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 1년 을사(1725, 옹정3)
6월 11일(정축) 잠깐 비가 옴좌목 01-06-11[30] 흉적 이광좌(李光佐) 등의 죄를 바로잡을 것을 청하는 생원 정유 등의 상소
생원 정유(鄭?)ㆍ민형수(閔亨洙), 진사 홍윤보(洪允輔)ㆍ조흥림(趙興林)ㆍ김육(金?)ㆍ안종해(安宗海), 생원 조명리(趙明履)ㆍ김성택(金聖澤)ㆍ맹숙주(孟淑周), 진사 홍우기(洪遇箕)ㆍ유언일(兪彦鎰)ㆍ곽진위(郭鎭緯)ㆍ신서(申曙), 생원 심익해(沈益海), 진사 강명서(姜命瑞)ㆍ홍서주(洪敍周), 생원 정덕휴(鄭德休), 진사 이양대(李養大), 생원 민환(閔?)ㆍ곽수걸(郭守杰), 진사 이준림(李俊林)ㆍ이종해(李宗海)ㆍ이집(李楫), 생원 박수근(朴守謹)ㆍ안택인(安宅仁), 진사 나찬규(羅燦奎)ㆍ유석기(兪錫基)ㆍ이인수(李仁壽), 생원 이세추(李世樞)ㆍ김수덕(金守德)ㆍ민이수(閔?洙)ㆍ홍하서(洪河瑞)ㆍ김몽후(金夢?), 진사 안후석(安后奭)ㆍ신석규(辛錫奎)ㆍ안형(安衡), 생원 채명보(蔡命寶)ㆍ최인(崔?)ㆍ신명좌(申命佐), 진사 백상정(白尙鼎)ㆍ정동장(鄭東章)ㆍ박시진(朴時晉)ㆍ신익주(申翊周), 생원 박성시(朴聖時)ㆍ한제(韓濟)ㆍ안치량(安致亮), 진사 신집(申鏶)ㆍ안구(安衢)ㆍ윤덕순(尹德純), 생원 이명설(李命卨), 진사 민원(閔瑗), 생원 민택수(閔宅洙)ㆍ전유직(田有稷)ㆍ이석희(李錫禧)ㆍ임만계(林萬桂)ㆍ소후유(蘇后由), 유학 김문행(金文行)ㆍ홍계백(洪啓百)ㆍ이황중(李黃中)ㆍ이채(李埰)ㆍ이세우(李世瑀)ㆍ윤봉양(尹鳳陽)ㆍ이기(李琪)ㆍ정한명(鄭漢明)ㆍ황재(黃?)ㆍ허책(許?)ㆍ김첨(金?)ㆍ김희(金熺)ㆍ김혁(金爀)ㆍ심건(沈鍵)ㆍ정진강(鄭鎭綱)ㆍ최수겸(崔守謙)ㆍ김우형(金遇亨)ㆍ김전(金佺)ㆍ김유추(金有秋)ㆍ신추(申樞)ㆍ유문룡(柳文龍)ㆍ신이복(愼爾復)ㆍ김일황(金一黃)ㆍ최광복(崔光復)ㆍ이태신(李泰新)ㆍ최천주(崔天柱)ㆍ유중항(柳重恒)ㆍ경운룡(慶雲龍)ㆍ강덕휘(姜德輝)ㆍ이인석(李仁奭)ㆍ방문표(房文杓)ㆍ이문봉(李文鳳)ㆍ이명석(李命錫)ㆍ이현국(李顯國)ㆍ김홍택(金弘澤)ㆍ최진룡(崔震龍)ㆍ노하겸(盧夏謙)ㆍ우필후(禹弼?)ㆍ이광춘(李光春)ㆍ정석달(鄭錫達)ㆍ임선원(任善元)ㆍ한직규(韓直揆)ㆍ김유(金濡)ㆍ유건(柳?)ㆍ민진망(閔鎭望)ㆍ이의소(李宜?)ㆍ서우경(徐遇慶)ㆍ심진(沈縉)ㆍ이현조(李顯祚)ㆍ이현복(李顯福)ㆍ구숙(具?)ㆍ구채(具采)ㆍ이영신(李永新)ㆍ구일훈(具一勳)ㆍ남득관(南得寬)ㆍ이항중(李恒重)ㆍ김원겸(金元謙)ㆍ김이겸(金利謙)ㆍ김정겸(金貞謙)ㆍ조명규(趙明奎)ㆍ강일서(姜一瑞)ㆍ심전(沈?)ㆍ박상우(朴祥雨)ㆍ이유점(李維漸)ㆍ이윤해(李胤海)ㆍ정내양(鄭來陽)ㆍ맹숙순(孟淑醇)ㆍ이동복(李東馥)ㆍ정인열(鄭仁?)ㆍ조성유(趙聖裕)ㆍ조문유(趙文裕)ㆍ윤득승(尹得升)ㆍ박치룡(朴致龍)ㆍ강명동(姜朦)ㆍ이동량(李東亮)ㆍ홍진언(洪震彦)ㆍ이안제(李安濟)ㆍ이광덕(李廣德)ㆍ조덕상(趙德常)ㆍ이욱(李頊)ㆍ조덕귀(趙德龜)ㆍ한상익(韓尙翼)ㆍ이우(李玗)ㆍ한상철(韓尙喆)ㆍ조하석(曺夏錫)ㆍ홍재(洪梓)ㆍ홍력(洪?)ㆍ심정익(沈廷翼)ㆍ조흥윤(趙興胤)ㆍ이만조(李萬祚)ㆍ유무(柳懋)ㆍ황효원(黃孝源)ㆍ송상광(宋相光)ㆍ고성표(高聖杓)ㆍ허형(許泂)ㆍ허빈(許賓)ㆍ어유영(魚有瀛)ㆍ홍득휴(洪得烋)ㆍ정도원(鄭道元)ㆍ이억(李檍)ㆍ남숙관(南肅寬)ㆍ노이형(盧以亨)ㆍ구형운(具亨運)ㆍ백시유(白時維)ㆍ송필후(宋必煦)ㆍ한복증(韓復增)ㆍ박세동(朴世棟)ㆍ이희중(李禧重)ㆍ김상섭(金相燮)ㆍ이구붕(李九鵬)ㆍ이익붕(李翼鵬)ㆍ이연(李衍)ㆍ이세관(李世觀)ㆍ홍계명(洪啓明)ㆍ안몽룡(安夢龍)ㆍ이홍(李泓)ㆍ정학천(鄭學天)ㆍ이증(李增)ㆍ이현(李炫)ㆍ최진국(崔鎭國)ㆍ신명표(申命彪)ㆍ유욱기(兪郁基)ㆍ최후대(崔後大)ㆍ권규(權揆)ㆍ민처수(閔處洙)ㆍ민조수(閔祖洙)ㆍ민점수(閔漸洙)ㆍ민집수(閔集洙)ㆍ민업수(閔業洙)ㆍ조중연(趙重衍)ㆍ어유임(魚有任)ㆍ박교신(朴敎新)ㆍ권정운(權鼎運)ㆍ윤덕정(尹德鼎)ㆍ김한로(金漢老), 전라도 유학 오필주(吳弼周)ㆍ백후채(白後采)ㆍ김상호(金尙瑚)ㆍ송정갑(宋廷甲)ㆍ정운하(丁運夏)ㆍ박대후(朴大?)ㆍ홍이집(洪以楫)ㆍ김석(金?)ㆍ홍제관(洪濟觀)ㆍ변세직(卞世直)ㆍ송기백(宋基伯)ㆍ홍세규(洪世圭), 생원 오처대(吳處大), 유학 최혁(崔)ㆍ김일채(金一彩), 진사 나정일(羅廷一), 유학 김천대(金天大)ㆍ김덕삼(金德三)ㆍ홍윤보(洪胤輔)ㆍ이행민(李行敏)ㆍ김일행(金一行)ㆍ오시직(吳時稷)ㆍ김여옥(金如玉), 생원 염처공(廉處恭), 유학 오대운(吳大運)ㆍ오필창(吳弼昌)ㆍ최칭(崔?)ㆍ김덕룡(金德龍)ㆍ최민제(崔岷齊)ㆍ오재적(吳再績)ㆍ임여상(林汝相)ㆍ김곤옥(金崑玉)ㆍ오도원(吳道源)ㆍ유기(柳杞)ㆍ오필동(吳弼東)ㆍ나정철(羅廷喆)ㆍ임태운(林泰運)ㆍ오필량(吳弼良)ㆍ김진오(金鎭五)ㆍ오시승(吳時昇)ㆍ임용(林溶)ㆍ염처신(廉處愼)ㆍ유호(柳灝)ㆍ오시좌(吳時佐)ㆍ염처대(廉處大)ㆍ정국태(鄭國泰)ㆍ오상제(吳尙齊)ㆍ유세강(柳世綱)ㆍ유식(柳植)ㆍ최숭제(崔嵩齊)ㆍ임태래(林泰來)ㆍ정필주(鄭弼周)ㆍ유문벽(柳文碧)ㆍ오시윤(吳時閏)ㆍ박치후(朴致?)ㆍ이경성(李慶成)ㆍ장우정(張宇禎)ㆍ오시익(吳時益)ㆍ홍석오(洪錫五)ㆍ유영(柳?)ㆍ나치언(羅致彦)ㆍ장서룡(張瑞龍)ㆍ오중윤(吳重潤)ㆍ유세빈(柳世贇)ㆍ이규보(李奎報)ㆍ홍태동(洪泰東)ㆍ홍대림(洪大臨)ㆍ오덕원(吳德源)ㆍ유이영(柳?永)ㆍ김덕일(金德一)ㆍ김두옥(金斗玉)ㆍ박치항(朴致恒)ㆍ김구서(金耉瑞)ㆍ김치절(金致節)ㆍ최덕(崔德)ㆍ김려(金礪)ㆍ최항제(崔恒齊)ㆍ장봉익(張鳳翼)ㆍ김진태(金鎭兌)ㆍ최설(崔?)ㆍ송석귀(宋錫龜)ㆍ김덕장(金德璋)ㆍ장우표(張宇杓)ㆍ이도연(李度演)ㆍ최뢰(崔?)ㆍ김석진(金錫晉)ㆍ김구승(金耉昇)ㆍ김진추(金鎭秋)ㆍ이수창(李壽昌)ㆍ이도창(李道昌)ㆍ김석현(金錫玄)ㆍ홍정동(洪鼎東)ㆍ홍두동(洪斗東)ㆍ오일대(吳一大)ㆍ노필주(魯必周)ㆍ나정태(羅廷泰)ㆍ나형규(羅炯奎)ㆍ이희석(李禧錫)ㆍ나정식(羅廷軾)ㆍ오시술(吳時術)ㆍ김협(金俠)ㆍ나시언(羅時彦)ㆍ임담(林?)ㆍ임택(林澤)ㆍ이세붕(李世鵬)ㆍ유계(柳楷)ㆍ최규(崔珪)ㆍ최선(崔璿), 생원 송은규(宋殷圭), 유학 박창회(朴昌會)ㆍ한중형(韓重炯)ㆍ김수익(金遂益)ㆍ김여정(金汝精)ㆍ송은배(宋殷培)ㆍ임박(任璞)ㆍ유한복(柳漢復)ㆍ박창만(朴昌萬)ㆍ송은봉(宋殷封)ㆍ유제헌(柳齊憲)ㆍ유겸(柳謙)ㆍ강이정(姜爾楨)ㆍ강빈저(姜贇著)ㆍ김정혁(金鼎爀)ㆍ김정석(金鼎錫)ㆍ정동선(鄭東先)ㆍ정동극(鄭東極)ㆍ고증일(高曾一)ㆍ이상홍(李相鴻)ㆍ김상문(金相文)ㆍ정언보(丁彦輔)ㆍ유한상(柳漢相)ㆍ이상웅(李相熊), 생원 박광선(朴光善), 진사 박인상(朴麟祥), 유학 이제춘(李齊春)ㆍ박광삼(朴光參)ㆍ송여은(宋汝殷)ㆍ이익만(李益萬)ㆍ박치순(朴致淳)ㆍ김진하(金震夏)ㆍ송지건(宋之?)ㆍ남천구(南天衢), 생원 송지탁(宋之鐸), 유학 유만장(柳萬長)ㆍ진기한(陳起漢)ㆍ김기하(金起夏)ㆍ유조(柳組)ㆍ소석승(蘇碩升)ㆍ남운한(南雲翰)ㆍ소석림(蘇碩臨)ㆍ진대복(陳大復)ㆍ송도현(宋道炫)ㆍ이동원(李東元)ㆍ이후적(李厚積), 진사 허석(許), 생원 방태하(房泰河), 진사 방태연(房泰淵), 생원 안점(安?)ㆍ진성재(陳聖材), 유학 이휴(李烋)ㆍ허진(許?)ㆍ허학(許?)ㆍ김연팔(金鍊八)ㆍ김연칠(金鍊七)ㆍ이훤(李?)ㆍ이단(李?)ㆍ이돈(李燉)ㆍ이첨(李?)ㆍ이심(李?)ㆍ노세극(盧世極)ㆍ이이천(李?天)ㆍ이이덕(李?德)ㆍ김천호(金天豪)ㆍ노세신(盧世信)ㆍ노득중(盧得中)ㆍ김명오(金鳴五)ㆍ김택중(金宅中)ㆍ한상기(韓象箕)ㆍ김제(金?)ㆍ김진(金振)ㆍ김지(金持)ㆍ허집(許潗)ㆍ정후(丁?)ㆍ정남택(丁南宅)ㆍ김연주(金鍊柱)ㆍ김협(金?)ㆍ정택상(鄭宅相)ㆍ강이빈(姜爾彬)ㆍ강이보(姜爾輔)ㆍ오시해(吳時楷)ㆍ성덕겸(成德謙)ㆍ성덕귀(成德龜)ㆍ강석저(姜碩著)ㆍ오대징(吳大徵)ㆍ정전상(鄭殿相)ㆍ성덕정(成德鼎)ㆍ이후(李?)ㆍ오시모(吳時模)ㆍ오대익(吳大益), 진사 송민석(宋旻錫), 유학 홍익창(洪益昌)ㆍ홍우동(洪禹東)ㆍ송부(宋傅)ㆍ김태좌(金台佐)ㆍ홍익채(洪益采)ㆍ송봉석(宋鳳錫)ㆍ임준(任遵)ㆍ임건(任?)ㆍ오시정(吳時鼎)ㆍ나중형(羅重亨)ㆍ이인훈(李仁薰)ㆍ나치룡(羅致龍)ㆍ나치경(羅致敬)ㆍ김헌(金)ㆍ송창구(宋昌九)ㆍ김정(金炡)ㆍ고우일(高禹一)ㆍ강주해(姜柱海)ㆍ강하기(姜夏耆)ㆍ강하익(姜夏益)ㆍ유동건(柳東建)ㆍ김정화(金鼎華)ㆍ정시창(鄭始昌)ㆍ정극창(丁克昌)ㆍ정후창(丁厚昌)ㆍ김상정(金相正)ㆍ정석창(丁錫昌)ㆍ송성(宋珹)ㆍ성덕일(成德一)ㆍ김만태(金萬泰)ㆍ이상동(李相東)ㆍ김도원(金道元)ㆍ오시백(吳時伯)ㆍ김류(金琉)ㆍ정호관(丁好寬)ㆍ최양상(崔亮相)ㆍ정탁(丁琢)ㆍ정항수(鄭恒壽)ㆍ정기수(鄭箕壽)ㆍ강일린(姜日麟)ㆍ송여원(宋汝元)ㆍ박원한(朴元漢), 생원 이숙빈(李淑?)ㆍ박중엽(朴重曄), 유학 박광순(朴光純)ㆍ이제백(李齊白)ㆍ박광태(朴光泰)ㆍ이권(李權)ㆍ이만훈(李萬勛)ㆍ박광익(朴光益)ㆍ박광적(朴光迪)ㆍ김재경(金再慶)ㆍ김명기(金命器)ㆍ기정기(奇挺夔)ㆍ기정린(奇挺鱗)ㆍ유순경(柳順慶)ㆍ고일원(高一元)ㆍ고일호(高一昊)ㆍ최치형(崔致衡)ㆍ박정석(朴禎錫)ㆍ임진명(任鎭明)ㆍ조시대(趙始大)ㆍ최언귀(崔彦龜)ㆍ박화석(朴華錫)ㆍ임진홍(任鎭弘)ㆍ박규석(朴圭錫)ㆍ정견(鄭?)ㆍ조시후(趙始?)ㆍ박겸석(朴謙錫)ㆍ박선휘(朴善輝)ㆍ임하연(任夏淵)ㆍ박무석(朴茂錫)ㆍ정흡(鄭恰)ㆍ박만근(朴萬根)ㆍ황하청(黃河淸)ㆍ박진석(朴震錫)ㆍ정채(鄭埰)ㆍ김대진(金大珍)ㆍ박만선(朴萬先)ㆍ김연세(金延世)ㆍ송함(宋涵)ㆍ백서표(白瑞彪)ㆍ임후연(任厚淵), 진사 조홍진(趙弘晉), 유학 이명정(李命鼎)ㆍ이제(李濟)ㆍ이명복(李命復)ㆍ이택(李澤)ㆍ김귀년(金龜年)ㆍ이명기(李命基)ㆍ이담(李湛)ㆍ이덕하(李德夏)ㆍ오시귀(吳始龜)ㆍ김최(金最)ㆍ최두수(崔斗壽)ㆍ오태서(吳泰瑞)ㆍ오태흥(吳泰興)ㆍ오도건(吳道?)ㆍ오도징(吳道徵)ㆍ윤몽서(尹夢瑞)ㆍ한성후(韓聖?)ㆍ윤계조(尹繼祖)ㆍ최기항(崔基恒)ㆍ최기태(崔基泰)ㆍ김경(金)ㆍ김응징(金應徵)ㆍ백서옥(白瑞玉)ㆍ백문항(白文亢)ㆍ백문오(白文晤)ㆍ박필화(朴必華)ㆍ박필채(朴必采)ㆍ박만징(朴萬徵)ㆍ박필수(朴必受)ㆍ박만우(朴萬遇)ㆍ박만하(朴萬夏)ㆍ이세식(李世植)ㆍ안만저(安晩著)ㆍ안만승(安晩昇)ㆍ정몽신(鄭夢臣)ㆍ안치절(安致節), 진사 정태동(鄭泰東), 유학 안여일(安汝一)ㆍ정뇌신(鄭賚臣)ㆍ이두망(李斗望)ㆍ이덕림(李德林)ㆍ안여절(安汝節)ㆍ이두웅(李斗雄)ㆍ정시항(鄭始恒)ㆍ안치경(安致敬)ㆍ정영신(鄭英臣)ㆍ이상림(李祥林)ㆍ이두해(李斗諧)ㆍ안종윤(安宗胤)ㆍ장창령(張昌齡)ㆍ안치익(安致益)ㆍ정휴동(鄭烋東)ㆍ윤간(尹揀)ㆍ이세갑(李世甲)ㆍ유진문(兪進問)ㆍ정중완(鄭重玩)ㆍ정양태(鄭陽泰)ㆍ이정희(李鼎禧)ㆍ정중수(鄭重琇)ㆍ안치운(安致雲)ㆍ정요신(鄭堯臣)ㆍ안만운(安晩運)ㆍ정각신(鄭?臣)ㆍ이방림(李邦林)ㆍ홍서휘(洪瑞輝)ㆍ박정신(朴鼎新)ㆍ신득의(辛得義)ㆍ홍석범(洪錫範)ㆍ이태원(李泰元)ㆍ윤유(尹?)ㆍ이두일(李斗一)ㆍ안치덕(安致德)ㆍ이태형(李泰亨)ㆍ이지복(李之馥)ㆍ이동옥(李東沃)ㆍ정양승(鄭陽昇)ㆍ이민도(李敏道)ㆍ정동로(鄭東老)ㆍ정광석(鄭光錫)ㆍ안치만(安致萬)ㆍ정동기(鄭東耆)ㆍ정양시(鄭陽時)ㆍ안치형(安致亨)ㆍ정석동(鄭碩東), 생원 문두성(文斗星), 유학 정원동(鄭元東)ㆍ홍오범(洪五範)ㆍ정석로(鄭奭魯)ㆍ정양함(鄭陽咸)ㆍ이문우(李文友)ㆍ이귀령(李龜靈)ㆍ강서태(姜瑞台)ㆍ이귀장(李龜長)ㆍ유우백(柳遇柏)ㆍ이귀원(李龜元)ㆍ최이탄(崔以坦)ㆍ유우재(柳遇?)ㆍ김성구(金聖?)ㆍ송지현(宋之鉉)ㆍ이하암(李夏?)ㆍ유상혜(柳尙惠)ㆍ임린(任璘), 생원 양성익(梁聖翊), 유학 유세겸(柳世謙)ㆍ이조해(李朝海)ㆍ김성걸(金聖杰)ㆍ정계로(鄭繼魯)ㆍ이춘원(李春元)ㆍ최창한(崔昌漢)ㆍ소창엽(蘇昌燁)ㆍ정방우(鄭邦祐)ㆍ진귀한(陳歸漢)ㆍ이이양(李以讓)ㆍ남대주(南大柱)ㆍ김광서(金光瑞)ㆍ박한명(朴漢明)ㆍ고용집(高用楫)ㆍ홍도관(黃道觀)ㆍ고세표(高世表)ㆍ채근중(蔡謹中)ㆍ고용려(高用礪)ㆍ최주천(崔柱天)ㆍ조덕승(趙德升)ㆍ고용하(高用河)ㆍ최극천(崔極天)ㆍ고진화(高鎭華)ㆍ최응정(崔應井)ㆍ황도승(黃道升)ㆍ양태협(梁台協)ㆍ장만규(張萬奎)ㆍ최응현(崔應玄)ㆍ채욱(蔡頊)ㆍ황도삼(黃道參)ㆍ장규징(張奎徵)ㆍ최응규(崔應奎)ㆍ조중구(趙重九)ㆍ채정만(蔡廷萬)ㆍ양태열(梁台說)ㆍ황명하(黃命夏)ㆍ최응삼(崔應參)ㆍ양태익(梁台翊)ㆍ김식(金湜)ㆍ고봉석(高鳳錫)ㆍ이민수(李敏秀)ㆍ고익형(高益亨)ㆍ양응천(梁應天)ㆍ채우서(蔡禹瑞)ㆍ고진우(高鎭宇)ㆍ채윤장(蔡允章)ㆍ심돈(沈墩)ㆍ최수천(崔秀天)ㆍ황태범(黃泰範)ㆍ조중칠(趙重七)ㆍ이학령(李鶴齡)ㆍ고진팔(高鎭八)ㆍ채정표(蔡廷豹)ㆍ양태욱(梁台郁)ㆍ장용익(張龍翼)ㆍ최운승(崔運升)ㆍ조중오(趙重五)ㆍ최도대(崔道大)ㆍ채종장(蔡鍾章), 생원 최화(崔?), 유학 유문한(柳文漢)ㆍ윤응기(尹應耆)ㆍ박내초(朴來初)ㆍ신치화(辛致和)ㆍ이교린(李喬隣)ㆍ윤상(尹祥)ㆍ박민고(朴敏古)ㆍ윤응문(尹應文)ㆍ김명서(金命瑞)ㆍ오시집(吳時集)ㆍ정세관(鄭世觀)ㆍ윤응화(尹應華)ㆍ김진서(金震瑞)ㆍ유문유(柳文維)ㆍ박한(朴澣)ㆍ윤갑민(尹甲民)ㆍ박승문(朴勝文)ㆍ이두린(李杜隣)ㆍ서선징(徐善徵)ㆍ박사도(朴師道)ㆍ유문하(柳文夏)ㆍ박윤(朴潤)ㆍ노집(魯潗)ㆍ김대집(金大集)ㆍ박상초(朴尙初)ㆍ오시관(吳時觀)ㆍ윤응임(尹應任)ㆍ서선항(徐善恒)ㆍ윤응귀(尹應龜)ㆍ유문추(柳文樞)ㆍ박세삼(朴世三)ㆍ서선익(徐善翊)ㆍ고한초(高漢初)ㆍ정두채(鄭斗采)ㆍ김호(金澔)ㆍ홍석주(洪碩柱)ㆍ정여경(鄭餘慶)ㆍ이만원(李萬元)ㆍ윤이민(尹以民)ㆍ선성귀(宣聖龜)ㆍ안환(安?)ㆍ위세황(魏世璜)ㆍ이인성(李仁成)ㆍ김수강(金壽岡)ㆍ김창영(金昌泳)ㆍ이육(李堉)ㆍ조성래(曺聖來)ㆍ홍운주(洪雲柱)ㆍ안지명(安之明)ㆍ백서귀(白瑞龜)ㆍ안적(安?)ㆍ백서룡(白瑞龍)ㆍ이만형(李萬亨)ㆍ정유경(鄭有慶)ㆍ백문태(白文泰)ㆍ이주한(李柱漢)ㆍ안거일(安居一)ㆍ박규현(朴奎玄)ㆍ선서귀(宣瑞龜)ㆍ박필현(朴弼玄)ㆍ김경신(金慶臣)ㆍ백문징(白文徵)ㆍ김만당(金萬堂)ㆍ위명성(魏命成)ㆍ정담(鄭曇)ㆍ안처중(安處中)ㆍ위세최(魏世最)ㆍ이인표(李仁豹)ㆍ김효(金涍)ㆍ이세기(李世機)ㆍ이인삼(李仁三)ㆍ유영(柳璟)ㆍ최태채(崔泰采)ㆍ안환(安?)ㆍ위문정(魏文?)ㆍ김운창(金運昌)ㆍ선이중(宣爾重)ㆍ이주한(李柱漢)ㆍ김연(金淵)ㆍ선도중(宣度重)ㆍ위명대(魏命大)ㆍ선신귀(宣藎龜)ㆍ김시귀(金時龜)ㆍ위세린(魏世璘)ㆍ이온(李縕)ㆍ김달사(金達泗)ㆍ위세기(魏世琦)ㆍ홍운주(洪雲柱)ㆍ위명천(魏命天)ㆍ백서승(白瑞昇)ㆍ김집(金潗)ㆍ백문삼(白文三)ㆍ김태흥(金泰興)ㆍ위경만(魏慶萬)ㆍ김도창(金道昌)ㆍ백서창(白瑞昌)ㆍ안탁(安)ㆍ김홍(金泓)ㆍ위명인(魏命仁)ㆍ선정귀(宣禎龜)ㆍ김재(金)ㆍ김삼(金?)ㆍ안정후(安定?)ㆍ선진귀(宣晉龜)ㆍ위명창(魏命昌)ㆍ김극창(金克昌)ㆍ홍국주(洪國柱)ㆍ안거(安)ㆍ백문저(白文著)ㆍ선진명(宣晉明)ㆍ위명덕(魏命德)ㆍ김연(金沇)ㆍ백문거(白文擧)ㆍ안호일(安好一)ㆍ정재(鄭?)ㆍ김언창(金彦昌)ㆍ백서정(白瑞井)ㆍ안정하(安定廈)ㆍ김창발(金昌潑)ㆍ백문상(白文相)ㆍ위문귀(魏文龜)ㆍ김태항(金泰恒)ㆍ김창수(金昌洙)ㆍ신현(申?)ㆍ위명항(魏命恒)ㆍ선진복(宣晉復)ㆍ김희창(金喜昌)ㆍ위명준(魏命峻)ㆍ김우태(金宇泰)ㆍ김창속(金昌涑)ㆍ위경백(魏慶百)ㆍ안처일(安處一)ㆍ김극려(金克礪)ㆍ위명일(魏命一)ㆍ김귀(金)ㆍ정치경(鄭致慶)ㆍ장오(張晤)ㆍ선경후(宣慶?)ㆍ위상언(魏相彦)ㆍ이민적(李敏?)ㆍ선수귀(宣壽龜)ㆍ위상문(魏相文)ㆍ선진집(宣晉緝)ㆍ이인세(李麟世)ㆍ위상복(魏相復)ㆍ정이경(鄭履慶)ㆍ정세진(鄭世晉)ㆍ김덕후(金德?)ㆍ민창규(閔昌奎)ㆍ김응건(金應鍵)ㆍ안윤(安玧)ㆍ이광렬(李光烈)ㆍ위경억(魏慶億)ㆍ선경대(宣慶大)ㆍ안치일(安致一)ㆍ이식(李湜)ㆍ위명길(魏命吉)ㆍ위명득(魏繆)ㆍ김진창(金震昌)ㆍ이응한(李應漢)ㆍ안구(安球)ㆍ박중엽(朴重曄)ㆍ김극행(金極幸)ㆍ김하형(金夏亨)ㆍ백내채(白乃采)ㆍ선진일(宣晉一)ㆍ김응탁(金應鐸)ㆍ백서일(白瑞一)ㆍ선경운(宣慶運)ㆍ김하삼(金夏三)ㆍ홍오량(洪五樑)ㆍ선석귀(宣碩龜)ㆍ김응갑(金應甲)ㆍ안정오(安定五)ㆍ이윤덕(李潤德)ㆍ안종일(安宗一)ㆍ위명호(魏命虎)ㆍ선성대(宣聖大)ㆍ위상징(魏相徵)ㆍ김우곤(金宇坤)ㆍ김응정(金應鼎)ㆍ이광악(李光岳)ㆍ선몽서(宣夢瑞)ㆍ김중기(金重琦)ㆍ위상경(魏相鏡)ㆍ김성(金)ㆍ김중령(金重齡)ㆍ위경천(魏慶千)ㆍ안언(安)ㆍ박규현(朴逵玄)ㆍ박사연(朴師淵)ㆍ채경천(蔡擎天)ㆍ박사증(朴師曾)ㆍ임만화(林萬華)ㆍ이준덕(李峻德)ㆍ위상하(魏相夏)ㆍ선진희(宣晉熙)ㆍ김중귀(金重龜)ㆍ정익경(鄭益慶)ㆍ김효조(金孝祖)ㆍ김열조(金悅祖)ㆍ위명수(魏命需)ㆍ김달하(金達河)ㆍ김중하(金重夏)ㆍ김극기(金克己)ㆍ이일(李佾)ㆍ김중호(金重瑚)ㆍ박태진(朴台進)ㆍ임진성(任鎭成)ㆍ배진추(裵晉樞)ㆍ양한정(楊漢禎)ㆍ변섭(卞涉)ㆍ이제추(李齊樞)ㆍ임건(任?)ㆍ이형옥(李衡玉)ㆍ이규석(李奎錫)ㆍ홍내주(洪乃疇)ㆍ이창훈(李昌勳)ㆍ홍제신(洪濟臣)ㆍ이사훈(李司勳)ㆍ홍운집(洪運楫)ㆍ박태석(朴泰錫)ㆍ윤환(尹?)ㆍ심수인(沈壽寅)ㆍ윤진(尹璡)ㆍ홍구량(洪九樑)ㆍ선한귀(宣漢龜)ㆍ백숭채(白崇采)ㆍ심수이(沈壽?)ㆍ윤번(尹?)ㆍ이이훈(李?勳)ㆍ이세춘(李世春)ㆍ이창한(李昌漢)ㆍ이재(李?)ㆍ이창진(李昌鎭)ㆍ곽천유(郭天裕)ㆍ이호(李壕)ㆍ곽천억(郭天?)ㆍ심수광(沈壽匡)ㆍ곽천업(郭天嶪)ㆍ이창룡(李昌龍)ㆍ조진동(趙鎭東)ㆍ한종은(韓宗殷)ㆍ조진상(趙鎭常)ㆍ윤완(尹玩)ㆍ송계태(宋啓泰)ㆍ유지윤(柳之閏)ㆍ송태상(宋台相)ㆍ박광도(朴光道)ㆍ송정기(宋廷夔)ㆍ위명덕(魏命德)ㆍ박동욱(柳東郁)ㆍ송정희(宋廷熹)ㆍ송일징(宋日徵)ㆍ송일광(宋日光)ㆍ송정악(宋廷岳), 진사 김우중(金遇重), 유학 박태하(朴台廈)ㆍ박광운(朴光雲)ㆍ김당(金堂)ㆍ박태현(朴台鉉)ㆍ조진항(趙鎭恒)ㆍ한종리(韓宗履)ㆍ조진장(趙鎭長)ㆍ전만필(全萬弼)ㆍ이정상(李正相)ㆍ조진성(趙鎭成)ㆍ이천유(李天維)ㆍ이인서(李寅緖)ㆍ김성고(金聖古)ㆍ김세진(金世鎭)ㆍ민몽경(閔夢庚)ㆍ김세준(金世俊), 경기도 유학 김수명(金壽溟)ㆍ윤내성(尹來成)ㆍ왕찬(王纘)ㆍ원시익(元時翼)ㆍ이무(李懋)ㆍ최운회(崔雲會)ㆍ안정화(安正華)ㆍ윤응리(尹應履)ㆍ안극성(安克誠)ㆍ윤정리(尹正履)ㆍ안극경(安克敬)ㆍ안극민(安克敏)ㆍ최운기(崔雲紀)ㆍ이홍태(李弘泰)ㆍ이관태(李觀泰), 진사 이형태(李亨泰), 유학 이함태(李咸泰)ㆍ강만증(姜萬增)ㆍ강만익(姜萬益)ㆍ한일(韓逸), 진사 한적(韓迪), 유학 권종만(權宗萬)ㆍ김두만(金斗萬)ㆍ이천배(李天培), 진사 안만기(安萬紀), 유학 박종석(朴宗錫)ㆍ신사익(愼師益)ㆍ김택원(金澤遠)ㆍ심한(沈澣)ㆍ이여룡(李汝龍)ㆍ손봉서(孫鳳瑞)ㆍ윤대진(尹大進), 충청도 유학 한세기(韓世基)ㆍ조상관(趙尙瓘)ㆍ김석지(金錫祉)ㆍ한정현(韓廷鉉)ㆍ김석필(金錫弼)ㆍ이명유(李命裕)ㆍ이명제(李命濟)ㆍ이명윤(李命胤)ㆍ이명호(李命虎)ㆍ이명직(李命稷)ㆍ이광하(李光夏)ㆍ유숙동(柳宿東)ㆍ한처기(韓處基)ㆍ한몽기(韓夢基)ㆍ한성진(韓聖鎭)ㆍ한세진(韓世鎭)ㆍ한효기(韓孝基)ㆍ한건기(韓建基)ㆍ한정곽(韓廷?)ㆍ한술기(韓述基)ㆍ한굉기(韓宏基)ㆍ유태동(柳泰東)ㆍ유정섭(柳廷燮)ㆍ김윤(金潤)ㆍ윤이각(尹以覺)ㆍ윤명(尹溟)ㆍ윤이대(尹以大)ㆍ윤이중(尹以重)ㆍ김시언(金時彦)ㆍ윤침(尹沈)ㆍ유경섭(柳慶燮)ㆍ유운섭(柳運燮)ㆍ이필대(李必大)ㆍ윤내좌(尹來佐)ㆍ윤내진(尹來晉)ㆍ이화대(李化大)ㆍ이덕우(李德雨)ㆍ이덕신(李德新)ㆍ이만근(李萬根)ㆍ정도태(鄭道泰)ㆍ정도형(鄭道亨)ㆍ이대뢰(李大賚)ㆍ이채(李埰)ㆍ이몽뢰(李夢賚)ㆍ이덕뢰(李德賚)ㆍ한흥기(韓興基)ㆍ정내양(鄭來陽)ㆍ송치화(宋致和)ㆍ이인관(李仁寬)ㆍ박상우(朴祥雨)ㆍ윤여수(尹汝受)ㆍ이사익(李師益)ㆍ이사직(李師稷)ㆍ유확기(兪擴基)ㆍ유하기(兪賀基)ㆍ민진항(閔鎭恒)ㆍ이철해(李澈海), 생원 정내창(鄭來昌)ㆍ박세형(朴世炯), 유학 정지헌(鄭志獻)ㆍ박의고(朴義古)ㆍ김문망(金文望)ㆍ정희서(鄭羲瑞)ㆍ장익삼(張益三)ㆍ박성재(朴成材)ㆍ박수묵(朴守默)ㆍ이천상(李天相)ㆍ남도홍(南道弘)ㆍ박하운(朴河運)ㆍ곽수백(郭守)ㆍ곽수환(郭守煥)ㆍ곽수형(郭守炯)ㆍ정경제(鄭經濟)ㆍ김계옥(金啓沃)ㆍ남시긍(南始肯)ㆍ이원실(李元實)ㆍ여흥주(呂興周)ㆍ이한장(李漢章)ㆍ곽재대(郭載大)ㆍ이달해(李達海)ㆍ이박해(李搏海), 진사 이조해(李朝海), 유학 이원해(李源海)ㆍ이유해(李有海)ㆍ이사맹(李思孟), 진사 박민최(朴敏最), 유학 박수대(朴守大)ㆍ변흥하(卞興夏), 진사 박세렴(朴世), 유학 지경형(池慶兄)ㆍ민진대(閔鎭岱)ㆍ민진웅(閔鎭雄)ㆍ이세명(李世命)ㆍ이태지(李泰之)ㆍ정규상(鄭奎相)ㆍ정설상(鄭卨相)ㆍ정희주(鄭姬柱)ㆍ안봉석(安鳳奭)ㆍ유원채(柳元采)ㆍ김진해(金震楷)ㆍ박진강(朴振綱)ㆍ안우석(安友奭)ㆍ안경석(安景奭)ㆍ박진연(朴振淵)ㆍ이박(李?)ㆍ안상석(安相奭)ㆍ유원휘(柳元輝)ㆍ안행원(安行遠)ㆍ이성복(李性復)ㆍ이완(李琬)ㆍ김진석(金震晳)ㆍ홍원우(洪元佑)ㆍ임주삼(林柱三)ㆍ민사성(閔師聖)ㆍ김덕조(金德祖)ㆍ민제세(閔濟世)ㆍ정세택(鄭世澤)ㆍ이인석(李寅錫)ㆍ이하석(李夏錫)ㆍ김윤한(金潤漢)ㆍ민창려(閔昌麗)ㆍ이이춘(李以春)ㆍ정세림(丁世霖)ㆍ송천식(宋天植)ㆍ임휘(林彙)ㆍ유만서(柳萬瑞)ㆍ송채(宋埰)ㆍ유동양(柳東陽)ㆍ박동도(朴東道)ㆍ박광현(朴光賢)ㆍ김경(金坰)ㆍ선태일(宣泰一)ㆍ한영(韓泳)ㆍ한옥(韓沃)ㆍ한연(韓演)ㆍ김계(金?)ㆍ김득현(金得鉉)ㆍ김필현(金必鉉)ㆍ한호(韓灝)ㆍ김석현(金錫鉉)ㆍ박광린(朴光璘)ㆍ김면(金冕)ㆍ박봉래(朴鳳來)ㆍ한수덕(韓守德)ㆍ곽천장(郭天壯)ㆍ박만보(朴萬?)ㆍ이대성(李大成)ㆍ김직천(金直千)ㆍ한시회(韓時會)ㆍ이여송(李如松)ㆍ박시대(朴時大)ㆍ이규성(李圭成)ㆍ박동효(朴東孝)ㆍ이응삼(李應三)ㆍ조후탁(曺厚卓)ㆍ김원백(金元白)ㆍ김몽상(金夢祥)ㆍ박만추(朴萬樞)ㆍ김택현(金宅賢)ㆍ김규서(金奎瑞)ㆍ김덕현(金德賢)ㆍ김희서(金羲瑞)ㆍ김몽한(金夢漢), 생원 임도(任道), 유학 김신현(金信賢)ㆍ김몽열(金夢說)ㆍ최항제(崔恒齊)ㆍ오종주(吳宗周)ㆍ최화제(崔華濟)ㆍ황이정(黃履正)ㆍ유혜린(柳惠隣)ㆍ박숭망(朴崇望)ㆍ임배후(林配厚)ㆍ조기석(趙箕錫)ㆍ장이규(張以圭)ㆍ조홍망(趙鴻望)ㆍ조도명(趙道命)ㆍ장운상(張雲翔)ㆍ조보명(趙普命)ㆍ조기명(趙基命)ㆍ조동보(趙東普)ㆍ조태명(趙泰命), 경상도 유학 이익형(李益亨)ㆍ윤후성(尹後聖)ㆍ정창화(鄭昌和)ㆍ이재춘(李再春)ㆍ이익정(李益貞)ㆍ이익창(李益昌)ㆍ임포(林褒)ㆍ백용서(白龍瑞)ㆍ나서린(羅瑞麟)ㆍ윤후(尹?)ㆍ이익춘(李益春)ㆍ문경천(文擎天)ㆍ신효지(辛孝至)ㆍ이세일(李世逸)ㆍ안상보(安相普)ㆍ최재태(崔載泰)ㆍ윤해수(尹海壽)ㆍ임중대(林重岱)ㆍ윤희수(尹稀壽)ㆍ박봉서(朴鳳瑞)ㆍ채명필(蔡命弼)ㆍ채명협(蔡命協)ㆍ채명천(蔡命千)ㆍ남도식(南道軾)ㆍ김우세(金遇世)ㆍ이희창(李希昌)ㆍ박윤종(朴胤宗)ㆍ박윤문(朴胤文), 생원 조하위(曺夏?), 강원도 진사 백시석(白時奭)ㆍ원태규(元泰揆), 생원 김수채(金受采), 유학 유덕후(柳德?)ㆍ이영태(李榮泰)ㆍ박정황(朴廷璜)ㆍ박정선(朴廷璿)ㆍ민기징(閔麒徵), 평안도 유학 김방익(金邦翼)ㆍ장덕규(張德圭)ㆍ이경대(李慶大)ㆍ이덕후(李德?)ㆍ홍성일(洪聖一)ㆍ김취두(金取斗)ㆍ최제일(崔齊一)ㆍ조윤덕(曺潤德)ㆍ윤봉교(尹鳳郊)ㆍ강홍제(康鴻濟)ㆍ김형(金泂)ㆍ이창교(李昌皎)ㆍ김정표(金挺彪)ㆍ문재중(文在中), 개성부 유학 이취항(李就恒)ㆍ이안규(李安奎)ㆍ이하성(李夏成), 황해도 생원 신진웅(申震雄), 진사 이동현(李東鉉), 생원 오명주(吳命周)ㆍ이경(李坰), 유학 안세희(安世希)ㆍ한정화(韓廷華), 생원 이진주(李鎭宙)ㆍ안여반(安如磐), 함경도 유학 이익춘(李益春)ㆍ이동빈(李東彬)ㆍ한순부(韓順孚)ㆍ한석태(韓錫台)ㆍ최홍점(崔鴻漸)ㆍ정홍제(鄭弘濟)ㆍ안태신(安泰信)ㆍ여택제(呂宅齊) 등이 상소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나라가 나라답고 사람이 사람다운 까닭은 삼강(三綱)과 오상(五常) 때문이고, 삼강과 오상 중에는 군신 간의 의리가 가장 중요하니, 여기에 본분을 다하지 못하면 나라가 나라답지 못하고 사람이 사람답지 못하게 됩니다. 더구나 군상(君上)이 망극한 무고를 받았는데 신하라는 자가 태연하게 팔짱을 끼고 쳐다보기만 할 뿐 군주를 위해 피눈물을 쏟고 울음을 삼키면서 힘을 다해 무함을 분별하여 밝히지 않으니, 진실로 이른바 ‘본분을 다하지 못한다’라는 것으로서 이적(夷狄)과 금수(禽獸)가 되지 않을 자가 거의 없습니다.
아, 지난날 전하께서 받으신 무함은 천고에 씻기 어려운 악명(惡名)이라고 할 만한데, 오늘날까지 끝내 분명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신들이 비록 미천한 선비의 몸이지만 또한 다 같은 전하의 신하이니, 어찌 감히 지위에 벗어난 일이라고 혐의하여 한마디 말도 하지 않음으로써 스스로 본분을 다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에 감히 팔도의 수많은 선비들을 앞장서서 이끌고서 눈을 부릅뜨고 용기를 내어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지극히 논계하니, 밝으신 성상께서는 살펴서 받아들여 주소서.
아, 지난 신축년(1721, 경종1)에 세자를 정할 때에 일단의 흉악한 무리들이 크게 의심하고 성을 내었는데, 유봉휘(柳鳳輝)가 주창하고 간흉들이 계승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세자를 정하는 일을 논할 때면 반드시 ‘이는 임금을 폐하고 다른 임금을 세우려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대리청정하는 일을 논할 때면 반드시 ‘이는 찬탈하려는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군상의 춘추가 한창때이고 침수와 수라에 아무 문제가 없는데 조정에 있는 여러 신하가 별다른 이유도 없이 저군(儲君)을 끼고 폐립하고 찬탈하려는 것이다.’라고 여긴 것입니다.
그들이 뜻을 얻은 뒤에는 서로 더불어 제창하기를 ‘군상이 권신(權臣)을 꺼려서 오랫동안 감추고 드러내지 않다가 하루아침에 천둥 같고 태풍 같은 큰 처분을 내린 것이요, 실로 당초에 병환이 있었던 적이 없다.’라고 하여 중외를 선동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의혹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뒤로 임금의 병을 숨기려고 못하는 짓이 없더니, 급기야 작년에 국상이 나고야 말았습니다.
이광좌(李光佐)는 약원(藥院)의 자리에 몸담고 있으면서 시약청(侍藥廳)도 설치하지 않고 저녁 문안도 거행하지 않고는 행여 외인들이 혹시라도 이 사실을 알까 두려워하였습니다. 선왕이 승하하신 뒤에도 조태억(趙泰億)의 교문(敎文)을 찬진하여 마침내 ‘한밤중에 안석에 기대어 내리시는 유명을 갑자기 받들게 될 줄을 어찌 알았겠는가.’라고 하여, 마치 선왕께서 옥체가 항상 강녕하셨는데 한밤중에 어찌할 사이도 없이 갑자기 승하하신 것처럼 말하여 중외의 이목을 더욱 의혹하게 만들었으니, 지난날 이천해(李天海)의 변고도 반드시 여기에서 비롯되지 않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아, 어찌 차마 말할 수 있겠습니까. 당초에 조태구(趙泰耉)가 북문(北門)을 통해 들어갈 때에 반드시 지름길을 인도한 사람이 있었으리라는 것은 불을 보듯 분명한 사실이며, 근일 여러 역적들의 공초(供招)를 살펴보면 더욱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몰래 서로 결탁하여 꾸민 온갖 계책은 다만 구신(舊臣)들을 다 죽이고 위로 전하를 핍박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박상검(朴尙儉)의 일이 실패하자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서를 갑자기 올렸고, 큰 옥사를 날조하여 일으키자 삼수(三手)로 안건(案件)을 삼아 조사하는 것이 전하의 일에 관련되지 않은 것이 없었습니다. 아, 천하에 어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저 최석항(崔錫恒)은 교활한 성품을 가진 자로서 생살(生殺)의 권한을 쥐고 겉으로는 전하를 위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전하로 하여금 애매모호한 지경에서 스스로 빠져나올 수 없게 하려고 하였으니, 저 양조(兩朝)를 섬겨 온 주석(柱石) 같은 신하와 백년을 내려온 세신(世臣)의 집안을 남김없이 일망타진한 것은 족히 말할 것도 못 됩니다. 전하께 오늘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은 하늘의 뜻이며 조종(祖宗)의 뜻이니, 그 계책이 깊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아, 저들이 뚫고 들어올 때의 은밀한 종적과 이미 들어온 뒤에 농간을 부린 정절(情節)에 있어서 외인들의 이목은 그래도 혹 엄폐할 수 있겠지만 전하께서는 총명한 자질과 장성한 나이로 궁위(宮?) 안에 거처하면서 모두 눈으로 직접 보고 마음으로 헤아리셨을 것이니, 후환을 염려하는 저들의 마음으로 볼 때 어찌 일찍이 하루인들 전하를 잊었겠습니까. 그러나 명분이 엄격히 구분되므로 손을 쓰기가 어렵고, 자애로우신 성상께서 위에 계시므로 계책을 쓰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저 이광좌의 무리가 속으로는 흉악하고 간특한 계책을 쓰려고 하면서 겉으로는 관대한 의논을 갖다 붙이고, 속으로는 은밀히 부도(不道)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겉으로는 조금 의견을 달리하는 것처럼 보여서, 농락하여 현혹시키는 것이 귀신 같고 물여우 같았습니다.
윤각(尹慤)과 유성추(柳星樞)를 석방시키기를 청한 일도 그의 농간을 부리는 수단에서 나온 것입니다. 아, 이광좌는 바로 고(故) 상신(相臣) 충문공(忠文公) 이이명(李?命)의 중표형제(中表兄弟)인데도 스스로 대의멸친(大義滅親)을 구실 삼아 이이명의 처자식을 노비로 삼는 형전을 극력 청하였습니다. 그의 잔인한 마음이 이와 같으니, 어찌 유독 윤각과 유성추에게만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어서 그런 것이겠습니까. 더구나 윤각이 억울하게 죽은 것이 결국 그의 수중에서 나왔으니, 어찌 관대하다고 하겠습니까.
다만 상대의 마음을 헤아림은 능란하고 자신의 속마음은 깊고 은밀하였으니, 가령 김일경(金一鏡)의 계책이 성공하면 스스로 족히 그 복록은 함께 누리며, 만에 하나 실패하면 함정에 밀어 넣고 돌까지 떨어뜨려서 서로 의견을 달리하는 자취를 실증하려 한 것이요, 또 이러한 외면의 관대한 모습으로 진로를 전환할 수 있는 한 가닥 길을 은밀히 만들어 두었다가 뒷날 죽음을 면할 수 있기를 바란 것이니, 교활한 토끼가 세 개의 굴을 파 놓는 것과 너무도 같습니다.
그런데도 스스로 끝내 박상검의 사당(私黨)이 됨을 면치 못할 줄 알고는, 마침내 임금의 병환을 숨기는 한 가지 일에 마음을 기울여 성공시켜서 반드시 천하 후세로 하여금 경종께서 승하할 때의 상황을 명백히 알지 못하게 하여, 은밀히 수년 간 위엄과 복을 제멋대로 부린 죄에서 스스로 빠져나오려고 하였습니다. 전하에 대한 망측한 무함도 저절로 그 안에 들어 있으니, 그 계책이 망극하다고 이를 만합니다.
비록 참형(斬刑)에 처하여 몸뚱이를 만 동강 낸다고 해도 그 죄를 대속할 수 없는데, 전하께서는 그 실정을 깨닫지 못하실 뿐만 아니라 도리어 상당히 관대한 의론을 주장한 자인 줄로 알고 계시니, 진실로 생각이 세밀하지 못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간혹 선왕의 병환에 대해 언급하는 말이 있으면 전하께서는 매양 차마 제기할 수 없는 말이라고 하교하시고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이를 모두 숨기고 감히 말하지 못하게 하여 장차 이광좌의 흉계와 들어맞게 하고자 하시니, 또한 너무나도 잘못된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가 말할 때에는 교묘하게 임금의 마음에 맞게 하고 전상(殿上)으로 올라가서는 조심스럽게 꿇어 엎드려 있는 것을 보면 군신의 분수를 조금 아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 김일경이 일찍이 금오(金吾)의 장관(長官)으로 있을 적에는 목호룡을 원훈(元勳)에 책봉하였고, 이광좌 자신이 정석(鼎席)을 차지하고 있을 적에는 김일경을 팔좌(八座)에 발탁하였으니, 진실로 전하에 대해 조금이라도 돌아보고 꺼리는 마음이 있다면 어찌 감히 이렇게 무례한 짓을 할 수 있겠습니까. 전하의 영명(英明)하심으로도 오히려 그들의 술수에 빠짐을 면치 못하여 곡진히 비호해 주시니, 신들은 삼가 애통하고 한스럽습니다.
오늘날 신자(臣子)의 급선무는 군부(君父)의 무함을 밝히는 것보다 더 시급한 것이 없습니다. 무함을 밝히는 방법은 다름이 아니라 오직 여러 역적들의 패란하고 음특한 죄상을 낱낱이 헤아려 시조(市朝)에서 처형하여 시체를 조리돌려서 나라 안의 사람들로 하여금 종래에 들었던 의혹을 시원스레 풀게 하고 백세 뒤에도 전하의 심사가 광명하다는 것을 환히 알게 하는 것뿐이니, 이렇게 한 뒤에야 비로소 신자의 본분을 다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삼사(三司)에 있는 자들 또한 어찌 이것을 모르겠습니까. 그러나 일단 이의연(李義淵)이 죽음을 당한 뒤로 다시는 감히 ‘성질(聖疾)’이라는 두 글자를 장주(章奏)에 드러내지 못하다 보니 원흉에 대해서도 입을 다물고 침묵을 지킨다는 비난을 면하지 못하였고, 우두머리는 내버려 두고 수족 노릇을 한 자만 거론하여 그들이 역적이라는 것을 밝히지 못하였으니, 어찌 성상을 깨우치기를 바랄 수 있겠습니까. 이는 모두 전하께서 인도하여 그렇게 만드신 것입니다.
아, 조태구와 최석항이 왕법에 의해 처형당하지 않았으니 먼저 천벌을 받은 자들이 진실로 이미 한스러워할 만합니다. 그런데 이광좌가 몰래 계책을 주장하여 군부를 무함하고 모독한 것은 그 죄상이 조태구와 최석항의 죄보다 만배나 되고, 유봉휘로 말하면 일을 맨 처음 시작하여 실로 역적들의 흉악한 모의를 열어 놓았으며, 조태억은 김일경으로 하여금 교문(敎文)을 대신 짓게 하여 나라 사람들의 의혹을 더욱 일으켰으니, 어찌 이러한 무리들을 하루인들 천지 사이에 살려 두어 윤리와 강상이 밝혀지지 않고 천토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겠습니까.
아, 이들이 여러 해 동안 쌓은 죄악이 하늘에까지 이르렀으니, 비록 남산의 대나무를 다 가져다 쓴다고 해도 대나무가 모자라 다 쓸 수가 없습니다. 더구나 윗사람을 무고하고 반역죄를 범한 자가 이 몇 사람뿐만이 아니어서 신들이 모두 다 논핵할 겨를이 없음에야 말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다만 바라건대, 전하께서는 특별히 용단하여 크게 위명을 내리셔서 이광좌, 유봉휘, 조태억 등의 죄를 속히 바로잡으시어 귀신과 사람의 통분을 조금이나마 풀어 주소서.
그 나머지 주벌하지 않을 수 없는 흉악한 역적들도 모두 한결같이 공공한 의논을 따라서 차례대로 논단하여 일찍 처분을 내리시어 난신적자의 무리들로 하여금 두려워할 줄 알게 하고 군신 간의 분수가 크게 정해지게 하소서. 일국의 신민들이 역적들과 한 하늘 아래에서 함께 사는 치욕을 면하게 하고, 300년 동안 예의를 지켜 온 나라가 이적과 금수가 되지 않게 하신다면 국가로 보나 세도(世道)로 보나 매우 다행일 것입니다. 신들은 지극히 분통하고 억울하여 간절히 기원하는 마음을 금할 수 없어 삼가 죽음을 무릅쓰고 아룁니다.”
하였다.
[주D-001]본분을 다하지 못한다 :
[주D-002]안석에 …… 유명 :
[주D-003]이천해(李天海)의 변고 :
[주D-004]삼수(三手) :
[주D-005]이광좌는 …… 중표형제(中表兄弟) :
[주D-006]대의멸친(大義滅親) :
[주D-007]함정에 …… 떨어뜨려서 :
[주D-008]교활한 …… 것 :
[주D-009]남산의 …… 없습니다 :
ⓒ 한국고전번역원 ┃ 박승주 (역) ┃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