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은 시각적 충격에 가치를 부여하는 하나의 비상상황이고, 큐레이터는 시각을 통제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그 궤적은 기발하고, 그 기묘함은 종종 설명할 수 없다. 상대성을 도입하고 가치를 한정하는 제한적인 태도, 체제를 넘어선 곳이나 그 이면에서, 취향은 대개 의문시된다. 항상 맥락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아니지만, 큐레이터는 주제를 강요하는 기질 면에서는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 그가 그토록 자랑스러워하는 시각적 열의는 격려가 되지만, 논의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성공을 거두려면, 진단의 요소와 양식의 요소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제도나 네트워크, 혹은 강력한 전략이 대부분의 예술가와 큐레이터를 지탱한다면, 이는 중요할 것이다. 변용이 언제나 급진적인 것은 아니므로, 몇몇 단순한 법칙들을 고려해야 한다. 큐레이터와 평론가들은 신분증을 상상하고, 한 세대, 한 순간, 하나의 구조, 한 예술가를 위한 전략을 구상하며, 하나의 공식에 기초한 개념적 의존을 기록한다. 나는 모든 것을 통제하고자 한다거나, 나는 축제적인 태도를 포용한다거나, 나는 분홍빛이 도는 고립을 수용한다, 혹은 나는 급진적으로 되었다. 현대미술 전시는 창조하고 또 발견한다. 실험은 유한성과 동일하다. 예술가들은 더 이상 권력을 얻는데 흥미를 보이지 않고,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의 장소를 탐색할 뿐이다. 새로운 정체성, 새로운 믿음, 새로운 미학적 원리에 의해 변화한 사회 환경. 전시회를 통해 태도가 전파된다.
이런 이론적 의미 상, 나는 2011년에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의 국제 전문가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했을 때, 담론 속에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과 근대적 반영을 담고 있는 몇몇 작가들을 만났다.
경험 많은 작가인 오용석은 이미지를 능숙하게 다루고, 전시 문제의 위험을 감수할 능력이 있다. 그는 취약한 텅 빈 거리나 황량한 풍경에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관람자의 능력을 시험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없는 듯하다.

과장된 현실과 상상 사이의 경계를 다루는 은 유기적 생물이나 구조를 만드는데 비닐 봉투를 이용한다. 일상에서 모은 비닐 봉투를 바느질하는 행위는 그녀의 유년기와 어머니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고, 이는 여성의 일생과 집과 연결된 어머니들의 삶에 대한 메타포가 된다.

는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며, 여성의 신체를 작업의 주요 주제로 삼는다. 그녀의 다채로운 설치는 재빨리 시선을 사로잡지만, 사탕처럼 보이는 외면 아래에 욕망과 함정, 부정 혹은 거부를 숨기고 있다.
환경과 정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받은 오석근의 사진은 과거의 기이하고 잊을 수 없는 것들에 대한 기억을 모은다. 사회주의 동화책에서 영감을 받은 그의 사진 속 인물인 소년과 소녀는 공포와 심리적 고통을 표현하는 커다란 양식화된 가면을 쓰고 있다.

의 비디오 <흥신소>는 두 개의 관점-개인적 문제를 해결해주고자 하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는 사회사업가로서의 작가, 혹은 한국에서의 관계의 이중성에 대한 반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설 흥신소 사무실을 본뜬 흥신소를 실제로 이태원에서 4개월 동안 운영했고, 매일 새로운 사건을 받아 관계와 신뢰, 미래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임흥순의 공동체에 대한 진실한 염려와 과거에 대한 존중은 대단하다. 그의 프로젝트에서, 작가는 교외 지역으로의 사람들의 이동을 연구하고, 이주 노동자들과 함께 노동하거나, 그의 아버지 세대인 월남 파병 병사들과 함께 작업했다. 이는 모두 창조적인 영역 내에서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의 일부이다.

2011년 에르메스 미술상의 두 후보인 과 파트타임스위트도 나의 관심을 끌었다. 최원준은 파괴를 예측하는 능력이 있고, 서울의 사창가의 운명이나 비무장지대의 미군 부대의 활동 같은 중간 지대를 분석하는데 뛰어나다. 태연하면서도 확고하게, 그는 그가 카메라에 포착하는 상황의 보이지 않는 조정자가 되었다.
파트타임스위트는 정말로 창조적인 일꾼이다. 그들의 예술은 커뮤니티의 힘과 한 작가의 기본적 욕구, 본능적인 움직임의 권리,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능력, 혹은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가능성에 영향을 받는다. 그들의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지원을 받지 않고 예술을 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 작가들은 물자가 더 이상 없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날까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2011년 에 OCI 미술관에 전시된 의 장소 특정적 설치 작품은 공간과, 공간의 실체에 트라우마를 입히고 폐허로 만들 수 있는 급속한 변화의 결과에 대한 깊은 이해의 결과이다.
한국 현대미술은 정치적, 미학적 이론과, 기억과 망각, 역사, 개인적 기대,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설계에 의해 생겨난 질문을 재구성하고 다시 만든다. 현지화에 대한 문화적 욕구는 인식을 통해 밀접하게 연결된 전통에 대한 깊은 탐색과 번역으로 대체된다. 문화 생산과 문화적 표현의 대안적 모델이 크게 발전한다. 때로는 유연하고, 때로는 유랑하는 이러한 모델은 기술과 정체성, 독창성과 연결된 주제들을 통합한다.
글. 앙카 베로나 미훌레앙카 미훌레는 루마니아 시비우에서 태어나 살면서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부카레스트 미술대학에서 미술이론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6년부터 미술평론가이자 시비우의 브루켄탈 국립박물관의 현대미술부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리비아나 단과 함께 <시비우 2007, 유럽 문화 수도> 프로그램에서 현대미술 프로젝트를 조직했다. 그녀는 신진 작가와 젊은 큐레이터들을 위한 분석적 이론 플랫폼을 형성하는데 몰두하고 있고, 공공 공간과 제도적 연구, 미술관 전략, 시각적 연구, 예술적 접근도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