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산(長安山 1,237m) 생태탐방로
1.소 재 지: 전북 장수군 장수읍 덕산리
2.개 요
전북 장수군‘방화동~덕산계곡 생태탐방로(장안산 생태탐방로)’는 덕산계곡 입구에서 방화동 자연휴양림까지 이어지는 약 4.5km 코스다. 길은 대부분 깊은 산 속 계곡 옆 숲길이다. 계곡과 숲이 어우러진 풍경이 아름답다. 그중 윗용소와 아랫용소의 풍경이 압권이다.
덕산계곡 입구에서 출발해서 방화동 자연휴양림에 도착하는 방법과, 거꾸로 방화동 자연휴양림에서 출발해서 덕산계곡 입구에 도착하는 방법이 있다.
장안산에서 가장 큰 계곡인 덕산계곡은 호남정맥 최고봉 장안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물을 담고 있는 용림저수지에서 흘러내려오는데, 해발 622m 고지에에 위치한 관계로 주변에 오염원이 전혀 없어 전북 도내 저수지 중 가장 맑은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덕산계곡은 용림저수지에서 물을 방류하지 않으면 마른 계곡이 되고 마는데, 용림저수지의 담수량이 무려 1,000만 톤에 이르러 가뭄에도 마를 걱정이 없는 계곡이라고 한다.
윗용소 암반에는 가로 세로 19줄의 바둑판이 그려져 있는데요, 조선시대 명재상이었던 장수 출신 황희 정승이 덕산계곡 윗용소에서 목욕재계하고 천지신명께 기도해 재상에 올랐다는 설화가 전해지는데. 황희는 이후 정승이 되었다가 조선 태종 때 양녕대군의 폐세자에 반대하다 고향인 장수로 귀양와 마음이 울적할 때면 이곳 용소의 푸른 물을 바라보며 바둑을 두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덕산계곡 아랫 용소에도 전설이 있는데, 아빠 용, 엄마 용, 아들 용이 덕산계곡에서 살았는데 아빠 용은 윗용소에 머물다가 승천했지만 아랫용소에 살고 있던 엄마와 아들 용은 사람들이 아랫용소 암벽에 글씨를 새기려고 나무를 베어 소를 메우는 바람에 하늘로 올라가지 못했는데, 이에 화가 난 용이 해마다 사람 한 명씩 해코지를 했는데 이를 달래려고 마을 사람들은 1년에 한 번씩 아랫 용소에서 제를 지냈다고 한다.
아랫용소는 용의 전설 외에도 한국전쟁 빨치산 얘기를 다룬 영화 '남부군'의 촬영지로도 유명한데, 한국전쟁 때 순창 회문산에서 철수한 조선노동당 전북도당 인민유격대와 덕유산에서 철수한 이현상의 남부군이 합류했는데, 이들 빨치산 500명이 무려 1년 만에 처음으로 옷을 벗고 목욕하는 장면을 덕산계곡 아랫용소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산 행 일 지
장수군 번암면 사암리 방화동가족휴가촌 주차장~오토캠핑장~산림휴양관~아래용소~윗용소~덕산주차장
1.산 행 일 시: 2018년 7월17일 (화) 맑음
2.산 행 대 원: 울산 산울림산우회
3.산 행 일 지
11:50~57 방화동가족휴가촌 주차장 하차하여 기념촬영 후 출발
11:58 휴가촌가든 입간판이 있는 곳에서 좌측 강둑길로
12:02 오토 캠핑장 마지막 부분 좌측 다리 있는 곳에서 다리를 건너서(직진하여 목책이 있는 길로 가는 게 좋음. 휴양관 입구에서 만남)
12:03 다리를 건너면 백두대간길 이정표(←마실길 바구니봉재 1.6km, ↓방화동가족휴양촌 0.1km, →용소마실길 3.0km)
12:05 생태숲체험 안내도에서 계속 아스팔트길로
12:07 화장실 및 주차장
12:10 산림문화휴양관 입구
12:13 숲속의 집 입구에서 차단기쪽으로(↑산책로 용소 2.4km, 방화폭포 500m)
12:18 산림욕장 입구(↑산책로, 여울목교, 폭포, ↓관리사무소)
12:22~13:06 물이 없는 방화폭포(인공폭포로 하루에 오전 오후 두 번만 물을 흘린다고 함) 전망데크에서 옛날통닭으로 출정식을 하고
13:12 용림교를 건너고
13:18~20 안내판이 있는 첫 번째 징검다리에서 좌측 목책길로
13:24 두번 째 징검다리
13:27 세 번째 징검다리
13:33 네 번째 징검다리
13:36 작은 목장승이 있는 지점
13:39 다섯 번째 징검다리가 있는 곳에서 목책 데크길이(데크산책로 600m)
13:42 다시 이정표가 있는 데크길(↓산림욕장 및 방화폭포 3.4km, ↑덕산관리사무소주차장 600m)에서 아래용소 계곡을 한 컷하고
13:44~48 아래용소에서 인중샷을 하고
13:52~14:51 윗용소에서 오찬과 물놀이(너럭바위에 바둑판이 선명하게 그려저 있음)
14:53~55 ↓방화동자연휴양림 3.5km, ↑덕산관리사무소 주차장 이정표
14:57 ↓윗용소 0.1km, 아랫용소 0.4km 이정표
15:06 덕산관리소주차장
(총보행시간: 3시간09분, 휴식 및 오찬: 1시간51분, 순보행시간: 1시간58분)

1144 방화동가족휴양촌 매표소

1150~57 방화동휴양촌 주차장하차

1156 소형주차장 입구로 내려서

1158 휴가촌가든 입간판에서 좌측 강둑길로

1202 오토캠핑장 끝머리에서 좌측 다리를 건너(직진하여 목책길로 가는 게 편함)

1202 휴양림으로 가는 다리

1203 다리를 건너면 이정표

1204 다리를 건너면 휴양촌 설명판

1204 생태숲체험 안내도

1207 주차장과 화장실이

1210 산림문화휴양관 입구에서 좌측 다리를 건너서

1212 문화휴양관으로 가는 다리를 지나

1213 숲속의 집 입구

1213 숲속의 집 입구 이정표

1218 산림욕장 갈림길

1222~1306 물이 없는 방화폭포

1223 방화(訪花)폭포 설명판

1223 폭포 앞의 조망 데크

1225 데크에서 출정식 준비를

1227 출정식을

1228 옛날 통닭으로

1302 출정식 후 기념촬영 후

1303 백조들도

1306 조망데크에서 물이 없는 방화폭포를

1309 골짜기 모습을

1312 용림교를 지나고

1318~20 첫 번째 징검다리의 안내도

1320 첫 번째 징검다리 모습

1320 첫 번째 징검다리에서 인증샷을

1320 다시 목책길로 가기위해서

1321 목책길을

1323~25 두 번째 징검다리를 만나고

1324 두 번째 징검다리의 이정표

1327 세 번째 징검다리의 이정표

1328 세번째 징검다리를 건너

1328 세 번째 징검다리를 건너며 인증샷

1333 네 번째 징검다리를

1334 네 번째 징검다리

1336 작은 목장승이 있는 지점을 지나고

1339 다섯 번째 징검다리

1340 데크산책로가 시작되고

1342 아랫용소 아래 데크길 이정표

1342 데크에서 아랫용소 하류를

1344~48 아랫용소를

1344 아랫용소 아래쪽에서

1346 인증샷을 하고

1347 아랫용소 설명판

1348 아랫용소를 떠나며 위 조망데크에서

1352~1451 윗 용소 전경을

1354 바위에 그려진 바둑판

1354 윗용소 설명판

1355 바둑판 바위에서 본 모습

1407 거북팀들 오찬

1408 조금 당겨서

1408 물놀이 후 망중한을

1433

1433

1434 오찬후 백팀

1434

1435 물놀이 후 잠시 휴식

1440 줌으로

1441

1442

1442

1442

1444

1450 바둑판 바위에서 본 모습

1452 목교를 건너고

1453 목교를 건너면 이정표

1454 다른 팀도

1455

1457 우측 폐쇄된 목교 전 이정표

1459 목교에서 한 컷

1500 덕산주차장으로 가는 길 모습을

1504 덕산계곡 입구 물놀이장

1506 덕사주차장에

1506 덕산주차장의 안내도

1507 덕산제(용림제) 아래

1509 주차장 모습을

1510 덕산주차장 입구의 이정표

1542 전북 장수군 장수읍 두산리 의암사 표석

1542 의암호를

1544 의암사 전경을(휘광문)

1547 의암사 좌측에 있는 충혼탑

1547 충혼탑 아래 한글학자 정인승 설명판

1548 주논개 설명판

1549 회장님 인증샷

1549 팔당도 인증샷

1551 충혼탑을 내려서면 충혼비 설명판

1551 의암사로 넘어가는 고개에 이정표가

1552 박물관에서 본 의암사

1553 주논개 비각

1554 주논개 향수명비

1554 의암사로 가는 휘광문을

1555 휘광문에서 본 의암사로 들어서는 충의문

1555 충의문에서

1556 충의문

1557 의암사에서

1558 의암사 내부 논개 영정

1558 충의문에서 내려다 본 모습

1602 충의문에서 의암사 전경을

1604 박물관 안 진주성 전투 모형도

1605

1605 진주성전투 설명

1605 박물관 논개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