시험한다
1등한 자에게는 賜弟(사제)도 내리며 시상한다
선비들의 시험은 人日(인일)부터 시작하여 3월 3일 7월 7일 9월 9일에 행
한다.
人日(인일)제를 모방 하였으며 節日制(절일제) 라 한다
上亥日(상해일) ‘ 上子日(상자일)
上亥日(상해일)은 돼지의 날이요 上子日(상자일)은 쥐의 날이다
궁중에서는 宦官(환관) 수백명이 땅 위로 이리 저리 내저으면서 돼지를 불살라라 쥐를 불살라라‘ 하며 도라 다녔다
亥囊(해낭) 子囊(자낭) 비단 주머니를 나누어 주었다
상자일 에는 시골에서는 콩을 뽂으면서 呪文(주문)을 “쥐 주동이 찌진다 쥐 주동이 찌진다‘ 하였다.
상해일 에는 팥 가루로 세수하면 얼굴이 희진다고 하였다
卯日(묘일) : 巳日(사일)
卯日(묘일)은 토끼 날이라 한다
이날에 새로 뽑는 실은 免絲(토사)라 한다. 이실을 차고 단니면 재앙을 뿌리친다
이날은 여자가 먼저 집에 들어오는 것을 꺼린다
巳日(사일)에는 이발을 하지 않는다 범이 집에 들어오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다
上元(상원) ; 보름날
藥飯(약반) ; 대추 밤 기름 꿀 간장등을 함게 쩌서 잣을 박은 것을 약밥이라
한다
까마귀 제사 하는 날 : 신라 소지왕 15년에 정월 보름날에 天泉亭(천천정)에
행사 하였을 때 까마귀의 도움을 받았다 하여 약밥으로 까마귀 제사를 지
냈다고 한다
禾積 ; 시골에는 보름전날 벼 기장 피 조 의 이삭을 집어 넣어 싸서 이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를 한다
處容 ; 신라 헌광왕 때 동해 용왕의 아들 이름에서 나온 말이다. 掌樂院(장악
원) 鄕樂部(향악부)에 處容舞(처용무)가 있다. 14일밤 초저녁에 짚으로 만
든 처용(사람 모양)을 만들어서 거리에 벼러두면 한해의 액운을 막도록 한
다하여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 이다.
붉은 팥으로 죽을 수어서 먹는다 ; 정월 보름날 문에 제사를 지내는데 ‘먼저
버들가지를 문에 꼽은 뒤 먼저 팥죽을 끼얹고 제사를 지낸다‘ 이것도 액을
막는 한가지 방법이다
肅淸門(숙청문) ; 서울성의 북문을 말한다.
이문은 항상 문을 닫고 이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부근의 계곡이 무척 아
름답고 그옥하여 보름전에 세차래나 왔어 논다. 이문이 액을 막아준다고
하기 때문이다.
꼭두 새벽에 鐘閣(종각) 네거리의 흙을 파다가 집 네기둥에 뿌린다. 부뚜
막을 바른다 이는 재산을 모우기를 바라는 뜻이다
固齒之方(고치지방) ; 이를 든든하게 하는 방법
날밤 호두 잣 무등 깨물면 1년 12달 동안 무사 태평하며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 齒較(치교)한다
廇聾酒(유농주) ; 귀밝이술 청주한잔을 찬 것을 마시면 귀가 뜰린다 한다
陣菜(진채) ; 묵은 나물이라 하며 무처서 먹는다. 박나물 가지 고치 시례기
등을 삶아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 한다
五穀雜穀(오곡잡곡) ; 오곡잡곡밥을 많이 지어 종일 이 밥을 먹는다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제사밥 나누어먹는 풍속이 답습한 것이다
賣暑(매서) ; 내 더위를 판다
아침 일직 이러나 사람을 보면 급히 불러 ‘내 더위 사 가라’ 한다.
어린애들이 봄을 타면 살빛이 검어지고 야위고 마른 애들에게는 100집의
밥을 얻어서 개 와 같이 먹으면 그병을 앓지 않는다 한다
보름날에 개에게는 밥을 먹이지 않는다. ‘개 보름 쉬듯 한다’
稼樹(가수) 시집 보내기 ; 과일나무의 가지친곧에 돌을 끼워 두면은 과일이 많이연다
家口某生身厄消滅(가구모생액소멸) ; 아이들이 집안식구 아무게 무슨생 몸액을 없에 버린다
하며서 연을 날리다가 해질 무럽에 그 연줄을 끊어버린다. 액을 날리기 위함이다
연 날리기 ; 서울의 청계천 근처에는 아래 위로 연 싸움을 하면서 연을 날리였다. 한가닥
생 명주실로 아이들은 돌맹이를 매고 서로 실을 교차시켜 줄이 먼저 끊어진 사람은 진다
동전 노리 새금파리 돈 노리 : 보름날에 아해들이나 어른들까지 동전노리를 즐긴다. 세금파
리로도 한다
迎月(영월) 달마지 노리 : 초저녁에 햇불을 들고 높은곳을 오르는 것을 말한다. 달빛이 붉으
면 가물고 희면 장마가 진다 한다. 달의 사방이 두터우면 풍년이 오고 엷으면 흉년이된다
踏橋(답교) ; 종각의 소리를 다 들으면 여러곧에 있는 다리를 밟고 건너며 밤새도록 놀면은
1년동안 다리에 병이 생기지 않는다 부녀자들이 나와 걸어므로 질병을 없엔다. 走百病(주
백병) 이라 한다
石戰(석전) ; ‘매년 초에 강가에 모여 노는데 물과 돌을 서로 끼앉고 먼저 밀리기를 두 세변
하면 끝인다 ‘이것이 우리나라 석전의 시초이다’ 이장난에서 상처를 입고 하여도 별다른
대책 보장도 없었다.
安宅經(아택경) ; 소경을 불러다가 보름날 전부터 안택경을 읽으며 밤을 세운다 액을 막고
복을 비는 까닭이다.
닭 우는 소리 ; 꼭두 세벽에 닭 우는 소리의 회수가 10변이상 일때는 풍년이 든다고 한다
井華水(정화수) ; 전날밤 닭이 울때를 기다려서 물을 들고 온다 제일 먼저 가지고 온집에는
그해 농사가 잘된다 한다 이것을 憦龍卵(노용란) 이라 한다
炬戰(거전) ; 횃불 싸움이 있다 충청도 지방에서 행사 하는 노리이다. 편을
갈라 서로 줄을 당기는 노리이며 끌려가지 않는 편이 이기는 편이고 풍년
이 든다한다
車戰(차전) ; 오박기 수래를 동리별로 패를 나누어 앞으로 밀고나와 서로 싸
움으로서 그해의 점을 친다
葛戰(갈전) ; 칡으로서 크게 줄을 4-50발줌 만들고 편을 짜서 서로 잡아 당
기여 승부를 결정한다 풍년을 점치는 노리이다
月內(월내)
毛蟲日(모충일) ; 시장은 오래동안 문을 닫고 문을 열때는 모충일에 연다. 상업의 변창을 바
라는 것으로 寅日(인일)에 문을 여는 것이 가장 많다
春到記科(춘도기과) ; 太學(태학) 四學(사학) 居齋(거재)
들이 날자를 잡았는데 食堂到記(식당도기)에 합당한 자들
을 모와 하나의 경을 강하고 제술은 節日製(절일제)의 예와
같이하되 1등을 한자에게는 賜弟(사제)를 내린다
愼日 ; 경주풍속으로 첫째 子日(자일)辰日(진일)午日(말날)
돼지날(亥日)에는 행동하지 않고 근신하는 날이다
16일 ; 시골 풍속에 활동하지 않고 나무로 만든 물건을 받아드리지 않아 忌日(기일)로본다
24일 ; 임진 왜란에 서울 침범을 당하여 도록 당하였으므로 흐리고 음산한 날이다
8일 ; 敗日(패일) 이라고 하며 8패의 유래가 있으며 忌日(기일)로 취급한다
5일 14일 23일 은 三敗日(삼패일) 이라 한다
첫댓글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