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3위의 전기 생산국이자 소비국 -
- 다수의 현지 제조사 보유에도 불구하고 수입 수요 상승세 -
- 농업 및 산업부문의 활성화로 에너지 효율 높은 전기모터와 발전기 수요 증가-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교류발전기
ㅇ HS Code: 8501.61, 8501.62
□ 인도 교류발전기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및 전망
- 고효율 전기모터와 발전기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도의 전기모터 시장규모는 2023년까지 22억5000만 달러를 넘어설 전망임. 중소도시의 인구 증가, 도시화와 더불어 제조업 육성정책(Make in India), Smart City Mission 프로젝트 등 성장 가능성이 다대
- 전기모터의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농업 및 산업 부문에서 전기모터와 발전기 수요 증가, HVAC 시스템 적용 확대,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요 증가 등이 예상됨. 하지만 대형 출력 발전기 및 고용량 모터는 가격 요인으로 인해 성장이 다소 제약
교류전력에 따른 분류 및 HS Code
AC 전력 분류 | HS Code |
75kVA 미만 | 8501.61 |
75~375kVA | 8501.62 |
375~750kVA | 8501.62 |
750kVA 이상 | 8501.62 |
자료원: IBEF
□ 인도 교류발전기산업
ㅇ 교류발전기산업 현황
- 인도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전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전력 수요 증가세에 비해 전력 생산 및 전력망이 부족해 지난 몇 년간 백업 전력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KPMG 보고서에 의하면 인도에서 약 30만 대의 통신타워가 만성적인 정전을 겪고 있음. 고급 호텔, 아파트, 병원, 공항, 데이터 센터, 제조시설, 상하수도 시설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고 있음.
- 15~75kVA 디젤발전기는 주로 통신타워에 사용되며 전체 수요의 55~60%를 차지함. FY 2009/10 기준 디젤발전기의 매출점유율은 78%를 기록했는데 FY 2016/17 기준 56% 수준으로 하락
- 민간부문에서는 대부분 작은 용량인 LHP(<160kVA)의 발전기를 선호하며, 연간 3만 대의 발전기가 판매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ㅇ 교류발전기산업 수요
- TechSci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디젤발전기 시장은 2019년까지 199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인도의 경우 2017~2020년 인프라 시장의 수요 증가로 인해 디젤 발전기 수요가 연평균 10%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인도 정부는 FY 2018/19 예산안을 통해 2만5000km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전년도의 22km/일에서 41km/일로40%가량 확대된 수치임. 향후 5년 동안 855km의 철도건설에 3조 루피의 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500~1000kVA까지 다양한 용량의 발전기가 사용될 전망임.
□ 유망 수입품목
ㅇ HS Code 8501.61(전력 < 75kVA)
- Global Trade Atlas 2018년도 보고서에 의하면 75kVA 미만 전력 교류발전기의 대략 80% 이상은 중국, 이탈리아, 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이는 고사양 제품 외에 저가의 중국산제품도 선호도가 높은 것을 의미함.
- 현지 시장 내 발전기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 제품 수입이 증가되는 추세이므로 한국 기업의 발전기 제품에 대한 수입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인도 75kVA 미만 교류발전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501.61)
(단위: 달러,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2016 | 2017 | 2018 (~2분기 누계기준) | 2016 | 2017 | 2018 (~2분기 누계기준) |
-
| 전 세계 | 1,035,194 | 1,355,542 | 2,565,238 | 100.00 | 100.00 | 100.00 |
1 | 중국 | 180,999 | 342,041 | 880,496 | 17.48 | 25.23 | 34.32 |
2 | 이탈리아 | 422,954 | 514,341 | 752,145 | 40.86 | 37.94 | 29.32 |
3 | 미국 | 120,028 | 41,436 | 551,282 | 11.59 | 3.06 | 21.49 |
4 | 영국 | 59,032 | 1,235 | 115,398 | 5.70 | 0.09 | 4.50 |
5 | 독일 | 39,532 | 116,442 | 82,380 | 3.82 | 8.59 | 3.21 |
6 | 스웨덴 | 570 | 69,269 | 72,737 | 0.06 | 5.11 | 2.84 |
7 | 네덜란드 | 0 | 0 | 46,416 | 0.00 | 0.00 | 1.81 |
8 | 캐나다 | 30,432 | 31,878 | 26,658 | 2.94 | 2.35 | 1.04 |
9 | 프랑스 | 3,325 | 3,850 | 7,438 | 0.32 | 0.28 | 0.29 |
10 | 리투베니아 | 0 | 0 | 6,822 | 0.00 | 0.00 | 0.27 |
11 | 스페인 | 14,117 | 115,442 | 6,629 | 1.36 | 8.52 | 0.26 |
12 | 한국 | 54,623 | 8,448 | 3,653 | 5.28 | 0.62 | 0.14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8501.62(전력 75~375kVA)
- 2018년 미국산 수입액이 총 수입 수요의 약 60%로 현지 시장 내 중-고전력 교류발전기의 최대 수입국임.
- 중-고전력 교류발전기의 경우, 수입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Mahindra사와 같은 현지 생산업체들의 시장점유로 수입액은 비교적 크지 않은 편임.
인도 75~375kVA 교류발전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501.62)
(단위: 달러,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2016 | 2017 | 2018 (~2분기 누계기준) | 2016 | 2017 | 2018 (~2분기 누계기준) |
-
| 전 세계 | 200,530 | 590,553 | 8,747,388 | 100.00 | 100.00 | 100.00 |
1 | 미국 | 71,975 | 144,231 | 5,307,537 | 35.89 | 24.42 | 60.68 |
2 | 독일 | 14,512 | 231,408 | 1,577,264 | 7.24 | 39.18 | 18.03 |
3 | 중국 | 1,480 | 33,193 | 994,796 | 0.74 | 5.62 | 11.37 |
4 | 프랑스 | 4,254 | 0 | 331,062 | 2.12 | 0.00 | 3.78 |
5 | 싱가포르 | 0 | 330 | 231,459 | 0.00 | 0.06 | 2.65 |
6 | 이탈리아 | 16,243 | 0 | 169,613 | 8.10 | 0.00 | 1.94 |
7 | 영국 | 11,397 | 179,162 | 100,535 | 5.68 | 30.34 | 1.15 |
8 | 스위스 | 1,630 | 0 | 19,504 | 0.81 | 0.00 | 0.22 |
9 | 스웨덴 | 0 | 0 | 9,560 | 0.00 | 0.00 | 0.11 |
10 | 네팔 | 0 | 0 | 3,102 | 0.00 | 0.00 | 0.04 |
11 | 멕시코 | 0 | 0 | 2,751 | 0.00 | 0.00 | 0.03 |
12 | 한국 | 62,139 | 0 | 204 | 30.99 | 0.00 | 0.00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경쟁기업 현황
- 인도는 교류발전기 시장이 체계화돼 있지 않으며 저가 제조품을 공급하는 인도 국내 제조업체가 다수 존재함.
- 인도의 Kirloskar는 발전기 세트 제조사에 교류발전기를 공급하는 가장 큰 업체임. 직접 발전기 세트를 제조하며 교류발전기를 세트의 한 부품으로 사용하는 주요 업체들도 있음.
용량별 주요기업 동향
Low HP(15~75kVA). | Mid HP(75~375kVA) | High HP(< 200kVA) |
- Mahindra, Ashok Leyland 및 KOEL은Low HP 부문 시장의 선두주자임. - Cooper Industries, FG Wilson, JCB India, Cummins India와 같은 신규업체들도 진출 및 점유율 확대 하에 있음. - 이 부문은 인도 디젤발전기 시장 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경쟁이 치열해 수익성이 낮음. | - KOEL과 Cummins가 Mid HP 부문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Mahindra, FG Wilson, Cooper Corporation, Ashok Leyland사들의 진출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 Mahindra는 현재 200kVA 미만의 시장 내 진출해 있지만 Navistar로부터 기술 전수로 회계연도 2018년 2분기에 상용 출시를 계획하고 있음. - Cummins와 KOEL사에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됨. |
자료원: Cgglobal
기업별 시장점유율(단위: %)
기업명 | 점유율 |
Cummins | 37 |
KOEL | 25 |
Mahindra | 16 |
Perkin | 7 |
그 외 | 15 |
자료원: Cgglobal
ㅇ 인도 시장 내 교류발전기 관련 주요 기업과 제품
이미지 | 기업명 | 제품 사진 | 세부사항 |

| Kirloskar Electric Company | 
| AC 발전기 5-650kVA 프레임: 160~355 출력: 7.5kVA~625kVA 전압: 240V/415V 주파수: 50/60Hz 단열재: H RPM: 1,500 엔클로저: IP:20 규정:+/-1% |

| CG Power and Industrial Solutions Limited |  | CG LV 3 Phase Brushless 발전기 프레임: 132~400 출력: 5kVA~1,010kVA 전압: 240/415V 빈도수: 50/60Hz 단열재: H RPM: 1,500 엔클로저: IP:23 |
 |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  | Alternator Range 프레임: 132~400 출력: 0.6kVA~20,000kVA 전압: 240V/415V 빈도수: 50/60Hz 단열재: H RPM: 1,500, varies 엔클로저: IP:23 |

| Fieldmarshal | 
| Fieldmarshal Alternator 프레임: 132~160 출력: 2.5kVA~30kVA 전압: 240V/415V 빈도수: 50Hz 단열재: H RPM: 1,500 엔클로저: IP:23 규정: +/- 5% |
자료원: cgglobal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AC발전기 및 교류발전기 유통경로
ㅇ 대개 수입 산업기기 유통은 다음과 같은 경로를 따름.

자료원: Cgglobal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관세율
제품명/HS Code | 한-인도 CEPA협정 관세율 | 기본관세율 |
교류발전기/ 8501.61, 8501.62 | 협정관세: 0.0% 사회복지세: 0% 수입부가가치세: 18% 총 관세: 18.0% | 기본관세: 7.5% 사회복지세: 10% 수입부가가치세: 18% 총 관세: 27.735% |
자료원: Custom Tariff book 2018-2019
□ 시사점
ㅇ 중-고가 제품 시장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전략적 계획 필요
- 인도의 전력 공급 부족, 도시화 진흥정책과 육성책으로 발전기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현지 제조업체의 저가 제품 공급으로 저가 상품의 수입 시장규모는 미미하나 중간 가격대 이상의 시장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교류발전기는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지 진출 시 수입업체 및 판로를 확보하고 있는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출하는 방식이 유력함.
ㅇ CEPA 관세 및 진흥정책 유의사항
- 발전기는 한-인도 CEPA 품목으로 원산지 기준 충족 시 기본관세가 0%임. 이에 양허가 없는 국가 제품과 비교할 때 총 관세에서 17.5%가량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가 있음. 인도 지역 관세청 관세협력관은 "한-인도 CEPA는 인도가 OECD 국가와 맺은 최초의 FTA로 아직까지 인도는 일본, 아세안 등과 제한적으로 FTA를 맺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CEPA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음.
- 인도 정부는 제조업 진흥을 위해 각종 제조 품목의 인도 내 생산을 권장하고 있으므로, 중장기적으로 공장 설립 등 현지 진출을 검토할 필요도 있음.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Samiksha Sarna A.Mng.
자료원: Ibef, Cgglobal, GTA, 각사 홈페이지,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