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문화원에서 주관하는 종가문화컬처텔러 세 번째 수업에서 청백리정신으로 유명한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1431~1517) 선생의 묵계종택과 묵계서원, 그리고 만휴정을 찾아갔다.
1980년 6월 17일 경상북도민속자료 제19호로 지정되었다. 묵계서원은 보백당 김계행과 응계(凝溪) 옥고(玉沽:1382∼1436)를 봉 향하는 서원으로, 1687년(숙종 13)에 창건되었다. 김계행은 조선 초기 성종 때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고, 이조판서 양관대제학에 추증되었으며, 옥고는 세종 때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을 지낸 바 있다.
1869년(고종 6)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후에 강당과 문루인 읍청루와 진덕문, 동재(東齋) 건물 등을 복원하였다. 서원 옆에는 후대에 세운 김계행의 신도비와 비각이 있다.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기와로 된 팔작지붕 건물로, 가운데 6칸을 마루로 꾸미고 좌우에 방을 들인 중당협실형(中堂夾室型)이다.
서원 왼쪽에는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 주사(廚舍)가 있다. 서원 중 다른 건물은 모두 후대에 복원한 것이나 주사는 서원이 훼철될 때 헐리지 않고 남은 것이다. 고건물답게 부재를 다룬 수법에 격조가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종택은 서원에서 멀지 않은 마을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데, 정침과 사랑채인 보백당,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침은 ㅁ자형의 팔작지붕 집으로, 보존 상태가 좋다. 보백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집이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였고, 우물마루를 깐 4칸 대청과 2칸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구(架構)는 5량가(五樑架)이며, 대청의 왼쪽 측면과 뒷벽에는 판벽에 문얼굴을 내어 미세기 창을 달았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집으로, 앞쪽에는 삼문이 있고 낮은 담으로 둘러쳐져 있다.
묵계 새마을교를 건너 하리 골짜기길을 따라 500m쯤 가면 김계행이 만년을 보내기 위하여 건립한 정자 만휴정 이 있다. 김주현(金胄顯)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