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고건축 우보만리 한옥에 대하여…
 
 
 
카페 게시글
옛날집 모음 스크랩 순천 선암사(3) - 불조전/장경각/원통각 外
우보만리 추천 0 조회 214 12.08.23 08:5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순천 선암사(3) - 불조전/장경각/원통각 外

1. 불조전(佛祖殿) 

대웅전 뒤쪽의 중심축선상에 팔상전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불조전은 과거칠불과 미래억겁천불의 불조인 오십삼불, 즉 육십불을 모시는 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주심포 형식에 익공형식이 가미된 조선후기의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어칸은 4분합, 퇴칸은 2분합 빗살문이다

 높은 축대로 대지를 형성하고 낮은 외벌대 기단을 이루었다.

 덤벙주초와 다듬어진 원형초석을 섞어쓰고 두리기둥을 세웠다.

 귀공포.   옆의 팔상전은 수리중.

  1출목.

 

 2. 장경각(藏經閣)

건물의 명칭이 의미한데로 각종 경전을 보관하는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집이다. 대웅전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기단은 장대석형 석재로 정면은 세벌대, 측면은 외벌대로 쌓았다. 선암사의 대부분의 건물이 그러한 것처럼 기둥머리에는 창방을 걸치고 그 위에 주두를 얹고 주심포 형식을 하면서도 익공 형식을 가미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양식은 조선후기의 목조건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형식으로 주심포와 익공 형식의 전형적인 모습을 혼합한 모습이다.  측면과 뒷면 공포는 2익공식의 짜임을 보이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집.

 창문은 2분합 빗살문.

 어칸 좌우에 용두 장식을 하였다.

  

 3. 원통각(圓通閣,순천시유형문화재  제169호)

원통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아담한 건물로 정면에 2개의 기둥과 2개의 활주를 내어 사찰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丁'자형 평면이다. 기단은 장대석으로 전면은 약 1m 정도 되는 축대를 쌓았고 양측면과 후면은 외벌대로 되어있다. 초석은 덤벙주초와 일부는 원형 다듬돌로 위에 원형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로는 주두를 얹고 창방으로 걸었으며 창방과 장혀 사이에 화반, 동자주가 있다. 화반 위로는 장혀, 도리, 서까래순으로 짜여져 있다. 내부는 보가 없는 무량구조로서 이 지방에는 화순 쌍봉사 대웅전과 같은 구조 형식에 속한다. 내진과 외진은 간단한 벽과 문으로 구분되어 내진은 불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진의 천정은 우물반자로 짜여져 있으며 내진의 천정은 출목을 연결시켜 천정을 이루고 있다. 지붕은 전면의 돌출로 합각이 3곳인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전면 양쪽으로 쌍여닫이문과 중앙에 사분합문이 있고 양측면에는 쌍여닫이문이 하나씩 있다.

                                                                             (`참고문헌 : 선암사/빛깔있는 책들 236/대원사)

  

 

 

 

 

 

  

 

 외진 천정은 우물반자로 짜여 있다.

 대복전이라는 순조친필 현판이 걸려있다. 

22대 정조대왕이 후사가 없자 선암사 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순조를 얻게 되었는데' 뒤에 순조는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인', '천', '대복전'이란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라고 한다.

 외진 공간은 우물마루, 내진 공간은 불단을 설치하였다.

 화반

 배면. 겹처마

회첨부분의 추녀와 서까래.                                                                          (이미지: 순천시)

 

4. 삼성각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

 

5. 응진당 영역내의 전각들

응진당은 선암사의 경역 내에서 가장 뒤쪽에 있는 별도로 설치된 일종의 새로운 조그마한 승원이다. 응진당이 본 승원 영역의 주불전이고 중심축 좌측에 달마전(達磨殿), 우측에 진영당(眞影堂)이 배치되어 있다.  

 응진당 영역의 출입문

 응진당 마당에서 본 출입문

 응진당.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집. 깬돌을 교사 형식으로 높게 축대를 쌓았다.

 일출목.   주심포 형식을 하면서 익공 형식이 가미된 모습이다.

 응진당의 세살 여닫이문

 진영당

 진영당 편액 

 달마전의 승방들. 

 

 달마전 벽체의 나무선들.

미타전. 기둥위에 특별한 공포형식을 취하지 않는 민도리집이다.  

 원통전 담장 뒤편의 백매화(천연기념물 제 488호)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