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소비자물가의 특징 >
‘11.8월 소비자물가는 채소류와 금반지의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
가 상승을 견인
* 전월대비 상승률 0.9%에 대한 채소류(비중 1.45%)와 금반지(비중 0.48%)의 기여도(기여
율): 0.65%p(71.4%) = 채소류 0.49%p(53.8%) + 금반지 0.16%p(17.6%)
ㅇ 채소류는 계속된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작황부진, 산지 출하 지
연 등으로 가격이 급등하면서 물가상승을 주도(전월대비 31.8% 상승)
* 6.1~8.20(81일)중 강수일수는 44.4일로 평년(32.6일)에 비해 11.8일 많음,
* 6.1~8.20중 강수량은 1,030㎜로 평년(619㎜)보다 165% 많았음
ㅇ 금반지는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한 국제금값 상승 등의 영향
으로 급등(전월대비 11.9% 상승)
* 국제금값($/온스) : (11.3)1,424 (4)1,480 (5)1,513 (6)1,529 (7)1,573 (8)1,751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하락의 국내석유제품 가격에의 반영시차(2~3
주) 등으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
*석유류 가격추이(전년동월비,%): (11.4)14.1 (5)12.6 (6)12.6 (7)13.6 (8)15.2
(전월비,%): (11.4)0.6 (5)△0.8 (6)△0.8 (7)1.5 (8)0.8
반면, 그동안 상승세를 보여왔던, 쌀․돼지고기 가격은 각각 정부 보
유미 방출, 수입산 공급확대 등으로 하락세로 전환
* 정부보유미 방출실적(8.31일 기준) : 59.6만톤(‘10년산 24.3, ’09년산 35.3만톤)
쌀가격추이(전월비,%): (11.1)1.1 (2)1.4 (3)2.5 (4)3.4 (5)0.3 (6)1.8 (7)0.1 (8)△0.7
* 수입산 돼지고기 공급현황 : (계약) 1,436톤 → (통관) 1,273 → (판매) 784돼지고기가격
(전월비,%): (11.1)15.1 (2)18.8 (3)△6.1 (4)0.1 (5)3.8 (6)16.2 (7)△0.5 (8)△7.3
기대인플레이션율과 근원물가가 상승세를 보이는 등 수요측 물가압
력도 지속
* 기대인플레이션율(%) : (‘11.4)4.0 (5)3.9 (6)3.9 (7)4.0 (8)4.2
* 근원물가상승률(전년동월비,%) : (‘11.4)3.2 (5)3.5 (6)3.7 (7)3.8 (8)4.0
< 9월 물가여건 및 전망>
채소류 등 농산물은 8월 하순이후 기상여건이 개선되면서 수급이 점
차 정상화될 전망
ㅇ 고랭지채소(9월이후 본격 출하) 생산량과 가을채소 재배의향 면적이 모
두 증가 전망
* 고랭지채소 생산량 전망(전년대비,%, 농경연) : (배추)24, (무)11
* 가을채소 재배의향 면적(전년대비,%, 농경연) : (배추)12, (무)6
ㅇ 일시적․계절적 요인에 의해 확대되었던 추석수요도 감소하면서 9월 중
순이후 부터는 채소․과실 등 농산물 가격이 하락 예상
돼지고기 등 축산물도 공급이 증가하면서 점차 가격이 안정될 전망
* 돼지고기(원/kg,농경연) : (8)6,256→(9)5,650→(10)5,350→(11~12)5,150
* 쇠고기 9~11월 도축마리수는 전년(19.5만마리) 대비 17.5% 증가 전망
국내 기름값은 국제유가 변동의 영향을 받겠으나, 당분간 현재의 기
름값 수준에서 크게 상승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ㅇ 통신요금도 기본료 1,000원 인하(9월 SK텔레콤, 10월 KT) 등으로 물가 하
방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9월에는 기저효과(‘10.9월 상승률 3.6%)도 지표물가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
용
⇒ 상기 물가여건을 감안할 경우 9월 소비자물가가 3%대로 하락할 것으
로 예상되나 농산물 수급과 국제유가 변동가능성 등의 불확실성 상존
< 향후 물가안정 대책>
농산물은 품목별로 수급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신속히 대응
ㅇ 사과, 명태 등 추석성수품(15개)*의 공급상황 및 가격을 일일점검 하
고, 평소 방출 물량의 1.8배까지 공급
* 배추, 무, 사과, 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명태, 고등어, 갈치, 조기, 오징어,
밤, 대추
ㅇ 주요 수급불안 품목에 대해서는 수입확대 등 집중 대응
① 배추․무는 계약재배물량을 추석전에 집중 출하하고, 가격추이를 보아
가며 할당관세(무관세,9월말까지) 연장 검토
② 쌀값은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정부쌀 추가방출 등을 통해 가격안정
도모
* ’09년산 쌀 정가판매 지속 추진(8.31일부터 5만톤 추가 판매)
③ 고추는 비축물량을 방출*하고, ‘12년 도입물량(6,185톤) 조기도입 추
진
* 비축물량(1,632톤)을 8.29일 주간부터 매주 400톤식 공매로 방출
④ 계란값 안정을 위한 산란용 병아리 할당관세 확대(100→150만수)
추진, 필요시 돼지고기․바나나․파인애플의 무관세(9월말까지) 연장
지난 8.18일 발표한 전월세 시장 안정방안을 차질없이 추진
ㅇ 매입 임대사업자 거주주택 양도세 비과세 허용, 전월세 소득공제 확
대 등 지원(금년 세법개정안 반영)
9월까지 “물가안정모범업소”를 지정(지자체)하고 인센티브 지원*과
홍보를 통해 외식비 가격안정 유도
* (기은)금리감면, (신보․지신보)보증수수료 감면, (중기청)정책자금 우선대출 및 컨설팅
우대, (국세청)성실납세자 선정시 고려, (재정부)물가포상 등
유통비용 절감, 경쟁 촉진, 정보공개 확대 등 구조적 개선방안도 속도
감있게 추진하여 근본적인 물가안정 방안도 병행 실시
관련출처 :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