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각호지맥 제5구간 시궁길(오탄기지국)에서 합수점까지
산행날짜: 2015년 6월 19일 금요일 맑음
위치: 충청북도 영동군
산행구간: 시궁길(오탄기지국)~279.7m봉~▲260.5m봉~314.4m봉~갈고개~▲139.0m봉~합수점
산행자: 천자봉 홀로
영동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07:40에 각계리로(버스행선지는 산이로 표시되어있음) 출발하는 버스에 승차하여 약10여분후
우측의 점말 마을에서 하차해야 하는데 기사님께서 좀더 진행해야 점말이라 안내를 하시기에 제가 하차해야할 지점이
이곳이라 말씀을 드려도 더 가야한다고 하시기에 그냥 이곳에서 내려달라 부탁드려 지난번 구간에서 하산후 도착했던
하늘농원 입구 삼거리에서 하차하여 우측의 시궁길을 따라 오름길로 약10분동안 진행하여 오탄기지국 앞에 도착합니다
*** 점말이란 동네가 각계리에도 두곳이 더 있다는 것을 지형도를 확인하고 알았습니다***
(비탄정류장을 지나서 다음정류장에서 하차를 해야합니다)
각호지맥 제5구간 지형도입니다 ↓

영동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각계방향 07:40 버스를 이용합니다(버스 앞유리에는 산이리로 표시됨)↓
기사님께 부탁하여 삼거리에서 하차했습니다 ↓
들머리에 도착했습니다 ↓
08:03 오탄기지국을 출발했습니다
우향으로 굽어 돌아가는 도로에서 좌측의 오탄기지국 뒤로 이어지는 오름길을 올라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Y자형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11시 방향의 완만한 오름길을 이어가 지면이 넓은 사면 바위로 형성되어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능선이 분기되고 길이 갈라지는 T자형 갈림길에 도착후 우측3시 방향으로 전환하여 커다란 바위들이 자리한 능선 끝에
도착후 좌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봉분위에 풀이 전혀 없는 흙묘1기의 묘터와 또 다른 묘터를 연이어 통과하여 잡목지대의
완만한 길을 진행후 좌우측으로 희미한 길이 연결되며 굵은 느티나무 한구루가 자리한 십자로 안부 갈림길을 지나서
오르막길을 올라 능선정상에 도착후 우향의 완만한 길을 이어가 279.7m봉에 도착합니다
오탄기지국을 출발했습니다 ↓
08:46 279.7m봉에 도착했습니다
준,희님의 안내판이 나무에 부착되어있으며 좌우측의 능선이 분기되고 길이 연결되는 T자형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9시
방향의 완만한 길을 이어가 우측에 새로 조성한 사각석곽묘2기와 또 다른 석곽묘2기가 자리하며 좌측의 희미한 길과
우측의 뚜렷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인 전주최씨가의 묘터에 도착해 좌측의 희미한 길을 짧게 올라 낮은 봉우리에 도착후
(이지점에서 첫 독도실수함)우측3시 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조금전 묘터에서 갈라졌던 뚜렷한 길과 합류되어 흙묘3기와
사각석곽묘2기가 자리한 전주최씨가의 길고 넓은 묘터를 뚜렷한 내림길로 통과하여 길이 우향으로 굽어 돌아가는 지점에
도착하여 좌측의 희미한 잡목지대를 진행했다 되돌아오는 두 번째 실수를하고 우향의 길을 이어가 좌측11시 방향과
우측2시 방향의 길이 갈라지는 Y자형 갈림길에 도착후 우측의 내림길을 내려가 좌우측으로 연결된 임도에 도착하는
세 번째 실수를 한후 되돌아 올라와 정면12시 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임도에 도착해 좌측의 임도를 진행후 임도가
좌향으로 굽어 돌아가는 지점에서 임도를 버리고 직진의 잡목지대를 진행하여 낮은 능선정상에 도착후 좌측9시 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안부 갈림길에 도착합니다
297.7m봉에 도착했습니다 ↓
묘터를 통과합니다 ↓
09:41 안부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낙엽송 숲이 형성된 우측으로 고랑길이 연결되며 좌측에 개망초가 군락을 이루고있는 넓은 개활지가 형성된 갈림길을
통과하여 좌측 개활지의 완만한 오름길을 올라 개활지 상단부에서 우측으로 이어지는 오름길을 올라서 정면의 봉우리를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우향의 뚜렷한 길을 버리고 좌측의 급경사 오르막길을 올라 능선정상에 도착하여 좌향의 완만한
오름길로 전환되어 좌우측으로 능선이 분기되며 길이 연결되고 정면의 넓은 벌목지가 나무사이로 조망되는 분기봉에
도착하여 우측2시 방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석상과 망주석이 설치된 흙묘1기를 지나 연이어 나타나는 묘터를 두 번 지나서
안부에 도착해 좌측 벌목지와 나란한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지나온 후방의 마루금과 좌측 아래의 피골방향이 조망되는
벌목지 상단부를 지나 간벌된 나무들이 널려있는 완만한 오름길을 짧게 올라서 좌우측으로 길이 연결되는 T자형갈림길에
도착합니다
안부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안부갈림길에서 좌측의 개망초가 군락을 이루고있는 개활지를 올라갑니다 ↓
좌측 벌목지의 오르막길을 올라갑니다 ↓
10:17 290m봉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T자형 갈림길에서 좌측9시 방향으로 짧게 이어가 진행해야 할 좌측 벌목지와 나란한 길과 직진의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또 한번 독도 실수를하여 직진의 내림길을 내려가 봉분이 커다란 흙묘2기가 자리한 묘터에 도착하여 짧은
휴식을 취하며 지형도를 확인하니 이번에도 좌측의 마루금을 짧게 이탈했음을 알고 갈림길로 되돌아가 좌측의 벌목지와
나란한 내림길을 진행후 흙묘4기가 자리한 묘터를 지나서 기초대가 없는 삼각점과 안내판이 설치된 260.5m봉에 도착후
잡목지대의 완만한 내림길을 내려가 좌우측으로 길이 연결되는 얕은 안부를 통과해 오래전에 벌목하여 잡목들이 우거진
능선정상에서 진행해야할 314.4m봉과 좌측의 영동읍내를 조망하고 우향으로 전환되어 무명봉에서 좌향으로 이어가
우측으로 멀리 초강리와 용당리의 농경지가 조망되는 지점을 지나서 314.4m봉에 도착합니다
벌목지 상단부 갈림길 봉우리에 도착하여 지나온 후방을 조망했습니다 ↓
좌측의 피골방향을 조망했습니다 ↓
260.5m봉에 도착했습니다 ↓
올라야할 봉우리를 조망했습니다 ↓
좌측 멀리 영동읍이 조망되었습니다 ↓
314.4m봉으로 진행하며 우측 용당리 방향을 조망했습니다 ↓
11:19 314.4m봉에 도착했습니다
준,희님의 안내판이 부착되어있으며 흙묘1기가 자리한 봉우리에서 우향으로 전환되어 짧은 돌계단을 세번내려가 좌우측의
길이 연결되는 갈림길에 도착하여 우측의 벌목지대와 나란한 내리막길로 전환하여 우측 아래의 용당마을을 조망후
우측 벌목지로 길이 연결되는 안부 갈림길을 지나서 좌측의 뚜렷한 길과 우측의 희미한 길이 갈라지는 250m봉에 도착해
좌측으로 짧게 올라 훼손되어있는 움막이 자리하며 “新 氣 盛 堂 신선공기흡입휴양소”의 안내판이 지면에 떨어져있는
쉼터봉에 도착후 되돌아 내려가 250m봉 갈림길에서 우측의 벌목지와 나란한 내림길을 내려가 임도에 도착합니다
314.4m봉에 도착했습니다 ↓
314.4m봉을 내려가며 우측을 조망했습니다 ↓
훼손된 쉼터입니다 ↓
우측의 지나온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11:45 임도에 도착했습니다
“2013 바이오 순환 조림지”의 안내표지목이 설치된 임도를 가로질러 아카시나무와 잡목들이 우거진 오름길을 올라서
석상이 설치된 묘1기가 자리한 190m봉에 도착후 좌측9시 방향으로 전환하여 아카시나무 군락지를 어렵게 내려가 조금전
통과했던 임도에 도착하여 임도를 짧게 내려가 좌측11시방향과 우측3시 방향으로 갈라지는 임도 삼거리에 도착후
정면에 형성된 소나무 숲의 완만한 길을 이어가 송씨가의 흙묘2기가 자리한 묘터를 지나 소나무 숲의 완만한 지역에서
휴식겸 점심식사를 마치고 가느다란 아카시나무가 군락을 이루고있는 낮은 능선에서 좌측9시 방향으로 내려가 좌우측으로
연결된 폐임도를 횡단하여 벌목지대의 오름길을 올라 우측으로 진행해야할 마루금과 세멘트 구조물 공장을 조망후 연이어
나타나는 묘터를 우측1시 방향으로 내려가 갈고개에 도착합니다
임도에 도착했습니다 ↓
묘터에서 갈고개 우측을 조망했습니다 ↓
12:42 갈고개에 도착했습니다
좌측의 각계리와 우측의 용당리를 경계하는 편도1차로에서 우측 용당리 방향으로 짧게 이어가 좌측의 복숭아 밭과 우측의
가옥사이로 이어지는 좁은 세멘트 길을 짧게 올라 좌측의 넓은 묘터가 조성된 지점에서 비포장 임도로 전환되어 우측
아래의 세멘트 구조물 공장을 지나서 여러번의 묘터를 통과하며 좌향과 우향으로 진행하여 좌측 아래에 석곽묘1기가
자리한 묘터에서 독도 실수로 좌측의 잡목지대를 진행했다 되돌아와 우향의 완만한 임도를 이어가 세멘트 포장도로가
좌우측으로 굽어 돌아가며 좌측8시 방향의 임도가 합류되는 갈림길에 도착하여 우측의 세멘트 도로를 진행후 도로가
우향으로 굽어 돌아가는 지점에서 직진의 비포장 임도로 전환되어 삼각점이 설치된 139.0m봉에 도착합니다
갈고개에 도착했습니다 ↓
후방의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갈림길 좌측입니다 ↓
13:17 ▲139.0m봉에 도착했습니다
기초대 번호가 없는 삼각점과 안내판이 설치된 낮은 능선정상에 도착하여 완만한 임도를 진행후 잡목이 우거진 지역에서
폐임도로 바뀌어 정면이 탁트여있으며 흙묘 여러기가 조성된 넓은 묘터에서 정면의 초강리와 우측의 용당리를 조망후
내림길을 내려가 흑염소들이 묶여있는 넓은 공터를 통과하여 좌측의 경부선 철길과 나란한 세멘트 포장도로의 옹벽을
내려가 좌측 철길을 통과하는 지하통로가 막혀있는 도로에 도착해 철길과 나란한 우측의 도로를 짧게 이어가 철길을
통과하는 우측의 지하차도 위를 지나서 약10여분간 세멘트 포장도로를 진행하여 정면에 초강이 흐르고 좌우측으로 연결된
편도1차로의 도로에 도착하여 좌측 철길 교각을 통과후 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있고 우측의 심천교가 이어지는 사거리에
도착하여 버스정류장 우측으로 이어지는 제방길을 진행후 합수점에 도착합니다
139.0m봉입니다 ↓
묘터에서 정면의 초강리 방향을 조망했습니다 ↓
우측의 용당마을입니다 ↓
좌측 철길 아래의 도로를 진행하게 됩니다 ↓
철길 지하통로가 막혀있는 지점에서 도로를 진행합니다 ↓
우측의 도로가 지하차도를 이용하여 철길을 통과합니다 ↓
초강 앞 도로에 도착하여 좌측의 철길 교각 아래를 통과합니다 ↓
도로 우측 용당리 방향입니다 ↓
심천교 앞 사거리에 도착했습니다 ↓
13:55 합수점에 도착했습니다
우측의 초강과 좌측의 금강이 합수되는 지점에서 그동안 진행해왔던 각호지맥을 무사히 마치고 금강을 따라 이어지는
제방길을 이어가 경부고속철도의 교각에서 좌측9시 방향으로 이어지는 좁은 도로를 이어가 편도1차로에 도착하여 우측의
심천중학교 앞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에서 배낭을 정리후 심천에서 14:30에 영동으로 출발한 버스가 약10분후에 도착해
승차후 영동시장에서 하차하여 정면의 로터리를 지나 철길지하통로를 통과후 인삼사우나에 들어가 샤워를 마치고
영동역까지 도보로 이동후 서울행 무궁화 열차로 이른 시간에 무사히 귀가를 했습니다
합수점에 도착했습니다 ↓
초강리에 도착했습니다 ↓
초강리에 위치한 심천중학교에 도착했습니다 ↓
지맥산행거리= 10.52km (마루금이탈거리 6회: 0.96km 포함)
접속거리: 점말~오탄기지국앞= 0.65km
지맥산행시간: 05시간52분 (점심식사시간: 약30분 마루금이탈시간 6회 : 40분 포함)
시궁길 오탄기지국 출발(08:03)~합수점 도착(13:55)
접속시간: 11분
점말 출발(07:52)~오탄기지국 도착(08:03)
산으로 갈 때
서울역~영동역= 무궁화열차(13,700원)
영동역~점말삼거리 = 농어촌버스
집으로 올 때
합수점~초강리 심천중학교 버스정류장= 도보
심천중학교 버스정류장~영동로터리 = 농어촌버스
영동역~서울역= 무궁화열차
동일버스(043-742-3971)
점말 마을방향
영동역앞~각계리(산이리)= 07:40 영동~용당= 10:10 16:30
심천~영동방향
13:20 14:30 15:40 17:30 18:50
첫댓글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