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금융피해 신종 사례로 스마트폰에 온 문자를 클릭시 모바일 뱅킹과 연동 현금이 인출되는 피해 사례가 등장했다고 한다.
카자흐스탄 국민들은 서로 서로 마치 법원의 집행관이 발송한 것 같은 재산 차압에 대한 통보에 대해 경고를 하고 있다고 NUR.KZ에서 보도하였다.
“누군가 집행관으로부터 재산차압에 대한 내용을 첨부한 SMS 문자를 받는다면 그 어떤 경우에도 이 메시지를 열어서는 안됩니다! 즉시 모바일 뱅킹에서 돈을 인출해 버립니다. 이것은 새로운 보이스피싱입니다. 가까운 주변의 친구들과 친척들에게 알리십시오!”라고 현재 확산되고 있는 본문에 적혀있다.
알마타 법원 언론보도부는 집행관들은 이렇게 확산되고 있는 내용들에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혔다.
“카자흐스탄에서 집행관들은 대법원과 국가의 도시와 주에 위치한 지역 법원에서 법원의 활동을 보장하는 부서에 소속된 담당자들입니다. 집행관들의 직업적 의무에 재산차압을 부과할 권리는 없습니다.”라고 법원장 지야스 마함베토프는 말하였다.
그는 집행기관의 시스템은 법무부 기관의 재판권에 속해있고 법무부 기관의 활동은 ‘집행관의 직위와 집행기관에 대한 법’에 따라 정해져 있다.
“또한, 집행관의 연방부서는 러시아에서 근무를 한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그들의 업무에는 재판판결문 집행에 대한 보장, 다른 기관과 책임자들의 결정서에 대한 실행, 그리고 정해진 범주 내에서 감독과 감시, 법을 집행하는 의무가 포함됩니다.”라고 마함베토프는 설명하였다.
<mail.ru>
출처:카자흐스탄 한인회 발행 한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