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달재지구 전원마을조성사업 용지매수 기본대장(토지)
| |||||||||
번호 |
소재지 |
지번 |
지목 |
현황 |
면적 (㎥) |
편입면적 (㎥) |
비고 | ||
면 |
리 |
본번 |
부번 | ||||||
1 |
백운 |
방학 |
74 |
- 1 |
임 |
대 |
555 |
555 |
0 |
2 |
〃 |
〃 |
74 |
- 2 |
목 |
목 |
15,739 |
15,739 |
0 |
3 |
〃 |
〃 |
74 |
- 3 |
목 |
목 |
14,565 |
14,565 |
0 |
4 |
〃 |
〃 |
74 |
- 4 |
대 |
대 |
360 |
360 |
0 |
5 |
〃 |
〃 |
74 |
- 8 |
임 |
임 |
119 |
119 |
0 |
6 |
〃 |
〃 |
74 |
- 9 |
대 |
대 |
218 |
218 |
0 |
7 |
〃 |
〃 |
74 |
- 10 |
대 |
대 |
159 |
159 |
0 |
8 |
〃 |
〃 |
74 |
- 24 |
전 |
전 |
1,091 |
1,091 |
0 |
9 |
〃 |
〃 |
74 |
- 25 |
도 |
도로 |
1,425 |
1,425 |
0 |
10 |
〃 |
〃 |
74 |
- 27 |
목 |
목 |
5,706 |
5,706 |
0 |
11 |
〃 |
〃 |
314 |
- 2 |
대 |
목 |
2,044 |
2,044 |
0 |
12 |
〃 |
〃 |
314 |
- 72 |
전 |
목 |
397 |
397 |
0 |
13 |
〃 |
〃 |
314 |
- 150 |
답 |
목 |
6,225 |
6,225 |
0 |
14 |
〃 |
〃 |
314 |
- 151 |
답 |
목 |
1,005 |
1,005 |
0 |
15 |
〃 |
〃 |
314 |
- 187 |
목 |
목 |
76,486 |
76,486 |
0 |
16 |
〃 |
〃 |
314 |
- 188 |
전 |
목 |
3,579 |
3,579 |
0 |
17 |
〃 |
〃 |
314 |
- 190 |
전 |
목 |
96,732 |
96,732 |
0 |
18 |
〃 |
〃 |
316 |
- 5 |
도 |
도로 |
672 |
672 |
0 |
19 |
〃 |
〃 |
317 |
- 4 |
도 |
도로 |
201 |
201 |
0 |
20 |
〃 |
〃 |
323 |
- 1 |
답 |
목 |
1,223 |
1,223 |
0 |
21 |
〃 |
〃 |
323 |
- 2 |
답 |
목 |
1,775 |
1,775 |
0 |
22 |
〃 |
〃 |
470 |
- 3 |
도 |
도로 |
570 |
570 |
0 |
23 |
〃 |
〃 |
산76 |
|
임 |
임 |
13,488 |
13,488 |
0 |
24 |
〃 |
〃 |
산79 |
|
목 |
목 |
24,893 |
24,893 |
0 |
25 |
〃 |
〃 |
산83 |
- 1 |
임 |
임 |
6,050 |
6,050 |
0 |
26 |
〃 |
〃 |
314 |
- 77 |
전 |
전 |
942 |
942 |
|
27 |
〃 |
〃 |
324 |
|
전 |
목 |
367 |
367 |
|
28 |
〃 |
〃 |
74 |
- 7 |
전 |
과 |
3,309 |
3,309 |
0 |
29 |
〃 |
〃 |
317 |
- 3 |
답 |
대 |
106 |
106 |
|
30 |
〃 |
〃 |
470 |
- 1 |
전 |
전 |
620 |
620 |
|
31 |
〃 |
〃 |
316 |
- 4 |
답 |
답 |
1,591 |
1,591 |
0 |
32 |
〃 |
〃 |
314 |
- 4 |
전 |
전 |
1,339 |
1,339 |
0 |
33 |
〃 |
〃 |
산84 |
|
임 |
전 |
2,579 |
2,579 |
|
34 |
〃 |
〃 |
314 |
- 69 |
전 |
목 |
516 |
516 |
|
35 |
〃 |
〃 |
314 |
- 74 |
전 |
전 |
476 |
476 |
|
36 |
〃 |
〃 |
314 |
- 83 |
전 |
전 |
1,934 |
1,934 |
|
37 |
〃 |
〃 |
469 |
- 1 |
답 |
임 |
239 |
239 |
0 |
38 |
〃 |
〃 |
318 |
- 3 |
전 |
구거 |
20 |
20 |
0 |
39 |
〃 |
〃 |
314 |
- 78 |
과 |
과 |
1,963 |
1,963 |
0 |
40 |
〃 |
〃 |
314 |
- 81 |
전 |
과 |
1,309 |
1,309 |
|
41 |
〃 |
〃 |
74 |
- 6 |
임 |
대 |
965 |
965 |
0 |
42 |
〃 |
〃 |
74 |
- 31 |
임 |
과 |
13,659 |
13,659 |
0 |
43 |
〃 |
〃 |
74 |
- 15 |
전 |
과 |
298 |
298 |
0 |
44 |
〃 |
〃 |
74 |
- 16 |
전 |
과 |
595 |
595 |
|
45 |
〃 |
〃 |
74 |
- 13 |
전 |
대 |
239 |
239 |
|
46 |
〃 |
〃 |
325 |
- 2 |
전 |
전 |
886 |
886 |
|
47 |
〃 |
〃 |
1066 |
- 2 |
구 |
구거 |
3,308 |
3,308 |
0 |
48 |
〃 |
〃 |
산132 |
|
천 |
천 |
17,856 |
17,856 |
0 |
49 |
〃 |
〃 |
314 |
- 1 |
전 |
도로 |
119 |
119 |
|
계 |
|
|
|
|
|
|
330,512 |
330,512 |
|
1-2. 사업설명(농어촌뉴타운 프로젝트 성공요인)
<외적요인>
∘농촌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귀농귀촌정책 유도(귀농귀촌신규마을조성 지원금 매년 확대, 2014년 괴산유기농예술원 마을의 경우 : 조합원 80명 - 30억 지원)
∘임야, 농림, 보전지역 등, 저렴한 비용으로 토지구입 및 개발이 가능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에 따른 귀농귀촌 희망자 급증
∘국내의 식량자급률 증대 시급과 재래식 영농방식의 탈피를 위한 농업혁신 필요
<내적요인>
∘에너지자립 및 물질순환의 생태 녹색마을의 구축
∘고수익창출이 가능한 웰빙 복지마을의 구축
∘식물공장, 컴퓨터정밀 분자농업 등 첨단과학기술을 접목
∘철저한 차별화 전략(최첨단기술에 의한 창조과학마을 조성)
< ‘의료농업’ 테마단지개발과 사업목표 / 목적 >
국내 최초로 6차 산업의 성공 모델 제시 |
일자리 창출 전략으로서 사람 · 기술 · 단지개발 ⟶ 플랜트수출 |
고부가가치형 식물 · 버섯 공장의 완성 ⟶ 기능성 분자농업 구현 |
식물 · 버섯 공장 + 세계 최고급 분자요리용 식자재 공급 + 푸드테라피 + 세포치료 및 건강기능회복 = 무병 장수 100세시대 선도 |
수익형의 멀티복합공간개발로서 테마단지창출 ⟶ 관광자원 콘텐츠개발 |
Eco & Edu-Tourism화 및 의료문화관광상품화 ⟶ 멘토, 코칭, 힐링의 테마 단지공간 조성 |
식량분야(임학태교수) + 의료분야(조태형교수) + 에너지분야(김영준교수) + 유한회사농업법인 + 제천시(지자체) |
집단지성으로 국가 R&D프로젝트사업의 독자수행 및 플랜트 해외수출MOU(2014년) |
1-3. 자금조달집행 및 사업대상지 매입계획
< 사업대상지 전체부지(330,124m²) 매매계약체결 >
: 사업선정자로 지정된 후, 전체사업대상지를 자산평가(토지감평사 2인 선정 - 매수인과 매도인 측 각 1명씩 추천) 하여 30일 이내에 전체 매매금액의 10%를 계약금 명목으로 입금하고, 정식적으로 매매계약을 체결하며 제천박달재지구 전원귀농마을 조성을 위한 신규마을 만들기 사업에 착수한다.
< 1단계 : 1차 사업부지(165,062m²) 우선 매입계획 >
: 사업대상지 전체부지에 대하여 최초매매계약을 체결한 날로부터 40일 이내에, 1차 사업부지 부문(165,062m²)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중도금(30%)을 지급하기로 한다. 단, 매도자측은 잔금수령기간 이전이라 할지라도 매수자측이 농어촌정비법에 근거하여 신규마을 만들기 조성사업(영농조합설립 및 조합원 모집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으로 협조한다.
모집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으로 협조한다.
< 2단계 : 1차 사업부지(165,062m²) 잔금지급 >
: 1차 사업부지에 대한 잔금지급은 중도금을 지급한 날로부터 100일 이내에 지급하기로 한다.
< 3단계 : 2차 사업부지(165,062m²) 중도금지급 >
: 1차 사업부지에 대한 잔금이 완료된 후 90일 이내에, 2차 사업부지(165,062m²)에 대한 중도금(30%)을 납입하기로 한다.
< 4단계 : 2차 사업부지(165,062m²) 잔금지급 >
: 2차 사업부지에 대한 중도금을 납입한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나머지 잔금을 모두 지급하기로 한다.
*** 다만,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사업대상지 전체에 대한 토지대금지급의 총 유예기간은 최초 매매계약일로부터 1년을 초과하지 않기로 약정한다.
< 5단계 : 제천시유지와 연계한 의료한방분자농업의 경관농업특구(바이오닉스 한방식물원 개발) 지정 및 의료관광 특구화 >
: 분자농업 - 분자요리 - 세포치료 - 의료한방관광의 메카화 - 일자리 창출
2-1. 기술소개
(1) 에너지자립
Housing |
저비용 고기능성 Dome & Cube 에너지절감형 |
Green Lamp |
저비용 고효율 냉음극형광램프 |
Heat Pump |
저비용 고효율 냉난방 온수공급 |
Wind Power |
고효율 중소형 수직형 풍력발전기 |
(2) 과학영농기술
비료 |
고품질 유기질 피롤비료 |
미세조류 |
배양 및 바이오디젤 추출기술 |
식물공장 |
저비용 고효율 고부가 가치작물 재배 자동화 재배 시스템 |
버섯공장 |
저비용 저에너지 시스템 |
(3) 물질순환
음식물사료화 |
진공 저온 감압 / 음식물 튀김기술 |
하수처리시스템 |
연탄재 활용 / 농업용 재이용수 |
인분 자원화 |
위생처리 / 탈취 및 발표 퇴비 및 액비전환 |
폐기물에너지화 |
1100도 완전연소시스템 폐열 난방활용 |
2-2. 적용기술소개
(1) 적용첨단기술
- 돔하우스, 풍력, 히트펌프, 그린램 등의 기술 및 자동화기술, 각종 고부가 가치 농작물재배에 세계 최고의 한국토종 첨단 신기술 접목
풍력 돔하우스
히트펌프 그린램
(2) 고수익모델
- 고효율기기 및 대체에너지를 통한 식물공장, 고부가작물 재배
⟶ 저비용, 무농약, 무공해, 고부가작물 생산 판매
- 미세조류배양에 따른 바이오디젤 및 고부가 원료 생산 및 판매
- 의료, 문화, 관광상품에 의한 수익
-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판매수입 및 탄소배출권 확보
- 관리비의 획기적 절감(급탕, 전력 등)
(3) 적용기술소개 - [Dome House]
- 소재 : 신규단열신소재 + 경량시멘트
⟶ 친환경 + 최저비용 + 최단기건설 + 최고단열효과
- 시멘트와 철근이 들어가 일반주택기준 적용 ⟶ 대출 및 대지전환 가능
- 경량시멘트 구조의 미세하고 균일한 다공성 재질 ⟶
내구성, 단열성, 불연성, 차수성, 차음성이 매우 우수(고효율 냉난방 실현)
- 친환경재질의 혼합소재 ⟶ 새집증후군 전무
- 돔 공사후 내외부벽이 대리석처럼 매끄럽게 면이 조성 ⟶
벽지나 별도의 페인트칠이 필요 없이 사용가능(고객의 요청에 따라 반영)
- 지붕에 스프링클러 설치 ⟶ 건물위로 식물(덩굴, 장미등)을 재배할 수
있으며, 옥상에 파라솔 설치 가능
- 돔 외각에 유명조각상등 양각을 표시 ⟶ 외관을 웅장하게 제작 가능함
- 높이 3m50 ⟶ 복층구조 설계
Dome House
(4) 적용기술소개 - [Heat Pump Exergy21]
- Exergy21(엑서지21 ⟶ 세계 최고성능의 공기열 히트펌프
- 기능 : 건물의 공간 및 바닥 냉난방, 온수공급
- 경제성
· 단, 2sets설치로 20평형 80가구 냉난방 온수공급 실현(기존 기름 및 가
스보일러 대비 70%∼90% 이상의 냉난방 및 온수 절감효과)
· 2대 공급비용 : 3억(1대 가격 : 1억5천만원)
· 렌탈가능(회수기간 3년)
※ 원천발전기술에 의한 전력공급시
⟶ 냉난방 온수공급에 들어가는 비용 zero
⟶ 냉난방, 온수의 무한공급 실현
· 설치의 예
(5) 적용기술소개 - [Heat Pump]
· 삼성옴니타워(대방동) : 냉난방비 70% 절감
· 경기중소기업 종합지원센터
· KT연구개발센터
· 기존비용대비 항온항습포함 85%까지 절감
(6) 적용기술소개 - [Green Lamp] 조명용
- Green Lamp의 주요 특징
구 분 |
Green Lamp |
LED |
일반 형광등 |
네온사인 |
전기효율 |
95% 이상 |
90% 이상 |
40∼50% (백열등 5%) |
20% |
조도조절 |
가능 |
가능 |
불가 |
가능 |
조명광원 |
최적합 |
직진집중형 (써치라이트) |
적합 |
자체조명 (광고) |
수은함량 |
2∼4mg |
고체니켈 |
20∼40mg |
100mg 이상 불특정 |
제조원가 |
형광등 수준 |
형광등 5∼20배 |
자체기준 |
형광등 5∼10배 |
색 상 |
칼라프리 |
백색 |
백색 |
칼라제한 |
수 명 |
5∼10만 시간 |
5∼10만 시간 |
3∼7천 시간 |
5만 시간 |
내 열 성 |
매우 우수 |
매우 취약 |
보통 |
우수 |
가 격 |
3천원 |
1.5∼30만원 |
3천원 |
2∼5만원 |
길이 · 구경 |
프리 |
제한 |
제한 |
제한 |
(7) 적용기술소개 - [Green Lamp] 식물공장용(에너지 자립용)
- Green Lamp의 주요 특징
경제성 및 효율성 |
· 절전 기능 : 소비 전력은 일반 조명등의 경우 약 1/2, 광고등의 경우 약 1/4 소비 · 수명 주기 : 일반 형광등(3,500시간)의 10배(35,000시간)이상으로 LED와 동일 · 제조 원가 : 일반 형광등과 동일, LED의 1/10∼1/100 수준 |
색상 및 형태의 다양성 |
· 크기, 길이 및 형태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세계 유일) · 60여 가지 다양한 칼라 색상 - 실내 외 다양한 조명 디자인 가능 (세계 유일) |
환경 안정성 |
· 저온(-100℃) 및 고온(70℃)에서도 안정적 기능 발휘 ⟶ 열손실 최저, 저 · 고온 환경에 적합(세계 유일) · 습기에 강한 면모 ⟶ 우천 시에도 커버 없이 점등 및 안전하게 사용 가능 ⟶ 습기 발생 지역인 광산, 터널 등에 내습 시설 없이 사용 가능 · 흑화현상(형광등의 깜빡임)없이 조도가 일정 ⟶ 눈부심 및 유해 전자파의 발생 억제로 눈의 피로감 없음 ⟶ 가정, 독서 등으로 적합 |
친환경성 |
· 수은 함유량(2mg∼4mg)이 일반 형광등(20mg∼40mg)에 비해 1/10수준 ⟶ 수명 주기가 길어 폐기물 발생량 감소 · 1997년 교토의정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로 형광 램프의 수은 함유 량을 5mg 이하로 규정 ⟶ 본 규정에 적합한 형광등은 Green Lamp가 세계 유일, 우리나라 환경부도 인정 |
(8) 적용기술소개 - [Green Lamp] : 가로용
- Green Lamp의 주요 특징
창조마을 적용분야 |
· 가정, 실내조명 및 컬러풀한 주변 경관조명 · 식물공장, 버섯공장, 미세조류공장 등 빛을 이용하는 농업분야에 적용 · 광테라피 등 의료분야 적용 |
기타특징 |
· 저온, 고온, 습기에 강함 · 흑화현상 및 눈의 피로감이 없어 가정 및 독서등으로 적합 · 수은함량 국제기준치 이하 사용으로 환경성 우수 |
(9) 적용기술소개 - [Wind Power]
적용기술소개 - [Wind Power] 종류
- 풍력발전제품 종류 및 사양
항목 |
CWPS |
타사 제품 |
생산능력 |
300kW |
300kW |
최저 풍속 |
1.5m/s |
4m/s |
설치 |
지상 |
높은 고도 |
방법 |
지상에 조립 |
로터, 블레이드 직접연결 |
효율(%) |
35∼40 |
17∼25 |
연간 전량 |
1,095Mwh/y(40%) |
684Mwh/y(25%) |
수명 |
20∼30년 |
20∼30년 |
<300kW 중형 풍력터빈>
300W 하이브리드 풍력가로등 | |
실린더 길이 |
1m |
정격 전력 |
300W |
출력 전압 |
12/24V DC |
최저 풍속 |
1.5m/s |
정격 풍속 |
14.5m/s |
운영 범위의 풍속 |
1.5∼50m/s |
출력(풍속)이상의 속도 제어 방법 |
자기력의 힘에 의한 날개보호 |
설치탑의 높이 |
6m |
무게 |
22kg |
(10) 적용기술소개 - [Pyrrol Fertilizer]
- 피롤비료설명
기 능 |
-중탄산칼슘이온의 생성 · 산성화된 토양을 복원 · 토양의 약알칼리성으로 병해충 피해 예방 및 감소 · 별도의 석회 및 고토시비 불필요 · 작물의 내병성 강화(탄저와 역병 예방)
-남조류(시아노세균)의 번식유도 · 대사에 의한 각종 유기물 증대 · 토양의 입단화조성 ⟶ 보비력 및 보수력 증가 · 산소공급을 통한 작물의 뿌리성장 촉진 · 토양광물용해 ⟶ 식물이 흡수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화 (광물의 킬레이트화)
-최고품질의 완효성, 알칼리성 유기질비료 |
∘적용기술소개 - [Pyrrol Fertilizer] 원리
- 피롤비료설명
원 리 |
가축분에 피롤첨가제(생석회 등)를 투여하여 단시간내 병해충을 섬멸하고 휴믹물질을 생선 ⟶ 토양에 적용시 중탄산칼륨이온 및 휴믹물질을 통해 토양을 약알칼리성(pH7.2∼8.0)으로 전환하고 시아노세균의 생선을 촉진시킴 |
보 유 기 술 |
비료 생산공정기술 보유 / 비료생산제조 기계조작기술 보유 |
∘적용기술소개 - [Pyrrol Fertilizer] 효과
- 피롤비료효과 : 고품질, 고기능성 친환경 작물생산
- 비료효과
· 작물의 색상이 뛰어나고, 셀레늄과 미네랄 함양이 높은 농작물 생산
· 작물의 뿌리활착이 우수
· 꽃눈의 배치간격이 좁아지고 지속적인 개화촉진
· 냉해, 낙과 예방, 잡초의 생장억제(제초제 효과)
· 식물의 저항력과 면역성이 증대(지속적 칼슘공급)
· 길항작용, 갈반예방(마그네슘의 공급)
· 감칠맛이 나고 옛향이 살아있는 대과생산
- 비교사진
(11) 적용기술소개 - [Microalgae]
- 에너지 위기와 기후변화 대응 필요
- 제3세대 바이오디젤 원료
: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추출하여 미국 수입오일의 17%를 대체할
수 있다고 오바마 대통령이 주장
- 이산화탄소 고정 및 환경정화기능
: 2015년 이후 탄소거래제를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
- 부산물의 부가가치활용
: 오일추출 후 Cake는 사료, 비료, 화장품, 의약품 등의 원료로 사용
- 최고의 바이오디젤 생산성
1ha당 오일생산량 | ||||
대두유 |
유채유 |
팜유 |
자트로파유 |
미세조류유 |
0.4Ton |
1.0Ton |
5.0Ton |
2.4Ton |
86.0Ton |
-광배양기 제조기술
· 저비용 고효율 핵심 광생물배양기 제조기술 보유
· 그린램을 이용한 특수조명 배양기술 보유
·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살균시스템 설치
· 자동배양 및 자동수확 시스템
· 고농도 배양시스템 구축
-대량배양기술
배양탱크 모듈방식 |
· 저렴하고 빠른 설비 공정 · 손쉬운 작업/농가보급 용이 · 단위면적당 공간활용 극대화로 토지절약적 생산방식 |
탁월한 미세조류 종자 |
· 높은 지질함유랑(61.1%) · 높은 지질생산성(183.33ppm/day) · 매일 2배씩 성장 |
최적의 미세조류 영양분 |
· 하수슬러지 추출영양분과 이산화탄소의 최적 배합 · 저렴한 생산비용 |
(12) 적용기술소개 - [음식물사료화]
- 오일기반 진공 저온 감압 음식물 튀김장치
(Oil-based Food Waste Treatment System)
- 발생즉시 주방에서 처리함으로써 편리함과 쾌적함을 추구
- 수거된 음식물의 현장 자원화를 통하여 음식물 배출의 제로화, 고급 사 료화를 실현, 비용절감 및 부가소득 도모
(13) 적용기술소개 - [하수재이용기술]
- 연탄재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K-BAP)
* K-BAP : Korean Briquette Ash Process(한국 연탄재 처리공법)의 약어
로 국내에서 발생되는 연탄재를 이용하여 하수를 처리하는 공법 및 장치
- 폐기물(연탄재)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적 처리
- 슬러지의 생성이 없음 ⟶ 단순처리에 의해 유기물 95% 이상의 처리 가
능
- 처리효율이 매우 높음 ⟶ 연탄재 내에서 대부분의 슬러지 분해 및 흡착
- 운전, 관리비용이 저렴함 ⟶ 슬러지 처리와 관련한 약품 및 설비 불필요
- 처리수의 재활용 및 재사용 가능함 ⟶ 농업용수, 조경용수, 화장실 용도
로 재사용
(14) 적용기술소개 - [인분자원화기술]
- 이동식 또는 고정식의 인분처리장치
- 위생성과 편리성, 쾌적성을 갖춘 자연환원적 인분의 완전처리시스템
- 수동 기계식 제어시스템을 통한 위생적 처리시스템
-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효율적인 탈취 발효 처리시스템
- 흡배기 조절에 의한 증발환기시스템
- 대 · 소변 분리 변기 설치
- 미생물처리제의 자동분사에 의한 용변기의 위생적 자동세척
- 장치의 소형화 / 일체화
- 스테리파워를 이용한 친환경 살균 정화장치
- 바이오 탈취설비 장착
- 최고의 동형 인테리어 구현 : 완벽한 단열 재질로 아늑하고 쾌적한 공간
- 풍력을 이용한 자동화장치
- 소형풍력을 이용하여 자동화시설 구축가능 ⟶ 처리효율의 제고
제 3 장 차별화
3-1. 차별화(멀티복합공간개발 및 기능화)
(1) 새로운 가치가 있는 복합기능의 주거타운
- 밥을 안 해도 되는 호텔
- 일자리가 있는 회사
- 수익이 나는 공장, 펜션, 테마파크
- 수익분배 리조트
- 노후를 책임지는 실버타운
(2) 모든 연령별에 맞는 일자리 창출
(3) 차별화 - 수익구조
식물공장 |
·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등 재배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 · 효과 : 수익성, 유기농제품 |
분자농업 |
· 농업적인 상품을 이용하여 펩타이드, 단백질, 효소, 의 약품, 특수 화학물질 등을 생산하는 것 · 효과 : 인체무해, 새로운 작물 생산가능 |
체험학습 |
· 체험학습은 교실 안에서가 아니라 교실 밖에서 교육활 동을 실시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진행되는 학습활동 · 효과 : 오감교육활동으로 숙박, 체험, 음식 등 수익가능 |
(4) 차별화 - 새로운 개념의 유기농예술원 테마파크
통합마을 |
미술관 |
· 아름다움 위주 · 느낌 강조 · 작품 위주 - 미적감각이 떨어지면 이해불가 |
과학관 |
· 이성(첨단기술) 위주 · 미래(상상력) 강조 · 물질 위주 - 논리적, 이성적인 성향이 떨어지면 이해불가 | |
박물관 |
· 이성(역사, 이야기) 위주 · 과거 강조 · 글, 유물 위주 - 생생함이 떨어짐 | |
놀이동산 |
· 놀이 강조 · 감성(흥미) 위주 · 물질위주 - 하루를 재미있게 보내는 방법이지만 의미나 깨달음이 약함 |
(5) 신규창조마을의 퓨전 컨셉
창조마을 (농업) |
한국과학기술 |
· 태양광, 풍력, LED, 미세조류 · 쓰레기처리기술, IT·BT·NT기술
|
한국문화 |
· 건축, 요리, 음식, 공동체(향약·두레·품앗이) · 한의학, 풍수지리 | |
한국예슬 |
· 공연문화예술 · 풍류, 사물놀이, 탈춤, 축제 → 정과 흥의 나라 | |
한국사상철학 |
· 유교 · 불교사상 · 인간과 자연의 조화 · 홍익인간, 수신(송시열) |
(6) 융복합선도형 ‘제천바이오닉스마을’의 시장분석 및 부가가치 창출방안
- ‘이미지’와 ‘창의성’ 중시의 멀티복합공간개발 기획자 양성 및 퓨전그린
디자이너 육성(Dream Society선도)
- K-Culduct와 K-Culvice창출로 Trend-maker의 국내외에서 주도적 역할 수행을 하면서 제2새마을 운동의 정신적 표본으로서 저성장의 탈출기회 제공과 대한민국 국민들의 GDP기준 4만불 시대를 선도함
- 사람 + 기술 + 단지개발 = 플랜트수출 및 일자리 창출과 글로벌화
- 유명학자 + 기술장인 + 우수기업 + 지자체공공기관
= 국가 R&D 프로젝트수행
- 창조융합의 Pro-sumer와 그린산업양성(식물·버섯공장·사포닌감자 육종)
- 체험학습공간개발과 Eco & Edu-tourism의 허브구축 및 한스타일적 과 학문화관광자원 콘텐츠 기획자 양성(분자농업-분자요리-세포치료-안티 에이징-의료관광 연계개발)
- IT·BT·CT·NT 등의 융복합 산업리더 육성과 일자리 창출 및 퓨전그린
산업디자이너 양성(산·학·연·관 클러스터)역할
- ‘의학·농학’ 6차산업의 융합벤처 창업전문가 양성(의료관광 상품개발)
→ 버섯항암마을, 사과피부마을, 곶감면역마을, 비만방지(감자)마을,
세포치료마을
- 창의과학 테마공간 조성 및 Story-telling기획자 융합디자이너 육성(괴
산·충주·제천·상주·청원 유기농예술원 등에 취업) + 전국유기농예술원에
농·신기술과 신제품 생산지원
(당진협동화단지 공장에서의 생산품 활용)
제 4 장 SWOT분석
4-1. 제천한방 유기농예술원의 SWOT분석
|
강점(S) - 제천한방 바이오산업특 구 - 개발 콘텐츠 - 아이디어 보유 - 자원 인프라네트워크 확보 - 국가지원 창조혁신산업 - 융복합 및 일자리 창출 - 귀농지원자 확보 용이 |
단점(W) - 지리적 접근성 불리(도 로) - 귀농자들의 농사경험부 족 - 국내 최고의 귀농교육 미비 - 한중FTA체결예정 - 융복합개발전문가 부족 - 귀농자들의 이질적의식 |
기회(O) - 힐링, 귀농, 체험학습 강화 - 융복합, 6차산업, 창조 혁신 경제활동 추구선호 - 마을 공동체 회복 운동 - 일자리 창출 선도 및 농촌 고령화 문제 해결 방안제시 |
(SO) - 다양한 콘텐츠개발 - 귀농정착의 문제점 해 결 - 공동단지개발 및 일자 리 제공과 사업 리스크 감소 - 한스타일적 전통농경문 화의 복원과 관광자원 화 |
(WO) - 영농법인의 결성과 위 탁 영농실시 및 공동 생 산 경영 - 이기적 마인드 극복 및 공동체 마을 가꾸기 사 업화 주도 - 향약과 두레전통 의식 회복
|
위협(T) - 한중FTA체결로 농사 위협 및 환경오염 급습 가속화 - 세제 및 환경법 강화경 향 - 장기불황 및 저성장 지 속 - 교통 및 접근성 불리
|
(ST) - 한방창의산업 및 축제 개발 - 의료관광 직영 프렌차 이즈 - 한방체험학습장 개발 및 스토리텔링 사업화 주도 - 과학, 문화, 예술, 농경 융합 |
(WT) - 귀농자들의 개인별장화 - 개별콘텐츠 사용료 무 료화 - 지자체와의 상호이해부 족 - 지역주민들과의 융화갈 등 - 선도사업과 원스톱 서 비스 |
4-2. 전국 K-유기농예술원의 SWOT분석
|
강점(S) - 도시와 농촌 시스템 확 보 - 개발 콘텐츠/아이디어 보유 - 인적자원 및 기술 인프 라 네트워크 확보 및 구축 - 정부지원 창조혁신 산 업분야로서 6차산업 선 도 가능 - 융·복합 및 일자리창출 |
단점(W) - 사업규모의 광범위화 - 귀농자들의 농사경험 부족 - 식물·버섯공장성공사례 부족 - 한중FTA체결예정 및 위기의식 - 융복합 개발전문가 부 족 - 귀농자의 창조적사고부 족 |
기회(O) - 힐링, 귀농, 멘토링강화 - 융·복합형의 6차산업 창출 - 마을공동체 전통문화회 복 - 일자리 창출 선도 및 농촌 고령화 문제 해결 방안제시 -기능성 고소득 분자농업 |
(SO) - 한스타일적 콘텐츠 개 발 - 귀농정착의 문제점 해 결 - 테마단지개발 및 일자 리 - 전통농경문화의 문화원 형요소 발굴 및 글로벌 화 |
(WO) - 영농회사법인의 결성 및 공동 생산 경영의 마을자치규약 - 이기심 극복과 공동체 마을 가꾸기 의식고취 - 농업경영의 패배주의적 사고 - 6차산업 농업경영인 CEO양성 |
위협(T) - 한중FTA체결로 농산 물가격 하락 및 환경오 염 급습 - 잔류농약 및 GMO 문 제 - 저성장 및 초고령 사회 화 - 전국의 구조저거 사업 장화 |
(ST) - 도시와 농촌의 연계축 제화 - 아방가르드와 그린힐링 (병원)카페 직영 프렌차 이즈 - 스토리텔링 및 이미지 사업 - Edu&Eco-tourism의 보급 |
(WT) - 지역발전기금 제공 요 구증대 - 입주자 주도 개발의 한 계극복 - 복지부동, 안전지향 지 자체 - 지역주민들과의 갈등 - 의구심과 의심 많은 귀 농인들 |
제 5 장 사업콘텐츠 수지분석
5-1. ‘바이오닉스’ 사업수지 분석과 부가가치창출 방안
1단계 개발 |
- 사업착수시점(2014)당시 토지매입가격 : 약 50억원 - 사업부지면적 : 약 5만평 - 사업방식 : 귀농귀촌인 100명에 의한 ‘신규마을만들기’ 정책지원금 수령 - 소득원 창출 : 식물공장(의료한방농업) + 버섯공장(힐링&약용) + 에코월드 |
2단계 개발 |
- 사업착수시점(2015)당시의 토지매입가격 : 약 50억원 - 사업부지면적 : 약 5만평 - 사업방식 : 귀농전원마을 개발방식에 의한 개별 분양(100가구) - 소득원 창출 : 식물 · 버섯공장(푸드테라피) + 의료관광테마단지 개발 |
3단계 개발 |
- 사업착수시점(2015) : 1단계 개발 + 2단계 개발과 연계된 토탈계획 수립 - 한방정원예술디자인식물원 ‘바이오닉스’ - 대한비만협회와 연계 ‘비만방지 의료힐링특구’ 개설 ※5만여평 이상의 ‘제천한방정원아트식물원’ 부지점유획득 과 지원금은 무료수익 |
5-2. 신기술접목 고품격 융합디자인 설계(바이오닉스)
제 6 장 사업비조달 및 사업수지
6-1. 사업비 조달 구조
- 각종 인허가 등 사업비 전체를 정산해야 함
- 도시기반시설(전기, 수도, 가스, 도로 등)과 단지 내 마을회관 등 체육복 지 시설은 귀농정부지원금(입주자주도형)으로 충당함
구 분 |
자부담처리 사업비 |
수입예정사업비 |
잔여사업비 |
사 업 비 |
10억원 |
200억원 |
36억원 |
조달목적 |
각종 인허가에 필요한 자금 |
조합원100명 X 2억원 |
기반공사비용 |
조 달 처 |
자부담 비용 |
기분양 수입 예정액 |
정부지원금 |
주요사용처 |
- 토지기 관련비용 일체 - 직접공사비의 10% - 인입비 / 안전진단 비 - 설계비(건축, 토 목) - 감리비 - 환경영향 평가비 용 - 제세공과금 - 버섯공장 등 사전 균주접종 - 용역비용 및 광고 비 -조합운영비 |
- 직접공사비의 40% - 마을완성비용 |
- 각종 도시기반 시설 - 직접공사비의 20% - 마을회관 - 도로 - 상하수도 - 전기 등 |
6-2. 귀농전원마을개발(바이오닉스)의 종합의견
- 귀농단지개발 토지는 보존관리지역이나 농림지역 등에서도 개발이 가능하므로 저렴한 토지구입으로 개발이 가능한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사전조치 행위들이 많아서 총 개발 소요시간이 오래 걸림
- 제천한방 유기농예술원 등은 기존의 재래식 농작물 재배 생산방식에 대한 것을 따르지 않고 6차농산업, 분자농업, 기능성작물재배 등의 컴퓨터 정밀농법을 통하여 농업혁신을 제고하면서 도시에서는 아방가르드와 그린힐링(병원)카페를 도시 곳곳에 이미 설치하여 로컬푸드를 매장화하고 생산과 유통의 혁신을 꾀하면서 사람 + 기술 + 단지 = 플랜트해외수출까지 원활히 하면서 일자리창출과 고부가가치의 6차산업화를 국내외에서 선도하고자 함
제 7 장 교수단(R&D 수행 등)
(1) 김영준 :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교수 겸 한국유기성자원학회회장
(에너지자립마을과 물질순환 생태관광자원마을 만들기)
(2) 장대섭 : 명지대학교 부동산 대학원 겸임교수 겸 한국부동산산업연구원
원장(부동산자산관리 및 금융자산증식과 멀티복합공간개발의 관
광콘텐츠화)
(3) 김정회 : KAIST대학교 교수 겸 분자생물공정융합연구단장, 한국미생물
학회 회장(수경재배와 양액재배 및 식물공장과 버섯공장의 미생
물 관리기법과 나노테크날러지를 활용한 바이오사업화 전략)
(4) 이만의 : 전 환경부 차관, 장관 역임, 전 환경관리공단 이사장(환경경영 관리와 환경심리 활용을 통한 에코월드개발 기획)
(5) 한종술 : 법무법인서울다솔 변호사(LED식물공장, 국제거래 및 기술변리
특허출원과 사우디아라비아와 중동의 자원개발)
(6) 이원재 : 가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I.T와 약용식물자원화 기획 및 기
능성 약용작물의 재배환경과 IT활용 관리기법)
(7) 곽기웅 : 횡성군 농업기술센터 연구원 농학박사(화훼, 원예작물 재배 및
토양관리 기법)
(8) 김원진 :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교수(관광지리농업 및 에코&에듀 투어리
즘의 GIS콘텐츠화)
(9) 김성범 : 에듀케어 비전체험 연구소 소장(코칭&멘토링의 힐링튜어리즘)
(10) 박병훈 : 인천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철도대학교 교수(광생리학, 광반응이
론을 활용한 식물공장 설계기법, 유럽과 네델란드의 세계원예)
(11) 서혜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겸 디자인센터장 교수(인포디자인
기획 및 테마디자인심사와 경영관리)
(12) 김옥경 : Noblesse&Design(주)대표(인천드림파크, 인제오토갤러리, 고양
시 꽃박람회, 태안튤립축제 등유명축제 개발자, 순천정원박람회 심사위원)
(13) 이영순 : (사)밝은둥지문화운동중앙회 회장(인류문화경제학 및 문화콘텐 츠화 전략, 인성교육과 코칭교육)
(14) 윤정모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식물공장 및 도시농업 전문가)
(15) 유광호 : 선 건축사사무소 소장(식물공장&버섯공장 설계 및 재배사 관
리와 돔건축)
(16) 류창국 : 영화감독, SBS모래시계, 웰컴투동막골 등 다수 무술감독(제천
민속마을개발과 영상과학화)
(17) 김신원 :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환경조경학과(환경디자인과 부
로서의 조경디자인 자원화 개발기획)
(18) 김태현 : 미래메디컬센터 해외사업부 본부장(의료성형 및 힐링관광)
(19) 구자공 : 중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부 교수(신재생에너지 및 첨단소재 학, 괴산 세계유기농엑스포 기획&심사)
(20) 문종선 : 파주 심학산 친환경 영농조합법인 대표이사(약용버섯작물 및
힐링 테라피 카페개발, 태국의 관광자원 콘텐츠 개발 사례)
(21) 권영걸 :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겸 서울대학교 미술관 관장, 서울시
부시장(버나큘러디자인과 한스타일 디자인개발 전략)
(22) 이지양 :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5감테라피 디자인 및 조형
디자인)
(23) 안철호 : 농수산 무역대학 부학장(로컬푸드생산과 해외무역거래)
(24) 김병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코월드의 축제농공원 및 에코노믹
스와 자생식물 바이오닉스)
(25) 조태형 : 고려대학교 의과대 교수 겸 안암병원 기획실장, 세포치료센터
장(의료관광 및 원격진료, 세포유전자치료)
(26) 이선문 : (주)GA종합건축사사무소 계획설계이사(Garden-City 및 식물
공장설계)
(27) 이선도 : 무신, 대조영, 이순신, 왕건, 연개소문 등 무술감독(스턴트 빌리
지 기획 및 C.T.분야 개발기획)
(28) 최무웅 :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버섯공장 등의 바람에너지 및
기디자인 테마관광단지화 전략)
(29) 신홍태 : 의생명과학대학교 이사장(의료관광상품개발 및 외국인 유치)
(30) 육광심 : 한국호텔관광전문학교 이사장(분자요리 및 에코투어리즘)
(31) 임학태 : 강원대학교 의생명대학 교수 겸 <사>세계감자식량재단 이사
장, 컬러감자 개발자(분자농업 및 식물공장용 작물품종 육종)
(32) 이기영 :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천년초 농장 및 로컬푸드매장)
(33) 장현유 : (국립)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과 교수(괴산도레미농장, 항암
버섯마을, 기능성 버섯 육종)
(34) 문지숙 : CHA의과학대학교 교수(의료성형, 줄기세포, 항노화 및 의료관
광, 유전자치료 기법)
(35) 홍유식 : 상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컴퓨터정밀농법 및 인공지능
퍼지기술 접목형 테라피)
(36) 이순영 : 녹색성장위원회 <재>녹색재단이사장, 전 동해대학교 총장(녹
색성장과 컬처노믹스, 녹색경영 및 녹색사고)
(37) 박용헌 : 중원대학교 물리학과 초빙교수(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및 액
티브 신건축공법, 제로하우스 설계 등)
(38) 임형준 : 뷰씨엘(주) 상무(현대자동차 로봇설계개발 및 송도신도시
U-City 설계)
(39) 김동현 : 청암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벤처정보연구소소장, 국토해양부
심의의원)
(40) 이상욱 : (주)에이지엠에스CFO(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유기성 유 박비료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