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양재클럽(Y-Club) 원문보기 글쓴이: choiclon
서산 보원사지
![]() ![]()
|
서산 마애삼존불상 에서 그리 멀리 않은 곳에 보원사와 보원사지를 둘러본다.
지금은 발굴중이며,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승려 1000여명이 있었던 대사찰임을 알수 있었다.
신라 말∼고려 초에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雲山面) 용현리(龍賢里) 상왕산(象王山) 북쪽에 있던 절터이다. 이곳에 있던 절을 강당사(講堂寺)라고도 하였다.
현재 건물은 없고 아주 넓은 절터에는 보물로 지정된 석조(石槽:보물 102)·당간지주(幢竿支柱:보물 103)·5층석탑(石塔:보물 104)·법인국사보승탑(法印國師寶乘塔:보물 105)·법인국사보승탑비(보물 106) 등과 그 밖에 쇠로 만든 불상이 있다.
당간지주
보물 제103호. 높이 4.2m. 재료는 화강암.
동서로 서로 마주보는 지주의 안쪽 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으나 바깥쪽 면은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넓은 종대(縱帶)를 양각하였으며, 중앙에는 다시 호형(弧形)의 종선(縱線)을 조식하였다. 두 지주의 양측면에 조식된 종대나 정부(頂部)에 가공된 유려한 기법은 주목할 만하다.
형태 및 정연하고 장식적인 양식과 수법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통일신라시대임을 알 수 있다.
시냇물을 건너 가야 5층석탑과 법인국사보승탑을 볼수 있다.
5층석탑
보물 제104호. 높이 약 9m. 2중 기단(基壇) 위에 5층 탑신(塔身)을 형성한 사각형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양식과 고려시대의 양식을 동시에 갖추었다. 하층 중석(中石)의 각면에 우주(隅柱)가 있고 2주(柱)의 탱주(撑柱)로 3분(分)한 다음 각각 사자상(獅子像)을 양각하였으며, 여러 개의 판석(板石)을 이용하여 갑석(甲石)을 삼았다. 상륜부(相輪部)는 정상에 노반석(露盤石)이 놓여 있고 그 위에는 철제(鐵製) 찰간(擦竿)이 남아 있을 뿐, 다른 부재(部材)는 남아 있지 않다. 각부의 조각이 천각(淺刻)되어 다소 무기력한 감이 없지 않으나 당당한 느낌을 주는 석탑이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발굴모습
법인국사 보승탑비
보물 제106호. 전체 높이 4.25m, 비신 너비 1.2m. 재료는 화강석. 비문의 자경(字徑)은 1.5cm의 구양수체(歐陽修體) 해서(楷書)이며, 김승렴(金承廉)이 각자(刻字)하였다. 비는 매우 높고 크며 함주(含珠) 귀부(龜趺)는 장쾌한 조형이나 이수(螭首)는 얼마간 도식화되어 있다. 978년(경종 3)에 건립되었다.
법인국사 보승탑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05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4.7m, 지대석(地臺石) 지름 1.72m.
8각 원당형(圓堂形)의 부도(浮屠)로서 지대석은 8각이며, 각 면에는 안상(眼象)을 조각하였고, 하대석(下臺石) 윗면에는 운룡(雲龍)무늬가 조각되었으며, 각 우각(隅角)마다 귀꽃이 솟아 있다. 중대석은 8각으로 아무런 조식(彫飾)이 없고, 상대석 역시 8각인데 밑에는 3단의 낮은 받침이 있고 윗면에는 우각마다 동자주(童子柱)를 세운 난간이 둘려 있다. 탑신(塔身)도 8각이며, 옥개(屋蓋)에는 서까래가 있고 상면(上面)은 경사가 심하여 우동(隅棟)이 아주 뚜렷하다. 옥개(屋蓋) 정상에는 복발(覆鉢)을 얹었고 연화무늬가 장식된 크고 작은 보륜(寶輪) 3층을 올려놓았다.
978년(경종 3)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조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외곽 길이 3.5m, 너비 1.8m, 높이 0.9m이다.
거대한 화강암의 내부를 파내어서 조성한 직사각형의 석조로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양식을 따랐다. 대개의 석조가 그렇듯이 사방의 구연부(口緣部)보다는 밑바닥으로 내려가면서 중후한 느낌을 준다. 밑바닥은 평평하며 바닥의 한쪽에 구멍을 뚫어 배수구를 만들었다. 하나의 돌로 조성한 것이며, 내외의 4면은 아무런 장식문양이 없는 소박한 평벽(平壁)이다. 형태가 가장 클 뿐만 아니라 조각수법이 소박하고 웅장하여 당대 석조의 대표격이다.
보원사지에 있는 다른 유물들이 대개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 초기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석조 역시 그 치석수법(治石手法)이나 양식으로 보아 같은 시대인 10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보원사
첫댓글 잘 구경하고 갑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백제의 향기가 담긴곳..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v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