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고물상 - 연탄길의 저자
이철환

어느
늦은 밤이었다 고물상 마당에 나갔던 아버지가
눈이 휘둥그레져 헐레벌떡 방문을 열고
들어오셨다
“여보. 누가 자전거를 빌려갔어?”
“네? 아뇨!”
“자전거가 없어졌는데!”
“자전거가 없어져요? 가게 안쪽에다
들여놓지 않으셨어요?”
“응……. 설마 했지?”
아버지는 몹시 언짢은 얼굴로 방문을
나가셨다. 산동네 이곳저곳을
살피고 온 아버지는 시르죽은 얼굴이셨다.
비록
녹이 슨 짐자전거였지만 가뭇없이 사라져 버린 자전거는
아버지에게 더없이 소중한 물건이었다.
무척이나 뒤숭숭한 밤이었다.
몹시
추운 날, 학교를 마치고 교문을 나올때였다. 학교 후문에서
한
아저씨가 오리궁둥이 같은 솜사탕을 팔고 있었다.
순간
내 시선이 솜사탕 아저씨의 자전거에 꽂혔다. 안장에
녹이
슨 모양새며 오른쪽 페달 반쪽이 떨어져나간 것이
아버지의 자전거임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분기탱천한 얼굴로
나는 부랴부랴 집으로 달려갔다.
“아버지! 아버지!”
“인석아, 무슨 열고가 났다고, 별쭝맞게
난리야?”
“아버지. 우리 학교 앞에 아버지
자전거가 있어요!
어떤
아저씨가 아버지 자전거에서 솜사탕을 팔고 있어요!”
“뭐? 솜사탕을? 자세히 본거야?”
“그럼요!” 아버지는 하던 일을 멈추고
나를 앞세웠다.
방
안에 있던 형도 상황파악을 했는지 급히 신발을 신고 따라 나섰다.
학교 후문은 아이들의 쫑알거리는 소리로
소란스러웠다.
“아버지. 저기요. 저기 저 자전거요.”
순간
아버지의 표정이 굳어졌다. 아버지는 주저주저 몇 걸음 다가서다가
주춤
뒤로 물러섰다. 솜사탕아저씨는 자전거 옆에 쪼그러앉아 밥을 먹고 있었다
그
옆에 아기를 등에 업은 아주머니와 함께였다. 부부는 시들한 김치하나로
추운
길거리에 앉아 허겁지접 찬밥을 먹고 있었다.
솜사탕아저씨가 슬픈 눈빛으로 아줌마에게
말하는 소리가 들렸다
“어서 돈을 마련해야 할 텐데.”
“유정이가 요즘 들어 부쩍 껑더리가
되었어요.
다음달에는 꼭 수술 받을수 있겠죠?”
“그럼 수술비는 얼추 마련됐으니까
입원비를 얼른 더 벌자고.”
솜사탕아저씨는 그렇게 말하고는 엄마 등
뒤에서
잠든
아기의 새파란 얼굴을 어루만졌다
멀리서도 아기의 숨소리가 가르랑가르랑
들려오는 듯했다.
솜사탕 아저씨의 두 눈에는 눈물이
글썽거렸다.
“유정아, 아파도 조금만 참아. 아빠가
얼른 돈벌어서
우리
유정이 아프지 않게 해줄게.”
나는
선득거리며 흥뚱항뚱 그들을 바라보고만 있었다. 그때 우두망찰하던
아버지가 내 손을 끌며 웅숭깊은 목소리로
말했다.
“가자! 저건 우리 자전거가 아냐!”
“우리 자전거가 맞잖아요.” “글세,
아니라도!”
아버지의 카랑카랑한 목소리에 나는 더
이상 민주댈 수도 없었다.
그로부터 한 달쯤 뒤였다.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새벽녘 방문밖에서
엄마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여보! 여기 좀 나와봐요.”
수꿀한 생각이 들었지만 나는 아버지를
따라 얼른 밖으로 나가 보았다.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고물상 마당 가득
함박눈이 펑펑 내리고 있었다.
그리고 그곳에 아버지의 자전거가
순례자처럼 하얗게 눈을 맞으며 서 있었다.
쌓인
눈 위로 누군가 살금살금 들어왔다 나간 발자국이 다문다문 찍혀있었고,
검은
비닐봉지에 담긴 사과들이 자전거 뒷자리에 앉아 빠알간 얼굴을 비비며
소복소복 흰눈을 맞고
있었다
행복한 고물상 내용중 자전거도둑
..
작가 이철환은

북한산 아래
숲속 마을에서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며 아내와 두 딸과 잣나무, 제비꽃, 딱따구리, 소쩍새, 무당벌레들과 함께 살고 있다. 풀무야학 교사로
일했으며 월간지 주변인의 길 「사색의 창」에 글을 기고하였으며 종로학원과 정진학원의 입시 영어 강사로도 재직 했다. 「씨앗」 동인으로도
활동하였다. 2000년부터 책 수익금으로 운영해 온 ‘연탄길 나눔터 기금’을 통해 낮고 그늘진 곳에 있는 이들을 후원하고 있다.
작품집으로는
『연탄길 1·2·3』,『행복한 고물상』,『곰보빵』,『보물찾기』,『못난이만두 이야기』,『반성문』과 어린이 그림 동화책 『송이의 노란 우산』,『낙타
할아버지는 어디로 갔을까』가 있다. 360만 명이 넘는 독자들이 읽은 『연탄길 1·2·3』은 일본, 중국, 대만에 수출되었고, 『곰보빵』은
일본에 수출되었다. 『연탄길』 중 「아름다운 이별」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첫 장편소설 『눈물은 힘이 세다』를 최근
펴냈다.|||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홍익대학교 판화과를 졸업한 선생님은 이야기를 자유롭게 풀어 나갈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에 매력을
느껴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그린 책으로 『펄루 세상을 바꾸다』, 『플루토 비밀 결사대』시리즈, 『줄리와 늑대』,
『새틴강가에서』, 『늑대형제』시리즈, 『꼬리빵즈』, 『졸망제비꽃』, 『송이의 노란 우산』, 『낙타할아버지는 어디로 갔을까』 등 다수가
있습니다.
북한산 아래
숲속 마을에서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며 아내와 두 딸과 잣나무, 제비꽃, 딱따구리, 소쩍새, 무당벌레들과 함께 살고 있다. 풀무야학 교사로
일했으며 월간지 주변인의 길 「사색의 창」에 글을 기고하였으며 종로학원과 정진학원의 입시 영어 강사로도 재직 했다. 「씨앗」 동인으로도
활동하였다. 2000년부터 책 수익금으로 운영해 온 ‘연탄길 나눔터 기금’을 통해 낮고 그늘진 곳에 있는 이들을 후원하고 있다.
작품집으로는
『연탄길 1·2·3』,『행복한 고물상』,『곰보빵』,『보물찾기』,『못난이만두 이야기』,『반성문』과 어린이 그림 동화책 『송이의 노란 우산』,『낙타
할아버지는 어디로 갔을까』가 있다. 360만 명이 넘는 독자들이 읽은 『연탄길 1·2·3』은 일본, 중국, 대만에 수출되었고, 『곰보빵』은
일본에 수출되었다. 『연탄길』 중 「아름다운 이별」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첫 장편소설 『눈물은 힘이 세다』를 최근
펴냈다.|||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홍익대학교 판화과를 졸업한 선생님은 이야기를 자유롭게 풀어 나갈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에 매력을
느껴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그린 책으로 『펄루 세상을 바꾸다』, 『플루토 비밀 결사대』시리즈, 『줄리와 늑대』,
『새틴강가에서』, 『늑대형제』시리즈, 『꼬리빵즈』, 『졸망제비꽃』, 『송이의 노란 우산』, 『낙타할아버지는 어디로 갔을까』 등 다수가
있습니다.
가슴 따뜻한
이웃들의 이야기를 담은『연탄길』시리즈의 작가 이철환의 신작 산문집. 이번에는 고물상을 운영하던 아버지와 어머니, 형, 누나와 함께 보낸
유년시절의 따뜻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난하고 고달픈 생활속에서도 마음만은 풍요롭고 아름다운 가족들의 이야기가 한편한편 깊은 울림과
감동을 주며, 간결하지만 서정적인 문체와 말을 아끼는 작가 특유의 어법이 긴 여운을
남긴다.
껌팔이
소녀를 데려다 라면을 끓여먹이고는 그들에게 받은 껌 한 통을 어쩌지 못해 못내 가슴 아파하던 아버지에 대한 기억, 비가 새는 지붕을 탄탄히
막고자 우산을 들고 지붕에 올라가 앉아 있던 아버지를 못 본 체 해야했던 기억 등 가난에 얽힌 마음 아픈 이야기들도 있지만, 넉넉한 품성의
부모, 자신과 같은 생김새만큼 잘 통하는 쌍둥이 형과 예쁜 누나, 그리고 사회에서 만난 좋은 사람들과 함께 했던 훈훈한 이야기들도 들어있어
눈물과 웃음을 동시에 선사한다.
도서관에
있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