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고츠키(L. S. 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모의7)
①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지발달의 주된 원인으로 보았다.
② 발판 제공하기(scaffolding) 기법으로는 프롬프트, 암시, 점검표, 모델링, 피드백 제공, 인지 구조화하기, 질문하기 등이 있다.
③ 아동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과 약간의 도움을 받아 성취할 수 있는 것 간의 차이인 근접발달영역(ZPD)을 강조한다.
④ 학습은 발달에 선행하며 발달을 촉진한다.
⑤ 학교교육은 과학적 개념(scientific concepts)보다는 자발적 개념(spontaneous con- cepts)의 학습을 지향해야 한다.
*. 자발적 개념과 과학적 개념
1) 자발적 개념(사이비 개념) : 자발적 개념은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아동의 숙고로부터 일어나는 구성과정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달한다. 하지만 이것은 아동들이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일상경험을 통하여 우연적 학습과 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 숙고나 해석 내지 의미부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흠결이 있고 불완전한 것이며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자발적 개념이 보다 온전한 지식으로 되기 위해서는 과학적 개념으로 발달해야 한다. 이때에 이른바 근접발달영역이 관계된다. 비고츠키는 자발적 개념을 사이비 개념이라고 규정하고 피아제가 말하는 동화와 조절 및 평형화를 통한 메커니즘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2) 과학적 개념 : 과학적 개념은 문화적으로 합의를 이룬 공식화된 개념을 말한다. 과학적 개념은 아동들의 일상경험이나 문화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우연적, 자연적으로 형성된 불완전한 것이 아니라 교실 수업이라는 보다 구조화되고 특수화된 활동을 통해 발달된 개념으로서 아동들에게 주어진 보다 논리적이고 명료화되고 일반화 가능한 개념을 말한다. 이는 직접보거나 경험하는 대신에 단어에 의해 매개되어지기 때문에 상의하달식으로 학습되어진다.
3) 자발적 개념과 과학적 개념의 관계 : 자발적 개념과 과학적 개념은 서로 구별되지만 역시 변증법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자발적 개념은 과학적 개념의 기초가 되는 반면 후자는 전자를 바탕으로 이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자발적 개념은 과학적 개념을 통하여 점차 위로 발전해가는 반면에 과학적 개념은 자발적 개념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첫댓글 5
5
5
정답)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