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날두형우리 불필요한 외래어, 일본어 같은 것도 그냥 가만 놔뒀는데 시대변화에 따라 사라진것이 아닙니다. 국어원에서 사전등재하고 홍보활동을 하면서, 공영방송인 KBS를 필두로 미디어까지 동참하면서 꾸준히 시대에 맞는 언어활동에 대한 제도적, 공식적 작업을 해온 결과에요.
게다가 안 쓰려면, 누군가 그걸로 이의를 제기한다면 기존의 표현이 시대에 걸맞지 않다는 공식적 근거자료가 필요하잖아요? 그럼 그때 국가기관에서 정한 정책적 제안을 토대로 얘기하면 되는거죠. 그래야 미디어든, 해당 표현을 공식문서상 써야하는 기관들이든, 일반인들이든 혼동이 없어요. 기준이 생기는거니.
첫댓글 최고할머니 ㅋㅋㅋ
증조를 최고로 부르면 고조는 어떻게부르징...한자로 最古 일거같은데
완전 최고!!!!
증조 고조는 그냥 놔둬도 상관 없을거 같은데
시대가 바뀌었으니 바꿀만함
왜 고쳐야 하는지 별 이유가 없는거 같은데...
그럼 고조할머니는 최최고할머니? 킹갓최고할머니?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태양초할머니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 이해도잘안되고.. 어색하고.. 완전 옛날식표현
직계가족말고 그외엔 뭐 호칭이 따로 필요한가 요즘시대에
그냥 자연히 놔두면 호칭 없어질거 같은데 굳이 저렇게까지 흠..
저렇게 해도 잘 안 없어져서.. 표준어사전이 있거나 하는것처럼 방향성을 제시하는 정도죠. 그렇다고 안 쓴다고 처벌하거나하는것도 아니고
@비상날개 네 맞죠. 근데 말이라는게 그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하면서 자연스럽게 각자의 상황에 맞게 써오기 마련인데
저렇게 만약 바뀐다고해서 사용하는 곳이 많을까 싶기도하고 바뀐대로 불렀다가 기성세대와 불필요한 오해도 생길거 같고 그러네요
@호날두형 우리 불필요한 외래어, 일본어 같은 것도 그냥 가만 놔뒀는데 시대변화에 따라 사라진것이 아닙니다.
국어원에서 사전등재하고 홍보활동을 하면서, 공영방송인 KBS를 필두로 미디어까지 동참하면서 꾸준히 시대에 맞는 언어활동에 대한 제도적, 공식적 작업을 해온 결과에요.
게다가 안 쓰려면, 누군가 그걸로 이의를 제기한다면 기존의 표현이 시대에 걸맞지 않다는 공식적 근거자료가 필요하잖아요? 그럼 그때 국가기관에서 정한 정책적 제안을 토대로 얘기하면 되는거죠. 그래야 미디어든, 해당 표현을 공식문서상 써야하는 기관들이든, 일반인들이든 혼동이 없어요. 기준이 생기는거니.
오히려 오해와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는 작업이죠.
@호날두형 여기는 의외로..왜 바꾸지? 하고 마는 분들도 은근 계시지만, 이미 여론조사상으로나 언론에서 확인해본 바로 위 표현들이 시대에 안 맞고 바꿔야한다는 국민적 공감대는 형성은 되어있습니다.
걍 이름불러 ㅅㅂ
왜 굳이 그래야하는뎅...??
전 친할아버지, 친할머니는 부할아버지, 부할머니로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는 모할아버지, 모할머니로 부르는 게 어떨까 싶어요. 외가 친가도 모가, 부가로 바꾸고요.
오 좋네요
왕할머니ㅎㅎ
바꾸긴 해야함
호칭자체가 시가쪽은 높임말 처가쪽은 하대하는 느낌을 주는거라 공공연하게 기혼자들에게는 불만이 많았어요
최고할머니최고!
우리조카는 증조할머니인 우리할머니한테 왕할머니라고 하는데 ㅋㅋㅋ
우리딸이 그러는데.......
호칭이 비정상적이긴 함
바꿔야죠.
몇개는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건데 괜히 바꾸려고 움직이는게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