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첩성
첫번째로 단거리 달리기를 많이 하셔야 합니다!
민첩성이란 것은 반응에 대해 몸을 재빨리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말하는데, 단거리 훈련을 해주면 좋고, 또한 제자리 멀리뛰기도 민첩성에 도움이 됩니다.
제자리 점프 뛰는 것도 민첩성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25M 시작과 끝에 표시점을 두고 쉬지 않고 계속해서 왕복 달리기를 합니다!!
순발력
순발력은 한순간에 폭발적인 힘을 쓰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을 순간적으로 힘을 쓰는 것을 해야지 길러 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몸의 순발력은 인터벌 달리기-빨리 뛰다가 천천히 조깅, 다시 빨리 뛰는 것을 반복하는 훈련법-를 통해 기를 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몸 안에 힘을 순간적으로 막 쓰다가 잠시 쉬고 다시 막 쓰다가 쉬고 이런 것을 반복 해서 순간적으로 힘을 쓰는 것을 연습하는 방법입니다.
*각 체력을 향상시키는 운동 종목들
- 민첩성: 테니스, 탁구, 배구, 줄넘기
- 순발력: 단거리 달리기, 연속점프, 골프클럽치는 시늉, 계단 오르내리기, 줄넘기
- 근력: 윗몸 일으키기, 팔굽혀펴기
- 지구력: 조깅, 런닝, 사이클링, 수영, 등산, 줄넘기
- 유연성: 체조, 댄스
근지구력 / 전신지구력
웨이트트레이닝은 근지구력과 전신지구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답니다.
근지구력
어떤 근육이 계속 힘을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하구요~
전신지구력
흔히 말하는 지구력으로, 어떤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죠..
근지구력은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충분히 향상 될 수 있고 가벼운 중량을 사용해서 많은 횟수를 반복하는 것이 효과적 이랍니다.
반면 전신지구력은 절대적으로 향상된다고 할 수는 없는데 서킷 트레이닝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구요~
서킷트레이닝[circuit training]
- 체력트레이닝에 시간이라는 요소를 더하여 근육,호흡,순환기능의 점진적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트레이닝법을 말한다.
1953년 영국 리즈대학교의 R.모건과 G.아담슨이 창시하였다.
특징은
1. 서킷이라는 낱말이 뜻하듯이 여러 가지의 체력 부하방식의 운동을 조합하여 하나의 세트로 하고, 이 세팅된 운동의 순회수행시간을 계측하면서 실행한다. 수행시간의 계측은 트레이닝 자체가 체력측정이 되고, 트레이닝의 흥미를 일깨워 준다.
2. 세팅된 운동은 어느 운동부터 시작해도 괜찮으므로 순회의 방향이 지시되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세트에서 실시할 수 있다.
3.운동부하는 개인의 체력에 맞는 것으로 하는데, 결정방법은 강도가 높은 운동은 최대횟수를, 비교적 높지 않은 운동은 1분 동아느이 최대횟수를 각각 1/2로 한다.
서킷 트레이닝은 올 어라운드적(All Around) 체력 향상의 트레이닝 방법입니다.
올 어라운드적 체력이라 함은, 전신의 모든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고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체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개발하는 데 기여하게 됩니다.
서킷 트레이닝의 가치는
① 경감된 부하강도를 채용하여야 하며,
② 운동종목과 종목 사이에 휴식을 취하지 않고 실시하기 때문에
③ 근육계, 호흡, 순환계, 신경계 및 골계 등 전신에 유효한 훈련 방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