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전화 02-725-7010 팩스 02-725-7017
부처님前 공양물 무엇이 좋을까
기자명 남수연 기자 입력 2004.08.10 16:00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향… 꽃… 쌀… "수행에 필요한 것이면 뭐든"
사찰과 스님에 필요한 물건
두 손으로 높이 들어 헌공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고전 소설 '효녀 심청전'을 모르는 이는 아마 없을 것이다. 효녀 심청이가 눈먼 아버지의 공양미 300석을 마련하기 위해 몸을 파는 이야기. 새삼 이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바로 '공양'에 관한 궁금증 때문이다.
사찰에서 공양이란 말을 가장 자주 듣게 되는 때는 바로 점심 식사시간. "공양하셨습니까?"라는 인사는 "식사하셨습니까?"라는 뜻의 인사로 사찰에서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공양'이라는 단어는 '식사'라는 뜻보다 훨씬 더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사찰에서 공양이란 불-법-승 삼보에게 음식과 여러 가지 물건을 바치는 모든 행동을 의미한다. 초기 불교가 성립될 당시 부처님을 포함한 모든 출가수행자들은 음식과 의복 이부자리 탕약 등을 재가불자들로부터 공양 받았다. 이러한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져 스님과 부처님전에 올리는 모든 공물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재가불자의 공양물은 사찰과 스님들에게 소용되는 어떠한 물건이라도 상관없다. 그러나 육법공양으로 지칭되는 향-등-꽃-과일-차-쌀의 여섯 가지 물건이 가장 대표적인 공양물로 손꼽힌다.
불전에 공양물을 올릴 때에는 가장 정중한 예를 갖춰야 한다. 공양물은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반드시 두 손으로 잡고 가슴 높이 이상으로 올려 들어야 한다.
초를 공양할 때에는 촛대에 초를 꼽은 후 불을 붙인다. 차를 올릴 때는 불단에 다기를 올린 후 차를 따라 채우는 것이 바른 방법이다. 향이나 꽃 등 가벼운 공양물은 두 손으로 들어 이마 높이 이상으로 올려 든 채 불단 앞으로 나아가 올려야 한다. 다만 이미 켜진 초가 있거나 타고있는 향이 있다면 새것으로 바꾸지 말고 그대로 불단에 올려놓는 것이 예의다. 또한 차 공양에 쓰일 물을 길어 법당으로 가져갈 때 도중에 다른 곳에 들르거나 물그릇을 마루 등에 내려놓았다 다시 들고 가는 일이 없어야 한다.
불단 장엄을 위해 꽃 공양을 올릴 때에는 미리 준비된 화병이나 화분을 적당한 자리에 내려놓았다가 삼배의 예를 갖춘 후 두 손으로 들고 불단 앞으로 나아가 올린다. 이때 불단이 좁거나 화분이 큰 경우에는 굳이 불단에 올리지 않고 밑에 내려놓아도 된다.
현금을 공양할 경우에는 봉투에 넣어 불단 앞의 복전함에 넣는 것이 바른 방법이다. 공양금 봉투는 두 손으로 합장해 가슴높이로 들고 가 불전함에 넣으면 된다. 불단에 직접 돈을 올리 행동은 삼가야 하며, 공양금 봉투를 이마 높이로 들어올리는 것 역시 자연스럽지 못한 행동이다. 이밖에도 가정에서 직접 만든 간단한 음식이나 사경-사불본 등을 불전에 올리기도 한다.
육법공양이란 …해탈-지혜 등 상징
육법공양의 전통은 신라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국보 196호로 지정돼 있는 '대방광불화염경'에는 "대중들이 향, 등, 차, 꽃, 과일, 쌀의 여섯 공양물을 부처님전에 올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여섯 가지 공양물은 각각 상징하는 바가 다르다.
향은 해탈, 등은 지혜와 광명, 꽃은 수행과 장엄, 과일은 깨달음, 차는 법문, 쌀은 기쁨과 환희를 뜻한다. 이 상징에 따라 여섯 가지 공양물을 해탈향, 반야등, 만행화, 보리과, 감로다, 선열미라고도 표현한다.
최근에는 육법공양이 대표적인 불교 의식의 하나로 자리잡으면서 부처님오신날이나 성도재일, 열반재일, 출가재일 등 불교명절 법회의 중요한 절차가 되고 있다. 육법공양을 전문으로 배우는 신행팀들도 등장하고 있다.
남수연 기자
namsy@beopbo.com
남수연 기자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작성자
작성자
비밀번호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재될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 작성이 간편합니다.
0 / 400등록
댓글 정렬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인기기사
1
대구시립합창단 ‘성가대’ 행적 묻히고 편향방지 조례만 맹공
‘시립 성가대’라고 빈축을 샀던 대구시립합창단의 종교편향 연주 방지를 위해 어렵사리 마련된 조례가 다시 와해 위기에 직면했다. 대구시립합창단 활동과 관련해 특정 종교·정치인이 가세...
2023-04-19
2 고사리 손으로 가꾼 ‘진관사 마음의 정원’
3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취임 200일 맞아 일일 요리선생님
4 고성과 막말과 삿대질…‘태고종 총무원장 후보 정견 발표’ 파행
5 태고종 제28대 총무원장에 상진 스님 당선
최신뉴스
교계과천종합사회복지관, ‘안녕? 바다! 어린이 그림대회’ 개최
교계중랑구가족센터, 다문화가족 합창단 '다올(Da-All)' 단원 모집
교계구립대조노인복지관 ‘꽃바람타고 힐링나들이’ 봄맞이 어르신 체험학습
교계동국대 아동청소년교육학과·세이브더칠드런, 아동 권리 실현 MOU
교계가정의 달 맞이 어르신 문화행사 ‘효사랑 나누기 한마당’ 개최
퀵메뉴매체소개 로그인 PC버전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대표전화 : 02-725-7010 팩스 : 02-725-7017
© 법보신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