홑 단, 오랑캐 이름 선 홑 단(單)자는 줄 양끝에 돌을 매어 던져 짐승이나 사람이 줄에 감겨 산채로 잡는 무기의 일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짐승을 잡는 그물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단(單)자는 모양이 조금 변형하여 짐승 수(獸)자에서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이 글자는 오랑캐 이름 선(單)자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글자와 만나면 선(禪)이나 전(戰)으로 소리남에 유의하자.
■ 단으로 소리나는 경우
▶ 鄲 : 조나라 서울 단, 고을 읍(邑) + [홑 단(單)] 서울도 고을이니까, 고을 읍(邑)자가 들어간다. - 한단지몽(邯:고을이름 한 鄲:조나라 서울 단 之:갈 지 夢:꿈 몽) : "한단의 꿈"이란 뜻으로, 세상의 부귀영화가 허황됨을 이르는 말. 중국 명(明)나라 탕현조(湯顯祖)의 희곡 한단기(邯鄲記)에서 주인공 노생(盧生)의 꿈이야기에서 유래 ▶ 簞 : 대광주리 단, 대나무 죽(竹) + [홑 단(單)] - 단사표음(簞:대광주리 단 食:밥 사 瓢:표주박 표 飮:마실 음) : 대광주리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란 뜻으로 가난한 생활을 일컫는 말. 먹을 식(食)자가 밥 사(食)자로도 사용된다.
■ 탄으로 소리나는 경우
▶ 彈 : 활 쏠 탄, 활 궁(弓) + [홑 단(單)→탄] - 탄환(彈丸) : 총알
■ 선으로 소리나는 경우
▶ 禪 : 고요할 선, 귀신 기(示) + [오랑캐 이름 선(單)] 선(禪)은 원래 단(壇)을 설치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는 의미였으나, 불교에서 마음을 고요히 하여 진리를 찾는 일이란 의미가 추가 되었다. - 참선(參禪) : 좌선(坐禪)하여 불도를 닦는 일
■ 전으로 소리나는 경우
▶ 戰 : 싸울 전, 창 과(戈) + [오랑케 이름 선(單)→전] 창(戈)을 들고 싸우는 것이 전쟁이다. - 전쟁(戰爭) : 무력으로 하는 싸움 - 악전고투(惡:악할 악 戰:싸을 전 苦:괴로울 고 鬪:싸울 투) : 죽을 힘을 다해 힘들게 싸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