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 아래아 폐지
대신 "ㅏ와 ㅡ"로 표기
ㅎㆍㄴㆍㄹ님 -> 하날님, 하늘님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은 1912년에 조선총독부가 정한 한국어 맞춤법이며, 근대에 처음으로 작성된 한국어 맞춤법이다. 서언(緒言) 4항과 철자법 16항으로 이루어진다.
경위
1446년에 조선왕조에서 한글이 훈민정음의 이름으로 반포된 이후 한글의 철자는 성문화된 맞춤법 없이 관습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근대에 이르러 1907년에는 대한제국 학부(學部)에 국어 연구소가 설치되어 한국어 맞춤법을 정비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1910년 한일병합에 의해 그 작업은 조선총독부로 인계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한일병합 후 보통학교의 한국어 교과서에 사용하는 한글 철자를 정리, 통일하기 위하여 철자법을 정하기로 했다. 작업에서는 고쿠부(國分象太郞), 시오카와(鹽川一太郞), 신조(新庄順貞), 다카하시(高橋亨), 강화석(姜華錫), 어윤적(魚允迪), 유길준(兪吉濬), 현은(玄櫽) 등이 위원을 맡았으며 1911년 7월 28일부터 11월에 걸쳐 다섯 번 회의를 진행하여 1912년 4월에 철자법을 확정시켰다.
이 철자법은 그 후 1921년에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로서 개정된다.
개요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은 그때까지 이뤄졌던 한국어의 관습적 표기법을 정리하여 성문화시킨 것이다. 따라서 표기의 기본은 발음대로 적는 종전의 표음주의적 표기법이었다. 또 서울 방언을 표준으로 삼는 것도 여기서 정해졌다.
아래아의 폐지
중세 한국어에 있었던 모음 ‘ㆍ’(아래아. 15세기의 추정 음가 [ʌ])는 16세기부터 그 음가를 잃기 시작하며 18세기 후반에는 한국어 음소로서 소멸되었다. 그러나 문자로서의 ‘ㆍ’는 그 후 20세기 초까지 관습적으로 계속 사용되어 왔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에서는 고유어의 표기에서 ‘ㆍ’를 폐지하고 실제 발음에 맞추어 ‘ㅏ’ 또는 ‘ㅡ’로 표기하기로 했다. 다만 한자음의 표기는 종전의 관습적 표기법을 따랐기 때문에 ‘ㆍ’가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