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쪽은 제천시, 서쪽은 음성군, 남쪽은 괴산군,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은 경기도 여주군과 강원도 원주시와 접하고 있다. 1읍 12면 12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청 소재지는 충주시 금능동 700번지이다. 시를 상징하는 꽃은 국화, 나무는 사과나무, 새는 원앙이다.
차령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있으며, 중앙 저지와 남쪽·북쪽의 산지지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지역에 화성암과 변성암이 분포한다.
동쪽에는 지등산(地登山:535m)·적보산(積寶山:699m)이, 서쪽에는 수레의산(679m)·보련산(寶蓮山:765m)·국망산(國望山:770m)이 있다. 남쪽에는 신선봉(神仙峰:967m)·포암산(布巖山:962m)이, 북쪽에는 시루봉(734m) 등이 분포한다.
중앙을 남북으로 흐르는 남한강과 그 지류인 달천 유역에 침식분지가 발달되었고, 평야가 분포하고 있다. 남한강 본류지역에는 하안단구 지형을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1.2℃이고, 1월 평균기온 -4.1℃, 8월 평균기온 24.8℃(평년값 기준)로,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187.7mm이며, 충주댐 건설로 안개의 발생일수가 79일로 건설 전보다 72.5% 증가하였다.
두산백과의 저작권은 doopedia(두산백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 이용허락 문의하기
북마크 되었습니다.
네이버me 북마크함 가기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북마크 서비스 점검 중으로,
현재 북마크 읽기만 가능하오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_feed_info_가 마음에 드셨다면
네이버me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 + V) 해주세요.
행정지명 > 시
충청북도 충주시
삼국시대 : 국원성(國原城), 낭자곡성(狼子谷城), 국원소경(國原小京)
통일신라시대 : 중원경(中原京)
고려시대 : 충주(忠州)
조선시대 : 충주목(忠州牧)
대한제국 : 충주군(忠州郡)
1945년 : 충주군(忠州郡)
충청북도의 북동쪽에 위치한 시이다. 중원 문화권의 중심도시이다. 동쪽은 제천시, 서쪽은 음성군, 남쪽은 괴산군, 북쪽은 강원도 원주시와 경기도 여주군에 접하고 있다. 동부는 태백산맥의 여맥인 구릉지대, 남부는 소백산맥, 북부는 차령산지 등,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대체로 남고북저의 지형을 나타내며 중앙에 형성된 충주분지를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강원도에서 발원한 남한강이 단양을 거쳐 충주호에 흘러들고 있다. 속리산에서 발원한 달천이 충주시에서 북류하여 탄금대 부근에서 남한강과 합류하면서 달천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보련산에서 발원한 복성천은 앙성평야를, 수레이산에서 발원한 봉황천과 한포천은 노은평야를 이룬다. 충주 다목적댐 건설로 동량면, 살미면의 일부, 산척면의 명서동 등 총 3개 면 13개 리가 수몰되었다. 현재 1읍, 12면, 1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사지리지』에 "충주목은 고구려의 국원성으로 신라 진흥왕 때 이곳에 소경이 설치되었다. 경덕왕 때 중원경으로, 태조 13년(930)에는 충주로 개칭되었다. 성종 12년(993)에는 12목 중의 하나가 되었다. 성종 14년에는 충주에 절도사를 두고 창화군이라 하였다. 창화군은 중원도에 속했다. 현종 3년(1012)에 절도사를 폐지하고 안무사를 두었다. 현종 9년에 8목 중 하나가 되고, 고종 41년(1254)에 국원경으로 승격되었다. 다른 이름으로 대원(大原)과 예성(蘂城)이 있다."라는 기사가 있어 충주 지명이 고려 시대 때 처음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땅이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반반이며, 민간의 풍속이 검소하고 인색하다."라고 되어 있고, 『여지도서』에는 "백성의 풍속이 검소하며 재물을 아껴 쓴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동국여지지』에는 "충주목은 동쪽으로 청풍군까지 28리, 남쪽으로 괴산군까지 48리, 연풍현까지 31리, 경기 여주까지 78리, 경기 음죽현까지 66리, 북쪽으로 제천현까지 45리, 강원도 원주까지 58리, 서울까지 282리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 군명은 국원, 중원, 충원이며 별칭은 예성이다. 풍속은 검소하고 인색하다. 많은 부자가 거주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제강점 직후 1911년에 간행된 『조선지』에는 "한강 상류에 위치하고, 청풍읍과의 거리가 28리이다. 청주와는 15리이다. 한국에서 양반이 가장 많고, 경부선 조치원역까지의 거리가 19리이다. 충주는 물자의 집산지로 상업이 발달하였다."라고 하여 당시 중원지방의 중심지임을 보여준다. 충주는 1895년 충주부가 되었고, 1896년 13도제가 실시되면서 충청북도의 관찰사가 두어지는 부가 되었다. 1908년에는 관찰도가 청주로 이전하고 충주군이 되었다. 1956년 충주읍이 충주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에는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되었다.
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 2010.2, 국토지리정보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북마크 되었습니다.
네이버me 북마크함 가기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북마크 서비스 점검 중으로,
현재 북마크 읽기만 가능하오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_feed_info_가 마음에 드셨다면
네이버me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 + V) 해주세요.
충주시를 상징하는 꽃은 국화로 가을의 서리를 맞으며 마지막에 홀로 피는 고고함과 절개는 시민의 기상을 나타내며, 충절의 고장인 충주의 이미지를 상징한다. 충주시를 상징하는 나무는 사과나무로 봄에는 연분홍의 화사한 꽃이 아름다우며 뜨거운 태양과 태풍을 이기고 가을에 탐스럽게 맺은 열매는 충주시민의 인내와 진실함을 표현한다. 충주시를 상징하는 새는 충주호에 서식하는 원앙으로 충주시민의 화목하고 행복한 삶을 표현하는 길조이다. 551년(신라 진흥왕 12) 신라는 한강 상류 유역을 차지하여 553년 신주를 설치하고 557년(진흥왕 18) 국원소경이 되었고, 558년 귀척의 자제와 6부의 호민을 국원에 이주시켜 부도(副都)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통일신라 때인 757년(경덕왕 16) 각 지방의 주·군·현의 이름을 바꿀 때 국원소경을 중원경(中原京)으로 개칭하였다. 중원이란 나라의 중심지 또는 중앙 지대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고려 태조는 민족을 재통일하고 940년(태조 23) 주·부·군·현의 이름을 바꿀 때 중원경을 충주로 바꾸어 현재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중원(中原)·중주(中州) 등의 명칭이 쓰였으며, 별호로 대원(大原)과 예성(蘂城)이 있다. 충주는 중심주 또는 중주로 고려 초에 있어 국토의 중앙임을 나타냈으며, 충성스러운 고을이란 의미도 담겨 있다. 현종 초에 절도사를 폐지하고 5도호부 75안무사(安撫使)를 둘 때 충주에 안무사를 두었다. 1018년(현종 9) 4도호부와 8목을 둘 때 충주목이 되었다. 1254년(고종 41) 충주 사람들이 충주산성에서 몽고군을 격퇴한 공로로 충주목이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 995년(성종 14) 전국을 10도로 나눌 때 관내도(關內道), 1106년(예종 원년)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 1171년(명종 원년) 충청도, 1324년(충숙왕 원년) 양광도(楊廣道), 1356년(공민왕 5) 충청도로 지방의 도가 바뀌었지만, 충주는 중심 도시로 자리하였다. 조선시대 8도제를 정비하고 충청도의 감영을 충주에 두었다, 이로써 충주는 충청도의 수부가 되었다. 1449년(세종 31) 충청도관찰사로 하여금 충주목사를 겸하게 하였다. 1458년(세조 4) 진관체제(鎭管體制)가 정비되면서 충주진병마첨절제사(忠州鎭兵馬僉節制使)를 두었다. 1539년(중종 34) 유석의 살부미수사건(殺父未遂事件)이 일어나 예성군(蘂城郡)으로, 1549년(명종 4)에는 이홍윤(李洪胤) 사건으로 유신현(維新縣)으로 강등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유인발 역모사건과 1628년(인조 6) 유효립 역모사건과 관련하여, 1644년(인조 22)에는 심기원 역모사건과 관련하여, 1680년(숙종 6)에는 사노 준익(俊益)의 살부사건으로, 1729년(연조 5)에는 이인좌의 난과 관련하여, 1738년에는 장덕(長德)의 남편 살해사건으로, 1755년(영조 31)에는 심정연 옥사와 관련하여, 1817년(순조 26)에는 채수영 사건과 관련하여 충원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충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895년(고종 32) 감영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되면서 충주부(忠州府)가 되었으나 1896년(고종 33) 13도제가 실시되면서 충청북도가 남북도로 나누어져 충청북도가 되고 관찰사부가 충주에 설치되었다. 1908년(순종 2) 충청북도 관찰도가 청주로 이전하고 충주군이 되었다. 1872년 제작된 「충주목지도」에 충주군은 38개 면을 관할하였으나 1906년 충주군에 속했다가 음성군으로 편입된 면은 금목면(金目面)·생동면(笙洞面)·맹동면(孟洞面)·소탄면(所呑面)·법왕면(法旺面)·지내면(枝內面)·대조면(大鳥面)·두의면(豆衣面)·사다면(沙多面)·천기면(川歧面)·감미면(甘味面)·거곡면(居谷面) 등 12개 면이다. 이밖에도 남쪽의 불정면(佛頂面)이 괴산군에 이속됨으로써 충주는 나머지 25개 면만 관할하게 되었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에 의거, 소파면(蘇坡面)과 사이면(沙伊面)이 음성군에 편입되고, 감물면(甘勿面)이 괴산군에 편입되었으며, 덕산면(德山面)이 제천군에 편입됨에 따라 충주군은 살미면(乷味面)·율지면(栗枝面)·주류면(周柳面)·신석면(薪石面)·신니면(申尼面)·덕면면(德面面)·복성면(福城面)·노은면(老隱面)·가흥면(可興面)·앙성면(仰城面)·소태면(蘇台面)·엄정면(嚴政面)·산척면(山尺面)·김생면(金生面)·가차면(加次面)·동량면(東良面)·유등면(柳等面)·이안면(利安面)·금천면(金遷面)·남변면(南邊面)·북변면(北邊面)의 21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또한 행정구역 통폐합에 의하여 북변면과 남변면이 합하여 읍내면, 살미면, 이안면과 유등면이 합하여 이류면, 덕면면과 주류면이 합하여 주덕면, 신석면과 신니면이 합하여 신니면, 노은면, 앙암면과 복성면이 합하여 앙성면, 가흥면과 금천면이 합하여 가금면, 금생면과 가차면이 합하여 금가면, 동량면, 산척면, 엄정면, 소태면 등 14개 면으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읍내면이 충주읍이 되고, 1956년 7월 8일 충주읍이 충주시로 승격되었다. 1963년 1월 1일 괴산군 상모면이 당시 중원군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이류면 하문리는 괴산군으로, 신니면 광월리 일부는 음성군으로, 1987년 1월 1일 제천군 한수면 사기리·명오리·서운리·포탄리·함암리·호운리는 충주시 동량면으로, 1989년 1월 1일에는 산척면 원월리가 제천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1일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하여 2008년 현재 주덕읍과 살미면·수안보면·이류면·신니면·노은면·앙성면·가금면·금가면·동량면·산척면·엄정면·소태면, 성내충인동·교현안림동·교현2동·용산동·지현동·문화동·호암직동·달천동·봉방동·칠금금릉동·연수동·목행용탄동 등 1개 읍 12개 면, 1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주 지역을 관통하는 남한강은 강원도 태백에서 발원하여 충주에 이르고, 속리산에서 발원한 달천은 충주 탄금대에서 남한강과 합류한다. 남한강에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인 충주댐이 있고, 달천은 충주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충주 지역은 중부 내륙형 기후에 속하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이다. 8월의 평균 기온은 26℃, 최고 기온은 35℃를 오르내리며, 1월 평균 온도는 -4,5℃, 최저 기온은 -20℃까지 떨어진다. 강수량은 연 평균 1,200㎜이며, 많을 때는 2,355㎜로, 강수량의 2/3가 6~8월에 집중된다. 이를 읍·면과 동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읍·면 지역은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동 지역은 계속 늘어나는 양상을 보여 준다. 현재 충주시 도시 지역 중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연수동으로 38,962명이다. 그리고 교현·안림동이 22,384명이며 칠금·금릉동이 18,259명이다. 최근에는 용산동 지역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이 지역 인구도 15,446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인구밀도는 1.02㎢로 면적이 작은 문화동이 ㎢당 12,46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극장으로는 충주티티시영화관, 충주자동차극장, 수안보 사조자동차극장 등 3개 소가 있다. 공연장으로는 우륵당, 충주문화회관, 충주시 여성회관, 탄금대 야외음악당, 중앙탑 야외공연장 등 5개 소가 있다. 의료 기관으로는 보건소 37개 소, 치과 35개 소, 병원 28개 소, 의원 102개 소 등이 있다. 노인 복지 시설로는 13개 소가 있고, 실버 노인 요양 시설로는 평화원 등이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