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즈 비용은 매해 뜨겁게 달궈지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오죽하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지면 1면 하단에 '결혼식 전 비싼 장애물: 4500달러(약 570만원)짜리 청혼’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내기까지 했을까요?
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의 최근 청혼 트렌드가 하루 숙박비가 100만원이 넘는 고급 호텔에서 명품 가방과 장신구 등을 선물하는 것이라는 겁니다.
게다가 프로포즈는 자신과 결혼할 사람에게 마음을 표현하는 것인데, 한국의 커플들은 부모님의 허락을 받은 뒤 결혼 날짜를 정하고 난 뒤, 결혼식 날도 잡고서 공식적으로 청혼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을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 경쟁적으로 업로드하면서 '허례허식' 문화를 부추긴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느 한 직장인은 WSJ와의 인터뷰에서 5성급 호텔에서 남자친구에게 청혼 선물로 디올 핸드백을 받았는데, 이에 대해 "한국에서는 자기 혼자만 트렌드를 따르지 않는 건 쉽지 않기 때문에 유행을 따르는 게 좋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여성은 프로포즈에 대해 큰 생각은 없었지만 친구들끼리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서로 어떤 것을 받았냐고 묻다보면' 자연스레 프로포즈 선물에 대해 의식된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끝으로 WSJ는 "한국 결혼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큰 비용이 드는 호화로운 호텔 청혼은 혼인율을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커플들에게는 부담을 주는 웨딩 트렌드"라고 꼬집었습니다.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사는 거지
한국인들의 비교문화가 허례허식을 불러일으키는 주된 요소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정성과 시간을 들여 상대방을 감동시키는 프로포즈가 더 각광받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