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onist (작용근, 作動筋)
해부학에서는 주가 되어 움직이는 근육의 무리
Antagonists (길항근, 拮抗筋)
- 상반된 작용을 하는 근육, 예. 굴곡 대 신전
Ataxia(운동 실조, 運動失調))
- 중추 신경계의 평형 감각의 장애와 협동 운동의 장애 등으로 오는 운동 이상
Athetosis (무정위운동, 無定位運動)
- 중추신경계의 질환으로 지속적인 사지의 부조화스러운 움직임이 야기된 것
Botulinum toxin (보툴리눔 독)
- 근육을 마비시키기 위해 주사로 사용; 효과는 일반적으로 약 3개월 지속된다.
Cadence (분속수, 分速數)
- 1분 동안의 걸음 수 (Number of steps/min)
Center of gravity (무게중심)
- 역학적으로 사물의 질량이 집중되어 있다고 가정되는 사물 내의 점
Center of pressure (압력 중심)
- 지면의 반작용력 (지면 반발력)이 지나간다고 가정되는 발 밑에 있는 한 점
Co-contraction (동시수축)
- 동시에 두 개의 다른 근육, 특히 작용근과 길항근이 수축할 때
Concentric contraction (동심성 수축, 단축수축)
- muscle contraction 참조
Contracture (구축)
- 비탄력적인 결체 조직 등의 제한으로 관절의 가동 범위가 감소한 것
Couple (결합, 結合)
-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개의 평행한 힘으로 결합하여 모멘트를 생성
에) plantar flexion-knee extension couple
Cycle time (보행 주기 시간)
- 한 번의 걸음 주기가 완성되는데 걸리는 시간
Derotation osteotomy (회전 교정절골술)
- 염전 변형이 있는 장골을 절골하여 교정하는 수술 방법
Diplegia (양측마비)
- 좌, 우 양쪽 마비로 상지 보다는 주로 하지 마비가 심한 경우
Dorsiflexion (족배굴곡)
- 발을 무릎 쪽으로 움직이는 것
Double support (양하지 지지기)
- 보행 도중 양쪽 발이 모두 지면에 있는 시기,
한 발은 체중을 받치고 다른 발은 유각기 전 단계
Eccentric contraction (편심성 수축, 신장 수축)
- muscle contraction 참조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
Evert, eversion (외번)
- 발의 장축에 대해 내회전
External moment (외적 모우멘트)
- 관절을 굴곡 또는 신전시키려는 외부에서 작용한 모멘트 (예, GRF)
Foot flat
- initial contact 참조
Foot Progression angle (족부 진행각)
보행 진행선(line of progression)에 대하여 족부의 장축이 놓인 각도
Force (힘)
F=m * a (힘의 단위 뉴튼(N)= kgm/s²)
Force plate, Force platform (힘판)
- 보행 주기 분석 장치의 부분으로써 지면 반작용력을 측정
Gait (보행)
- 걸음의 방식이나 모양
Gait cycle (보행 주기)
한 발이 지면에 접지할 때부터 시작하여, 그 발이 다시 지면에 닿을 때까지.
LR (loading response), MST (mid stance), TST (Terminal stance), PS (preswing)
IS (initial swing), MS (mid swing), TS (terminal swing)
Ground reaction force (GRF, 지면 반발력)
- Newton의 제 3법칙에 의해, 발이 지면을 밟을 때 의의 반작용으로 지면에서 생기는
반발력 (보행 도중 중요한 외부 모우멘트로 작용)
Heel rise (발뒤축 들림)
- 보행 주기에서 발 뒤꿈치가 지면에서 떨어지는 보행 단계
Heel strike (발뒤축 접지)
- 처음 접촉에서 발 뒤꿈치가 지면을 닿는 것 (initial contact참조)
Initial contact (초기 접지기) gait cycle 참조
- 입각기의 최초 시기로 발과 지면이 처음 닫게 되는 시기.
정상 보행에서는 발 뒤꿈치가 맨 처음 지면을 접촉한다(heel strike, heel-toe gait).
병적 보행에서는 발 전체가 한 번에 지면을 접촉(foot flat gait) 하거나,
전족부(forefoot)가 먼저 지면을 접촉(equinus gait) 할 수 있다.
Initial swing (초기 유각기) gait cycle 참조
- 보행 주기 중 유각기의 전반부로, 발들림이 일어나면서 하퇴부에 가속이 일어난다.
Internal moment (내적 모멘트)
- 인체 내부에서, 즉 근육 또는 인대에 의해서 생성되는 모우멘트.
Internal rotation (내회전)
- 사지가 장축에 대해 회전. 앞면이 내측으로 이동
invert, inversion (내번)
- 발의 장축에 대해 외회전
Isometric contraction (등척 수축)
- muscle contraction 참조
Kinematics (운동형상학)
관절의 운동 각도, 분절의 전이, 운동 속도 및 가속도 등과 같은 운동을 묘사할 때 쓰는 지표들로, 시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Kinetics (운동 역학)
운동 역학은 지면 반발력, 근육 및 인대의 힘. 관절 모우멘트와 관절 일률 등의 운동을
일으키는 지표를 포함하며, 이들은 운동이 일어나는 기전을 이해하게 한다.
Lever arm (지렛대 팔)
- 운동의 발생에서 힘과 회전축사이의 수직 거리.
Line of gravity (중력 작용선)
- 중력의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의 수직선
Line of progression (보행 진행선)
- 보행 시 몸에 의한 평균 경로와 일치하는 직선.
Loading response (하중 반응기)- gait cycle참조
보행 주기의 입각기에서 첫 접촉과 반대쪽 발가락 들림 사이의 기간으로 착지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감속기.
marker (표지자)
- 카메라가 추적할 수 있도록 피부 위에 부착하는 물체.
Mid-stance (중기 입각기) gait cycle 참조
- 입각기에서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하퇴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시기
Mid-swing (중기 유각기)
- 유각기의 중간 부분으로 하퇴부 운동의 속도가 감속에서 감속으로 전환하는 시기로
근육의 작용은 없다.
Moment (모멘트)
- 물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d)가 떨어져 물체에 힘(F)이 작용하는 경우, 이 물체가 회전하도록 하는 힘. Moment=힘(F)x 거리(d). (단위: Joule (N.m))
Muscle contraction: Isometric, eccentric, concentric contraction
Isometric contraction (등척 수축)
- 근육의 긴장은 가해지나 길이가 변하지 않는 근수축
Eccentric contraction (편심성 수죽, 신장수축)
- 외력이 근육에 힘을 가해 근육이 늘어나게 되는 근육 수축, 에너지가 흡수 된다.
Concentric contraction (동심성 수축, 단축수축)
- 장력이 늘어날 수록 근육은 짧아지는 근육의 수축, 에너지가 생성된다.
Muscle Tone (근육 긴장도)
- 근육이 잡아 늘이는 것에 저항하는 정도; 강직에서는 긴장의 강도가 높다.
Noise (잡음, 노이즈)
- 측정 시 다양한 영향에 의한 임의 오류
Opposite toe off (반대편 발가락 들림)
- 보행 주기의 입각기에서 반대편 발이 지면을 떠날 때. 일반적으로 발이 편평해 짐.
Physiological cost index (PCI)
- 심박수를 이용해 상대적인 에너지 소모를 측정하는 방법
Plane of progression (보행 진행면)
- 보행 중 몸에 의해 그려지는 평균 경로에서 평평한 수평면
Plantar flexion (족저 굴곡)
- 무릎으로부터 멀어지는 발의 움직임
Power (파워, 일률)
관절 모우멘트 곱하기 관절 각 속도
(joint moment(Fxd) x joint angular velocity)
P= F x d x angular velocity (단위: Watt=J/sec)
Power generation (관절 일률의 생성): 근육이 동심성 수축을 할 때
Power absorption (관절 일률의 흡수): 근육이 편심성 수축을 할 때
Prerequisites of normal gait (Perry J.)
- 정상 걸음걸이에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6개의 전략
1) 입각기의 안정성 (stability in stance)
2) 유각기의 충분한 발들림 (Foot clearance in swing)
3) 초기 접지기에 적절한 족부 자세 (pre-positioning of the foot for initial contact)
4) 충분한 보장 (adequate step length)
5) 에너지 소모의 최소화 (Energy conservation)
Pre-swing (전유각기) gait cycle 참조
- initial contact와 toe off사이에 있는 보행 주기 중 입각기의 마지막 단계
push-off (발들림)
- 3rd ankle rocker
Rockers (발구름)
- 발이 지면에 있을 동안 경골이 앞으로 움직이기 위한 족부의 움직임.
1st, 2nd, 3rd Rocker가 있다.
Selective dorsal rhizotomy(선택적 배부 신경근 절제술)
강직을 줄이기 위해 척추 신경후근 중 감각 섬유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수술
Single support –단하지 지지기
한 발만이 지면과 접하고 있는 보행 주기 동안의 시기; 다른 쪽은 유각기에 해당
Spasticity(경직)
- 늘어나려는 힘에 대한 근육의 불수의적 저항
Stance phase(입각기) gait cycle 참조
- 보행주기 과정 중, 한쪽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시기.
Stance time (입각기 시간)
-처음으로 발이 닿았을 때부터 엄지 발가락이 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 입각기의 양
step length (보장)
- 보행 동안 한발과 다른 발 사이에 벌어지는 길이
우측 보장은 우측 발이 앞에 있을 때, 좌측 발의 첫 접지점(heel strike)에서
우측 발의 첫 접지점(heel strike)까지의 거리이다.
stride length (활보장)
- 보행 주기 전체의 거리로 좌측 보장과 우측 보장의 합.
- initial contact에서 다음 initial contact까지의 거리
swing phase (유각기) gait cycle 참조
- 한쪽 발이 땅에서 떨어진 후 공중에서 움직이는 상태로 보행주기를 구성하는 한 부분
발가락 들림에서 발 뒤축 접지까지의 기간으로 보행 주기의 40%를 차지.
swing time (유각기 시간)
-엄지 발가락이 떨어진 후 첫 접촉이 있기까지의 유각기의 양
Temporal gait measurement (보행 선형 지표) = linear parameters
Step length, stride length, cadence, walking velocity등을 말한다.
Tendon lengthening (건연장술)
-건의 길이를 수술적으로 늘려주는 시술
Terminal stance (최종 입각기) gait cycle 참조
- 입각기의 뒷 부분으로, 발 뒤축이 지면에서 들리기 시작하여(push off) 반대편 qkfdl첫 지면에 닿을 때까지 (3rd Rocker)의 기간
Terminal swing (최종 유각기) gait cycle 참조
- 유각기의 뒷부분으로 하퇴부의 감속기.
경골의 수직으로 된 상태부터 지면에 첫 접촉이 되기까지의 기간
Toe drag(발가락 끌림)
-유각기에 발가락이 지면에서 깨끗하게 떨어지는데 실패하면서 보이는 현상
Toe in (In-toeing gait) (내족지 보행)
-보행 진행선을 향해, 발가락이 내측으로 심하게 편향되어 있는 보행.
- 안짱걸음
Toe out (Out-toeing gait) (외족지 보행)
- 보행 진행선과 반대 방향으로 향해, 발가락이 외측으로 심하게 편향되어 있는 보행.
- 팔자(八字) 걸음
Toe off (발가락 들림)
- 걸음 주기 중에서 발가락이 지면에서 떨어질 때
입각기에서 유각기로 이행하는 표지가 됨
Torque - moment 참조
Valgus (내반)
- 원위부가 중심선의 반대쪽으로 경사져 있는 관절 혹은 뼈의 각형성
Varus (외반)
- 원위부가 중심선을 향해 경사져 있는 관절 혹은 뼈의 각형성
Walking base (보행 토대)
- 두 발에 의한 경로 사이의 종부터 종까지의 거리
Walking velocity (보행 속도)
- 단위 시간 동안의 보행 거리 (cm/sec, m/min)
Weight (무게)
질량(mass)과 무게(weight)는 다른 개념이다.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울에 올랐을 때 저울이 가리키는 값은 질량이 아니라 몸에 작용되는 힘(force)이며 이 힘은 중력(gravity)이다. 이 힘의 양은 두 질량(몸의 질량과 지구의 질량)의 상대적인 크기와 거리에 의한다. 뉴튼 운동 제 2법칙에 따라 무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